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이지리아, 2018년 경제 평가 및 2019년 경제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나이지리아, 2018년 경제 평가 및 2019년 경제 전망"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 -

나이지리아, 2018년 경제 평가 및 2019년 경제 전망

1 1

1

‘18년 나이지리아 경제 평가

◈ ‘18년 나이지리아 경제는 GDP, 물가, 무역, 외환 등 거시경제 측면에서 호전되며 전반적인 회복세 시연

ㅇ 산업다각화 정책에 따라, 비오일 부문의 성장률도 연중 확대(Q1

0.76% → Q2 2.05% → Q3 2.32% → Q4 2.70%)

□ (경제성장) 국제유가 회복, 산업다각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경제성장률 1.93%를 달성하며 완만한 회복세 유지 (전년 대비 1.11%p 상승)

※ 경제성장률 추이 : (‘14) 6.22% → (‘15) 2.79% → (‘16) -1.58% → (‘17) 0.82%

→ (‘18) 1.93% (’18. Q1 1.95% → Q2 1.5% → Q3 1.81% → 2.38%)

ㅇ 오일 부문(GDP 비중 8.6%)은 성장률 1.14%를 기록한데 반하여, 비오일 부문(GDP 비중 91.4%)은 성장률 2.0% 기록

※ 다만, 산업다각화 노력에도 불구, 농업 부문은 농민과 유목민간 격렬한 충돌로 인한 공급 차질로 최근 5년내 가장 낮은 2.12% 성장

□ (물가) 통화 긴축, 환율 안정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 물가상승률 12.1%를 기록하며 하락세 유지 (전년 대비 4.4%p 하락)

※ 소비자 물가상승률 추이 : (‘14) 8.05% → (‘15) 9.01% → (‘16) 15.7% → (‘17) 16.5% → (‘18) 12.1%

ㅇ 식품가격 상승(14.35%) 등 영향으로 목표치인 한자리수 달성에는 실패

□ (무역) 무역규모는 32.3조 나이라(약 1,057.9억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39.3% 증가

ㅇ 전년 대비, 수입 38%, 수출 40% 증가하였으며 무역수지도 47% 급증

※ 한국의 ‘나’ 수입시장 점유율 추이(‘나’ 통계청 자료) : (‘14) 3.7% → (‘15) 1.7%

→ (‘16) 1.1% → (‘17) 2.0% → (‘18) 10.8% (중국 19.4%)

(2)

- 2 -

※ ‘18년 한국의 수입시장 점유율(10.8%)은 삼성중공업의 Egina FPSO 수주(2013년) 금액(1조 1,593억 나이라)이 반영되었기 때문 (→ 동 금액 제외시 점유율은 2.0%)

□ (외환) ‘18년말 외환 보유고는 431.2억 달러를 기록하여 상승세 유지, 환율도 중앙은행 개입 등으로 305 나이라/달러 수준에서 안정세

※ 외환보유고 추이(억 달러) : (‘14) 344 → (‘15년말) 290 → (‘16년말) 258 → (‘17년말) 387.7 → (‘18년말) 431.2

※ 오픈마켓(parallel market) 환율도 360 나이라/달러 수준에서 보합

□ (주요 경제정책) 산업 다각화 등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구조를 만들기 위한‘경제 회복 및 성장 계획(ERGP, 2017~2020)’집행에 중점

ㅇ 통화 정책은 환율 및 물가 안정을 주요 목표로 긴축 정책을 유지

2 2 2

‘19년도 나이지리아 경제 전망

◈ ‘19년 경제는 거시경제 전반에서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하면서, 비오일 부문 성장도 보다 가속화 전망

ㅇ 다만, 대외적으로 국제유가 변화, 미-중 무역분쟁, 미 연준 금리 인상, 대내적으로 최저임금 인상, 정세 및 치안 등 리스크 존재

□ (경제성장) 비오일 부문 성장, 환율 관리, 대선 이후 확장적 재정정책 등으로 완만한 성장세(2%대 초반) 지속 전망

※ 기관별 GDP 성장률 전망

- ‘나’ 예산기획부(3.01%) / IMF(2%), WB(2.2%) AfDB(2.3%), 무디스(2.3%)

ㅇ 다만, 국제유가의 변화, 대선 이후 일단 안정세를 보이는 정세 및 치안의 안정세 지속여부 등이 성장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물가) 긴축 통화정책 유지, 대선 이후 정세 안정 등으로 소비자 물가는 약 10% 내외 상승 전망

※ 중앙은행(CBN)은 6~9% 목표치 달성을 위해 긴축 통화정책 유지 전망

※ 예산기획부는 상승률 한 자리수(9.98%) 예상(‘19.2)

(3)

- 3 -

ㅇ 다만, 최저임금 인상안(50%) 시행 여부, 선거(‘19.2~3월, 대선, 총선, 지선)

비용 지출 등이 상승률에 영향 예상

□ (무역) 무역규모는 국내경기의 안정적 성장에 따라 증가세 유지 전망 ㅇ 브렉시트(Brexit), 미-중 무역갈등 등 세계경제의 불안정으로 증가폭은

둔화 예상

※ 무역수지도 흑자 유지가 예상되나 흑자폭은 감소 전망

□ (외환) 대선 이후 정세 안정, 정부의 외국투자 유치 노력, 무역 수지 흑자 지속 등으로 외환보유고는 지속 증가 전망

ㅇ 환율은 중앙은행의 엄격한 관리에 따라 305 나이라/달러(공식), 360 나이라/달러(오픈시장) 수준에서 보합 안정세 전망

ㅇ 다만,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정세 및 치안의 안정세 유지 등이 외환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주요 경제정책) 2.23(토) 대선 결과, 現 Buhari 대통령*이 재선됨에 따라 차기 정부는‘경제 회복 및 성장 계획(ERGP, 2017~2020)’하에서 산업 다각화 등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구조 건설에 중점 전망

※ 부하리 대통령은 금번 대선공약으로 기존 3대 정책방향(테러대응, 경제개발, 부패척결)의 지속․강화를 제시

ㅇ (재정 정책) 대선 이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성장 달성을 위해 확장적 재정지출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

ㅇ (통화 정책) 중앙은행의 주된 목표인 환율 및 물가 안정 달성을 위해 긴축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참조

관련 문서

[r]

ㅇ (보건) 주재국 보건부는 2019년 중 5,400만불 규모의 IDB 차관을 통한 테구시갈파 지역 외상응급 대응 의료네트워크 통합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4,900만불

경제정책

[r]

[r]

이날 WEF ASEAN의 일환으로 메콩지역의 새로운 비전, 아시아 경제 전망, 사이버 안보, 아세안의 디지털 장래 등 주제별 토의세션들이 개최되었으며, 양 자회동들이 진행됨.. 이에

[r]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