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5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5호"

Copied!
34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WorId · Grain · Market

해외곡물시장 동향

www.krei.re.kr

11

5 2 0 2 2

202211 권 제 5

해외곡물시장 동향

W o r I d · G r a i n · M a r k e t

Issue Box

EU 낙농·유업의 현황과 전망 87P

낙농 대국 독일에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대응 104P 러시아: 농수산물 순수출국 전환, 수출규제 확대,

우크라이나 침공 128P

영국의 농업 및 노동력 확보 정책 165P 일본 PRIMAFF의 세계 식품 수급 동향과

중장기 전망 199P

코로나19가 중국 유제품 소비에 미친 영향 243P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2)

2018 제7권 제1호 2018 제7권 제2호

해외곡물시장 동향

World Grain Market

2022 제11권 제5호

(3)

정보, 주요 지표를 정리・분석하여 발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곡물시장 수급 및 가격 동향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해외곡물시장정보 홈페이지(http://grains.krei.re.kr)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편집 담당>

김 종 진 연 원 jkim@krei.re.kr (061-820-2382) 덕 명예선임연구위원 huhduk@krei.re.kr (061-820-2261) 김 범 석 연 원 bskim89@krei.re.kr (061-820-2398)

◆ 그동안 월간으로 발간되었던 해외곡물시장동향 보고서가 2019년도부터는 격월간으로 바뀌었습니다.

(4)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0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30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45

곡물 시장의 선물가격 동향 및 전망 62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Issue Box>

EU 낙농·유업의 현황과 전망 87 낙농 대국 독일에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대응 104 러시아: 농수산물 순수출국 전환, 수출규제 확대,

우크라이나 침공 128

영국의 농업 및 노동력 확보 정책 165 일본 PRIMAFF의 세계 식품 수급 동향과

중장기 전망 199

코로나19가 중국 유제품 소비에 미친 영향 243

<특집 : 코로나 관련 정보>

주요국의 COVID-19 대응 관련 정보(27) 273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FAO, Reuters, OECD 곡물시장 뉴스 281

세계 농업기상 정보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 293

부 록

세계 곡물 통계 331

국가별 대두 가공품 통계 335

(5)
(6)

세계 곡물시장 동향 5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0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30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45

곡물 시장의 선물가격 동향 및 전망 62

(7)
(8)

세계 곡물시장 동향

김범석(해외곡물시장 담당자)*

1. 세계 곡물 수급 동향

1.1. 곡물 전체

1)

세계 곡물 전체 생산량은 시간이 흐를수록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최근 22/23(9월 전망 기준)에는 일부 감소했다. 2022년 9월 전망에 의하면, 2022/23 전체 곡물 생산량은 27억 5,600만 톤으로 예상된다. 소비량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27억 7,000만 톤 으로 추정되고, 재고율은 27.9%로 전망된다.

<표 1> 세계 곡물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2000/01 2010/11 2015/16 2019/20 2020/21 2021/22 2022/23

(9월 전망)

생산량 1,845 2,213 2,518 2,680 2,725 2,801 2,756

소비량 1,861 2,239 2,469 2,662 2,730 2,773 2,770

재고율 30.3 20.3 29.9 30.7 29.4 28.8 27.9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그림 1> 세계 곡물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단위: 백만 톤, %) 2,850

2,650 2,450 2,250 2,050 1,850 1,650

35 30 25 20 15 10 5 0 00/01 02/03 04/05 06/07 08/09 10/11 12/13 14/15 16/17 18/19 20/21ㅇㅇㅇ

재고율 생산량 소비량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 bskim89@krei.re.kr

1) 곡물 전체는 밀, 쌀, 그리고 잡곡의 합계를 의미함.

(9)

1.2. 품목별 수급 동향

세계 쌀 생산량 및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0년 초반 쌀 재고율은 30%대를 유지해왔지만, 2010/11년 23%대까지 하락하였다. 2015/16년부터 다시 회복 하는 중이다. 2022/23년 9월 기준 쌀은 생산량 5억 800만 톤, 소비량 5억 1,800만 톤, 재고율 33.5%로 전망된다.

세계 밀 생산량과 소비량 역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과거 밀 재고율은 30% 초중반을 유지하였으나, 최근 2019/20년에는 40% 이상을 기록했다. 2022/23년(9월 기준) 밀 생산량 7억 8,400만 톤, 소비량 7억 8,600만 톤, 재고율 34.2%로 전망된다.

세계 옥수수 재고율은 2010/11년 13.3%로 급락한 이후, 2015/16년 이후부터 20~30%대로 회복하였다. 2022/23년 9월 기준 옥수수 생산량은 11억 7,300만 톤, 소비량 11억 7,500만 톤, 재고율 25.9%로 전망된다.

세계 대두 재고율은 과거 20% 초반을 유지하다가 201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상승 하는 추세이다. 2022/23년 9월 기준 전망으로 대두 생산량 3억 9,000만 톤으로 역대 최대치로 전망된다. 또한, 소비량 3억 7,800만 톤, 재고율 26.2%로 전망된다.

<표 2> 품목별 수급 동향

(단위: 백만 톤, %)

품목 구분 2000/01 2010/11 2015/16 2019/20 2020/21 2021/22 2022/23 (9월 전망)

생산량 399 451 477 499 509 515 508

소비량 394 444 468 493 499 517 518

재고율 37.2 23.0 30.6 37.0 37.7 35.8 33.5

생산량 583 651 738 762 775 780 784

소비량 584 653 713 740 774 790 786

재고율 35.3 30.7 34.7 40.3 37.5 34.9 34.2

옥수수

생산량 592 849 1,015 1,123 1,129 1,220 1,173 소비량 609 868 1,002 1,133 1,147 1,179 1,175

재고율 28.8 13.3 31.1 27.1 25.5 26.5 25.9

대두

생산량 176 265 316 340 368 353 390

소비량 171 253 317 359 364 363 378

재고율 20.0 29.0 25.0 26.4 27.5 24.7 26.2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10)

2. 세계 곡물 선물/현물(FOB) 가격 동향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세계적 가뭄으로 6-7월 까지 주요 곡물 선물가격이 급증하였다. 하지만, 최근 곡물 선물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중이다. 밀 선물 가격은 8-9월 우크라이나의 곡물 저장시설 공간확보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및 미국 파종지연 등으로 지연된 곡물 도입이 3분기에 도입 등의 이유로 하락하였다. 옥수수 선물가격의 경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계절적 공급증가와 미국 옥수수 기말재고량 증가 전망 등으로 하락하는 중이다. 대두 선물가격 또한 남미지역의 기말재고량 증가가 예상되고 이를 기반으로 식물성 유지류(대두유) 수급 개선이 전망된다. 하지만 아직 계속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곡물 선물가격의 급등 여지는 있다. 또한 미국 중서부지역 중심으로 확산되는 가뭄은 선물가격을 다시 증가 추이로 요동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그림 2, 표 3).

