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곡물시장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해외곡물시장 동향"

Copied!
45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WorId · Grain · Market

해외곡물시장 동향

www.krei.re.kr 10

4 2 0 2 1

202110 권 제 4

해외곡물시장 동향

W o r I d · G r a i n · M a r k e t

Issue Box

미 국의 자산매입 축소(tapering)가

국제곡물시장에 미치는 영향 87P

각국 식육대체식품의 소비 동향 105P

중국의 식량 수급과 ‘식품 안전 보장’ 133P 급속히 회복되고 있는 중국 양돈업 상황 143P 각국의 유제품 대체식품 소비 동향 178P 코 로나 사태에 있어서 대만 닭고기 유통의 대응 211P

-대만 중앙축산회 조사 결과-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특집 : 베트남 농축산업

베트남의 농업 개황 227P

베트남의 쌀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250P 베트남의 축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267P 베트남의 식품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288P 베트남의 국제농업협력 동향 및 한국과의 관계 308P

(2)

2018 제7권 제1호 2018 제7권 제2호

해외곡물시장 동향

World Grain Market

2021 제10권 제4호

(3)

보, 주요 지표를 정리・분석하여 발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곡물시장 수급 및 가격동 향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해외곡물시장정보 홈페이지(http://grains.krei.re.kr)를 운영 하고 있습니다.

<편집 담당>

김 종 진 연 원 jkim@krei.re.kr (061-820-2382) 덕 명예선임연구위원 huhduk@krei.re.kr (061-820-2261) 김 태 련 연 원 ryun0131@krei.re.kr (061-820-2054)

◆ 그동안 월간으로 발간되었던 해외곡물시장동향 보고서가 2019년도부터는 격월간으로

(4)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0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31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46 해외 곡물/에너지 선물 가격 동향과 전망 60 사료곡물:최근 가격 상승의 동향과 전망 73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Issue Box>

미국의 자산매입 축소(tapering)가

국제곡물시장에 미치는 영향 87 각국 식육대체식품의 소비 동향 105 중국의 식량 수급과 ‘식품 안전 보장’ 133 급속히 회복되고 있는 중국 양돈업 상황 143 각국의 유제품 대체식품 소비 동향 178 코로나 사태에 있어서 대만 닭고기 유통의 대응 211 -대만 중앙축산회 조사 결과-

<특집 : 베트남 농축산업>

베트남의 농업 개황 227

베트남의 쌀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250 베트남의 축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267 베트남의 식품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288 베트남의 국제농업협력 동향 및 한국과의 관계 308

<특집 : 코로나 관련 정보>

주요국의 COVID-19 대응 관련 정보(13) 331 주요국의 COVID-19 대응 관련 정보(14) 362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FAO 곡물시장 뉴스 385

세계 농업기상 정보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 401

부 록

(5)
(6)

세계 곡물시장 동향 5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0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31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46

해외 곡물/에너지 선물 가격 동향과 전망 60

사료곡물:최근 가격 상승의 동향과 전망 73

(7)
(8)

세계 곡물시장 동향

김태련(해외곡물시장 담당자)*

1. 세계 곡물 수급 동향

1.1. 곡물 전체

1)

세계 곡물 전체 생산량은 시간이 흐를수록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7월 전망 에 의하면, 전체 곡물 생산량은 27억 9,500만 톤으로 예상되었다. 소비량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27억 7,800만 톤으로 추정되었고, 재고율은 28.0%로 전망되었다.

<표 1> 세계 곡물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1995/96 2000/01 2005/06 2010/11 2015/16 2020/2021 2021/22

(7월 전망)

생산량 1,708 1,845 2,016 2,214 2,519 2,710 2,795

소비량 1,741 1,860 2,021 2,240 2,469 2,731 2,778

재고율 25.1 30.4 19.5 20.2 30.0 28.4 28.0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그림 1> 세계 곡물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단위: 백만 톤, %) 2,850

2,650 2,450 2,250 2,050 1,850 1,650

35 30 25 20 15 10 5 0

00/01 02/03 04/05 06/07 08/09 10/11 12/13 14/15 16/17 18/19 20/21ㅇㅇㅇ

재고율 생산량 소비량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 ryun0131@krei.re.kr

1) 곡물 전체는 밀, 쌀, 그리고 잡곡의 합계를 의미함.

(9)

1.2. 품목별 수급 동향

세계 쌀 생산량 및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거 쌀 재고율은 30% 후반 대를 유지해오다 2000년대 중후반 20%대까지 하락하였으나, 2010년대 후반부 터 회복세를 보였다. 2021/22년 7월 생산량 5억 6백만 톤, 소비량 5억 1,200만 톤, 재고율 32.6%로 전망되었다.

세계 밀 생산량과 소비량 역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거 밀 재고 율은 30% 내외를 유지하다, 최근에는 30% 후반을 기록하고 있다. 2021/22년 7월 현재 생산 량 7억 9,200만 톤, 소비량 7억 8,900만 톤, 재고율 37.0%로 전망되었다.

세계 옥수수 재고율은 2000년대 중반 10%대로 하락하였다가, 최근 다시 원래의 수 준으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1/22년 7월 생산량 11억 9,500만 톤, 소비량 11억 7,200만 톤, 재고율 24.8%로 전망되었다.

세계 대두 재고율은 과거 20% 초반을 유지하다, 200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상승하 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1/22년 7월 전망에서는 생산량 3억 8,500만 톤, 소비량 3억 8,100만 톤, 재고율 24.8%로 전망되었다.

