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문대학 직업교육 다양화를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 세미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전문대학 직업교육 다양화를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 세미나"

Copied!
29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전문대학 직업교육 다양화를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 세미나

일 시 : 2000. 12. 12(화), 13:00~17:00 장 소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회의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세미나 일정

13:00 - 13:30 등록

13:30 - 13:40 개회식

사회 : 홍선이(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국민의례

인사말 : 강무섭(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

주제 발표

13:40 - 14:00 우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정책 발표 : 정태화(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획조정실장) 14:00 - 14:20 외국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실제와 시사점

발표 : 이정표(한국직업능력개발원 책임연구원) 14:20 - 14:40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운영 실태와 발전 과제

발표 : 이길순(신구대학 교수) 14:40 - 15:00 휴식

지정 토론

15:00 - 16:00 김호동(동양공업전문대학 교수) 하영습(영진전문대학 인력개발실장) 한재석(충청대학 기획실장)

문종철(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정책개발팀장) 종합 토론

16:00 - 16:50 사회 : 정태화(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획조정실장)

17:00 폐회

(3)

목 차

◈ 주제 발표 Ⅰ:

우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정책 ··· 1

◈ 주제 발표 Ⅱ:

외국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실제와 시사점 ··· 75

◈ 주제 발표 Ⅲ: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운영 실태와 발전 과제 ··· 153

◈ 지정 토론:

전문대학 직업교육 다양화를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

토론 ··· 277

(4)

주제 발표 Ⅰ

우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정책

정 태 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획조정실장)

● 목 차 ●

Ⅰ. 들어가는 글 ··· 3

Ⅱ. 사회 환경 변화와 시사점 ··· 4

1.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 4

2. 과학기술과 정보화의 발전 ···8

3. 산업․직업구조의 변화 ···10

4. 평생학습사회의 도래 ···24

Ⅲ. 정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31

1. 인적자원개발회의의 발족 ···31

2. 교육부총리제의 도입 추진 ···40

3. 교육부의 전문대학 특성화 정책 ···44

Ⅳ. 전문대학 직업교육 다양화 정책의 방향 ···52

Ⅴ. 맺는 글 ···70

(5)

Ⅰ. 들어가는 글

우리 나라에서 직업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대학에는 1999 년 현재 약 86만명이 재학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직 업교육은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적자원개발’(NHRD: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사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야 하며, 이에 관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 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전문대학이 직업교육의 다양화를 통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배출할 수 있는 정책의 방향을 제시함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이 글에서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는 전문대학이 입학생의 충원에서부 터 졸업생의 취업 및 상급학교 진학 지도에 이르는 일련의 교육제도 운영 과 정에서 수요자의 요구가 반영된 다양한 교육과정과 학사제도를 운영함으로써 소기의 교육 목표를 달성한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전 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영역은 교육 대상의 다양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의 다양화, 교육제도의 다양화 등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는 직업교육의 특성화, 직업교육의 전문성, 타 직업교육훈련기관과의 연 계성 등과 밀접한 관계 하에서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함으로써 이들 정책의 방 향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관련 정책을 제시하고자 했다.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다양화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전 문대학의 직업교육에 영향을 주는 외부 환경의 변화 실태와 그것이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발전 정책 수립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최근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흐름을 파악하여 전문대학 발전 대책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부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정책 에 강조점을 두어 전문대학 직업교육 다양화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6)

Ⅱ. 사회 환경 변화와 시사점

1.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우리 조상과 우리가 살아온 사회는 농경사회와 산업사회였고, 앞으로 살아 가야 할 사회는 지식기반사회이다. 로버트 레인(Robert Lane)은 그의 논문 ‘지 식기반사회에서 나타나는 정치와 이념의 하향 현상’(The Decline of Politics and Ideology in a Knowledge Society, 1966)에서 ‘지식기반사회’란 용어를 처 음 사용했다.

레인 이후에 지식기반사회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접근되어 왔지만, 대체 적으로 지식기반사회는 “사회구성원의 합의에 의해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경제적 발전을 이룩하며 개인의 사회적 행위와 사회에서의 지위 확보 등에 필 요한 조건으로서 지식이 핵심 요소가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1998). 따라서 지식기반사 회에서는 국민의 삶의 풍요로움과 국가의 발전 정도가 새로운 지식 및 정보․

기술을 얼마나 많이 생성하고 이를 얼마나 창의적으로 잘 활용하여 경제적 가 치를 창출할 수 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다분히 경제적 인 관점을 중시한 이러한 개념 정의에 대해 인본주의적 관점을 적용하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자도 있다. 하인호(1998: 39-40)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새 로운 지식의 재창출과 지식의 해석․재조직․축적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노력 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지식기반사회는 인본주의적 관점을 채 택하여 지식의 가치와 목적을 보다 조화시킬 수 있도록 지식을 선택하고 적용 하여 발전시키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어떤 지식이 인간에게 가치로운가를 판단하고 적용하는 데에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아무리 많은 지 식이 창출되더라도 그 가치와 목적을 규명하지 않고 오직 적용하는 일에만 몰 두한다면, 지식 자체는 인간을 위한 유익한 사회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지 못 할 것이다. 지식기반사회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바로 인간을 위한 지식을 선택

(7)

하는 것과 그것을 지혜롭게 적용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주장 은 최근 우리 나라가 국가적 차원에서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인적자원개발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경제적 관 점과 인본주의적 관점을 조화롭게 적용하는 일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지식기반사회가 내포하고 있는 특성을 교육 일반과 전문대학의 직업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산업사회와 달리 부가가치의 창출 요소가 자본과 노동에서 지식 및 정보 생산 요소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식․정 보의 네트워크화(networking)는 기존의 경제 체제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 다. 좋은 예로는 지식 판매회사인 미국의 ‘야후’(yahoo)사를 들 수 있다. 이 회 사는 종업원이 670여명에 불과하고 사옥도 없는 상태에서 1999년에 우리 나라 한국전력의 2.4배, 삼성전자의 3.8배에 해당되는 부가가치를 창출하였다(이무 근, 2000: 3). 이같이 볼 때,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규 교육제도에서는 물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훈련제도에서도 학습 참여자에게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갖추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기술을 가르쳐 주는 일은 교육․훈련제도의 효용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 기반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생에게 직업능력을 갖추어 주는 일을 주 임무로 하고 있는 전문대학에서의 직업교육제도도 예외가 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지식의 양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동시에 기존 지 식의 유용성은 급속하게 반감하게 된다. 미래학자들은 2020년경이 되면 73일 을 1주기로 지식이 2배로 증가하고, 2050년이 되면 현재 인류가 소유하고 있 는 지식은 1% 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하인호, 1998).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마이스터(Meister, 1998)는 지식기반사회에서 대 학 졸업장의 유효기간은 2년 정도에 불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같이 지식의 양이 폭증하고 기존 지식의 유용성이 급속하게 반감하는 사회에서 교 육 체제는 평생학습 체제로 전환되어야 하고 특정 학교급에서 종국교육적 목표 를 설정하는 일은 지양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교육체제는 평생학 습체제를 중심으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전 국민은 평생에 걸쳐 지식기 반사회가 요구하는 지식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 이러한 상