<그림 2> 밀·옥수수·대두의 월별 선물가격 동향(2011.01~2022.09)

(단위: 달러/톤)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22/1ㅇ 주: 1) 밀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옥수수는 Chicago Yellow Corn 2등급 3) 대두는 Chicago 1등급

자료: USDA AMS September and ERS September.

(11)

전체적인 곡물 선물가격은 2020/21년에 비하여 밀, 옥수수, 대두의 선물가격이 모두 큰 증가폭을 보였지만, 경기침체 전망 및 세계 곡물 수급망 개선 요인으로 인하여 2022년 9월 기준 밀, 옥수수, 대두의 선물가격은 전월(8월) 대비 8.5%, 7.7%, -6.1%

추세이다.

곡물 현물가격의 추이를 보면, 최근 밀, 옥수수, 대두 현물가격은 2022년 9월 기준 전월 대비 밀, 옥수수, 대두는 각각 8.6%, 6.2%, -2.8% 하락하였다. 하지만 전년 동월에 비하여 각각 23.2%, 18.3%, 14.3% 상승한 수준이다(그림 3, 4, 5, 표 4). 최근 쌀 현물 가격 태국 장립종 쌀 가격은 전년 동월대비 1.2%로 상승한 반면,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 가격은 전년 동월대비 37.8% 상승하였다(그림 6, 표 4).

<표 3> 곡물 선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20/21 2021/22 2021.09 2022.08 2022.09 변동률(%)

전년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1) 203 310 260 288 313 52.9 20.2 8.5

옥수수2) 207 254 206 249 268 22.8 29.8 7.7

대두2) 482 532 471 575 540 10.4 14.6 -6.1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임.

자료: USDA AMS September and ERS September.

<표 4> 곡물 현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20/21 2021/22 2021.09 2022.08 2022.09

변동률(%) 전년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1) 262 385 337 383 416 46.6 23.2 8.6

옥수수2) 252 304 275 306 325 20.6 18.3 6.2

대두2) 524 583 534 627.15 610 11.3 14.3 -2.8

3) 태국 491 413 396 422 427 -15.8 7.8 1.2

캘리포니아 917 1,189 1,125 1550 1550 29.7 37.8 0.0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임.

3) 쌀의 곡물연도는 8-7월임.

자료: IGC Market Data September 2022, USDA Rice Outlook September 2022.

(12)

<그림 3> 밀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9)

주: 1) 밀 선물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밀 현물은 US HRW Gulf

자료: USDA AMS Sep and ERS Sep, IGC Market Data

<그림 4> 옥수수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9)

주: 1) 옥수수 선물은 Chicago Yellow Corn 2등급 2) 옥수수 현물은 US 3YC Gulf

자료: USDA AMS Sep and ERS Sep, IGC Market Data

<그림 5> 대두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9)

주: 1) 대두 선물은 Chicago 1등급 2) 대두 현물은 US 2Y Gulf

자료: USDA AMS Sep and ERS Sep, IGC Market Data

<그림 6> 쌀 월별 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9)

주: 1) 태국 100% 장립종 B등급 2) 미국 캘리포니아 중립종 1등급 자료: USDA Rice Outlook September 2022

(13)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김민수(애그스카우터 대표)*

1)

올해 상반기 폭등했던 곡물 가격이 7월 후반에서 8월 초반까지 대거 조정을 받아 약세 우위의 장이 형성됐으나 이후로는 다시 가파르게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수급 측 면의 강세 요인이 시장을 압박하면서 가격을 대폭 끌어올리고 있다. 주요 국가의 곡물 생 산 여건이 좋지 못해 예상보다 생산 전망이 악화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시즌 대비 세계 곡물 수요량과 공급량이 모두 줄어들겠으나 공급량이 더 크게 줄면서 완충 역할을 하는 기말 재고가 급감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쌀의 경우 소비량이 소폭 늘어나겠으나 생산량이 줄면서 수급이 빠듯해지고 있다. 밀의 경우 역시 공급 측면의 약세 요인과 수요 측면의 강세 요인이 기말 재고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 옥수수의 경우 공급량과 수요량 이 모두 줄겠으나 공급량이 더 크게 줄면서 기말 재고가 낮아지겠다. 유지작물의 대표적인 품목인 대두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급 전망은 양호한 편이다. 공급량과 수요량 모두 증가하 겠으나 생산량 증가에 따른 공급량 확대로 인해 기말 재고는 크게 증가하겠다.

대표적인 곡물 공급국인 미국의 경우 옥수수 재배면적 및 단수가 지난 시즌 대비 크게 줄면서 저조한 생산 실적을 나타내겠으며 예년 대비 품질도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대두 수급 전망도 좋지 못하다. 재배면적 및 단수가 기대 이하로 떨어지고 있으나 품질은 예년 수준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소맥 수급 전망은 옥수수와 대두에 비해 양호한 편이다. 새로운 곡물 생산 시즌을 준비하고 있는 남미의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대풍작의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있으나 3년 연속 라니냐 현상이 발생해 피해를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향후 수급 전망에 상당한 변화가 주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시즌 가장 큰 걸림돌은 유럽연합과 우크라이나의 곡물 생산 전망이다. 유럽연합 내 주요 곡물 생산 국가들은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으며 상당히 저조한 생산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그 가운데 옥수수 생산량이 가장 크게 줄겠으며 소맥 생산량도 지난 시즌 대비 감소해 곡물 수출 여력은 줄어들고 수입량은 늘어나는 현상을 보이겠다. 흑해 곡물 수출 협정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길이 열리면서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급 불균형이 다소 완화되겠으나 전쟁으로 인해 옥수수를 비롯한 소맥 생산량과 수출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다만 러시아가 올해 역대 최고의 소맥 생산량을 기록하고 수출 가능 물량도 대폭 늘어날 것이란 전망은 시장의 불안을 완화하는 요소가 된다. 인도의 경우 몬순 강우 부족 으로 인해 곡물 생산이 저조해졌으며 소맥을 비롯한 쌀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14)

