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영상으로 읽는 고전작품

<한국의 고전작가와 작품세계 4>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담당교수: 하정승

(2)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정몽주(鄭夢周: 1337-1392) : 고려 왕조의 마지막 을 지킨 만고의 충신.

호: 포은(圃隱)

저서: {포은집}

정몽주는 정치가, 학자, 시인으로서도 모두 당대 최 고의 반열에 오를 정도로 혁혁한 족적을 남겼다.

정치가로서의 포은은 고려말 풍전등화와 같이 위태 로웠던 조정을 지켜가면서 복잡하게 얽힌 정계를 이 끌었다.

(3)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학자로서의 포은은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계승자 로 고려말 성리학의 확립과 전개에 있어서 커다란 역 할을 담당하였다.

시인으로서의 포은은 뛰어난 여러 편의 시와 문장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당대 문단의 핵심적인 인물들과 교유를 나누고 주목할 만한 문학 활동을 하여 한국문 학사에서 고려말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 다.

(4)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정몽주는 문신이었지만 젊은 시절부터 줄곧 전쟁에 참여하였다. 대체로 여진이나 왜구와의 전쟁이었다.

예를들어 1363년(공민왕 12) 포은 나이 27세 되던 해에 동북면도지휘사(東北面都指揮使) 한방신(韓方 信)의 종사관(從事官)으로 화주(和州)에서 여진과 전 투를 벌인 전투.

1380년(우왕 6) 44세에 조전원수(助戰元帥)의 직책 으로 이성계를 따라 전라도 운봉에서 왜구와 전투.

1383년(우왕 9) 47세 때에는 동북면조전원수(東北面 助戰元帥)가 되어 다시 이성계를 따라 여진 정벌전투.

(5)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전쟁에 참여하거나 또는 직접 전쟁에 참여하지는 않 더라도 전장(戰場)의 풍경과 정서를 읊는 시를 한시 사에서는 보통 ‘변새시(邊塞詩)’라고 부른다. 중국에 서는 당나라의 고적(高適)이나 잠삼(岑參) 같은 이가 변새시로서 유명한 시인들인데, 변새시에는 대체로 변방의 쓸쓸함과 고즈넉함, 고독감과 처량함 등이 나 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에 소개할 포은의 시 역시 이같은 변새시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6)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지난해에 바닷가에서 말에게 물 먹이고