<표 2> 품목별 수급 동향

(단위: 백만 톤, %)

품목 구분 1995/96 2000/01 2005/06 2010/11 2015/16 2020/2021 2021/22 (7월 전망)

생산량 369 399 418 452 477 505 506

소비량 366 394 413 444 468 504 512

재고율 32.2 37.3 18.5 22.9 30.5 34.7 32.6

생산량 537 583 619 651 738 776 792

소비량 544 584 616 653 713 776 789

재고율 28.7 35.3 24.9 30.7 34.9 37.4 37.0

옥수수

생산량 517 591 700 849 1,015 1,121 1,195 소비량 532 609 707 868 1,002 1,145 1,172

재고율 25.1 28.8 17.5 13.3 31.1 24.4 24.8

대두

생산량 125 176 221 265 315 364 385

소비량 132 171 216 253 317 369 381

재고율 14.1 20.0 25.7 28.9 24.8 24.8 24.8

(10)

2. 세계 곡물 선물/현물(FOB) 가격 동향

곡물 선물가격의 추이를 보면, 2000년대 초반부터 점차 상승해오다가 2000년대 후 반 급등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0년대 말에 이르러 곡물 모두 하락하는 추세 를 보였다.

6월 미국 북부 평원 지역에 걸친 고온 건조한 기상 여건으로 밀 선물가격이 상승하 였으나, 7월에는 건조한 지역에 비가 예상되면서 밀 선물가격이 하락하였다.

6월과 7월에 미 중서부 지역의 날씨가 개선되어 작황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을 압박 하면서 옥수수 선물가격은 하락하였다.

6월과 7월에 미 중서부 지역의 시원하고 습한 날씨 전망이 계속되어 작황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이 시장을 압박하면서 대두 선물가격은 상승하였다(그림 2, 표 3).

곡물 현물가격의 추이를 보면, 최근 밀, 옥수수, 대두 모두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그 림 3, 4, 5, 표 4). 최근 쌀 현물가격 태국 장립종 및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 가격 또한 약보 합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6, 표 4).

<그림 2> 밀·옥수수·대두의 월별 선물가격 동향(2010.07~2021.07)

(단위: 달러/톤)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0/7 11/7 12/7 13/7 14/7 15/7 16/7 17/7 18/7 19/7 20/7 21/7 주: 1) 밀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옥수수는 Chicago Yellow Corn 2등급 3) 대두는 Chicago 1등급

자료: USDA AMS July and ERS July

(11)

<표 3> 곡물 선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17/18 2018/19 2020.07 2021.06 2021.07 변동률(%)

전년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1) 170 179 163 246 239 5.0 45.9 -2.9

옥수수2) 143 150 130 252 220 4.9 68.5 -12.9

대두2) 354 324 329 532 503 -8.6 53.0 -5.5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이며 2021년 7월 가격은 19일까지의 평균가격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이며 2021년 7월 가격은 19일까지의 평균가격임.

자료: USDA AMS July and ERS July

<그림 3> 밀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0.07-2021.07)

주: 1) 밀 선물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밀 현물은 US HRW Gulf

자료: USDA AMS July and ERS July, IGC Market Data

<그림 4> 옥수수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0.07-2021.07)

주: 1) 옥수수 선물은 Chicago Yellow Corn 2등급 2) 옥수수 현물은 US 3YC Gulf

자료: USDA AMS July and ERS July, IGC Market Data

<그림 5> 대두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0.07-2021.07)

주: 1) 대두 선물은 Chicago 1등급

<그림 6> 쌀 월별 현물 가격 동향 (2010.07-2021.07)

주: 1) 태국 100% 장립종 B등급

(12)

<표 4> 곡물 현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17/18 2018/19 2020.07 2021.06 2021.07 변동률(%)

전년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1) 228 234 222 286 284 2.2 28.0 -0.5

옥수수2) 169 174 169 300 288 2.8 70.6 -4.3

대두2) 378 338 364 567 551 -10.4 51.6 -2.9

3) 태국 418 399 467 460 434 -4.7 -7.1 -5.7

캘리포니아 868 866 921 1,052 - -0.2 - -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이며 2021년 7월 가격은 15일까지의 평균가격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이며 2021년 7월 가격은 15일까지의 평균가격임.

3) 쌀의 곡물연도는 8-7월이며 2021년 7월 가격은 10일까지의 평균가격임.

자료: IGC Market Data July 2021, USDA Rice Outlook July 2021.

(13)

최근 두 달 사이에 곡물 시장의 가격 변동성은 심화되어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생산 시즌에 있는 주요 곡물 생산국들의 기상 여건 변화가 가격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양호한 날씨로 인해 5월 초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한 주요 국가의 곡물 생산 전망이 밝아지면서 곡물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여름철 혹서기에 들어서면서 생산 전망이 불확실해져 가격은 다시 큰 폭으로 치솟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를 잇는 북부 대평원 일대는 무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져 봄밀 생육 상 태가 극도로 악화되었으며, 생산량도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곳곳이 폭염에 시달리고 있으며, 기상 이변 현상으로 인해 주요 곡물 산지가 상당한 피해를 입고 있다. 유럽은 최근 폭우가 내려 홍수가 발생했으며, 아르헨티나에서는 주요 곡물 운송로인 파라나 강 수위가 낮아져 수출 시즌 곡물 공급에 제한을 받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2기작 옥수수 생산이 문제된다. 생육 기간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으며 수확 단계에 진입해서는 추워진 날씨에 서리까지 발생해 생산량이 급감할 위기에 놓여있다. 인 도는 몬순 기후로 우기를 맞이한 상태이며 불규칙한 강우로 인해 여름작물의 생산 전망이 어두워졌다.