1. 곡물 전체

1)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2/23년 세계 곡물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27억 5,600만 톤으로 1.6%, IGC는 27억 6,300만 톤으로 1.5%, FAO는 27억 7,400만 톤으로 1.4% 감소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 량 역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35억 5,500만 톤으로 1.3%, IGC는 35억 4,600만 톤으로 1.3%, FAO는 36억 3,800만 톤으로 0.3% 감소하겠다.

소비량의 경우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 는 27억 8,300만 톤으로 0.7%, IGC는 27억 9,200만 톤으로 0.6%, FAO는 27억 9,200만 톤으로 0.1% 감소하겠다. 교역량 역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4억 8,900만 톤으로 3.9%, IGC는 4억 6,000만 톤으로 3.4%, FAO는 4억 7,000만 톤으로 1.9%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량 또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7억 7,200만 톤으로 3.4%, IGC는 7억 5,400만 톤으로 3.7%, FAO는 8억 4,500 만 톤으로 2.1%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도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27.7%로 0.8%p, IGC는 27.0%로 0.9%p, FAO 는 30.3%로 0.6%p 하락하겠다.

1) 곡물 전체는 쌀, 밀 그리고 잡곡의 합계를 의미함.

있어 문제이다. 최근에는 흑해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층 더 고조되고 있으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 강화 움직임과 흑해 곡물 수출 통제 가능성이 결부되어 시장을 더욱 어지럽게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은 점들을 상기하면서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 농업기구(FAO)가 제시하는 수급 자료들을 통해 2022/23년 세계 쌀, 밀, 옥수수, 대두 수급 전망을 다룬다. 주요 국가의 품목별 수급 전망에 대해서는 미국 농무부가 9월 12일에 발표한 ‘세계곡물수급전망(WASDE)’ 보고서와 각종 뉴스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5)

<표 1> 세계 곡물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2,801 2,756 -1.6 2,806 2,763 -1.5 2,813 2,774 -1.4 공급량 3,602 3,555 -1.3 3,591 3,546 -1.3 3,648 3,638 -0.3 소비량 2,803 2,783 -0.7 2,808 2,792 -0.6 2,795 2,792 -0.1

교역량 509 489 -3.9 476 460 -3.4 479 470 -1.9

기말재고량 799 772 -3.4 783 754 -3.7 863 845 -2.1

기말재고율 28.5 27.7 27.9 27.0 30.9 30.3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2. 쌀

2.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2/23년 세계 쌀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5억 800만 톤으로 1.4%, IGC는 5억 1,400만 톤으로 0.2%, FAO는 5억 1,500만 톤으로 2.1% 감소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 역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6억 9,300 만 톤으로 1.4%, IGC는 6억 9,500만 톤으로 0.3%, FAO는 7억 1,100만 톤으로 1.0%

감소하겠다.

소비량의 경우 2021/22년 대비 USDA는 5억 1,900만 톤으로 0.2%, IGC는 5억 1,800 만 톤으로 0.2%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FAO는 5억 2,200만 톤으로 변동 없 을 전망이다. 교역량의 경우 2021/22년 대비 USDA는 5,400만 톤으로 1.8% 감소하겠 으나, FAO는 5,500만 톤으로 1.9% 증가하겠다. 반면 IGC의 경우 교역량이 5,200만 톤 으로 2021/22년과 같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1억 7,400만 톤으로 5.9%, IGC는 1억 7,700만 톤으로 1.7%, FAO는 1억 9,100 만 톤으로 3.0%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율 역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낮아질

(16)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33.5%로 2.2%p, IGC는 34.2%로 0.6%p, FAO는 36.6%로 1.1%p 하락하겠다.

<표 2> 세계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515 508 -1.4 515 514 -0.2 526 515 -2.1

공급량 703 693 -1.4 697 695 -0.3 718 711 -1.0

소비량 518 519 0.2 517 518 0.2 522 522 0.0

교역량 55 54 -1.8 52 52 0.0 54 55 1.9

기말 재고량 185 174 -5.9 180 177 -1.7 197 191 -3.0

기말 재고율 35.7 33.5 34.8 34.2 37.7 36.6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2.2. 국가별 수급

2)

2.2.1 수출 시장

평균 이하의 몬순 강우로 인해 인도의 쌀 생산량은 1억 2,65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79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213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4,550만 ha로 2021/22년 대비 150만 ha 감소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4.17톤으로 2021/22년 대비 0.01톤 증가하겠다. 소비량은 1억 92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4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818만 톤 늘겠다. 인도의 쌀 수출량은 2,000만 톤 으로 2021/22년 대비 130만 톤, 2020/21년 대비 20만 톤 줄겠다. 내수 시장 가격을 안 정화하기 위해 파쇄미곡 수출을 금지하고 다양한 등급의 쌀 수출시 20%의 관세를 부 과하고 있다. 기말 재고량은 3,37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75만 톤, 2020/21년 대 비 325만 톤 감소하겠다.

태국의 쌀 생산량은 2017/18년에 2,058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2/23년에는 1,98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5만 톤, 2020/21년 대비 94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1,070만 ha로 2021/22년 대비 11만 ha 증가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2) 국가별 쌀 생산량은 백미(milled rice) 기준이므로 도정 전의 쌀 생산량 즉 생산 면적과 단위당 수확량을 고려한 수확량 (rough production)과는 차이를 보임

(17)

ha 당 2.80톤으로 2021/22년 대비 0.01톤 감소하겠다. 소비량은 1,300만 톤으로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하겠으며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3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016/17년 1,162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2/23년 수출량은 8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0만 톤, 2020/21년 대비 194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 은 28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0만 톤, 2020/21년 대비 145만 톤 감소하겠다.

