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이지리아 경제 동향 및 정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나이지리아 경제 동향 및 정책"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7년도 제2차 수주지원협의회

나이지리아 경제 동향 및 정책

2017. 5. 24 (수)

1. 나이지리아 주요 경제 지표 2. 최근 주요 경제 동향

3. 주재국 주요 경제 정책

/ 1 / 2 / 5

주나이지리아 한국대사관

1. 나이지리아 주요 경제 지표

 일반지표 (2016년 기준)

ㅇ 명목 GDP : 4,151억불(세계 26위, IMF) * 4,778억불(2015, 통계청) ㅇ 실질 GDP 성장률 : -1.54%(2016, 통계청) * 2.7%% (2015년) ㅇ 1인당 GDP : 2,260불(세계 132위, IMF)) * 2,930불(124위, 2015 IMF) ㅇ 물가상승률 : 18.33%(‘16.) * 9%(2015)

ㅇ 인구 : 1억 8,200만명 (‘‘16 통계청)

 수출입 (2016년 기준)

ㅇ 총 교역 규모 : 17.34조 나이라(568억불)

ㅇ 수출 : 8.52조 나이라(279억불) * 9.59조 나이라(‘15) - 주요 수출품목 : 석유․가스 등(96.4%), 식·음료 등

- 주요 수출국 : 인도(18%), 미국(12%), 스페인(9.2%), 네덜란드 (7.8%), 프랑스(6.2%)

ㅇ 수입 : 8.82조 나이라(289억불) * 6.69조 나이라(‘15) - 주요 수입품목 : 정유, 기계류, 화학제품, 식품, 철골 등

- 주요 수입국 : 중국(19.7%), 네덜란드(11.7%), 미국(8%), 인도 (5.1%), 영국(4.1%)

ㅇ 우리나라와의 교역 현황

(단위 : US$천,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금 액 증감률

교역 규모 3,877,923 4,474,070 1,809,295 989,419 -45.4%

對나 수출 1,570,675 1,378,439 685,804 460,947 -32.8%

對나 수입 2,307,248 3,095,631 1,123,491 528,472 -53.0%

무역 수지 -736,573 -1,717,192 -437,687 -67,525 -84.6%

(2)

- 총 교역량 :

9억8,942만불(2015년 대비 45% 감소)

- 수출 :

4억6,095만불로 전년 동기대비 –32.8% 감소

※ 함성수지, 석유화학, 경유, 자동차 등이 전체 수출의 57% 차지 - 수입 :

5억2,847만불로 전년 동기대비 –53% 감소

※ 천연가스, LPG, 동괴 및 원유 등이 전체 수입의 82.3%를 차지

 외환 등

ㅇ 외환보유고 : 306억불(‘17.5.19)

- 2016년 10.19 최저점(239억불)을 지나 지속 상승중(22%)

‘13.12 ‘14.12 ‘15.12 ‘16.6 10.19 12.1 12.30 ‘17.3.31 ‘17.5.19 (억$) 429 344 290 263 238.9 248 258 303 306

- '13년 12월 대비 29%, ‘14년 12월 11% 감소 ㅇ 환율 : 305나이라/1불

- parallel market : 370-385 나이라/$ 선에서 안정화 단계

※ 주재국 정부는 금년 2.20(월)부터 학비, 의료비, 여행 경비 등에 대해 우대 환율(375나이라/$)로 달러 공급 추진이후 비공식 환율이 달러당 500나이라 이상에서 375-385 나이라 선에서 안정화

2. 주요 경제 동향

 국제유가 하락 및 생산량 감소로 정부수입 급감

ㅇ 국제유가 하락, 오일 & 가스 분야의 외국인 투자 감소 등으로 달러 유입이 급감함에 따라 정부 재정 수입 ‘15년 대비 30% 감소

<평균 오일가격 및 오일 수출액 현황>

구분 평균 오일가($/b) 오일 수출량(mbpd) 오일 판매액(억불)

2014년 100 1.75 643

2015년 53 1.67 322(▽50%)

2016년 229((▽29%)