수급 전망에서 제시된 자료들을 살펴보면, 2021/22년 전체 곡물 생산량과 공급량은 늘 어나겠으나, 소비량과 교역량도 증가하게 되어 기말 재고율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 난 시즌 대비 쌀과 밀의 기말 재고율은 하락하는 반면, 옥수수와 대두의 기말 재고율은 상 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과 교역량 증가 대비 공급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 옥수수와 대두 기말 재고는 높 아질 전망이다. 북반구는 2021/22년 신곡 생산 단계에 들어가 있으나, 남반구 특히 브라 질과 아르헨티나는 2020/21년 곡물을 수확하고 있다. 2019/20년에 비해 브라질과 아르헨 티나의 곡물 생산량은 급감하겠으나, 2021/22년에는 예년보다 높은 생산량을 기록할 것으 로 예측된다.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곡물 수입 수요는 늘어나겠으며, 세계 곡물 재고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식량안보 차원에서 국내 곡물 생산량을 대폭 늘리는 정책을 펴 곡물 수입량을 줄이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중국의 양돈 산업이 아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김민수(애그스카우터 대표)*2)

(14)

프리카돼지열병(ASF)에서 빠르게 회복되어 감에 따라 사료용 곡물 수요 급증으로 수입량 을 줄이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코로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팬데믹은 각 국의 식량안보 강화와 전략적 비축을 야기하고 있어 공급 못지않게 수요 또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점들을 상기하면서 이하에서는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 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제시하는 수급 자료들을 통해 세계 쌀, 밀, 옥수수, 대두 수급 전망을 다룬다. 주요 국가의 품목별 수급 전망에 대해서는 미국 농무부가 7월 12일에 발 표한 ‘세계곡물수급전망(WASDE)’ 보고서와 각종 뉴스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 곡물 전체

1)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 년 세계 곡물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27억 9,500만 톤으로 3.1%, IGC는 28억 1,300만 톤으로 3.4%, FAO는 28억 1,700만 톤으로 1.7%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 량을 포함한 공급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35억 7,100만 톤으로 1.4%, IGC는 35억 7,700만 톤으로 1.9%, FAO는 36억 3,300만 톤으로 1.1%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27억 9,400만 톤으로 1.7%, IGC는 28억 900만 톤으로 2.3%, FAO는 28억 1,000만 톤으로 1.4% 증가할 것으 로 내다봤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4억 9,900만 톤으로 3.5%, FAO는 4억 7,200만 톤으로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에 반해, IGC는 4억 6,500만 톤으로 1.5%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요량 대비 공급량 증가 폭이 더 커 기말 재고량은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7억 7,700만 톤으로 0.3%, IGC는 7억 6,800만 톤으로 0.5%, FAO 는 8억 3,600만 톤으로 2.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각 기관별 기말 재고율과 관련 해서 USDA는 27.8%, IGC는 27.3%로 2020/21년 대비 각각 0.4%p, 0.5%p 낮췄으나, FAO는 29.8%로 2020/21년 대비 0.3%p 올렸다.

1) 곡물 전체는 쌀, 밀 그리고 잡곡의 합계를 의미함.

(15)

<표 1> 세계 곡물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6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2,710 2,795 3.1 2,721 2,813 3.4 2,769 2,817 1.7 공급량 3,523 3,571 1.4 3,510 3,577 1.9 3,592 3,633 1.1 소비량 2,748 2,794 1.7 2,746 2,809 2.3 2,770 2,810 1.4

교역량 482 499 3.5 472 465 -1.5 468 472 0.9

기말재고량 775 777 0.3 764 768 0.5 816 836 2.5

기말재고율 28.2 27.8 27.8 27.3 29.5 29.8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IGC, FAO-AMIS

2. 쌀

2.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 년 세계 쌀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 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5억 600만 톤으로 0.2%, IGC는 5억 1,200만 톤으로 1.6%, FAO는 5억 2,000만 톤으로 1.2%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 함한 공급량의 경우 USDA는 6억 8,1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0.3%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에 반해, IGC는 6억 8,100만 톤으로 0.4%, FAO는 7억 300만 톤으로 0.9% 증가 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량의 경우,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5억 1,400만 톤 으로 1.2%, IGC는 5억 1,000만 톤으로 0.2%, FAO는 5억 2,100만 톤으로 1.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4,7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1% 감소 할 것으로 전망함에 반해, IGC와 FAO는 각각 4,700만 톤, 4,800만 톤으로 2020/21년 과 같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USDA는 2020/21년 대비 4.6% 줄어든 1억 6,700만 톤에 이를

(16)

0.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USDA는 32.5%, FAO는 35.5%

로 2020/21년 대비 각각 2.0%p, 0.4%p 낮췄으나 IGC는 33.5%로 2020/21년 대비 0.3%p 올렸다.

<표 2> 세계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6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505 506 0.2 504 512 1.6 514 520 1.2

공급량 683 681 -0.3 678 681 0.4 697 703 0.9

소비량 508 514 1.2 509 510 0.2 513 521 1.6

교역량 49 47 -4.1 47 47 0.0 48 48 0.0

기말 재고량 175 167 -4.6 169 171 1.2 184 185 0.5

기말 재고율 34.5 32.5 33.2 33.5 35.9 35.5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IGC, FAO-AMIS

2.2 국가별 수급

2)

2.2.1 수출 시장

2020/21년 인도의 쌀 생산량은 1억 2,2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나, 2021/22 시즌에는 100만 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021/22년 인도의 쌀 생산면적 은 4,440만 ha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4.09톤으로 2020/21년 대비 0.03톤 줄겠다. 소비량은 1억 8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0만 톤, 2019/20넌 대비 202만 톤 증가해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의 쌀 수출량은 1,5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50만 톤 감소함에 반해, 2019/20년 대비해서는 30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요량 증가 폭이 더 커 기말 재고량은 2,34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50만 톤, 2019/20넌 대비 650만 톤 감소하겠다.