(8)

황에서 전문대학은 기존의 고등학교 졸업자 대상의 직업교육 제공이라는 기능 을 계속 수행함은 물론, 다양한 성인에게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지식을 습 득․활용․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노력하여 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전문대학의 목표와 기능에 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셋째, 지식과 정보의 확장은 물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신규 직종과 직업의 숫자가 대폭 확대되는 동시에 기존의 직종과 직업의 숫자는 크게 감소 하고 있으며, 직업의 생성․소멸 주기도 크게 단축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 1980~1990년 사이에 전체 직종의 25%가 변화하였고, 1980~2000년까지는 약 50% 정도의 직종이 변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960년대 초에 1,500여개였던 직종이 1997년에는 12,500여개의 직종으로 확대되어 약 8 배 증가하였다. 이같이 직업의 생성․소멸 주기가 단축되어 지식기반사회를 살아가는 직업인은 일생동안에 직장을 5~7회 정도 옮겨야 한다고 한다(이무 근, 2000: 3). 이는 지식기반사회에서 평생직장은 사라지고 평생직업만이 존재 하게 될 것임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지식기반사회에서 모든 직업인은 개인의

‘취업능력’(employability)을 보전시키기 위해 현재 자신의 직무 능력을 상위 단계로 향상시키기 위해 혹은 때에 따라서는 전직에 대비하기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직무능력을 함양시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필요성에 직 면하게 된다. 따라서 국가의 교육제도는 이러한 직업인의 교육 필요성에 부응 하는 다양한 교육제도를 운영하여야 하는 책무를 지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나라 직업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대학은 직업세계의 변화에 따라 전직 혹은 재취업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 프로그램 을 적극 운영하여야 할 필요성이 발견된다.

넷째,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그 속성상 고학력을 소유한 전문직과 고급기술인 력의 수요가 증가하게 된다. 지식기반사회의 선두 주자인 미국의 경우에 1997 년 현재 ‘숙련 형성’(skill formation) 정도를 중심으로 살펴본 노동력의 구성 비율은 전문가 집단이 20%, 숙련 근로자가 60% 이상, 비숙련 근로자가 20%

이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점차 비숙련 근로자의 수요가 감소함에 비해 고급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이무근, 2000: 7). 이렇게 볼 때, 지식기반사회에서 일반인이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전

(9)

문성과 고급 기술을 갖추기 위한 수단으로 고학력(상급 학교로의 진학)을 선 택하는 현상은 확대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택은 경제적 보상으로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뒷받침해 주는 연구 결과의 사례로 장창원 외(1998)의 연 구를 들 수 있다. 교육에 대한 투자수익률을 분석한 이들은 1996년도 우리 나 라 노동시장의 학력별 인적자본 투자 수익률이 고교 졸업자는 8.9%, 전문대 졸업자는 12.5%, 대졸학력 이상 직업인은 16.2%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대학 교육제도는 종국적 직업교육의 성격에서 벗 어나 계속 직업교육제도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즉 희망하는 학생에게는 전공 에 대한 계속학습 기회의 제공이라는 맥락에서 이들이 4년제 대학에 진학하도 록 도와주는 편입학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식기반사회는 사회의 환경 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교육체제를 필요로 한다. 유네스코(UNESCO, 1999)와 독일의 교육․과학․연구․공학부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1998)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교육체제의 모습을 전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다양한 학습 매체의 개발과 이들의 네트워킹을 통하여 일반 국민이 지식 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의 장소가 다양화될 것이다.

② 정규 교육기관의 외부에서 진행되는 학습(예를 들면 현장 학습과 여가시 간 동안의 학습)이 중요해지며 양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작업 현장은 중요한 학습 장소가 되고, 일과 통합된 학습은 기존의 정규 교육훈련과정과 경쟁하게 될 것이다.

③ 교육의 국제화 경향이 확대될 것이다.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활용 가능 한 개인의 능력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고, 교육 내용의 국제적 적합성이 중요 시되며, 국가간 상호 학위(학력)인정 범위가 확대될 것이다.

④ 일반교육과 직업교육간의 연계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와 함께 고등교 육 부문과 직업교육훈련 분야 사이의 협력이 증대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학습제도에서는 학습 계획, 내용, 방법 측면에서 다음 사항이 강조될 것이다.

① ‘자기주도적인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자 개인 의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을 강화시키는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일이 강조될

(10)

것이다.

② 학습자의 실생활과 관심 영역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일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될 것이다.

③ 학습자가 처한 실제 상황 혹은 실천적 맥락에서의 학습이 강조되어 학습 내용과 학습자간의 관련성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추상적인 교육 내용과 구체적 인 경험을 연관시키는 일이 강조될 것이다.

④ 학습 방법으로는 ‘프로젝트 학습법’(project-based learning), ‘자기 주도적 학습법’(self-directed forms of learning), ‘다양한 매체 활용 학습법’(media- based learning), ‘팀별 학습법’(learning within teams) 등이 강조될 전망이다.