※ 229억불 = 일 수출 140만배럴*45달러/배럴*365일

ㅇ 달려 유입이 급감→외환보유고 감소, 자국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등 부작용 발생

- ‘16.5월이후 니제르델타 무장단체(Niger Delta Avengers)의 오일 &

가스 생산/수송 시설 파괴 등으로 오일생산량이 대폭 감소(1.75백 만 bpd)하고, 발전소 가스 공급 차질로 전력 생산량 하락

 경제 성장

ㅇ ’14년까지 6~7%를 상회하던 경제성장율도 ’15년 2.7%로 하락하고,

’16년 -1.54% 성장 기록(최근 25년중 최저)

- 1분기(-0.36%), 2분기(-2.06%), 3분기(-2.24%), 4분기(-2.24%)

- 경기침체의 주요원인은 △저유가와 석유 산업 투자 급감에 따른 달러 유입 부족, △불안한 치안, △환율 및 물가 상승, 경제 정책 방향 미제시 등 불확실성 증대 등

ㅇ 주재국 정부는 금년 3월초 경제성장 계획에서 금년 2.2% 경제성 장을 제시했지만, 세계은행은 1%, 국제통화기금은 0.8% 성장을 전망

 물가

ㅇ 정부의 유가보조금 폐지 결정으로 휘발유값 상승,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자국 화폐 평가 절하, 수입물가 상승, 전력/식품류 요금 인상 등으로 2016년 18.55%의 물가상승률 기록

(3)

- 금년 물가상승률도 식품류, 석유 및 LPG 각격 상승에 따른 교통비 인상으로 금년 4월까지 평균 17.75% 상승

※ 1월(18.72%), 2월(17.78%), 3월(17.26%), 4월(17.24%)

 외환 및 환율

ㅇ 외환보유고의 증가에 따른 달러화 공급 확대 등으로 병행시장 환율이 달러당 370나이라-385 나이라 선에서 안정세 유지 -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달러화 공급 여부가 환율 안정 여부 결정

 2017년 정부 예산

ㅇ 부하리 정부는 2017년 예산으로 7.298조 나이라(약 239억불) 편성하여 국회 제출(2016.12.14)

ㅇ 주재국 국회는 금년 5.11 주재국 정부 예산 법률안(Appropriation Bill)을 당초 정부안보다 1,430억 나이라 증액하여 통과시킴

※ 증액예산은 대부분 국회 경상비(237억 나이라), 인건비(237억 나이라), 프로젝트 예산(149억 나이라), 입법 활동 보조비(96억 나이라) 등임 - 총 지출예산(7.44조 나이라)은 경직성 경비(N2.64조, 35%), 자본예산

(N2.17조, 30%), 부채상환(N1.84조, 25%), 법정기관 운영비(N4,340억, 5.8%), 지역 개입 정책(N3,500, 4.7%) 등에 배분

- 부처별 자본예산 배분은 전력/공공사업/주택(N5,290억), 교통 (N2,620억), 지역개입 정책(N1,500억), 국방(N1,400억), 농업농촌개발 (N920억), 수자원(N850억), 산업통상(N810억) 등임

- 경직성 경비(경상비+인건비)는 내무(N4,824억), 교육(N3,980억), 국방 (N3,259억), 복지(N2,529억) 등임

구분 영문표시 나이라(조) 달러

(억)

비율 (%)

2016년 예산(조 나이라)

총 액 7.44 244 100 6.06

(법정) 특수기관

운영비

Statutory

Transfers 0.434 1.4 5.8 0.35

부채 상환 Debt Service 1.84 60 25 1.36

경직성 경비 Recurrent

Expenditure 2.64 98 35 2.64 자본예산 Capital

Expenditure 2.174 72 30 1.58

지역개입정책 Special

Intervention 0.35 1.1 4.7 0.13

주요기준 경제성장(2.18%), 환율(305나이라/$), 오일 가격($44.5/배럴), 원유 생산 (2.2백만 배럴/일),

ㅇ 2016년 예산과 비교하면 사회간접자본 건설 예산인 자본예산이 37%(1.58조 나이라→2.17조 나이라, 약 30%) 증가한 반면, 경직성 경비는 전년과 같은 규모(2.64조 나이라)로 동결 됨