태국의 쌀 생산량은 2017/18년에 2,058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 국가별 쌀 생산량은 백미(milled rice) 기준이므로 도정 전의 쌀 생산량 즉 생산면적과 단위당 수확량을 고 려한 수확량(rough production)과는 차이를 보임

(17)

2021/22년에는 1,9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7만 톤, 2019/20년 대비 184만 톤 증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1,050만 ha로 2020/21년 대비 10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 또한 ha 당 2.81톤으로 2020/21년 대비 0.06톤 늘겠다.

소비량은 1,290만 톤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내겠으며, 2020/21년 대비 20만 톤, 2019/20년 대비 60만 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2016/17년 1,162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태국 정부의 수출세 인하 조치로 수출 실적의 개선이 기대된다. 2021/22년 수출량은 6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0만 톤, 2019/20년 대비 79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량 대비 공급량 증가 폭이 더 커 기말 재고량은 48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83만 톤 증가하겠다.

베트남의 쌀 생산량은 2014/15년에 2,817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2,69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 면적은 730만 ha로 2020/21년 대비 5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5.90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다.

소비량은 2015/16년 2,250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2,13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수출량도 2011/12년에는 772 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630만 톤으로 2020/21년과는 같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3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123 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2019/20년 대비 5만 톤 감소하겠다.

파키스탄의 쌀 생산량은 82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2만 톤, 2019/20년 대비 79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330만 ha로 2020/21년 대비 8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73톤으로 2020/21년 대비 0.1톤 늘겠다.

소비량도 증가해 2021/22년에는 37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 년 대비 15만 톤, 2019/20년 대비 30만 톤 증가할 전망이다. 수출량은 2018/19년의 449만 톤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으나, 2021/22년에는 43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 만 톤, 2019/20년 대비 48만 톤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량은 176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2019/20년 대비 63만 톤 증가하겠다.

미얀마의 쌀 생산량은 2018/19년 1,320만 톤까지 증가한 이후 2020/21년에는 1,260 만 톤까지 떨어지겠으나, 2021/22년에는 다소 회복되어 1,28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 상된다. 생산면적은 700만 ha로 2020/21년 대비 10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

(18)

소비량은 1,065만 톤으로 역대 최고인 2009/10년의 1,089만 톤에 근접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2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2016/17년에 335만 톤까지 늘었으나 2021/22년에는 210만 톤에 그치겠으며, 2020/21 년 대비해서는 2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함에도 불구하 고 공급량이 더 늘어나 기말 재고량은 122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만 톤, 2019/20 년 대비 21만 톤 증가하겠다.

<표 3> 수출 시장의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인도 121.00 (▼1.00/▲2.13) 108.00 (▲1.00/▲2.02) 15.50 (▼3.50/▲3.01) 23.40 (▼2.50/▼6.50) 태국 19.50 (▲0.67/▲1.84) 12.90 (▲0.20/▲0.60) 6.50 (▲0.70/▲0.79) 4.81 (▲0.30/▲0.83) 베트남 26.90 (▼0.20/▼0.20) 21.30 (▲0.05/▲0.05) 6.30 (0.00/▲0.13) 1.23 (▼0.20/▲0.05) 파키스탄 8.20 (▲0.02/▲0.79) 3.70 (▲0.15/▲0.30) 4.30 (▲0.10/▲0.48) 1.76 (▲0.20/▲0.63) 미얀마 12.80 (▲0.20/▲0.15) 10.65 (▲0.10/▲0.25) 2.10 (▲0.20/▼0.20) 1.22 (▲0.06/▲0.21)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14 JUL, 2021.

2.2.2 수입 시장

서남아시아의 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22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만 톤, 2019/20년 대비 9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은 61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만 톤, 2019/20년 대비 13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385만 톤으 로 2020/21년 대비 25만 톤 증가함에 반해, 2019/20년 대비해서는 12만 톤 감소할 것 으로 예상된다.

나이지리아의 쌀 생산량은 5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1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4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365만 ha로 2020/21년 대비 5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2.18톤으로 0.02톤 늘겠 다. 소비량은 69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2011/12년 320만 톤을 기록한 이후 계속해서 줄어 2019/20년에는 140만 톤까지 떨어 졌으나, 2021/22년에는 2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쌀 생산량은 189만 톤에 머무르는 반면, 소비량은 3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만 톤, 2019/20년 대비 1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19)

다. 수입량은 21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5만 톤, 2019/20년 대비 1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의 쌀 생산량은 2008/09년 3,831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 나, 2021/22년에는 3,53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6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1,180만 ha로 2020/21년과 같겠으며, 단위당 수 확량은 ha 당 4.71톤으로 2020/21년 대비 0.01톤 늘겠다. 소비량도 2013/14년 3,850만 톤까지 오른 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3,56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2019/20년 대비 4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6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필리핀의 쌀 생산량은 2020/21년 1.240만 톤까지 늘어났으나, 2021/22년에는 10만 톤 줄어 1,23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475만 ha로 2020/21년 대비 5만 ha 감소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4.11톤으로 2020/21년 대비 0.01톤 늘겠 다. 소비량은 1,4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만 톤, 2019/20년 대비 2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쌀 수입 자유화 조치로 2018/19년에는 수입량이 130만 톤에서 360 만 톤으로 대폭 증가했으나, 2021/22년에는 210만 톤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수매 정책과 최저구매가격 확대를 통해 쌀 생산을 촉진함에 따라 2021/22년 쌀 생산량은 1억 4,9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0만 톤, 2019/20년 대비 227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은 1억 5,6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해 2020/21년 대비 560만 톤, 2019/20년 대비 1,077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량은 2017/18년 550만 톤을 기록한 이후 줄어들어 2021/22년에는 320만 톤에 이를 것 으로 예상된다.