전문대학에서는 이러한 교육체제 전반의 변화와 학습제도의 변화에 부응하 여 학사관리제도와 교육과정 운영 체제를 새롭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일 과 학습의 연계 강화, 직업교육과 일반교육의 통합적 접근, 세계화에 부응하는 교육 내용과 제도의 개발․운영 등에 주력하여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교육 제도를 운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정부는 법령의 제․개정과 재정 지원을 통해 이러한 전문대학의 노력을 적극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2. 과학기술과 정보화의 발전

선진국을 중심으로 1990년대부터 전자․정보통신․신소재․생명과학 등 첨 단 분야에서 진행중인 대규모의 기술혁신은 21세기의 사회․경제․문화 전반 에도 영향을 미쳐 소재로부터 시스템에 이르는 연쇄적인 기술혁신이 광범위하 게 진행되고, 이로 인해 ‘신 산업’(new industry)의 형성과 재래산업의 혁신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기술발전의 흐름은 점점 고도화․지능화․복합화 되는 특징을 지니게 되고, 과학과 기술의 융합화로 기술의 발전 속도와 확산 속도가 매우 빨라져 기술의 생명주기가 단축되며, 이로 인해 신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의 R&D 능력의 확보가 미래사회에서 핵심과제로 부각되리라는 예 측이 일반적이다(윤석천․신광호, 1996). 이러한 기술혁신 추세의 특징은 직업 의 세계에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기술발전 그 자체는 신기술관련 인력 의 수요를 크게 증가시키고, 기술의 융합화와 복합화는 단순한 기능을 소유한

(11)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공과대학원 공과대학 졸업수준

공업전문대학 졸업수준

공업고등학교 졸업수준

핵심인력

주요산업

기술수준

기술자 기술자

기술공

기능공 기능공

고급기술자 (Engineer)

중급기술자 (Technologist) 중간기술자

초급기술자

(Technician) 초급기술자 중급기술자 고급기술자

기능공

(Craftman) 기능공

단능공 다능공 초급기술자 중급기술자

노동집약 산업

자본집약산업 기술집약산업 정보지식산업중심

기술도입 소화

기술개량 토착화

자체기술개발 신기술 혁신

인력보다는 복합기술의 능력을 소유한 다기능기술자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며, 기술의 생명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보다 창의적인 능력의 소유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 나라의 노동시장에서는 고숙련 인력의 공급 필요분이 계속 상승함에 비해 단순노동력의 수요는 계속 감소하는 양상이 초래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기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림-1]연대별 기술 수준에 따른 산업인력 수요의 변화 추세 자료: 이공래 외(1999). 공업계 고등학교 기술교육 진흥 방안. 20쪽 재인용.

이러한 예측은 연대별로 기술 수준별 인력의 수요를 비교한 결과를 통해서 도 입증되고 있다([그림-1] 참조). 이러한 변화를 감안할 때, 향후 산업체에서 는 미숙련보다는 숙련기술자를 더욱 선호하게 될 것이다. 이를 교육체제의 인

(12)

력 공급 측면에서 보면, 4년제 대학 이상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생에 대한 수요 는 꾸준히 증가하고 전문대학 수준의 졸업생에 대한 인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고등학교 졸업 수준의 인력에 대한 수요는 계속 감소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망을 고려해 볼 때, 전문대학에서의 직업교육은 국가적 차원에서 강화시켜야 하며, 숙련기술자의 양성과 관련하여 수학연한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아울러 전문대학의 졸업생이 취업 후 직장에서 계속교육을 받아 숙련기술자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계속교육제도( 고등교육법 상의 기술대학과 평생교육법 상의 사내대학 제도 등)를 적극 추진해야 할 필 요성이 제기된다.

한편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인해 정보와 지식의 수집, 가공, 배분에 관련이 높은 제품과 서비스가 늘어나고, 이들의 생산과 판 매에 관련이 높은 직업들이 창출되어 정보화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될 전망이 다. 이에 따라 정보와 지식이 경제 성장과 생산성 증대의 원동력이 되는 사회 에서는 지식관련 숙련노동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에 비숙련 노 동에 대한 수요는 급감하게 된다(장창원 외, 1998). 따라서 단순 제조업 부문의 노동력 수요는 감소하고 고도기술 관련 부문의 인력수요는 늘어날 전망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기술혁신의 가속화와 정보화의 급속한 확장 추세는 전문대 학에서 양성․공급해야 하는 인력의 유형과 그들이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 무 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제공해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무엇보다도 정보와 지식의 수집․가공․배분과 관련을 맺는 직업인 의 양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산업․직업구조의 변화 1) 산업구조의 변화와 취업 전망

우리 나라의 산업구조는 해방 이후부터 최근까지 급속한 변화를 겪어 왔다 (<표-1> 참조). 1980년대 이후의 GDP 구성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농업

(13)

의 비중은 1980년 16.0%에서 1998년에는 6.4%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제조업 부문은 1980년에 27.0%에서 1998년에 32.1%로, 그리고 같은 기간에 사 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의 비중은 57.1%에서 68.0%로 각각 상승하였다. 이러 한 변화 추세 속에서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는 향 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표-1> 산업구조의 GDP 및 취업자 구성비 변화(1980~1998)

(단위: %)

구분 전 산업 농림어업 광공업(제조업) 사회간접자본

서비스업 GDP 비 취업자 비 GDP 비 취업자 비 GDP 비 취업자 비

1980 100.0 34.5 34.0 27.0 22.5 57.1 43.5

1985 100.0 12.8 24.9 31.4 24.5 55.8 50.6

1990 100.0 8.7 17.9 29.7 27.9 61.6 54.5

1995 100.0 6.6 12.5 27.2 23.6 66.2 64.0

1996 100.0 6.3 11.7 26.1 22.6 67.6 65.7

1997 100.0 5.7 11.3 26.0 21.4 68.3 67.3

1998 100.0 6.4 12.4 32.1 19.6 61.5 68.0

주: 1992년부터 활용되고 있는 신 산업분류에 의해 작성.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9).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지표. 9쪽.

한편 향후에 산업별 취업구조는 산업구조의 변화에 상응하여 1차 산업의 취 업 비중이 급속히 하락하고, 제조업의 취업 비중도 2002년을 정점으로 감소하 며, 서비스업의 취업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윤석천․신광호, 1996:

장창원 외, 1998). 1차 산업의 취업 비중은 1997년의 11.0%에서 2003년에는 7.5%, 2010년에는 4.9%로 큰 폭의 감소를 보이고, 제조업의 취업 비중은 1997 년의 21.3%에서 2003년에는 22.4%, 그리고 2010년에는 21.3%로 전망되어 2002년을 기점으로 점진적인 감소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서비스업 의 취업자수는 1997년의 67.6%에서 2003년에는 70.0%, 그리고 2010년에는 73.7%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일 전망이다(<표-2> 참조).