베트남의 쌀 생산량은 2014/15년에 2,817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2/22년에는 2,74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3만 톤, 2020/21년 대비 2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729만 ha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6.01톤으로 2021/22년 대비 0.06톤 증가하겠다. 소비량은 2015/16년 2,250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2/23년에는 2,150만 톤으로 2021/22년 및 2020/21년 대비 5만 톤 늘겠다. 수출량도 2011/12년에는 772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2/23 년에는 68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만 톤, 2020/21년 대비 53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236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28만 톤 감소하겠다

파키스탄의 쌀 생산량은 84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92만 톤, 2020/21년 대비 2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320만 ha로 2021/22년 대비 34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94톤으로 2021/22년 대비 0.01톤 줄겠다. 소비량은 증가해 2022/23년 에는 42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40만 톤 늘겠다. 파키스탄 정부의 수출 장려 정책으로 수출량은 5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1/22년 대비 10만 톤, 2020/21년 대비 112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15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80만 톤, 2020/21년 대비 37만 톤 감소하겠다.

미얀마의 쌀 생산량은 2018/19년 1,320만 톤까지 증가한 이후 2022/23년에는 1,250만 톤까지 떨어지겠다. 생산 면적은 690만 ha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2.83톤으로 2021/22년 대비 0.03톤 증가하겠다. 소비량은 1,040만 톤으로 역대 최고인 2009/10년의 1,089만 톤에 근접하겠으며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 비해서는 10만 톤 줄겠다. 수출량은 2016/17년에 335만 톤까지 늘었으나 2022/23년에는 230만 톤에 그쳐 2021/22년과 같겠으며 2020/21년 대비해서는 40만 톤 증가하겠다.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는 미얀마는 높은 생산 비용으로 인해 쌀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쌀 수출에 제한을 가하고 있다. 기말 재고량은 67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54만 톤 감소하겠다.

(18)

<표 3> 수출 시장의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인도 126.50 (▼3.79/▲2.13) 109.25 (▼0.24/▲8.18) 20.00 (▼1.30/▼0.20) 33.75 (▼2.75/▼3.25) 태국 19.80 (▲0.15/▲0.94) 13.00 (▲0.20/▲0.30) 8.00 (▲0.50/▲1.94) 2.83 (▼1.00/▼1.45) 베트남 27.40 (▲0.33/▲0.02) 21.50 (▲0.05/▲0.05) 6.80 (▲0.10/▲0.53) 2.36 (▼0.20/▼0.28) 파키스탄 8.40 (▼0.92/▼0.02) 4.20 (▲0.20/▲0.40) 5.00 (▲0.10/▲1.12) 1.53 (▼0.80/▼0.37) 미얀마 12.50 (▲0.15/▼0.10) 10.40 (0.00/▼0.10) 2.30 (0.00/▲0.40) 0.67 (▼0.20/▼0.54)

※ 괄호 안은 2021/22년 및 2020/21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8 Sep.12, 2022.

2.2.2 수입 시장

서남아시아의 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224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9만 톤 늘 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7만 톤 줄겠다. 소비량은 62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2만 톤, 2020/21년 대비 37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395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 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70만 톤 증가하겠다.

나이지리아의 쌀 생산량은 536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만 톤, 2020/21년 대비 21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370만 ha로 2021/22년 대비 5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 당 수확량도 ha 당 2.30톤으로 0.01톤 늘겠다. 소비량은 74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30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011/12년 320만 톤을 기록한 이 후 계속해서 줄어 2019/20년에는 140만 톤까지 떨어졌으나 2022/23년에는 220만 톤에 이르겠다.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쌀 생산량은 135만 톤에 머무는 반면, 소비량은 35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만 톤, 2020/21년 대비 15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50 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72만 톤 증가하겠다.

인도네시아의 쌀 생산량은 2008/09년 3,831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2/23년에는 3,46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10만 톤 늘겠 다. 생산 면적은 1,165만 ha로 2021/22년 대비 5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4.68톤으로 2021/22년 대비 0.01톤 늘겠다. 소비량은 2013/14년 3,850만 톤까지 오른 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2/23년에는 3,5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5만 톤, 2020/21년 대비 40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55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0만 톤 감소하겠다.

(19)

필리핀의 쌀 생산량은 2021/22년 1.254만 톤까지 늘어났으나 2022/23년에는 13만 톤 줄어 1,241만 톤에 이르겠다. 생산 면적은 480만 ha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단위 당 수확량은 ha 당 4.10톤으로 2021/22년 대비 0.05톤 감소하겠다. 소비량은 1,56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115만 톤 늘겠다. 쌀 수입 자유화 조 치로 인해 2018/19년에는 수입량이 130만 톤에서 360만 톤으로 대폭 증가했으나 2022/23년에는 330만 톤으로 감소하겠다.

가뭄으로 인해 중국 동부 지방의 쌀 생산이 저조해졌으며 중국의 2022/23년 쌀 생 산량은 1억 4,7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99만 톤, 2020/21년 대비 130만 톤 줄겠 다. 생산 면적은 3,000만 ha로 2021/22년 대비 8만 ha 증가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7.10톤으로 2021/22년 대비 0.01톤 감소하겠다. 소비량은 1억 5,61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4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581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55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45만 톤 감소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28만 톤 증가하겠다.

멕시코의 쌀 생산량은 19만 톤으로 미미한 가운데 소비량은 98만 톤으로 2021/22 년 대비 1만 톤, 2020/21년 대비 2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016/17년 88만 톤까지 오 른 이후 줄어 2022/23년에는 80만 톤에 이르겠다.

일본의 쌀 생산량은 1990년대 중반까지 1,000만 톤을 넘었으나 이후 계속해서 줄어 2022/23년에는 755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1/22년 대비 9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151만 ha로 2021/22년 대비 1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6.87톤으로 2021/22년 대비 0.04톤 줄겠다. 1980년대 중반까지 1,000만 톤을 넘었던 소비량도 계 속해서 줄어 2022/23년에는 815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1/22년 대비 5만 톤 줄겠다.