멕시코의 쌀 생산량은 22만 톤으로 미미한 가운데, 소비량은 97만 톤으로 2020/21 년 대비 1만 톤, 2019/20년 대비 3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2016/17년 87만 톤까지 오른 이후 줄어 2021/22년에는 8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쌀 생산량은 1990년대 중반까지 1,000만 톤을 넘었으나, 이후 계속해서 줄 어 2021/22년에는 758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해서는 1만 톤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1980년대 중반까지 1,000만 톤을 넘었던 소비량도 계속해서 줄어 2021/22년에는 82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해서도 5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1999년 쌀 수입 관세화 이후 수입량은 70만 톤 내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69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20)

년부터 400만 톤 아래로 떨어졌으며, 2021/22년에는 377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해 서는 26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은 39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20만 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저율의 할당관세물량(TRQ)을 합 해 2021/22년 수입량은 4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4> 수입 시장의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서남아시아 2.25 (▼0.06/▼0.09) 6.11 (▲0.01/▲0.13) 3.85 (▲0.25/▼0.12) 1.01 (▼0.01/▼0.21) 나이지리아 5.00 (▲0.11/▼0.04) 6.95 (▲0.05/▲0.10) 2.00 (▲0.10/▲0.60) 0.75 (▲0.05/▼0.06) 유럽연합 1.89 (▼0.06/▼0.10) 3.50 (▲0.05/▲0.11) 2.10 (▲0.15/▲0.10) 1.15 (▼0.06/▼0.11) 인도네시아 35.30 (▲0.10/▲0.60) 35.60 (▼0.20/▼0.40) 0.60 (▼0.10/▲0.05) 3.71 (▲0.30/▲0.40) 필리핀 12.30 (▼0.10/▲0.37) 14.50 (▲0.05/▲0.20) 2.10 (0.00/▼0.35) 3.55 (▼0.10/▼0.05) 중국 149.00 (▲0.70/▲2.27) 156.00 (▲5.60/▲10.77) 3.20 (▼0.40/▲0.60) 109.40 (▼6.20/▼7.10) 멕시코 0.22 (▲0.01/▲0.04) 0.97 (▲0.01/▲0.03) 0.80 (0.00/0.00) 0.26 (▲0.04/▲0.08)

일본 7.58 (▲0.01/▼0.03) 8.20 (▼0.05/▼0.15) 0.69 (0.00/▼0.02) 1.90 (0.00/▼0.08) 한국 3.77 (▲0.26/▲0.03) 3.90 (▼0.10/▼0.20) 0.41 (▼0.04/▼0.04) 1.26 (▲0.22/▲0.12)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14 JUL, 2021.

3. 밀

3.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 년 세계 밀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 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7억 9,200만 톤으로 2.1%, IGC는 7억 8,900만 톤으로 2.1%, FAO는 7억 8,500만 톤으로 1.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 함한 공급량 역시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10억 8,300만 톤으로 0.7%, IGC는 10억 7,000만 톤으로 1.9%, FAO는 10억 7,600만 톤 으로 2.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7억 9,100만 톤으로

(21)

0.8%, IGC는 7억 8,700만 톤으로 2.3%, FAO는 7억 8,000만 톤으로 2.8% 증가할 것으 로 내다봤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2억 400만 톤으로 1.5%, FAO는 1억 8,900만 톤 으로 2.2% 늘어날 것으로 전망함에 반해, IGC는 1억 9,10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 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2억 9,200 만 톤으로 0.7%, IGC는 2억 8,300만 톤으로 0.7%, FAO는 2억 9,700만 톤으로 1.7% 증 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USDA는 36.9%로 2020/21년과 같을 것으로 전망함에 반해, IGC는 36.0%, FAO는 38.1%로 2020/21년 대비 각각 0.5%p, 0.4%p 낮췄다.

<표 5> 세계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6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776 792 2.1 773 789 2.1 775 785 1.3

공급량 1,075 1,083 0.7 1,050 1,070 1.9 1,052 1,076 2.3

소비량 785 791 0.8 769 787 2.3 759 780 2.8

교역량 201 204 1.5 191 191 0.0 185 189 2.2

기말 재고량 290 292 0.7 281 283 0.7 292 297 1.7

기말 재고율 36.9 36.9 36.5 36.0 38.5 38.1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IGC, FAO-AMIS

3.2 국가별 수급

3.2.1 수출 시장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밀 생산량은 1억 3,82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226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54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 산면적은 2,393만 ha로 2020/21년 대비 85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78톤으로 2020/21년 대비 0.32톤 늘겠다. 소비량은 2017/18년에 1억 3,040만 톤까지

(22)

325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577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 말 재고량은 1,107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0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넌 대비 해서는 155만 톤 감소하겠다.

러시아의 밀 생산량이 2020/21년 8,535만 톤까지 오르겠으나, 2021/22년에는 35만 톤 줄어 8,5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2,900만 ha로 2020/21년 대 비 32만 ha 증가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2.93톤으로 2020/21년 대비 0.05톤 줄겠다. 소비량은 1990년대 초반 5,500만 톤을 넘어섰으나 이후 회복되지 못하고 줄 어 2021/22년에는 4,25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19/20년 대비해서는 25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2017/18년 4,145만 톤까지 오른 이후 줄어드는 추세를 보 이고 있으나, 2021/22년에는 4,0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50만 톤, 2019/20년 대 비 55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1,503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0만 톤, 2019/20년 대비 780만 톤 증가하겠다.

