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석학적 비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해석학적 비평"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해석학적 비평

(2)

목차

해석학이란 무엇일까?

해석학적 비평이란 무엇일까?

해석학적 비평의 키워드

해석학의 주요이론가와 그이론

-슐라이어 마허 -가다머

-허쉬

(3)

1 – 1. 해석학( Hermeneutics )이란

해석이란 글자 그대로의 뜻이 아닌 본 래의 뜻을 밝혀내는 일이다.

해석학이란 문학적 해석학, 법률적 해 석학 및 문헌학적 해석학, 철학적 해석

학 또는 성서 해석학과 함께 다른 기 타 전래된 예술형식들도 다루는 학문

을 말한다.

(4)

1 – 2. 해석학적 비평이란

해석학적 비평이란 근본적으로 문학 작 품이 어떤 확정된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비평가의 궁극

적 임무는 이것을 해명하는 데 있다고

본다.

(5)

2 - 1. 해석학적 비평의 키워드

성서

해석학은 성경 해석의 방법론 연구에 서부터 시작됨.

• 성서는 수많은 비유적 표현들로 이루

어져 문자 그대로로 이해할 수 없음.

☞자의적으로 해석해야함.

• 독자는 성서의 전체의미에 방향을 맞 추면 된다는 신교적 해석학은 19세기 초에 슐라이어마허(F. Schleiermacher) 에 의해 계승됨.

→우리가 성서의 전체의미를 알고 있음을 전제 - 선이해

(6)

2 - 2. 해석학적 비평의 키워드

선이해

•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Heidegger) 가 설명한 개념으로 우리가 세계와의 대화를 통해서 암묵적으로 공유하게 되는 전제들을 의미함.

• 우리는 이해할 때, 선이해를 통해 어떤

것을 이해하고 그것을 다시 다른 것을

이해하는 선이해로 쓰는 과정을 겪는

다.

(7)

2 - 3. 해석학적 비평의 키워드 ㅋ

해석학적

• 전체를 통해 부분을 파악하고 부분을 순환

통해 전체를 이해하는, 전체와 부분 간 의 상호규정적 활동을 우리는 해석학적 순환이라 말한다.

☞아는 것에서부터 아는 것으로 돌아오

는 것.

(8)

2 – 4. 해석학적 비평의 키워드

• 의도란 작가가 텍스트에 담고자 한 바 를 뜻한다.

• 의미는 텍스트, 글자 자체가 나타내는 것

• 의의는 텍스트가 독자에게 의미하는 것 을 뜻한다.

• 작가와 독자 간의 대화는 분명 책을 매 개체로 하고 있으므로 생각 전달에 한 계를 가질 수밖에 없음.

☞ ‘의도’와 ‘의미’, ‘의의’가 일치하기 바 라는 것은 나쁜 생각임.

의도-의미-

의의

(9)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3 . 해석학의 주요이론가와 그이론

• 근대에 ‘보편적 해석학’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중심인물.

• 이전의 신학적 해석학이나 문헌학적

해석학과 같은 해석학의 좁은 시야

에서 벗어나 좀 더 보편적인 지반에

서 해석과 이해의 문제를 봄.

(10)

3 . 해석학의 주요이론가와 그이론

가다머

(Gadamer)

허쉬

(hirsch)

• 보수주의적 해석학의 대표적인 이론가

• 작품을 해석하기 최대한 객관적인 위치에 서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올바른 해석이라 주장.

• ‘의의’는 판단하고 비평해야할 대상이며, 우리가 이해하고 해석해야 할 대상은 ‘의 미’와 ‘의도’라고 말한다.

• 상대주의적 해석학의 대표적인 이론가

• 작품 속에서의 대화와 융합, 선이해를 강조한다.

• 해석이란 전승된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의 의의 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장.

• 지평의 융합

(11)

해석학적 비평

(12)

1. 해석학

2. 슐라이어마허, 딜타이 3. 하이데거, 가다머

4. 허쉬

5. 해석학적 비평의 한계

목차

(13)

해석학(heremeneutics)이라는 말은 그리스어의 「해석하다」의 뜻에 상당하는 말 에서 온 것이다.