1999년 쌀 수입 관세화 이후 수입량은 70만 톤 내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2/23년에 는 69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한국의 쌀 생산량은 1980년대까지 600만 톤을 기록했으나 계속해서 줄어 2017/18 년부터 400만 톤 아래로 떨어졌으며 2022/23년에는 37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3 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73만 ha로 2021/22년과 같겠으며,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6.91톤으로 2021/22년 대비 0.21톤 감소하겠다. 소비량은 395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다. 저율의 할당관세물량(TRQ)을 합친 2022/23년 수입량은 4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만 톤 감소하겠다.

(20)

<표 4> 수입 시장의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서남아시아 2.24 (▲0.09/▼0.07) 6.20 (▲0.22/▲0.37) 3.95 (0.00/▲0.70) 1.06 (▼0.01/▲0.11) 나이지리아 5.36 (▲0.10/▲0.21) 7.45 (▲0.20/▲0.30) 2.20 (0.00/0.00) 2.00 (▲0.10/▲0.31) 유럽연합 1.35 (▼0.36/▼0.48) 3.55 (▲0.05/▲0.15) 2.50 (▲0.20/▲0.72) 0.62 (▼0.12/▼0.04) 인도네시아 34.60 (▲0.20/▲0.10) 35.00 (▼0.15/▼0.40) 0.55 (0.00/▼0.10) 3.01 (▲0.15/▼0.05) 필리핀 12.41 (▼0.13/▼0.01) 15.60 (▲0.20/▲1.15) 3.30 (▼0.30/▲1.10) 4.61 (▲0.11/▲0.85) 중국 147.00 (▼1.99/▼1.30) 156.10 (▼0.24/▲5.81) 5.50 (▼0.45/▲1.28) 107.20 (▼5.80/▼9.30) 멕시코 0.19 (▲0.01/▼0.01) 0.98 (▲0.01/▲0.02) 0.80 (▲0.05/▼0.01) 0.15 (0.00/▼0.05)

일본 7.55 (▼0.09/▼0.02) 8.15 (▼0.05/▼0.05) 0.69 (0.00/▲0.04) 1.87 (▼0.04/▼0.02) 한국 3.75 (▼0.13/▲0.24) 3.95 (0.00/▼0.05) 0.43 (▼0.01/0.00) 1.51 (▲0.17/▲0.49)

※ 괄호 안은 2021/22년 및 2020/21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8 Sep.12, 2022.

3. 밀

3.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2/23 년 세계 밀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USDA는 7억 8,4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0.5%

증가하겠으나 IGC는 7억 7,800만 톤으로 0.4%, FAO는 7억 7,700만 톤으로 0.1% 감소 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의 경우 2021/22년 대비 USDA는 10억 6,000만 톤으로 0.9%, IGC는 10억 5,800만 톤으로 0.2% 감소하겠으나, FAO의 경우 공 급량이 10억 7,400만 톤으로 0.4% 증가하겠다.

소비량의 경우 2021/22년 대비 USDA는 7억 9,100만 톤으로 0.5% 감소하겠으나, IGC는 7억 8,300만 톤으로 0.4% 증가하겠다. FAO는 7억 7,300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2억 9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0% 증가하겠으 나, IGC는 1억 9,300만 톤으로 2.0%, FAO는 1억 9,100만 톤으로 2.1%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2021/22년 대비 USDA는 2억 6,900만 톤으로 2.5%, IGC는 2억 7,500만 톤으로 1.8% 감소하겠으나, FAO는 2억 9,900만 톤으로 0.7% 증가하겠다. 기 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2021/22년 대비 USDA는 34.0%로 0.7%p, IGC는 35.1%로 0.8%p 하락하겠으나, FAO는 38.7%로 0.3%p 상승하겠다.

(21)

<표 5> 세계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780 784 0.5 781 778 -0.4 778 777 -0.1

공급량 1,070 1,060 -0.9 1,060 1,058 -0.2 1,070 1,074 0.4

소비량 795 791 -0.5 780 783 0.4 773 773 0.0

교역량 203 209 3.0 197 193 -2.0 195 191 -2.1

기말 재고량 276 269 -2.5 280 275 -1.8 297 299 0.7

기말 재고율 34.7 34.0 35.9 35.1 38.4 38.7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3.2. 국가별 수급

3.2.1 수출 시장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은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어 밀 생산량은 1억 3,21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619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541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2,400만 ha로 2021/22년 대비 25만 ha 감소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50톤으로 2021/22년 대비 0.20톤 줄겠다. 소비량은 2015/16년에 1억 2,985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2020/21년에는 1억 475만 톤까지 떨어졌으나 2022/23년에는 1억 800만 톤에 이르겠다. 수출량은 3,35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60만 톤, 2020/21년 대비 376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95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90만 톤, 2020/21넌 대비 116만 톤 감소하겠다.

러시아의 밀 생산량이 9,1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584만 톤, 2020/21년 대비 565만 톤 늘어나겠으며 역대 최고에 이르겠다. 생산 면적은 2,870만 ha로 2021/22년 대비 107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17톤으로 2021/22년 대비 0.45톤 늘겠다. 소비량은 1990년대 초반 5,500만 톤을 넘어섰으나 이후 회복되지 못하고 줄어 2022/23년에는 4,50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1/22년 대비해서는 225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017/18년 4,145만 톤까지 오른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2/23년 에는 4,2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1/22년 대비 900만 톤, 2020/21년 대비 290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1,539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430만 톤,

(22)

전란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밀 생산량은 2,050만 톤까지 떨어지겠으며 2021/22년 대비 1,251만 톤, 2020/21년 대비 492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525만 ha로 2021/22년 대비 216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91톤으로 2021/22년 대비 0.55톤 줄겠다. 소비량은 1990년대 초반 2,800만 톤 가까이 올랐으나 2022/23년에는 1,070만 톤에 그치겠으며 2021/22년 대비 70만 톤, 2020/21년 대비 20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1,1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784만 톤, 2020/21년 대비 585만 톤 줄겠다. 기말 재고 량은 471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10만 톤 감소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320 만 톤 증가하겠다.

미국의 밀 생산량은 4,852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73만 톤 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23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1,519만 ha로 2021/22년 대비 15만 ha 증가 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20톤으로 2021/22년 대비 0.2톤 늘겠다. 소비량은 3,04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1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2만 톤 늘겠 다. 수출량은 2,24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67만 톤 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460만 톤 줄겠다. 기말 재고량은 1,66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36만 톤, 2020/21년 대비 640만 톤 감소하겠다.