(14)

<표-2> 한국의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

(단위: 천명, %)

연도

산업 1997 1999 2003 2010 연평균 증가율

1997~2003 2003~2010

농림어업 2324 2126 1684 1201 -5.2 -4.7

광업 27 25 22 17 -3.0 -3.4

제조업 4474 4232 5043 5282 2.0 0.7

전기가스 76 80 103 149 5.1 5.4

건설업 2004 1909 1937 1777 -0.6 -1.2

도소매 5798 5407 5546 6408 -0.7 2.1

운수창고 1165 1141 1306 1319 1.9 0.1

금융보험 1908 1844 2410 3434 4.0 5.2

기타서비스업 3272 3590 4430 5168 5.2 2.2

전체 21047 23044 22485 24758 1.1 1.4

자료: 장창원 외(1998). 산업인력 수급 전망과 과제. 87쪽.

한편 산업중분류 수준의 취업구조를 보면 제조업 부문에서는 전자관련 업종 과 환경관련 산업 부문에서의 고용흡수가 높아지고, 서비스 부문에서는 여행 업, 금융, 정보관련 업종, 연구개발, 사업서비스 등의 산업과 보건 및 복지 등 의 건강관련 산업, 그리고 여가활동에 관련된 업종 등에서 고용 증가가 상대 적으로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장창원 외, 1998).

이상에서 살펴본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별 취업구조 변화는 전문대학에서의 학과(전공) 체계가 산업구조의 변화에 부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해 보아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산업구조의 변화에 부응하여 필요한 학과와 인력 공급량(정원)을 확보하고 있는지, 산업구조의 변화와 무관하게 전통적인 학과 를 고수하여 운영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분석이 요청되며, 이에 따라 과감하 게 학과와 정원을 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5)

2) 직업별 취업 전망

향후에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가장 수요가 높은 직업군은 전문직이고, 그 다음으로는 관리직과 준전문가 직업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직업별 취업구조 의 고도화가 이루어질 전망이다(<표-3> 참조).

<표-3> 한국의 직업별 취업자수 전망

(단위: 천 명, %)

구분 1997 1999 2003 2010 연평균 증가율

1997~2003 2003~2010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531.4 498.5 692.2 846.6 4.5 2.9

전문가 997.5 1250.1 1661.2 2105.7 8.9 3.4

기술공 및 준전문가 2183.3 2041.4 2802.5 3004.2 4.2 1.0

사무직원 2574.2 2413.5 2838.7 3410.4 1.6 2.7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판매 근로자 4857.0 4737.1 5133.3 6116.5 0.9 2.5 농업 및 어업 숙련 근로자 2212.9 2170.9 1558.1 970.3 -5.7 -6.5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3162.5 3052.8 3279.7 3713.8 0.6 1.8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2173.5 2016.1 2221.3 2271.6 0.4 0.3 단순노무직 근로자 2354.8 2178.7 2297.9 2319.4 -0.4 0.1 자료: 장창원 외(1998). 산업인력 수급 전망과 과제. 95쪽.

생산직의 경우에는 제조업 부문의 회복으로 기능근로자를 중심으로 다소 높 은 고용 증가가 예상되나 장기적인 증가율은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에 기술의 급속한 발전 때문에 기술자와 같은 고등교육 수준의 인력수요 는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비해 기존에 공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 의 취업 비중이 컸던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직업은 그 증가율이 적어 이들에 대한 인력 수요는 감소될 것으로 예측(장창 원 외, 1998)되고 있다.

한편 기술․기능의 수준을 보다 세분화하여 향후 노동인력의 취업 추이를

(16)

전망해 보면 고등학교 졸업자의 신규 취업수준인 반숙련자와 미숙련자의 취업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숙련 이상의 기능과 기술을 소유한 자 의 취업률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표-4> 참조).

<표-4> 기술․기능인력의 숙련별 취업자 비율 전망

(단위: %)

구분 1999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기사 2.3 2.4 2.7 3.0 3.3 3.6 3.8

기술자 3.0 3.2 3.6 4.0 4.4 4.7 5.0

다기능자 6.5 6.7 7.2 7.7 8.3 8.9 9.4

고숙련자 9.6 10.0 10.9 11.8 12.7 13.6 14.5

숙련자 44.2 44.3 44.7 45.1 45.6 46.0 46.6

반숙련자 31.4 31.0 30.2 29.3 28.3 27.4 26.4

미숙련자 12.3 12.0 11.3 10.5 9.8 9.1 8.4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윤석천․신광호(1997). 중장기 산업인력 수급전망과 대책. 170쪽 재구성.

이에 따르면 향후 인력에 대한 수요에 있어서 고졸 학력보다는 전문대졸 이 상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를 더 선호하게 되어 산업현장에서 고졸자들의 입지 가 좁아지는 반면에 숙련의 다기능기술자 선호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 다. 이 같은 전망은 전문대학을 포함하여 실업계 고교, 산업대학은 물론 4년제 대학교를 포함하여 교육체제에서 공급되는 인력의 수급체제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한편 산업의 다양화․융합화, 기술혁신의 가속 화 등으로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질적 능력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도 필요 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전문대학 졸업 인력의 질적인 능력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을 과감하게 개편하는 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기술간의 융합화 확대 추세는 전문대학의 직업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 다. 즉 과거처럼 특정한 전공의 심층적인 지식과 기능을 교육시키기보다는 해 당 전공뿐만 아니라 인접 관련 전공에 대한 기초 지식과 기능을 가르침으로써

(17)

보다 폭넓은 직무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 께 생산적 기술 이외의 직무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 다. 이와 관련하여 전공기술에 대한 직무능력 이외에 대인 서비스 정신, 건전 한 직업윤리, 정확한 의사소통, 변화하는 경제․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 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내용을 강화시키는 일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될 것이 다. 이를 통해 끊임없는 산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직무 간 혹은 직종간 이동이 부득이한 경우에 전이력이 보존되는 직무적응능력을 길러줌으로써 이들의 고용가능성을 유지시켜 주는 일은 전문대학에서의 직업 교육에서 크게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3) 유망 산업과 유망 직업 전망