과거의 문서를 정리, 이해하는 문헌학의 한 방법으로서 그 기원은 고대 그리스 의 알렉산드리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현재 이 용어가 철학적으로 쓰이는 것은 딜타이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해석이란 언어ㆍ문장으로 표현된 것, 더 넓게는 인간 정신의 산물인 학문, 예술, 풍속 등 결국 문화라고 칭해지는 것을 인간이 체험한 것의 표현이라 보고 내면적, 심리적으로 그것들을 파악, 이해하는 것으로 딜타이에게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특히 일정한 방법 하에서 이해하는 것을 가리킨다.

전통적으로 문학적 해석학은 주로 법률해석(법률적 해석학) 및 인문주의 경전 (經典)해석(문헌학적 해석학), 철학서 또는 성서해석(철학적 해석학 또는 종교적 해석학)에 치중한다.

해석학(Hermeneutics)

(14)

• 중세에 강한 영향을 미친 교부신학자 오리기네스(Origines)와 아우구 스티누스(Augustinus von Hippo)는 최초로 해석방법의 이론화를 시 도했는데, 이들은 성서를 자구대로 해석한 것이 아니라 우의적으로 해 석했다. 그러나 종교개혁과 더불어 자구에 따른 성서해석이 강조됨으 로써 우의적 해석은 배척되었다.

• 근대 초기에는 텍스트의 원래의미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실용적 해석 이 강세를 이루었다면, 18, 19세기의 낭만주의적 해석학―예컨대 헤 르더(J.G Herder)나 슐레겔(F.v. Schlegel)의 글―에서는 텍스트의 일반 화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 성서의 역사화가 시작되었는가 하면, 세 속문학에 대한 해석학의 관심도 집중되었다.

• 해석학은 19세기 이후 그 개념이 변화하여 법률 · 문학 · 성서 등 모든 문자화된 원전의 의미를 올바르게 밝히는 일에 관련된 일반 이론의 도출이나 절차를 다루는 것이 되었다.

해석학의 변화양상

(15)

프리드리히 다니엘 에른스트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1768년 11월 21일- 1834년 2월 12일)

• 독일의 개신교신학자이며 철학자.

계몽주의 비판과 전통적인 개신교 사상을 화해시키려는 인상적인 시도로 유명.

성서비평학 발전에 영향.

• 보편적(일반적) 해석학

-모든 종류의 텍스트를 ‘이해하는 기술’로 정의

-이전의 신학적 해석학이나 문헌학적 해석학과 같은 해석학의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좀 더 보편적인 지반에서 해석과 이해의 문제를 볼 수 있게 했다.

• 해석학적 순환

슐라이어마허

(16)

빌헬름 딜타이 (Wilhelm Dilthey, 1833년11월19일~1911년 10월 1일)

• 독일의 역사학자이자 심리학자, 해석과 의미에 대한 연구를 하는 해석학 연구자이고 철학자.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연구로부터 영감을 받았다.

•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연구를 거쳐 역사적 생의 이해, 역사적 의미의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해석학 의 방법론을 확립한다.

• ‘해석학적 순환’ 개념 정립

• 실존철학, 문에학, 양식학, 유형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

딜타이

(17)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 1889년9월26일~1976년5월26일)

• 현대 독일의 철학자

• 존재의 해석학(Hermeneutic of Being)

• 해석학적 현상학

• 저서 [존재와 시간(1927)]

•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존재하는 것은 무엇 인가를 묻고, 존재를 스스로 이해하고 있는 인간의 존재, 현존재의 분석으로부터 시작 한다.

• 선이해(Vorverständnis)

예지(Vorhabe, 미리 가짐) · 예시(Vorsicht, 미리 봄) ·예악(Vorgriff, 미리 붙잡음)이라는 '이해의 선구조'에

따라 텍스트 전체의 '의미의 예취'(Antizipation des Sinnes)

하이데거

(18)

•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Hans-Georg Gadamer, 1900년2월11일~2002년3월14일

• 독일의 철학자

• 딜타이의 정신과학 방법론과 하이데거의 존재론 에서부터 출발하였으나 후에 독자적 해석학을 전개.