캐나다의 밀 생산량은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운 2013/14년의 3,759만 톤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20/21년에는 회복되어 3,544만 톤까지 올랐다. 2021/22년에는 주요 산지 기상 여건이 상당히 좋지 못함에 따라 2,230만 톤까지 떨어졌으나 2022/23년에는 회 복되어 3,500만 톤에 이르겠다. 생산 면적은 1,000만 ha로 2021/22년 대비 81만 ha 증 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50톤으로 2021/22년 대비 1.07톤 늘겠다. 소비량은 2016/17년 1,067만 톤까지 증가한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2/23년에는 91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8만 톤 감소하겠다. 수출량은 2020/21년 2,643만 톤으로 역대 최고 를 기록하였으나 2021/22년에는 1,500만 톤까지 줄었으며 2022/23년에는 회복되어 2,600만 톤에 이르겠다. 기말 재고량은 417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0만 톤 증가하 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78만 톤 감소하겠다.

호주의 밀 생산량은 3,3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35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08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1,310만 ha로 2021/22년 대비 6만 ha 증가 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2.52톤으로 2021/22년 대비 0.27톤 줄겠다. 소비량 은 2018/19년 920만 톤까지 늘었으나 2020/21년에는 800만 톤으로 떨어졌다. 2022/23 년에는 다소 회복되어 855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수출량은 2,5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50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15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315

(23)

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5만 톤 감소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9만 톤 증가 하겠다.

아르헨티나의 밀 생산량은 1,9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50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36만 톤 늘겠다. 가뭄으로 인해 생산이 저조해질 것으로 전망 되어 시장 분석기관들은 아르헨티나의 밀 생산량 전망치를 계속해서 낮추고 있다. 생 산 면적은 610만 ha로 2021/22년 대비 45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12톤으로 2021/22년 대비 0.32톤 줄겠다. 소비량은 635만 톤으로 2021/22년 및 2020/21년과 같겠다. 수출량은 1,3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50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47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14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5만 톤, 2020/21년 대비 69만 톤 감소하겠다.

인도의 밀 생산량은 1억 3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659만 톤, 2020/21년 대비 486만 톤 줄겠다. 올해 3월부터 시작된 기록적인 폭염으로 밀 생산에 위협을 받았으 며 생산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생산 면적은 3,054만 ha로 2021/22년 대비 59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37톤으로 2021/22년 대비 0.15톤 줄겠다. 소비량은 1억 45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38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228만 톤 늘겠다. 가격 상승과 수출 제한으로 인해 수출량은 65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53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394만 톤 늘 겠다. 기말 재고량은 1,15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797만 톤, 2020/21년 대비 1,627 만 톤 감소하겠다.

<표 6> 수출 시장의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유럽연합 132.10 (▼6.19/▲5.41) 108.00 (▼0.25/▲3.25) 33.50 (▲1.60/▲3.76) 9.53 (▼3.90/▼1.16) 러시아 91.00 (▲15.84/▲5.65) 45.00 (▲2.25/▲2.50) 42.00 (▲9.00/▲2.90) 15.39 (▲4.30/▲4.01) 우크라이나 20.50 (▼12.51/▼4.92) 10.70 (▲0.70/▲2.00) 11.00 (▼7.84/▼5.85) 4.71 (▼1.10/▲3.20) 미국 48.52 (▲3.73/▼1.23) 30.43 (▼0.21/▲0.02) 22.45 (▲0.67/▼4.60) 16.60 (▼1.36/▼6.40) 캐나다 35.00 (▲12.70/▼0.44) 9.10 (▼1.08/0.00) 26.00 (▲11.00/▼0.43) 4.17 (▲0.50/▼1.78) 호주 33.00 (▼3.35/▲1.08) 8.55 (▲0.05/▲0.55) 25.00 (▼2.50/▲1.15) 3.15 (▼0.35/▲0.19) 아르헨티나 19.00 (▼3.50/▲1.36) 6.35 (0.00/0.00) 13.00 (▼3.50/▲1.47) 1.43 (▼0.35/▼0.69) 인도 103.00 (▼6.59/▼4.86) 104.50 (▼5.38/▲2.28) 6.50 (▼1.53/▲3.94) 11.53 (▼7.97/▼16.27)

※ 괄호 안은 2021/22년 및 2020/21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8 Sep.12, 2022.

(24)

3.2.2. 수입 시장

서남아시아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1,759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9만 톤 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303만 톤 줄겠다. 소비량은 3,958만 톤으로 2021/22 년 대비 80만 톤, 2020/21년 대비 75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332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42만 톤, 2020/21년 대비 558만 톤 증가하겠다.

북아프리카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1,76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83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79만 톤 늘겠다. 소비량은 4,752만 톤으로 2021/22 년 대비 50만 톤, 2020/21년 대비 80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3,02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35만 톤, 2020/21년 대비 170만 톤 증가하겠다.

동남아시아의 밀 수급과 관련해 소비량은 2,52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5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623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6만 톤 감소하겠으나 2020/21년 대비 39만 톤 증가하겠다.

중국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1억 3,8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5만 톤, 2020/21년 대비 375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2,360만 ha로 2021/22년 대비 3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85톤으로 2021/22년 대비 0.04톤 늘겠다. 소비 량은 1억 4,4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400만 톤, 2020/21년 대비 600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95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7만 톤, 2020/21년 대비 112만 톤 감소하겠다.

<표 7> 수입 시장의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서남아시아 17.59 (▲1.09/▼3.03) 39.58 (▲0.80/▲0.75) 23.32 (▲0.42/▲5.58) 11.13 (▲0.56/▲0.43) 북아프리카 17.60 (▼2.83/▲1.79) 47.52 (▲0.50/▲0.80) 30.20 (▲3.35/▲1.70) 10.78 (▼0.22/▼0.36) 동남아시아 0.00 (0.00/0.00) 25.20 (▼0.20/▲0.15) 26.23 (▼0.26/▲0.39) 5.25 (▼0.12/▼0.31) 중국 138.00 (▲1.05/▲3.75) 144.00 (▼4.00/▼6.00) 9.50 (▼0.07/▼1.12) 144.36 (▲2.60/(▲0.24)

※ 괄호 안은 2021/22년 및 2020/21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8 Sep.12, 2022.

