•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ortfolio variance 리스크 분석

Portfolio variance 리스크 분석에 의한 주요 원유 수입국별 공급의 월 변화

율에 따른 위험도 분석은 [그림 5-2-3]에 나타나 있으며, 리스크 분석에 있어 자국내 원유소비를 고려하여 순 원유도입 리스크를 계산하였다6).

[그림 5-2-3] 국가별 원유도입 물량 리스크

-1 .5 -1 -0 .5 0 0 .5 1 1 .5 2 2 .5

1 2 3 4 5 6 7 8 9 년 도

지 수

한 국 일 본 프 랑 스 독 일

이 태 리 영 국 미 국 스 페 인

한국의 원유도입에 따른 물량 변화율 리스크는 1990년 0.466을 정점으로 점 차 감소하다 1996년 0.211로 증가하였다가 안정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걸 프전이 발생한 1991년 도입 변화율에 따른 리스크는 오히려 전년대비 감소하 였다. 걸프전 발생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도입변화율에 따른 리스크가 감소하였 던 이유로는 걸프전 이전, 이라크로부터 원유 도입비중이 낮았고(89년 1.9%,

90년 3.4%), 1991년 이후 원유 도입선을 이라크보다 생산 변화율이 적은 사우

디로 도입선을 전환하였기 때문이며, 1994년과 1995년 한국의 원유도입 물량 변화율의 리스크가 상당히 감소한 것은 β값이 상당히 작은 기타국(β=-3.08)으 로 분류된 카메룬, 콩고 등에 대한 도입비중을 높였기 때문이다( 89년 0.57%, 94년 11.4%, 95년 17%).

6) 국내원유 생산을 고려한 원유도입 리스크는 Portfolio variance risk 값에 국내 총 소비중 원유 도입비중을 곱하여 계산함.

일본은 도입물량 리스크가 가장 높았던 1989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다

1995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프랑스와 독일은 각각 1991

년 -0.751과 1990년 0.666을 저점으로 점차 도입 리스크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

인다.

자국내 원유생산 비중이 높은 영국과 미국의 경우 원유도입에 따른 물량 변 화 리스크가 상당히 안정적인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영국의 경우 도입리스

크가 0.41~0.69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미국은 -0.858~0.05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90년 도입 물량 변화 리스크가 0.05를 제외하고는 -값을 유지 하고 있다.

한국의 원유도입에 따른 가격 변화율 리스크는([그림 5-2-4]) 1989년과 1990 년 가격 변화 리스크가 23이였던 것을 제외하면, 리스크가 22 정도로 안정적으 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7) 그러나 물량변화율에 따른 리스크와 가격변화 율에 따른 리스크를 비교하면 가격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 도입 가격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1997년 24를 초과하였던 것을 제외하고는 23 정도로 유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프랑스, 독일, 이태리, 스 페인 등의 가격변화 리스크가 한국 및 일본과 같이 20을 초과하는 것을 계산 되었으며, 프랑스는 비교적 낮은 20을 보여주고 있다.

자국내 원유생산 비중이 높은 영국과 미국의 경우 원유도입에 따른 가격 변 화 리스크가 매우 낮음을 보여주는데 영국의 경우 도입리스크가 3.05~8.98로 여타국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국은 9.35~11.64로 영국에 비해 위험도는 높았으나 한국, 일본, 프랑스 등의 국가와 비교하여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7) 물량리스크와 비교하면 가격리스크의 수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그 이유로 가격변 화에 대한 세계시장의 분산(σ2m)은 27.5로 추정되어, 물량변화에 대한 세계시장의 분산 추정 1.72보다 상당히 크기 때문이다.

[그림 5-2-4] 국가별 원유도입 가격 리스크(수입고려)

0 5 10 15 20 25 30

1 2 3 4 5 6 7 8 9 년도

지수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

이태 리 영국 미국 스페인

원유도입에 대한 리스크평가는 물량변화에 중점을 둘 것인가 아니면 가격변 화에 둘 것인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원유 도입가격의 변화보다 원유도입 물 량 변화의 안정화가 국가의 우선 목표이면 원유도입 물량 변화에 따른 리스크 를 감소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반면 도입가격 안정화가 우선 순위이면 도입가 격 리스크 감소가 최우선이게 된다.

만약 국가의 도입전략이 물량변동과 가격변동 모두 안정화를 추구한다면 도 입에 따른 Portfolio variance ris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8)

P= α․P물량+ ( 1 - α)․P가격

여기서 P물량은 원유 도입 물량 변화율에 따른 포트포리오 분산 위험도, P

가격은 원유 도입 가격 변화율에 따른 포트포리오 분산위험도, α는 정책 가중

8) Portfolio variance risk 분석에 있어 물량과 가격을 결합하는 경우, 물량 1단위에 대한 리스크 와 가격 1단위에 대한 리스크를 동등하게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지만, 여기 서는 편의상 가격리스크와 물량리스크가 동일하다고 간주하였음.

치이다. 만약 국가의 도입정책이 70%는 물량 변화에 따른 안정화이고, 30%는 도입가격 변화에 대한 안정화 유지에 목적이 있다고 하면 도입리스크는 P =

0.7P물량 + 0.3P가격이 된다. 국가의 원유도입 정책이 물량과 가격 변화에 대

한 리스크 감소가 동등하다고 가정한 원유도입 리스크가 [표 5-2-5]에 정리되어 있다. 한국의 원유도입에 따른 가격 변화율 리스크는 1989년과 1990년 가격 변 화 리스크가 12이였던 것을 제외하면, 리스크가 11 정도로 안정적으로 유지되 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가격변화율에 따른 리스크와 비교하면 리스크가 절 반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5-2-5] 물량과 가격을 결합한 원유도입 리스크 (α=0.5)

0 2 4 6 8 1 0 1 2 1 4

1 2 3 4 5 6 7 8 9 년 도

지 수

한 국 일 본 프 랑 스 독 일

이 태 리 영 국 미 국 스 페 인

`

일본의 경우 도입 가격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1989년 12에서 점차 감소하다

가 1996년 이후 증가하고 있다. 프랑스, 독일, 이태리, 스페인 등의 가격변화

리스크가 한국 및 일본과 같은 유사한 도입리스크를 보여주고 있으며, 프랑스 는 비교적 낮은 10을 유지하고 있다. 자국내 원유생산 비중이 높은 영국과 미 국의 경우 원유도입에 따른 리스크가 매우 낮음을 보여준다. 영국의 경우 도입 리스크가 1.86~4.51로 여타국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미국은 4.65~5.392로 영국에 비해 위험도는 높았으나 한국, 일본, 프랑스 등의 국가와 비교하여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991년을 저점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