• 예술작품의 존재론 정립과 철학적 해석학 전개

• 저서 [진리와 방법(Wahrheit und methode),1960]

• 텍스트를 읽을 때뿐만 아니라 모든 개인적 경험에서

그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은 해석의 행위를 포함하고 있고, 언어는 시간성과 마찬가지로 경험의 모든 국면에 적용된다고 본다.

• 독자는 자신의 일시적이고 개인적인 지평선에 따라 구성된 ‘선이해’

를 텍스트 이해에 적용한다.

• ‘수용적 개방성’

가다머

(19)

• 에릭 도널드 허쉬(E.D. Hirsch Jr, 1928년3월22일)

• 미국의 문학자, 교육자, 문학 비평가

• 저서 [해석의 타당성],[해석의 목표]

• 의도, 의미, 의의

-작가는 의미를 부여하고 독자는 의의를 부여한다.

-의미는 ‘작자가 의도한 언어적 의미’를 뜻한다.

-의미는 일반적으로 결정적이고 일정하다. 의미는 항상 어떤 특정한 시 점에서 한 개인이 행한 의도적 행위이므로 불변적이라는 주장.

• ‘해석학적 순환’에 대한 재해석

허쉬

(20)

• 해석학은 다분히 과거 작품들에 집중하는 경향.

• 비평의 주 역할이 고전들의 뜻을 이해하는 것임을 시사.

• 문학작품들이 산만하고 불완전하며 내적으로 모순 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많은 이유들이 있음에 도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

해석학적 비평의 한계

(21)

수용미학(독자반응비평)

(22)

차례

1) 독자반응비평의 개념 정의 2) 독자반응비평의 학자와 이론 3) 독자반응비평의 적용

4) 독자반응비평의 한계

(23)

독자반응비평이란?

본문과 독자들 사이의 상호관계에 관심을 기울이고 독자의 반응에서 본문의 의미를 해석하는 비평이론이다. 본문의 의 미 해석에 있어 독자를 반드시 필요한 능동적인 힘으로 보 고, 독자의 다양한 반응(해석)에 따라 본문의 의미가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작가

작품 독자

작품

(24)

독자반응비평의 학자와 이론

볼프강 이저(Wolfgang Iser) – 상호거래적 독자반응이론

모든 텍스트는 두 가지 의미를 제시한다. 확실히 명시되어 있는 사실인 확정적 의미와 독 자가 자신만의 해석을 창조하도록 허락하거나 유도하는 텍스트 내부의 틈새인 불확정적 의미이다. 독자는 확정적 의미들과 개인이 갖고 있는 사전 지식에서 불확정적 의미를 해 석하고, 바로 그 때 텍스트는 작품으로서 완성된다.

노먼 홀런드(Norman Holland) – 정신분석학적 독자반응이론

텍스트를 독자의 경험과 공포, 욕망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이론으로, 독자의 심리적 반응 에 집중하여 독자가 작품을 통해 심리적 만족을 얻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대부분의 문학 텍스트는 독자의 무의식적 공포나 금지된 욕망을 건드리고, 독자는 방어기제를 작동시키 려 한다. 독자는 공포와 욕망을 건드리는 텍스트에 대해 만족을 느낄 수 있게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Hans Robert Jauss) – 기대의 지평

‘기대의 지평’ : 어떤 주어진 시기의 문학 텍스트를 평가하기 위해 독자들이 사용하는 기 준. 야우스는 영국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인 포우프의 시를 예로 든다. 명백함, 자연스러 움, 문체상의 어울림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포우프의 시는 18세기 후반에는 상상력의 부 족을 이유로 저평가되었고 현대에서는 기대의 지평이 재변화함으로 위트, 복잡성, 도덕 적 통찰 등으로 고평가된다. 기대의 지평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며 작품의 의미를 결정적 으로 확립하지는 못한다.

(25)

독자반응비평의 적용

영화 <설국열차> 속 에너지 블록 - 정신분석학적 독자반응비평

열차 마지막 칸 승객의 에너지 공급원이자 주식 사실 에너지 블록의 원료는 바퀴벌레이다.