올해엔 함주 객사에서 한가위를 맞이하네

산천이 아득한 곳 풀과 나무 시들고

밝은 달은 하늘에 가득하고 맑은 경치 흐르는데

모랫벌 위의 뭇 장막은 고요히 말 없건만

사방에서 변성(邊聲)이 일어나 시름짓게 하는구나

장군은 털장막 높은 곳에 홀로 누워있고

장사는 차가운 쇠갑옷 입고 슬피 노래하는데

장막 앞의 서생은 잠도 자지 못하고

적막한 깊은 밤에 그림자만 조문하네

쓸쓸히 일어나서 서남쪽을 바라보니

뜬 구름만 하늘을 가로질러 철령에 잇닿았네

봄바람에 돌아갈 계책 또다시 틀렸구나

부소산 앞에는 마른 잎만 날리고

오늘밤의 한가위 달은 지난해의 달인데

지난해의 나그네는 아직도 돌아가지 못하였네

뜰 안은 쓸쓸하여 귀뚜라미 울어대고

부엌은 냉냉하여 아이종 굶주리네

어제 아침 아우가 편지 보내 왔는데

백발의 노모께서 보고 싶어 하시면서

부귀와 공명은 너의 일이 아닌데

해마다 객지살이 언제야 그치겠냐

내년에는 또 어디에서 밝은 달을 맞이할지

남창 가에 홀로 앉아 시를 읊조리도다

(7)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去年飮馬滄海頭 咸州客舍遇中秋

山川迢迢草木落 明月滿天淸景流

平沙萬幕寂無語 邊聲四起令人愁

將軍獨臥氈帳高 壯士悲歌鐵衣冷

帳前書生亦不眠 寂寞夜深相弔影

悄然興望望西南 浮雲橫空連鐵嶺

春風歸來計又非 扶蘇山前黃葉飛

今夜中秋去年月 去年客子猶未歸

庭除蕭索蟋蟀語 廚竈凄凉童僕飢

前朝舍弟附書至 白髮慈親願見之

功名富貴非汝事 客路年年有底期

明年何處逢明月 獨坐南窓自詠詩

(8)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인용시는 1364년(공민왕 13) 8월 한가위에 咸州(지 금의 함경도 함흥)의 객사에서 보름달을 바라보며 지 은 작품이다. 포은은 그 전년도인 1363년에 한방신 의 종사관으로 화주에서 여진을 정벌하는 전쟁에 참 여하였고, 이 해 2월에는 한방신․이성계 등과 함께 여진의 삼선(三善)․삼개(三介)와 싸워 대승을 거두었 다. 문집의 연보나 행장에는 여진과의 전쟁에서 승리 한 이후의 1364년 행적은 자세하지 않으나, 시의 내 용으로 보아 포은은 화주에서 한방신의 종사관으로 있었던 것처럼 함주에서도 어느 장군의 종사관 정도 로 참여하고 있었던 듯하다. 함주 역시 화주와 마찬 가지로 여진과 대치하고 있는 변방의 요새이다.

(9)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제 3구에서 6구까지는 마치 쥐 죽은듯이 고요한 전장의 막사를 그리고 있다. 풍요롭고 따뜻한 보름달이 천지를 환하게 비추고 있지만, 막사는 그저 고요하기만하다. 가 끔씩 들려오는 변방의 여러 소리들이 무서운 정적을 깨뜨 릴 뿐이다. 시인은 자리에 누워 잠을 청해 보지만 잠을 이 루지 못한다. 제 10구 “적막한 깊은 밤에 그림자만 조문 하네”는 늦은 밤에까지 홀로 깨어있는 시인의 고독과 자 의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아무리해도 잠들지 못 하자 시인은 자리에서 일어나 서남쪽의 하늘을 바라본다.

서남쪽의 하늘은 그립고 보고 싶은 가족이 있는 곳이다.

오늘 바라보는 저 보름달은 분명 작년의 그 달이지만, 시 인은 변방의 전장에 있은 지 1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집 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서남쪽 하늘에는 구름이 철 령까지 잇닿아있다.

(10)

포은 정몽주의 삶과 문학

제 13구 이하로는 연로하신 어머니와 가족에 대한 그 리움을 묘사하고 있다. 시인은 아우가 보내온 편지를 읽으면서 사무친 그리움을 눈물로 달랜다. 그리고 남 창 가에 홀로 앉아 시를 읊조리면서 내년에는 저 달 을 고향에서 바라보는 꿈을 꾼다. 이 시는 여러 편의 포은시 가운데에서도 가장 뛰어난 종군시(從軍詩)요 변새시(邊塞詩)라고 할 수 있다. 변새시에 등장하는 일반적인 의경(意境)인 전장의 황량함과 쓸쓸함, 고 즈넉함, 처절한 외로움, 알 수 없는 비애감, 그리움 등이 이 시에서도 그대로 나타나있으니 변새시의 전 형이라고 보아도 좋다. 특히 한가위의 보름달을 서두 에서부터 말미까지 계속해서 등장시켜 시의(詩意)를 진술하는 매개체로 삼고 있는 솜씨 또한 매우 뛰어나 다.

참조

관련 문서

시간이 흐르고 나이가 들 수록 그는 삿갓을 쓰고 전국을 떠돌아다니 는 삶의 방식이 마음에 들고 점점 편해진 것 이다..

이것은 요즘으로 말하면 인문학 (humanities)이라 번역될 수 있는데, 15세기에는 문법, 역사, 문학, 도덕, 철학 등의 일련의 과목들, 그리스 책의 라틴어 번역본을 포함한

Da besprachen ihn Sinthgund und Sunna, ihre Schwester, da besprachen ihn Frija und Volla, ihre Schwester,.. da besprach ihn Wodan, wie

• 인간과 사회의 개선불가능성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생겨나는 체념, 유머,이로니 정서가 지배!. • 마술오페라 Zauberoper

-국제화는 기업활동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그 활동 주체인 기업의 변화이다.. - 기업이 세계적으로

이고리 원정기 류 (!) 의 작품이 현재까지 더 이상 발견되고 있지 않는 만큼 장르 규정에 대해서 명확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다분히 현실참여적인 당대적.. , ,

문학 이론 분야에서는 페미니즘이 그 동안 생태주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 아온 것으로 꼽힌다. 이러한 페미니즘은 흔히‘생태

텍스트를 독자의 경험과 공포, 욕망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이론으로, 독자의 심리적 반응 에 집중하여 독자가 작품을 통해 심리적 만족을 얻게 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