최근에 급속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혁신으로 인해 신물질, 생명공학, 로봇, 소프트웨어 등의 분야에서 기술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함께 모든 산업과 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정보기술이 응용되고 지식과 관련된 신제품과 신시장이 계속 확대됨으로써 인간생활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새로 운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생산에서 지식이라는 요소가 노동, 자 본, 원자재 등보다도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지식기반경 제’(knowledge-based economy)로의 이행이 가속화 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 경제 체제에 따라 산업구조도 지식기반산업(knowledge-based industry)1)1) 지식기반산업이란 ‘인간의 창의성에 기초를 둔 지식을 노동, 자본 등의 전통적 생산요소 보다 더 주된 생산요소로 활용하는 산업’으로 정의되고 있다. 즉 인간의 지식과 지적능 력을 생산과정에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기존 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를 이루거나 신기술산업을 창출하거나 또는 고부가가치의 지식서비스 그 자체를 제공하 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한 산업의 생산활동에 있어서 생산요소로서의 정 보와 지식이 집약적으로 투입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식집약도가 높은 산업(메카트로닉 스, 전자․정보통신기기, 정밀기기, 생물, 신소재, 환경산업 등), 지식이 거래의 대상인 산업(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관련, 컨설팅, 엔지니어링 및 연구개발, 산업디자인, 문화 산업 등), 지식이 생산과정에 집약적으로 투입 또는 활용되었을 때 부가가치의 증가를 가져오거나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산업(패션의류, 고기능 특수신발, 첨 단작물, 첨단축산 등)이 포함된다(오상봉 외, 1998: 2-3).

(18)

심으로 개편되어 감을 시사해 준다(산업연구원, 1998). 오상봉 외(1998)는 이러한 지식기반산업으로의 산업구조 개편의 필요성에 터해 고용 창출이 전망되는 한 국형 지식기반산업의 범위를 다음의 <표-5>와 같이 제시하였다.

<표-5> 한국형 지식기반산업의 범위

구분 산업명

지식기반1차산업 첨단작물, 첨단축산, 첨단영림, 첨단양식업

지식기반제조업 정밀화학, 메카트로닉스, 전자․정보 통신기기, 정밀기기, 우주항공, 생물, 신소재, 원자력, 환경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정보통신서비스, 금융․보험,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컨설팅, 엔지니 어링 및 연구개발, 광고, 산업디자인, 교육서비스, 의료, 방송, 문화산업 자료: 오상봉 외(1998). 지식기반산업의 발전방안. 4쪽.

한편 지식기반산업을 중심으로 우리 나라의 지역별 유망산업을 전망한 결과 도 제시되고 있다(<표-6> 참조).

<표-6> 지식기반산업을 토대로 전망한 전국의 유망산업

지역 기존의 특화산업 혹은

지식집약화 제조업

유망지식기반 제조업

유망지식기반 서비스산업

서울

의류․모피(모피가공) 사무․계산․회계용 기계, 통신기기, 방송장비

정보통신서비스, 소프트웨 어, 광고․디자인, 문화산 업(캐릭터, 멀티미디어콘 텐츠)

인천

자동차, 정밀화학, 물류 전자정보통신, 소프트웨

어, 문화산업(영상, 애니 메이션 등)

경기도

자동차 부품 및 트레일러, 가죽가방, 환경산업(재상 재료 가공)

영상․음향․통신장비, 사 무․계산․회계용 기계, 통신기기, 방송장비

정보통신서비스, 문화산업 (애니메이션, 영화, 캐릭 터, 전자출판)

강원도

축산, 육림부문의 생명공 학, 비금속광물(건축자재 관련 신소재)

정보통신(소프트웨어), 생 물산업, 환경산업

문화산업(애니메이션, 캐 릭터, 멀티미디어콘텐츠), 관광산업, 의료․실버산업 (표 계속)

(19)

대전 자동차부품 신소재, 생물산업, 정밀화 학, 정밀기기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업

충청북도

신소재산업(정밀요업, 파 인세라믹스 등)

전자정보산업, 정밀화학, 생명공학, 정밀기기, 메카 트로닉스

소프트웨어

목포

첨단작물 및 양식업, 화훼 산업, 지역 특화작물

생물산업, 환경산업, 일반 기계 및 메카트로닉스, 조 선산업의 지식집약화

관광산업, 문화산업(영상 애니메이션, 문화 이벤 트), 물류․유통산업, 해 양 엔지니어링 산업

광주

자동차, 가전산업, 공작기 계, 고무 및 플라스틱

메카트로닉스, 전자 및 정 보통신기기(반도체 포함), 신소재

소프트웨어, 문화서비스

전주

농업(화훼, 원예 등), 식품 가공산업, 의복산업(특히 내의), 자동차산업, 펄프 종이산업

생물산업, 정밀기기산업 영상․음반산업, 문화관광 산업, 산업디자인

대구

섬유산업, 자동차부품산업 메카트로닉스, 전자정보통 신산업

정보통신서비스산업, 환경 산업, 디자인산업, 문화관 광산업

경상북도 전자산업, 철강산업, 섬유 산업, 자동차부품산업

생물산업, 정보통신산업 문화관광산업, 산업디자인

부산

자동차산업, 신발산업, 물 류산업

전자정보산업, 항공기산 업, 메카트로닉스산업, 정 밀화학산업

소프트웨어산업, 정보통신 서비스산업, 문화산업

제주도

관광 및 문화이벤트산업, 의료 및 관광 컨설팅산업, 캐릭터(소프트웨어)산업 주: 김희주 외(1998-9)의 서울․경기, 인천, 강원, 대전, 대구, 목포, 광주, 전주, 충

북, 부산 지역의 지식기반산업 발전 방향, 서용구(1998)의 제주지방산업의 고부 가가치 전략, 김인중 외(1999)의 경북지역 산업발전 방안 등에서 관련 내용을 추 출하여 재작성 하였음.

이러한 전망 결과는 각 전문대학이 전국적인 차원에서는 물론 지역 차원에 서 필요한 인력을 공급함에 있어서 어떤 인력을 공급하여야 하는가(어떤 학과 를 운영해야 하는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러한 지역특화 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게 될 때, 전문대학의 특성화는

(20)

크게 진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미래사회에서는 ‘업(業)의 특성’과 ‘소비자의 특성’을 양대 축으로 하는 새로운 매트릭스에 따라 유망산업과 정체산업이 분류될 전망이다(삼성경제연 구소, 1996: 21). 여기에서는 해외 여러 나라의 기관에서 발표한 미래 산업 전 망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래 산업의 발전 전망과 관련하여 미국의 스탠포드연구소와 일본의 野村總 合硏究所․三菱總合硏究所에서 선정한 21세기의 유망산업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7>과 같다.