우크라이나의 밀 생산량은 1990년대 초에 3,000만 톤을 넘어선 바 있으나, 이후 생 산량은 줄어 2021/22년에는 3,00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458만 톤, 2019/20년 대비 83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717만 ha로 2020/21년 대비 32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4.18톤으로 2020/21년 대비 0.47톤 늘 겠다. 소비량도 1990년 초에 2,800만 톤 가까이 올랐으나, 2021/22년에는 900만 톤에 그치겠으며,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7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다. 수출량은 2,1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25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 해서는 1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17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19만 톤 증가하겠다.

미국의 밀 생산량은 4,752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17만 톤, 2019/20년 대비 506 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1,542만 ha로 2020/21년 대비 55만 ha 증 가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3.08톤으로 2020/21년 대비 0.26톤 줄겠다. 소비 량은 3,252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7만 톤, 2019/20년 대비 208만 톤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2,38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18만 톤, 2019/20년 대비 256 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1,80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88만 톤, 2019/20년 대비 990만 톤 감소하겠다.

캐나다의 밀 생산량은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운 2013/14년의 3,759만 톤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20/21년에는 회복되어 3,518만 톤까지 오르겠으나, 2021/22년에는 3,150 만 톤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920만 ha로 2020/21년 대비 82만 ha

(23)

감소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42톤으로 2020/21년 대비 0.09톤 줄겠다. 소비량 은 2016/17년 1,067만 톤까지 증가한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920만 톤 으로 2020/21년 대비 70만 톤, 2019/20년 대비 6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 량은 2020/21년 2,75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나, 2021/22년에는 2,300만 톤 으로 450만 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383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 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67만 톤 감소하겠다.

호주의 밀 생산량은 2020/21년 3,300만 톤으로 역대 최고의 생산량을 기록하겠으 나, 2021/22년에는 2,850만 톤으로 45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1,310만 ha로 2020/21년 대비 10만 ha 증가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2.18톤으 로 2020/21년 대비 0.36톤 줄겠다. 소비량은 2018/19년 920만 톤까지 증가한 이후 2021/22년에는 800만 톤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수출량은 2011/12년 2,466만 톤까지 오른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0/21년에는 상당 부분 회복되어 2,300만 톤까지 올랐 으며, 2021/22년에는 2,050만 톤으로 25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 은 458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2019/20년 대비 190만 톤 증가하겠다.

아르헨티나의 밀 생산량은 2,0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87만 톤, 2019/20년 대 비 72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650만 ha로 2020/21년 대비 11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15톤으로 2020/21년 대비 0.39톤 늘겠다. 소비량 은 64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1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수출량은 1,3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0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과는 같겠다. 기말 재고량은 306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5만 톤, 2019/20년 대비 134만 톤 증가하겠다.

인도의 밀 생산량은 1억 8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14 만 톤, 2019/20년 대비 44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3,200만 ha로 2020/21년 대비 64만 ha 늘어남에 반해,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3.38톤으로 2020/21년 대비 0.06톤 줄겠다. 소비량도 역대 최고인 1억 50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191만 톤, 2019/20년 대비 96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2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해서는 199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2,763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3만 톤, 2019/20년 대비 293만 톤 증가하겠다.

(24)

<표 6> 수출 시장의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유럽연합 138.20 (▲12.26/▼0.54) 108.00 (▲3.65/▲0.30) 34.00 (▲3.25/▼5.77) 11.07 (▲2.00/▼1.55) 러시아 85.00 (▼0.35/▲11.39) 42.50 (0.00/▲2.50) 40.00 (▲1.50/▲5.51) 15.03 (▲3.00/▲7.80) 우크라이나 30.00 (▲4.58/▲0.83) 9.00 (▲0.30/▲0.70) 21.00 (▲4.25/▼0.01) 1.70 (▲0.10/▲0.19)

미국 47.52 (▼2.17/▼5.06) 32.52 (▲2.07/▲2.08) 23.81 (▼3.18/▼2.56) 18.09 (▼4.88/▼9.90) 캐나다 31.50 (▼3.68/▼1.17) 9.20 (▼0.70/▼0.06) 23.00 (▼4.50/▼1.63) 3.83 (0.00/▼1.67)

호주 28.50 (▼4.50/▲14.02) 8.00 (▼0.50/0.00) 20.50 (▼2.50/▲11.36) 4.58 (▲0.20/▲1.90) 아르헨티나 20.50 (▲2.87/▲0.72) 6.45 (▲0.10/▲0.15) 13.50 (▲3.00/0.00) 3.06 (▲0.55/▲1.34) 인도 108.00 (▲0.14/▲4.40) 105.00 (▲1.91/▲9.60) 2.50 (▲0.10/▲1.99) 27.63 (▲0.53/▲2.93)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14 JUL, 2021.

3.2.2 수입 시장

서남아시아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2,04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69만 톤, 2019/20년 대비 171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은 3,95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104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1,93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31만 톤, 2019/20년 대비 16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북아프리카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2,08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25만 톤, 2019/20년 대비 24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은 4,77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5만 톤, 2019/20년 대비 15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2,91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만 톤, 2019/20년 대비 14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동남아시아의 밀 수급과 관련해, 소비량은 2,52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0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2,66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65만 톤, 2019/20년 대비 1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중국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1억 3,600만 톤으로 역대 최고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175만 톤, 2019/20년 대비 24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 적은 2,300만 ha로 2020/21년 대비 38만 ha 감소함에 반해,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25)

5.91톤으로 2020/21년 대비 0.17톤 늘겠다. 소비량은 1억 4,8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0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20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다. 수입량은 1,0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 서는 462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7> 수입 시장의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서남아시아 20.49 (▼1.69/▼1.71) 39.51 (▲0.30/▲1.04) 19.31 (▲1.31/▲1.60) 12.71 (▼0.45/0.00) 북아프리카 20.85 (▲4.25/▲2.45) 47.75 (▲0.65/▲1.50) 29.15 (▲0.05/▲1.41) 13.21 (▲1.25/▼1.15) 동남아시아 0.00 (0.00/0.00) 25.25 (▲0.70/▼0.10) 26.60 (▲1.65/▲0.15) 5.43 (▲0.24/▼0.48)

중국 136.00 (▲1.75/▲2.41) 148.00 (▼2.00/▲22.00) 10.00 (▼0.50/▲4.62) 142.63 (▼3.00/▼9.05)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14 JUL, 2021.