(25)

4. 옥수수

4.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2/23년 세계 옥수수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생산량이 줄어들 것 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11억 7,300만 톤으로 3.9%, IGC는 11억 7,900만 톤으로 3.4%, FAO는 11억 8,200만 톤으로 2.4% 감소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 역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14억 8,500만 톤으로 1.9%, IGC는 14억 6,100만 톤으로 2.5%, FAO는 14억 9,200만 톤으로 0.4% 감소하겠다.

소비량의 경우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11억 8,000만 톤으로 1.7%, IGC는 11억 9,700만 톤으로 1.5%, FAO는 11억 9,300만 톤 으로 0.3% 감소하겠다. 교역량의 경우 2021/22년 대비 USDA는 1억 8,400만 톤으로 9.4%, IGC는 1억 7,300만 톤으로 3.4% 감소하겠으나, FAO는 1억 8,100만 톤으로 0.6%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USDA는 3억 500만 톤으로 2.2%, IGC는 2억 6,500만 톤으로 6.4%, FAO는 3억 톤으로 3.2% 줄겠다. 기말 재고율 역시 세 기관 모두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25.8%로 0.2%p, IGC는 22.1%로 1.2%p, FAO는 25.1%로 0.8%p 하락하겠다.

<표 8> 세계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1,220 1,173 -3.9 1,220 1,179 -3.4 1,211 1,182 -2.4 공급량 1,513 1,485 -1.9 1,498 1,461 -2.5 1,498 1,492 -0.4 소비량 1,200 1,180 -1.7 1,215 1,197 -1.5 1,196 1,193 -0.3

교역량 203 184 -9.4 179 173 -3.4 180 181 0.6

기말 재고량 312 305 -2.2 283 265 -6.4 310 300 -3.2

기말 재고율 26.0 25.8 23.3 22.1 25.9 25.1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26)

4.2. 국가별 수급

4.2.1. 수출 시장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3억 5,419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1/22년 대비 2,975만 톤, 2020/21년 대비 426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이 3,272만 ha로 2021/22년 대비 184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10.83톤으로 2021/22년 대비 0.28톤 줄겠다. 소비 량은 3억 481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953만 톤, 2020/21년 대비 188만 톤 줄겠다.

수출량은 5,779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08만 톤, 2020/21년 대비 1,199만 톤 줄겠다.

기말 재고량은 3,09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778만 톤, 2020/21년 대비 41만 톤 감소하겠다.

브라질의 옥수수 생산량은 1억 2,6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1/22년 대비 1,000만 톤, 2020/21년 대비 3,900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2,270만 ha로 2021/22년 대비 90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55톤으로 2021/22년 대비 0.23톤 늘겠다. 소비량 역시 7,7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1/22년 대비 400만 톤, 2020/21년 대비 700만 톤 늘겠다. 브라질은 옥수수 기반 에탄올 생산을 확대함에 따라 내수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수출량도 4,7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50만 톤, 2020/21년 대비 2,598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795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30만 톤, 2020/21년 대비 380만 톤 증가하겠다. 아르 헨티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5,5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0만 톤, 2020/21년 대비 300만 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나 주요 산지가 가뭄 현상을 겪고 있어 생산에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생산 면적이 700만 ha로 2021/22년 대비 20만 ha 감소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이 ha 당 7.86톤으로 2021/22년 대비 0.5톤 증가하겠다. 소비량은 1,4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0만 톤, 2020/21년 대비 5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4,1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0만 톤, 2020/21년 대비 6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149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31만 톤 증가하겠다.

전란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3,150만 톤까지 떨어지겠으며 2021/22년 대비 1,063만 톤 줄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20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450만 ha로 2021/22년 대비 99만 ha 감소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7.00톤으로 2021/22년 대비 0.02톤 증가하겠다. 소비량은 1,27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30만 톤, 2020/21년 대비 56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1,300만 톤으로 2021/22년

(27)

대비 1,300만 톤, 2020/21년 대비 1,086만 톤 줄겠다. 기말 재고량은 1,137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80만 톤, 2020/21년 대비 1,054만 톤 증가하겠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1,73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0만 톤, 2020/21년 대비 35만 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나 일부에서는 기상 여건 악화로 생산이 저조해질 것이란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생산 면적은 310만 ha로 2021/22년 대비 10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58톤으로 2021/22년 대비 0.15톤 늘겠다.

소비량은 1,330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8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그해 생산 정도에 따라 증감 폭이 크며 2022/23년에는 수출량이 37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0만 톤 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3만 톤 줄겠다. 기말 재고량은 222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30만 톤, 2020/21년 대비 10만 톤 증가하겠다.

<표 9> 수출 시장의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미국 354.19 (▼29.75/▼4.26) 304.81 (▼9.53/▼1.88) 57.79 (▼5.08/▼11.99) 30.95 (▼7.78/▼0.41) 브라질 126.00 (▲10.00/▲39.00) 77.00 (▲4.00/▲7.00) 47.00 (▲2.50/▲25.98) 7.95 (▲3.30/▲3.80) 아르헨티나 55.00 (▲2.00/▲3.00) 14.00 (▲0.30/▲0.50) 41.00 (▲2.00/▲0.06) 1.49 (0.00/▲0.31) 우크라이나 31.50 (▼10.63/▲1.20) 12.70 (▲1.30/▲5.60) 13.00 (▼13.00/▼10.86) 11.37 (▲5.80/▲10.54)

남아공 17.30 (▲1.00/▲0.35) 13.30 (0.00/▲0.08) 3.70 (▲0.50/▼0.03) 2.22 (▲0.30/▲0.10)

※ 괄호 안은 2021/22년 및 2020/21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8 Sep.12, 2022.

4.2.2. 수입 시장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옥수수 생산량은 5,880만 톤에 도달하겠으며 2021/22년 대비 1,218만 톤, 2020/21년 대비 864만 톤 줄겠다. 유럽 주요 옥수수 생산 국들은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으며 특히 헝가리, 루마니아,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의 옥수수 생산이 극히 저조해질 전망이다. 생산 면적이 900만 ha로 2021/22년 대비 24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6.53톤으로 2021/22년 대비 1.16톤 줄겠다.