<표-7> 미국과 일본의 유망산업 전망

스탠포드연구소 三菱總合硏究所 野村總合硏究所

∙ 정보기술

∙ 정보서비스

∙ 컴퓨터 장비

∙ 컴퓨터 소프트웨어

∙ 통신관련산업

∙ 교육서비스 및 자재

∙ 여행 및 관광

∙ 오락/미디어

∙ 의약품

∙ 환경서비스와 설비

∙ 건강관리

∙ 화학

∙ 의학장비

∙ 생명공학

∙ 전자

∙ 첨단소재

∙ 정보기기 산업

∙ 정보서비스 산업

∙ 통신네트워크 산업

∙ 환경리사이클 산업

∙ 공간개발 산업

∙ 의료․레져 문화

∙ 비즈니스서비스산업

∙ 주택관련 산업

∙ 정보․통신 산업

∙ 에너지관련 산업

∙ 환경관련 산업

∙ 의료․복지관련 산업

∙ 신유통․물류관련 산업

∙ 생활문화․레져관련 산업

∙ 도시환경정비관련 산업

∙ 국제화대응관련 산업

∙ 인재유동화 육성 산업

∙ 비즈니스지원 산업

자료: 삼성경제연구소(1996). 2005년의 기술과 유망산업 예측. 28쪽.

위의 <표-7>에서와 같이 미국의 경우에는 정보․통신․전자․오락, 교육서 비스, 관광, 환경, 생명공학, 보건․건강관리, 기초과학 응용 분야 등을 중심으 로 유망 직업이 창출될 전망이다. 일본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전망이 제시 되고 있다. 그러나 유통․물류, 주택관련 사업, 비즈니스 서비스 등이 강조되

(21)

고 있다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우리의 상황에서는 여러 가지 사회 여건이 유사한 일본의 사례를 특히 참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선진국에서 이루어진 보다 구체적인 직업 전망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자. 미 국의 노동통계청(1997)이 전망한 결과에 따르면, 2006년까지 세분류별 직종에 기초하여 볼 때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및 컴퓨터지원 전문가, 컴퓨터 공학자, 시스템 분석가 등 컴퓨터기술 관련 직종의 고용이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며, 보건서비스 관련 직종과 교육관련 직종에의 취업도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예 측하였다. 이 기관은 향후 2006년까지 취업증가율이 높을 30대 직업을 다음의

<표-8>과 같이 전망하였다.

<표-8> 미국의 향후 2006년까지 취업증가율이 높을 30대 직업

직업 교육훈련요건 유사 자격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및

컴퓨터지원 전문가 학사 학위

컴퓨터 공학자

시스템 분석가

개인/가정 보건 보조 단기 훈련 간호사 자격

물리/교정 치료 보조 중기 직업훈련 물리치료사, 간호사

가정 보건 보조원 단기 훈련 간호사

의료보조원 중기 직업훈련

전자출판 전문가 장기 직업훈련

물리치료사 학사 학위 물리치료사 자격

직업치료 조원 및 보조원 중기 직업훈련

변호사 보조 전문학사 학위 법무사

임상 의사 학사 학위 의사 자격

특별교육교사 학사 학위 교사 자격

인력서비스 근로자 중기 직업훈련

정보처리 장비 수리사 고교 졸업후 직업훈련 기술 자격

의료기록 기술자 전문학사 학위 의무기록사 자격

언어병리학자 석사 학위 언어치료사 자격

치과 위생사 전문학사 학위 치위생사 자격

(표 계속)

(22)

연예/오락보조 단기 훈련

내과의사 보조 학사 학위

호흡치료사 전문학사 학위

정산 사무원 단기 훈련 회계사

엔지니어링, 과학, 컴퓨터시스템 매니저

작업 경력, 학사 학위 이상

응급의료 기술자 고등직업훈련 응급구조원 자격

매니큐어 기술자 고등직업훈련

세금계산서 수금원 단기 훈련

부동산 소개업 학사 학위 부동산 중개사 자격

교사 학사 학위 교사 자격

코치, 스포츠 트레이닝 중기 훈련 경기지도자 자격

생활체육지도자 자격

치과 보조원 중기 직업훈련

안전재정 서비스 판매자 학사 학위

자료: Bureau of Labor Statistics(1997). Monthly Labor Review. p. 77.

한편 미국의 ‘US News and World Report’는 각 분야별로 21세기의 유망 직업을 다음의 <표-9>와 같이 전망하였다(한국경제신문, 1998. 10. 27).

<표-9> 21세기의 유망 직업

분야 직업

회계 기업가치평가 전문가, 해외컨설턴트

예술․연예 만화영화작가, 연예웹싸이트 프로그래머

금융․재정 투자상담가(재정운용기획자), 소비자 신용관리자

언론․홍보 위기담당홍보요원, PD

교육 수학 과학교사, 특수교육교사

공학 컴퓨터공학자, 기계공학자

환경 공해방지전문가, 수자원 관리자

보건 의사보조원, 수유 상담사

(표 계속)

(23)

인사관리 교육훈련전문가, 인력관리 상담사

인터넷 인터넷업무담당 중역, 전자상거래 관리자

법률 기업법률 변호사, 지적 재산권법 전문가

경영 물류전문가, 2개언어 가능 컨설턴트

의학 미용치과의, 알레르기 치료전문가

개인서비스 개인생활설계사, 출장요리사

공공서비스 矯正 종사자, 치료레크레이션 전문가

세일즈 전자제품 판매원, 소프트웨어 판매원

사회사업 悲哀치료요법사, 노인복지사업가

통신 무선통신기술자, 무선통신 판매원

자영업 트럭운전사, 전기기사

여행 관광안내원, 메뉴상담사(food stylist)

자료: 한국경제신문, 1998. 10. 27.

한편 호주에서도 2005년까지의 직업 전망 결과(DEETTY, 1998)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성장 직업분야의 전문직으로는 컴퓨터 전문가, 교육관련 사업, 정보기술 전문가, 판매 및 마케팅 전문가, 홍보전문가, 보건관련 전문가, 사회사업가, 경리, 회계, 기업 재무담당자 등이 제시되고 있다(<표-10> 참조).