독자의 해석

우리가 먹는 음식에도 이런 비밀이 있는 것은 아닐까?

설국열차 속 마지막 칸 승객이라고 볼 수 있는 시민에게도 이런 불이익이 보이지 않게 있진 않을까?

정부의 정책에 항상 의문을 제기하는 정치적 시민의 모습을 지녀야겠다.

(26)

독자반응비평의 적용

영화 <설국열차> 속 북극곰 - 상호거래적 독자반응비평

결말 – 북극곰의 등장

작가의 메시지 : 열차 밖에 나가면 얼어 죽을 것이다라고 알았지만 사 실은 생존 가능한 환경이었다.

독자의 해석 : 평소 TV 광고로 본 코카콜라 북극곰과 닮은 곰의 등장.

‘콜라를 마시고 싶다.’라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27)

독자반응비평의 한계

1) 저자의 의도에 대한 관심이 매우 결여되어 있다.

2) 다른 비평이론(구조주의, 현상학, 해석학 등)을 바탕으로 해석하므로 포괄적이지 못하다.

3) 독자반응비평은 복잡성과 과다한 독서를 토대로 본문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므로 현대의 독자들에게 매우 힘든 방법이다.

4) 문학 중심적이므로, 종교적 입장과 역사적 입장을 가지

고 해석하는 이들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

다.

(28)

eader-response

Criticism

(29)

I

E D

X

(30)

20세기 이전 작품과 독자의 관계가 수동적으로 인식

1920년대 신비평에 의해 인식이 조금씩 바뀌기 시작

신비평가들은 작품을 사회, 작가, 독자의 영향으로부터 자 유로운 객체로 인식하고자 했음.

 신비평의 편협성에 대안으로 나온 것.

작품을 만들어 낸 것은 작가 이지만 그 것에 의미를 부여 해주는 것은 독자가 작품을 읽는 과정에서 나온다고 주장 하는 독자반응비평.

(31)

 모든 문학작품은 텍스트 그 자체로서는 아무 의미가 없으며, 그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독자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에 의해 의미가 새롭게 창출된다.

독자반응이론에 근거하면 독자의 의미는 본문의 수동적 이해자에서 능동적 참여자로 확대된다.

하나의 작품을 두고도 다양한 독자들에 의해 다양한 의미가 나올 수 있다는 것. 즉 문학 텍스트의 이해란, 이것을 읽고, 소화시키는 '독자의 반응'에 의해 서 이루어지고, 텍스트의 의미내용은 이에 대한 독자의 반응들이 모인 집합 체이며, 이를 근거로 작품평가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 독자반응 비평가들은 어느 작품을 의미의 완성된 구조로서 취급하지 않고, 독자가 그것을 읽을 때 일어나는 반응을 중시. 문학작품은 독자의 마음속에 새롭게 연출되는 행위로 바뀌게 된다고 보고 있다. 즉, 읽기의 과정에서 독 자를 능동적인 의미 구성자로 보고, 독자는 주어진 텍스트에서 이미 정해져 있는 의미를 찾는 것이 아니라 독자 개인의 삶을 기초로 다양한 해석을 하 는 것으로 이해.

(32)
(33)

Hans Robert Jauss “Horizons of Expectations”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기대 지평”

 독일의 ‘수용’이론가 야우스는 독자중심비평에 역사적 차원을 부여. 즉 문학작품의 의미는 고정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작품의 이해의 역사적 전 개과정 속에서 파악할 수 있음.

 ‘문학이론에 대한 도전으로서의 문학사’에서 야 우스는 “어떤 텍스트의 해석적인 수용은 심미적 인식의 경험 맥락을 언제나 전제하고 있는 것”이 라고 말함으로써 이미 형성된 독자의 미적 경험 맥락을 중요시 하고 있음.

 야우스에 따르면 독자는 어떤 텍스트에도 역사적 으로 형성된 ‘기대지평’을 가지고 접근하는데, 여 기서 기대지평은 해당 텍스트 및 문학 일반에 관 한 독자의 지식과 가정들로 이루어짐.

(34)

독일의 독서이론가인 이저는 독자를 텍스트의 의미산 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역할과 저자와 동등한 위 치를 갖는 존재로 인식.