4. 옥수수

4.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 년 세계 옥수수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11억 9,500만 톤으로 6.6%, IGC는 12억 100만 톤으로 6.2%, FAO는 11억 9,800만 톤으로 3.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 량을 포함한 공급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14억 7,500만 톤으로 3.4%, IGC는 14억 6,800만 톤으로 2.8%, FAO는 14억 7,700만 톤으로 1.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11억 8,300만 톤으로 3.2%, IGC는 12억 100만 톤으로 3.4%, FAO는 11억 9,300만 톤으로 1.4% 증가할 것으 로 내다봤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1억 9,900만 톤으로 8.7%, FAO는 1억 8,900만 톤으로 0.5%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에 반해, IGC는 1억 8,100만 톤으로 4.2% 감소할

(26)

기말 재고량의 경우, USDA는 2억 9,100만 톤, FAO는 2억 9,300만 톤으로 2020/21 년 대비 각각 3.9%, 5.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에 반해, IGC는 2억 6,70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USDA는 24.6%, FAO는 24.6%로 2020/21년 대비 각각 0.2%p, 0.9%p 올렸으나 IGC는 22.2%로 2020/21년 대비 0.8%p 낮췄다.

<표 8> 세계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6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1,121 1,195 6.6 1,131 1,201 6.2 1,156 1,198 3.6 공급량 1,426 1,475 3.4 1,428 1,468 2.8 1,458 1,477 1.3 소비량 1,146 1,183 3.2 1,162 1,201 3.4 1,176 1,193 1.4

교역량 183 199 8.7 189 181 -4.2 188 189 0.5

기말 재고량 280 291 3.9 267 267 0.0 279 293 5.0

기말 재고율 24.4 24.6 23.0 22.2 23.7 24.6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IGC, FAO-AMIS

4.2 국가별 수급

4.2.1 수출 시장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3억 8,52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496만 톤, 2019/20년 대비 3,92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이 3,419만 ha로 2020/21년 대비 82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11.27톤으로 2020/21년 대비 0.47톤 늘 겠다. 소비량은 3억 1,34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68만 톤, 2019/20년 대비 39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6,3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889만 톤 감소 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837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3,637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889만 톤 증가함에 반해 2019/20년 대비해서는 1,239 만 톤 감소하겠다.

브라질의 옥수수 생산량은 1억 1,8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 년 대비 2,50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이 2,080만 ha로 2020/21년 대

(27)

비 92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67톤으로 2020/21년 대비 0.99톤 늘겠다. 소비량도 역대 최고인 7,3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50만 톤, 2019/20년 대비 45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수출량도 4,300만 톤으 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1,500만 톤, 2019/20년 대비 777만 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893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70만 톤 증가 하겠다.

아르헨티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5,1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50만 톤 증가하겠 으나, 2019/20년과는 같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이 625만 ha로 2020/21년 대비 5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8.16톤으로 2020/21년 대비 0.34톤 늘겠 다. 소비량은 1,45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0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3,6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증가하겠 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5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263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1만 톤 증가함에 반해, 2019/20년 대비해서는 99만 톤 감소하 겠다.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3,7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20만 톤, 2019/20 년 대비 16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이 550만 ha로 2020/21년 대비 10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6.82톤으로 2020/21년 대비 1.20톤 늘 겠다. 소비량은 2013/14년에 1,060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다. 2021/22년에 는 68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10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4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3,05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750만 톤, 2019/20년 대비 157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 고량은 11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2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37만 톤 감소하겠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1,70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16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은 310만 ha로 2020/21년 대비 2만 ha 증가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5.48톤으로 2020/21년 대비 0.05톤 줄겠다. 소비량은 1,33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2019/20년 대 비 11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량은 그 해 생산 정도에 따라 증감 폭이 크며, 2021/22년에는 수출량이 32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며, 2019/20년 대비해 서는 65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362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8)

<표 9> 수출 시장의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미국 385.21 (▲24.96/▲39.25) 313.45 (▲3.68/▲3.90) 63.50 (▼8.89/▲18.37) 36.37 (▲8.89/▼12.39) 브라질 118.00 (▲25.00/▲16.00) 73.00 (▲4.50/▲4.50) 43.00 (▲15.00/▲7.77) 8.93 (▲3.70/▲3.70) 아르헨티나 51.00 (▲2.50/0.00) 14.50 (0.00/▲1.00) 36.00 (▲0.50/▼0.25) 2.63 (▲0.51/▼0.99) 우크라이나 37.50 (▲7.20/▲1.61) 6.80 (▼1.10/▲0.40) 30.50 (▲7.50/▲1.57) 1.11 (▲0.22/▼0.37) 남아공 17.00 (0.00/▲1.16) 13.30 (▲0.50/▲1.10) 3.20 (0.00/▲0.65) 3.62 (▲0.50/▲1.50)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14 JUL, 2021.