<표-10> 호주의 미래 유망직업 전망 결과

(★ : 높음, ■ : 평균, ▼ : 평균 이하)

직업군 전망도

단기적 전망 장기적 전망

관리 행정직

일반 관리자

전문 관리자

농장관리자

전문직

자연 및 물리과학자

건물기술자

(표 계속)

(24)

회계, 경리, 기업 재무담당 전문가

판매, 마케팅, 홍보 전문가

컴퓨터 전문가

의료 전문의

간호사

대학, 직업 등 교육 전문가

교사

사회복지사

예술가 및 관려 전문가

준전문직

의료 및 과학기술 관리

건물기술 준전문가

점포 지배인

호텔 및 숙박업 지배인

등록간호사

상업 및 관련직

기계기술 소매업

자동차 소매업

전기전자 소매업

구조건설업

마무리시공건설업

배관공

식품업

원예업

페인트소매업

목재상

헤어디자이너

섬유 관련 소매업

전문사무직 및 서비스직종

비서 및 개인서비스 직

Advanced Numerical Clerks

사무직 및 판매 서비스 중간관리자

일반 사무원

타자원

안내원

(표 계속)

(25)

가정보건보조원 과 의료보조원

요식업 종사자

생산/운송 관련 중간관리자

자동차공장 운용자

Intermediate Stationary Plant Operators

고속도로, 철도 운송기사

단순사무직 및 판매 서비스

사무원

점원

노동 및 관련 직종

청소원

공정 단순작업자

생산포장직

자료: DEETYA(1997). “Job prospects information for over 70 occupations”. Job Future. 6(J une).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이 향후 2010년까지 취업증 가율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직종과 이와 관련을 맺고 있는 자격을 다음의

<표-11>과 같이 전망하였다.

<표-11> 우리 나라의 향후 취업증가율 증가 전망 직종

직종 관련 자격

항공기 및 선박 고급승무원 생명과학자 및 관련기술공

통계학자, 수학자, 경제학자, 회계사 공인회계사, 증권분석사,

건축기술자, 공학기술자 및 관련기술자 해당 기술자격 취득

건축기술공, 공학기술공 및 관련 기술공 해당 기술자격 취득

행정 및 관리 종사자 경영진단사

교원 교사 자격

저작 언론, 예술, 체육 관련종사자 종교관계 종사자

서비스직

의사, 치과의사, 수의사 및 관련 해당 자격(면허)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

(26)

지금까지 제시한 국내․외 유망 직업 전망 결과는 전문대학이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라 대학의 학과나 교육과정을 어떤 방향으로 개편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망 직업에 대한 전망 결과는 물론 이전에 제시한 지식기반산업의 발전 추세를 검토하여 특성있는 전문대학으로 운영하는 일은 당해 전문대학이 미래사회에서의 생존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4. 평생학습사회의 도래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새 천년에는 그 이전의 세기와 매우 다른 사회 현상 이 전개될 전망이다.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인구의 고령화, 새로운 가치관의 출현, 가족 구조의 변화 등이 진전되어 인간의 생활 방식이 근본적으로 변화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경제․노동 분야에서는 지구촌 경제의 확장,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의 지속적인 인력 이동, 새로운 형태의 노동 활동, 정보 및 커뮤 니케이션 공학의 발전 등이 가속화될 것이다. 한편 과학 분야에 있어서 지식 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공학의 급속한 발전은 인간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급 격하고 광범위한 변화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 변화는 과학과 공학에 제한되지 않으며, 정치․문화․사회․경제 분야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사회 전 반의 변화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덜 복잡했던 기존 교육제도의 ‘적절 성’(relevance)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Department for Education and Employment, 1995: 6; 文部省, 1996: 166; OECD, 1996: 13;

UNESCO, 1997: 1-4).

다양한 사회 환경 변화 속에서 직업생활에 필요한 직무수행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폭증하고 이의 생성․소멸 주기가 매우 빨라짐에 따라 모든 국민은 한 평생의 직업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은 물론 재충전을 위해 일생 동 안에 학습해야 할 필요성이 점증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학생중심의 학교 교육보다는 다양한 계층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교육이 강조되는 평생학 습사회가 도래할 것이다(정태화, 1999a: 2).

평생학습사회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기존 지식과 기술의 노후화는 교육제도

(27)

가 학습 참여자에게 이미 알려진 것은 물론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가 르쳐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국민은 전 생애에 걸쳐 지식과 기술 은 물론 사고까지도 계속 갱신하는 학습과정에 참여하여야 하며, 이 과정이 바로 평생교육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인간은 평생동인 학습해야 한 다’는 평생학습의 기본 원리는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면서부터 중시되어온 원 리이다. 그러나 최근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평생학습이 현재는 물론 미래 사회에서 교육제도가 접하게 되는 다양한 도전과제를 극복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정태화, 1999a: 2). 이 점과 관련 하여 UNESCO의 평생교육 전문가였던 Dave(1976: 15)는 평생교육이 세계 여 러 나라의 교육 관계자들에게 설득력을 갖게 하는 이유가, 지금까지 발전된 교육 정책과 교육 실제의 가치를 무시하지 않으면서 사회 변화에 따라 교육제 도가 직면하는 여러 가지 도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기 때 문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향후 우리 나라의 전문대학 발전 정책은 이러한 시 대적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은 물론 교양교육 까지도 수행하는 기능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수립될 필요가 있다.

평생교육의 개념에 기초하여 세계의 여러 교육 사상가, 연구소, 국제기구는 1960년대 말부터 현재와 미래의 교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생교 육의 구체적인 실현을 강조하여 왔다. 이러한 추세를 분석한 Chapman &

Aspin(1997: 1-3)은 UNESCO, OECD, 유럽연합국가의회(European Parliament) 등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평생교육의 발전 방향을 ① 지식경제와 학습사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제고, ② 교육과 훈련에 대한 새로운 철학의 수립과 이 에 터한 형식적․비형식적 교육제도, 전통적․대안적 교육제도, 공공부문․민 간부문의 교육제도 등에 대한 새로운 역할 부여, ③ 국민의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학교교육, 작업장, 계속교육기관간의 이동 통로의 확대, ④ 국민의 평 생학습을 위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인과 고용주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 원 대책 제공 등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평생교육 발전 정책의 요소를 분석한 후에 평생교육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는 ① 국가의 인력 전반의 기 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② 국민 개인의 만족스러운 생활 영위에 도움을 주는 개인적 발전, 그리고 ③ 강력한 사회 통합의 추구 등이라고 결론지었다.