< 참고 : 2017년 지출 예산 개요 >

3. 전력 활성화 정책

(3.20 국무회의 통과)

 추진배경

ㅇ 3.7 발표한 경제 회복 및 성장 정책(ERGP)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력분야 개혁을 위한 구체적 실행(집행) 계획 필요

ㅇ 부족한 전력 사업 재원을 세계은행 등 MDB로부터 지원 받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전력 정책 마스터플랜 필요

(4)

ㅇ 열악한 전력 사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료공급, 발전, 송/배전, 수금 등 전 과정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적으로 개혁할 필요 - 전력 공급 부족으로 국가 전체적으로 연간 293억불(N9조2천3백)

손실이 발생하고 있어 이의 해결이 시급

 그간 전력분야 개혁정책 추진 경과

ㅇ 2005년 : 전력 분야 개혁법(Electric Power Sector Reform Act) 제정 ㅇ 2013년 : 발전(6개사)/배전(11개사) 기업 1차 민영화

ㅇ 2014 : NIPP 발전소 민영화 실패, 열악한 전력 상황 지속 ㅇ 2016.12.8∼9 : 전력공공사업주택부, 재무부, 세계은행 등 실무자

그룹 회의 개최, 전력분야 활성화 정책 수립 논의 시작 ㅇ 2017.3.1. : 국무회의, 전력 분야 7,000억 나이라 지원 결정

- 연방정부 세계은행과 25억불 지원 협의 등 지속 추진 결정 ㅇ 2017.3.7. : 주재국 정부 경제회복 및 성장 정책 발표

-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전력분야 개혁 방안 제시 ㅇ 2017.3.20. 5개년 전력 정책 국무회의 승인

- 전력분야 유동성 확보, 투명하고 효과적인 전력 생산/공급 지원을 위한 구체적 계획 포함

 주요 내용

(1) 목표

ㅇ PSRP의 주요 목표는 △전력 분야 유동성 확대를 통한 부채 상환,

△전력공급 확대, △전력 분야 제도 정비 등을 제시

- 발전 전 과정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효율적이고 선순환 적인 시스템 회복

- 발전/배전 회사 민영화 과정에서 발생한 수익성 악화(적자)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발전분야에 민간 투자 유치 추진

(2) 주요 추진 정책

① 전력 분야 부채(유동성 부족) 문제 우선 해결

ㅇ 가스공급 부족, 발전소 운영 비효율, 환율, 전력 요금 미회수 등 모든 과정이 비효율적으로 운영

- 참여자간(가스공급자, 발전, 송/배전, 최종 소비자 등) 미지불 금액이 15억불(4,800억 나이라)에 달하고 향후 동 문제 해결에 5년간 75 억불 자금 필요

ㅇ △적정한 수익 보장을 통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전력 요금의 합리적 조정, △정부 재정(4개 발전소 매각) 및 MDB 지원을 통한 투자, △정부 기관 전기요금 체납액(640억 나이라) 납부 등 추진

② 전력 공급 확대

ㅇ 송배전 능력 향상(5,500mw→7,000mw), 최소 4,000mw 전력이 최종 사용 될 수 있도록 발전/송배전 시스템 개선

ㅇ △농촌지역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가스공급 및 민간 발전소에 대한 지급 보증, △파이프라인 보호 강화, △ 니제르 델타 평화 유지, △송배전 손실률 감소 등

③ 관련 제도 개선

ㅇ 민간투자 유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좋은 거버넌스 구축, 민영화 계약 시스템 개선 및 계약 이행율 제고, 전력 우대 환율 시스템 구축 등

(5)

(3) 재원 조달

ㅇ 향후 5년간(2017-2021) PSRP 정책 추진에 최소 76억불 필요 - ①정부 재정 투자 35억불, ②NIPP 발전소 매각 21억불, ③세계

은행으로부터 지원(10억불), ④아프리카개발은행으로부터 지원 (10억불) 등으로 총 76억불 조달 추진

ㅇ 정부 재정 투자

- 정부 예산으로 연평균 7억불, 총 35억불 투입, NIPP 발전소 4곳 (Geregu, Calabar, Omothosho, Ihovbor)을 매각(민영화) 하여 총 21억불 조달