 이저는 독자는 텍스트 속에 존재하지는 않지만 암시 되어 있는 부분들을 자신의 상상력으로 만들어 낸다 고 함. 그에게 해석은 독차의 창조적 행위이며 텍스트 는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함.

 그는 독자의 독서행위는 작품에 이미 암시되어 있는 것을 찾아내어 채우고 성취시키는 것일 뿐, 진정한 창 의력과 의미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 그에게 독자는

‘내포독자(implied reader)’일 뿐.

Wolfgang Iser “Implied Reader”

볼프강 이저 “내포독자”

(35)

Stanley Fish “The Informed Reader”

스탠리 피쉬 “정통한 독자”

 피쉬는 이저와 달리 독자가 채우는 간격이 독자의 것이라고 주장.

독자의 위치를 텍스트의 위치보다 높게 보고 있음.

 그는 문학작품이 현실로 나타나는 것은 독서행위, 즉 수용의 과정을 통해서이기 때문에 독자의 문학적 경험을 강조.

 '텍스트의 의미'란 밀가루에서 면을 뽑아내듯이 텍스 트 속에서 의미를 뽑아내는 것이 아니고, 독서과정 에서 생성되는 독자의 경험에 의해서 산출되는 것.

문학은 독자의 마음속에서 드러나는 일련의 사건이 나 고정된 대상이 아니다.

(36)

 독자반응비평은 여러 다른 비평의 이론들이 독자의 반응에 의해서 새로이 창 출된다는 생각을 공통 분모로 하여 한데 모인 거대한 비평의 흐름.

 독자반응비평은 기존에 절대적이었던 저자의 권위에 도전하여 독자에게 참여 할 기회를 주었으며 독자에게 능동적 성향을 가져다 주었다. 그리고 인간의 차이를 인정했으며 독자와 저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 했다. 또 다양성 과 포용성을 내세운다는 점에서 해석의 가능성을 확대 시켰으며 텍스트에 기 존해 있는 것 이상의 것을 찾아내도록 독자에게 동기유발과 창의력을 허용한 다는 점에서 비평이론에서 차지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

영향

(37)

 독자반응비평이론은 문학교육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일구어내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론에서 전제로 하고 있는 독자가 ‘이상적 독자’이기 때 문. 이저의 ‘내포독자’나 피쉬의 ‘정통한 독자’개념은 이상적 독자를 전제로 한 것인데 이 것은 현실적인 독자와 모순을 일으킬 수 밖에 없다. 이상적 독자는 작가와 약호를 함께 공유하고 있으며 혼란이나 지체 없이 텍스트의 의미를 읽을 수 있는 인물이다. 그런데 실제로 보통 학습자들은 완전한 해석 능력을 갖춘 독자가 아니기 때문에 그에 대한 극복 방안이 필요한데 구체적인 대안 이 마련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반응비평은 시 해석의 추상적인 지침 을 마련해 줄 수는 있었지만 구체적으로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 한계를 가지 고 있다.

한계

참조

관련 문서

구체적으로는 첫째, 사회적 자본이 물리적비용 과 심리적 반응,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둘째, 물리적비용과 심리적 반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윤재원( 200 4) 은 ‘ 무용 활동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에서 무용전공자의 개 인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에는 부분적으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위축행동의 원인으로 이근매 (2003)는 대부분의 유아는 집단에 속하여 소속감과 만족 감을 가지고 활동을 하지만, 적응에 문제를 가진 유아는 환경변화에 대한 심리적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멘토링 기능과 심리적 안녕감을 파악하고, 멘토링 기능 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임

셋째,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은 사회적 유능감에 사회적 지지와 물질적지지 정도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문

아로마테라피 처치가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 처치 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검사(심리적 안정감 검사) 결과를

다섯째, 육상 우수·비우수 선수 간에 따른 심리적 요인의 차이 분석 결과 하위 요인인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심리적 요인의 하위요인인 자신감에

심리적 행복감은 심리적 안녕감을 연구한 Br adbum( 1 969) 의 연구를 시작으로 사 용 되었으며,백경숙과 권용신( 20 05) 은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대처방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