4.2.2 수입 시장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옥수수 생산량은 6,67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

21년 대비 272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4만 톤 감소할 전망이다. 생 산면적이 890만 ha로 2020/21년 대비 8만 ha 감소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7.49톤으로 2020/21년 대비 0.37톤 늘겠다. 소비량은 7,69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40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9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 입량은 1,5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80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38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멕시코의 옥수수 생산량은 2,8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0만 톤, 2019/20년 대 비 134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이 730만 ha로 2020/21년 대비 16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84톤으로 2020/21년 대비 0.06톤 늘겠다.

소비량은 4,4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1,7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2019/20년 대비 47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일본의 옥수수 소비량은 1,59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5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과는 같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1,59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2019/20년 대비 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집트의 옥수수 생산량은 640만 톤으로 역대 최고인 2018/19년 680만 톤에 미치 지 못하겠으며, 2020/21년과는 같겠다. 소비량은 1,690만 톤으로 2020/21년 및 2019/20년과 같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1,04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9)

증가함에 반해, 2019/20년 대비해서는 3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옥수수 소비량은 1,18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0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과는 같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1,17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8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남아시아의 옥수수 생산량은 2,986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9만 톤 감소하겠으 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51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량은 4,97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5만 톤, 2019/20년 대비 42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1,9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0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24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2억 6,8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33만 톤, 2019/20년 대비 722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면적이 4,200만 ha로 2020/21년 대비 74 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6.38톤으로 2020/21년 대비 0.06톤 늘겠 다. 소비량은 2억 9,4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0만 톤, 2019/20년 대비 1,60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은 2,60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며, 2019/20 년 대비해서는 1,84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10> 수입 시장의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유럽연합 66.70 (▲2.72/▼0.04) 76.90 (▲4.40/▼1.90) 15.00 (▲3.80/▼2.38) 7.45 (▲0.50/▼0.13) 멕시코 28.00 (▲1.00/▲1.34) 44.00 (▲0.30/▲0.20) 17.00 (▲0.50/▲0.47) 2.92 (▲0.30/▼0.60) 일본 0.00 (0.00/0.00) 15.95 (▲0.55/0.00) 15.90 (▲0.50/▲0.01) 1.34 (▼0.05/▼0.05) 이집트 6.40 (0.00/0.00) 16.90 (0.00/0.00) 10.40 (▲0.10/▼0.03) 1.42 (▼0.10/▼0.31) 한국 0.08 (0.00/0.00) 11.80 (▲0.40/0.00) 11.70 (▲0.20/▼0.18) 2.15 (▼0.03/▲0.15) 동남아시아 29.86 (▼0.49/▲0.51) 49.75 (▲0.65/▲4.20) 19.50 (▼1.00/▲2.24) 3.47 (▼1.23/▼0.34) 중국 268.00 (▲7.33/▲7.22) 294.00 (▲5.00/▲16.00) 26.00 (0.00/▲18.40) 198.16 (▼0.02/▼2.37)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14 JUL, 2021.

(30)

5. 대두

5.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 년 세계 대두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3억 8,500만 톤으로 5.8%, IGC는 3억 8,300만 톤으로 5.5%, FAO는 3억 8,600만 톤으로 6.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 량을 포함한 공급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4억 7,700 만 톤으로 3.7%, IGC는 4억 3,100만 톤으로 4.4%, FAO는 4억 3,200만 톤으로 3.3% 증 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3억 8,100만 톤으로 3.3%, IGC는 3억 7,800만 톤으로 3.3%, FAO는 3억 8,300만 톤으로 2.7% 증가할 것으 로 내다봤다. 교역량 역시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1억 7,300만 톤으로 4.8%, IGC는 1억 7,400만 톤으로 1.2%, FAO는 1억 7,200만 톤으로 1.2%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9,400만 톤으로 3.3%, IGC는 5,300만 톤으로 12.8%, FAO는 4,900만 톤으로 6.5% 증가할 것으 로 내다봤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USDA는 24.7%로 2020/21년과 같을 것으로 전망 함에 반해, IGC는 14.0%, FAO는 12.8%로 2020/21년 대비 각각 1.2%p, 0.5%p 올렸다.

<표 11> 세계 대두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6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7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364 385 5.8 363 383 5.5 363 386 6.3

공급량 460 477 3.7 413 431 4.4 418 432 3.3

소비량 369 381 3.3 366 378 3.3 373 383 2.7

교역량 165 173 4.8 172 174 1.2 170 172 1.2

기말 재고량 91 94 3.3 47 53 12.8 46 49 6.5

기말 재고율 24.7 24.7 12.8 14.0 12.3 12.8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IGC, FAO-AMIS

참조

관련 문서

- 석탄가스화 기술 : 석탄을 고온, 고압하에서 가스화시켜 CO와 H₂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기술. - 저온습식 및 고온건식 탈황 기술 : 합성가스 내에

◦특히, 대두와 돼지고기의 경우, 양국이 세계 최대의 생산 및 소비국이자 교역국이며, 중국의 대 세계 수입규모가 크기 때문에 중국의 관세부과가 세계시장에

[r]

전월에 비해 아르헨티나의 옥수 수 생산량은 감소함에 반해, 브라질 및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월에 비해서는 EU의

Year Feed/Product Sasol- Ⅱ South Africa Lurgi DryAsh 4,130 1977 Subbit.coal/FT liquids Sasol- Ⅲ South Africa Lurgi DryAsh 4,130 1982 Subbit.coal/FT liquids

이로 인해 서부 폴란드에서 남동부 유럽 지역에서는 겨울 작물의 휴 면기가 평년대비 1개월 정도 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운 날씨(평년대 비 낮은

미산 옥수수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수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의 수입 수요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최근 가격 하락 조정 이후 미산 옥수수 가격

17/18년 세계 옥수수 수급과 관련해 전월 대비 미국의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와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약간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