소비량은 7,74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450만 톤, 2020/21년 대비 30만 톤 줄겠다.

부진한 생산 실적으로 인해 수입량은 1,9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0만 톤, 2020/21년 대비 451만 톤 증가하겠다.

멕시코의 옥수수 생산량은 2,76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85만 톤, 2020/21년 대비

(28)

수확량도 ha 당 3.83톤으로 2021/22년 대비 0.06톤 늘겠다. 소비량은 4,45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0만 톤, 2020/21년 대비 70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1,77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0만 톤, 2020/21년 대비 120만 톤 증가하겠다.

일본은 옥수수 자급률이 희박해 소요 물량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소비 량은 1,52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5만 톤, 2020/21년 대비 25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1,52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0만 톤, 2020/21년 대비 28만 톤 감소하겠다.

이집트의 옥수수 생산량은 744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104만 톤 늘겠다. 소비량은 1,640만 톤으로 2021/22년 및 2020/21년과 같겠다. 수입량은 920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43만 톤 감소하겠다.

한국은 옥수수 자급률이 희박해 소요 물량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 소비량은 1,155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23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1,150만 톤으로 2021/22년과 같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21만 톤 감소하겠다.

동남아시아의 옥수수 생산량은 3,126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6만 톤, 2020/21년 대비 1만 톤 늘겠다. 소비량은 4,91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25만 톤 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60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1,83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98 만 톤 증가하겠으나 2020/21년 대비해서는 239만 톤 감소하겠다.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2억 7,4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145만 톤, 2020/21년 대비1,333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4,300만 ha로 2021/22년 대비 32만 ha 감소하겠 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6.30톤으로 2021/22년 대비 0.08톤 늘겠다. 소비량은 2억 9,5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400만 톤, 2020/21년 대비 1,000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1,800만 톤으로 2021/22년 대비 500만 톤, 2020/21년 대비 1,151만 톤 감소하겠다.

<표 10> 수입 시장의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유럽연합 58.80 (▼12.18/▼8.64) 77.40 (▼4.50/▼0.30) 19.00 (▲0.50/▲4.51) 7.36 (▼2.30/▼0.52) 멕시코 27.60 (▲0.85/▲0.25) 44.50 (▲0.50/▲0.70) 17.70 (▲0.20/▲1.20) 3.28 (▲0.20/▲0.20) 일본 0.01 (0.00/0.00) 15.20 (▼0.15/▼0.25) 15.20 (▼0.10/▼0.28) 1.39 (▲0.01/▼0.03) 이집트 7.44 (0.00/▲1.04) 16.40 (0.00/0.00) 9.20 (0.00/▼0.43) 1.83 (▲0.24/▲0.47) 한국 0.08 (0.00/▼0.01) 11.55 (0.00/▼0.23) 11.50 (0.00/▼0.21) 2.08 (▲0.03/▲0.06) 동남아시아 31.26 (▲0.06/▲0.01) 49.10 (▲0.25/▼0.60) 18.30 (▲1.98/▼2.39) 3.40 (▼0.12/▼2.08) 중국 274.00 (▲1.45/▲13.33) 295.00 (▲4.00/▲10.00) 18.00 (▼5.00/▼11.51) 207.22 (▼3.02/▲1.52)

※ 괄호 안은 2021/22년 및 2020/21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8 Sep.12, 2022.

(29)

5. 대두

5.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2/23년 세계 대두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3억 9,000만 톤으로 10.5%, IGC는 3억 8,900만 톤으로 10.8%, FAO는 3억 9,000만 톤으로 11.4% 증가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도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4억 7,900만 톤으로 5.7%, IGC는 4억 3,200만 톤으로 6.4%, FAO는 4억 2,900만 톤으로 7.3% 증가하겠다.

소비량의 경우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3억 7,800만 톤으로 4.1%, IGC는 3억 8,000만 톤으로 4.7%, FAO는 3억 7,800만 톤으로 3.3% 증가하겠다. 교역량 역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1억 6,800만 톤으로 9.8%, IGC는 1억 6,600만 톤으로 7.8%, FAO는 1억 6,700만 톤으로 7.7%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량 또한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9,900만 톤으로 10.0%, IGC는 5,200만 톤으로 20.9%, FAO는 4,900만 톤으로 25.6%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도 세 기관 모두 2021/22년 대비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USDA는 26.2%로 1.4%p, IGC는 13.7%로 1.9%p, FAO는 13.0%

로 2.3%p 상승하겠다.

<표 11> 세계 대두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2021/22 (추정)

2022/23 (9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353 390 10.5 351 389 10.8 350 390 11.4

공급량 453 479 5.7 406 432 6.4 400 429 7.3

소비량 363 378 4.1 363 380 4.7 366 378 3.3

교역량 153 168 9.8 154 166 7.8 155 167 7.7

기말 재고량 90 99 10.0 43 52 20.9 39 49 25.6

기말 재고율 24.8 26.2 11.8 13.7 10.7 13.0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참조

관련 문서

해양플랜트 시뮬레이션에 활용하기 위한 3차원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수학식에 기반 하여 공간에 표현하는 NURBS모델과, 점과

17/18년 세계 옥수수 수급과 관련해 전월 대비 미국의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와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약간 줄었다..

미국과 함께 세계 주요 곡물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남미 또한 가뭄으로 몸살을 겪고 있으며, 러시아를 비롯한 유럽 남부 발칸반도와 흑해지역 국가들도 가뭄으로 인하여

생산자의 수가 늘어나면 소비자의 수가 늘어나는 현상 등이 수시로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먹이 사슬은

배터리 충전 알고리즘은 크게 정전압 충전, 정전류 충전, 정전류-정전압 충 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전류 충전은 배터리가 충전될 때까지 정전류로 충 전하는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affect intensity, an important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upon affect formation

생태계 평형이란 생태계를 구성하는 여러 생물 종의 수가 안정 된 상태로 물질은 순환하고 에너지는 한쪽 방향으로 흐르며 다 른 형태로 전환되는 상태임... 공기중의 전기방전에 의해

인천광역시의료급여기금특별회계설치및운용조례를 다음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