ㅇ 세계은행 그룹 지원

- 차관, 기술지원, 투자, 지급 보증 등으로 총 25억불 투자, 10억불은 부채 상환에 투입 예정(MIGA 등에서 27억불 별도 지원 예정)

<세계은행그룹 주재국 전력 분야 투자 계획>

사업명 설명 금액(백만달러)

세계은행 유동성 공급을 위한 차관

(Loan) 발전소 운영자, 가스공급자 대금 지급 1,000

계량기 보급 등 배전 손

실 축소 3백만개 계량기 설치 500

송전회사 지원 송전시설 설치를 위한 송전회사 지원금 364 농촌지역 전력 공급 태양광 등 미니 그리드, 공공시설(학교,

병원 등) 솔라 발전 시설 설치 350 지급 보증 등 IBRD, IDA 등에 의한 민간발전소(IPP)

지급 보증 등 305

총계 2,519

IFC 3.5GW 전력생산을 위한 투자(Kainji,

Egbin, Scaling Solar, 배전회사) 1,300

MIGA 가스 및 태양광 발전을 위한 지급 보증 1,400

ㅇ 아프리카개발은행 지원

- 아프리카개발은행도 총 40억불 주재국에 투자 예정, 이중 10억불 은 전력 분야 부채 상환에 투입 예정(2016.9 발표)

 평가

ㅇ 유동성 공급을 통해 우리기업 사업 미수금 회수 기대

ㅇ NIPP 발전소 4곳(Geregu, Calabar, Omothosho, Ihovbor)을 매각 (민영화) 추진(2018.3.20 완료 목표)

<참고자료 : 주재국 경제회복 및 성장 정책>

※ ERGP 요약 (The Economic Recovery and Growth Plan, 2017-2020) 1. 추진 배경 오일 편중 경제 구조 한계, 단기 : 불황 경제 회복, 중장기 :

지속가능/포용적 경제 성장 정책 필요

2. 주요원칙 등 ①성과중심, ②조기효과 정책 우선, ③민/관 합동

3. 주요 목표 4년(‘17-20) 연평균 4.6% 경제성장 등

* -1.54%(‘16), 2.19%(‘17), 4.8%(’18), 4.5%(‘10), 7%(’20) 4. 주요내용 분야별 총 60개 세부 정책 추진

4.1 경제회복 및 안정

-재정정책(오일 증산, 비오일 수입 증대, 재정지출 확대 등) -금융정책(외한보유고, (변동)환율, 이자율)

-대외 수지 개선(수출주도 무역수지개선, 외국인 투자 유치)

4-2. 성장세 회복

-경제(산업) 다각화 6개 선도 분야(농업, 제조업, 광업, 서비스업, 건설&부동산, 오일&가스) 중점 육성

-방안 : 비오일 11개 전략 물품 수출 주도, 디지털 분야 선도, 중소기업 육성

4-3. 경쟁력 강화 -전력, 교통(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등 인프라 확충 -비즈니스 환경(ease doing business) 개선(100위내 진입)

4-4. 포용적 성장 정책

-보건의료 -교육

-사회적 차별 해소 및 포용 -일자리 창출

-환경 보호

4-5. 거버넌스 등

-반부패 -치안

-공공서비스 조직 개혁 -집행조직 신설 및 모니터링

참조

관련 문서

또한 4세대 지역난방 모델의 국내 적용이 해외에서 접근하고 있는 스마트 에너지 네트워크 기술 화 체계에 아직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단순한 신규 수 요 창출 및 지열 기반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북한농업 동향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북한의 경제 및 농업 관련 연구 부록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회의 다자성 양자원조의 동향, 주요 공여국의 다자성 양자원조 정책 기조, 한국의 농업 ODA 사업의 목표 등의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다자성 양자원조의 정책 추진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r]

● WAGP(나이지리아 Itoki – 가나 Takorai) 공사

이러한 배경에서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은, 한편으로 공공정보 이용을 촉진하거나 공공부문 이 직접 빅데이터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방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