(28)

국제기구 중에서도 특히 OECD는 평생학습사회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대 책 수립에 노력하고 있다. 그 한 예로 OECD(1996: 3) 회원 국가의 교육부 장 관들은 회원국 각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교육정책의 우선 순위, 각국 고유의 교육정책 등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평생학습사회를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사회 내의 교육과 훈련 전반의 새로운 목적 설정, 학습 기준 설정, 교육제도와 자격제도간의 새로운 접근 등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점에 합의하였다2). 이 합의에 근거하여 그들은 다섯 가지의 광범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① 평생학습의 기초를 다지기 위한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의 확장 및 질 제 고, ② 형식적․비형식적 교육과 직업생활간의 상호 연계된 이동 경로 체제 확대, ③ 평생학습사회의 구현 과정에 있어서 정부, 사회기관, 교육기관, 가족, 그리고 개인의 역할과 책임의 재규정, ④ 정책 결정과 실행의 질 향상을 위한

‘지식의 기반’(knowledge base)과 인적․물적 자원의 확보, ⑤ 평생학습사회 의 구현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기관에 대한 적절한 보상의 제공 등으로 요약된다.

향후에 정부가 전문대학의 발전 정책을 구상함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외국의 추세를 참조하여 우리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정책과 제도를 개발․적 용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육과 훈련에 대한 새로운 철학의 정립과 형식적․비형식적 교육, 그리고 직업생활간의 상호 연계된 이동 경로 체제 확대는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한편 베랑거와 발디빌조(Belanger & Valdivielso, 1997)는 국가가 추진해야 하 는 평생교육 정책의 방향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그들은 OECD의 주요 국가에서 평생교육체제에 참여하고 있 는 성인중의 대다수는 직업능력 개발을 위해 성인교육에 참여하고 있음을 밝 혔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요 국가간 실태를 비교․조사한 결과는 다음의 [그 림-2]와 같다.

2) 이들은 1996년 1월에 ‘전 국민을 위한 평생학습의 현실화 대책’(Making Lifelong Learning a Reality for All)을 협의하기 위한 회합을 가진 후에 21세기로의 이행 과정에 있어서

“국민, 산업현장,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은 물론 경제 발전, 민주주의 발전, 그리고 사회적 결집력을 확보해 주는 핵심적인 수단은 유아교육에서부터 퇴직 후 의 적극적인 학습에 이르는 평생학습체제를 구축하는 일이다”라는 합의문에 서명하였다.

(2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캐나다 스위스(독어권) 스위스(불어권) 미국 네덜란드 폴랜드

국가별

백분율

경력/직업관련 개인적 관심 기타

[그림-2] 주요 국가의 성인교육 참여 이유 자료: Belanger & Valdivielso(1997). The Emergence of Learning Societies.

이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서 추진하고 있는 평생교육체제 하 에서 성인 대상의 교육은 직업교육에 강조점을 주어야 함을 시사받을 수 있 다. 우리의 현실에서 성인 대상의 직업교육을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관은 전문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아직 4년제 대학교는 학문․연구기관 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고 민간 부문에서의 직업교육기관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열악한 상황에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정부의 평생교육 정책에서는 전문대 학을 성인 대상의 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의 발전 대책을 제시한 OECD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청소년 대 상의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제안한 바 있다. 이는 우리 나라에서 정부가 전문대학 교육의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고려해 보아야

(30)

하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OECD(1988: 25-6)의 회원국은 평생학습 이 강조되는 21세기에 청소년의 직업교육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10개의 대 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① 실행 가능한 직업교육 프로그램과 참여 경로의 사례를 확대하고 다양화 시켜야 한다.

② 너무 조기에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지 않는다.

③ 직업교육 결과의 ‘전이’(transferability) 범위를 확대시킨다. 이를 위해 학 습 결과는 직업교육으로부터 일반교육, 일반교육으로부터 직업교육, 그리고 직 업교육 내에서 상호 전이(인정) 되도록 한다.

④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에서는 물론 일반교육과정에서 학생이 자신의 직업 능력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확대 제공한다.

⑤ 직업교육 프로그램은 참여자가 원하는 경우 사회적으로 인정된 자격을 갖추고 언제든지 다른 경력이나 진로를 택할 수 있는 출구(exit points)를 제 공해 주어야 한다.

⑥ 학생들에게는 구체적이기보다는 범용성이 있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제 공해 주어야 한다.

⑦ 직업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사회적으로 인정된 자격을 취득할 수 있 도록 해 주어야 한다.

⑧ 학문 자격과 직업 자격이 국가적 차원에서 하나의 일관된 제도하에서 통 합적으로 운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⑨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현장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⑩ 직업교육을 통해 취득한 자격에 대해 사회적인 가치를 제고시켜 주어야 한다.

이상에서의 OECD의 발전 대책을 살펴보면, 평생학습사회에서 전문대학의 직업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수립 과정에서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 화, 현장성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의 통합적 운영, 구체적이기보다는 범용성을 갖는 지식과 기술의 학습, 학교내 학습 결과와 학

참조

관련 문서

“Climate Change Could Mean More Terrorism in the Future”, UNODC, https://www.unodc.org/nigeria/en/climate-change-could-mean-more-terrorism-in-the-future.html (ac-

◦주요 조사 내용은 농업인과 도시민의 의식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정 문항과 정책 현안 등을 포함한 비고정 문항으로 구성되었음... – ‘주요 농산물

투자 신용은 브라질국 가개발은행 (the Brazilian National Development Bank) 이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대두의 경우에서와 같이 정부 보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평가 사업은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정책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지표가 될 수 있는 질적 평가로의 접근을 하지 못하고, 정량적인

한편, 현장의 전문대학 교원들은 대부분 양성과정에서 특정 분야의 내용 전문가로 양성되었을 뿐, 직업교육 전문가로서 수행해야 할 직무능력 배양을 위한 과정은

Second, with regards to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measures to improve the qu ality of life of the lower-income classes, general agreement was reached on the need

둘째, 각 실행주체별 교육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리사회에 적합한 기업윤리 덕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별 기 업차원이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제5단계는 정책평가에 대한 설계를 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정책평가 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평가지침 등을 마련하는 등 평가전반에 대한 설계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