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 울 시 중 학 생 의 체 육 수 업 에 대 한 만 족 및 흥 미 도 조 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서 울 시 중 학 생 의 체 육 수 업 에 대 한 만 족 및 흥 미 도 조 사 "

Copied!
10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서 울 시 중 학 생 의 체 육 수 업 에 대 한 만 족 및 흥 미 도 조 사

Research of satisfaction and interest degre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이 청 용

2 0 0 2

(2)

서 울 시 중 학 생 들 의 체 육 수 업 에 대 한 만 족 및 흥 미 도 조 사

지 도 교 수 김 창 규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2년 12월 30일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체 육 교 육 학 과

이 청 용

2 0 0 2

(3)

이 청 용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002년 12월 30일

심사위원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국문초록

서 울 시 중 학 생 의 체 육 수 업 에 대 한 만 족 및 흥 미 도 조 사

이 청 용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과 선호하는 체육수업의 형태 를 조사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할 내용을 ‘1) 학교체육 관심에 관한 인식도, 2) 체육수업 효과에 대한 인식도, 3) 체육수업 선호에 대한 인식도, 4) 체육교사에 관한 인식도, 5) 남․여 합반 수업에 관한 인식도’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남학교2개 학교, 여학교 2개 학교, 남녀공학 2개 학교를 선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636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 자 료로 사용하였으며, 남여합반 중학교의 체육수업 의식 및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10.0 Version을 사용하여 카이자승( χ2 ), 교차분석(학교별․

성별)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체육 관심에 관한 인식도는 남․여 모두 체육수업이 중요하다고 생각하 고 있으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요성이나 관심도를 높게 가지고 있다. 체육수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은 운동이 좋고, 친구들과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체육수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학생은 취미나 소질이 없거나, 수업준 비가 귀찮고, 활동하기가 싫다는 이유와 체육선생님이 싫기 때문에 체육수업에 관심 을 가지고 있지 않다. 체육수업을 받는 목적으로 남학생은 자기의 체력과 건강 증진

(5)

을 위한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고, 여학생은 교과목의 하나이기 때문이라는 소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체육수업 효과에 대한 인식도는 체육수업을 통한 체력증진, 스트레스와 긴 장해소, 체육수업과 사회성과의 관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고, 여학생은 대체로 긍정적이기는 하지만 체육수업이 스트레스와 긴장해 소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고가 높다.

셋째, 체육수업 선호에 대한 인식도는 남․여 모두 스포츠를 가장 선호하고 있다.

가장 선호하는 스포츠 종목은 자기 자신이 가장 잘하고 재미가 있어 하는 이유로 남학생은 축구와 농구, 여학생은 피구, 스키, 발야구, 배드민턴, 수영을 선택했다. 이 러한 종목 선택은 남․여 모두 친구나 TV등 대중매체에서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무엇보다도 본인 스스로 결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넷째, 체육교사에 관한 인식도는 체육교사를 다른 교과의 교사와 다를 것이 없다 고 생각하고 있다.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은 특정 종목(1.2개)만 잘한다고 생각하고 있 고, 지도능력은 이론과 실기 모두 보통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남학생 이 여학생보다는 체육교사의 능력과 학생의견 수용 정도에 대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고, 남․여 모두 학생들을 잘 이해해주는 체육교사를 원하고 있다.

다섯째, 남․여 합반 수업에 관한 인식도는 남․여 모두 남․여합반 수업의 필요 성과 효과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고, 이성에 대해 이해하는 것에도 크게 도움을 받지 못하였다. 그래도 남․여 합반 수업으로 인하여 분위기가 좋아진다고 생각한 다. 하지만, 남․여 합반 수업으로 인하여 남학생은 운동기회를 많이 못 갖게 되고, 여학생은 신체적 부끄러움을 느끼지만 남학생보다는 남․여 합반 수업을 더 희망하 고 있다.

(6)

목 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2

3. 연구 문제 ··· 3

4.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1. 체육 수업의 특성 ··· 4

2. 체육 수업의 실태 ··· 5

3. 체육 수업의 만족도 ··· 8

4. 선행연구 ··· 11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 15

2. 연구 기간 ··· 16

3. 조사 도구 ··· 16

4. 자료 처리 ··· 18

(7)

Ⅳ. 결과 및 고찰

1. 체육수업의 관심에 관한 인식도 ··· 19

2. 체육수업 효과에 대한 인식도 ··· 34

3. 체육수업 선호(흥미)에 대한 인식도 ··· 40

4. 체육교사에 관한 인식도 ··· 49

5. 남․여 합반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도(남학교, 여학교) ··· 59

6.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 및 필요성(남․여공학교) ··· 67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 78

2. 제언 ··· 80

참고문헌

··· 81

부록(설문지)-Ⅰ 남학교, 여학교

··· 86

부록(설문지)-Ⅱ 남․여공학교

··· 90

ABSTRACT

(8)

표 목 차

표 1. 연구 대상 및 학생수 ··· 15

표 2. 연구 기간 및 절차 ··· 16

표 3.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 (설문지-Ⅰ) ··· 17

표 3-1.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 (설문지-Ⅱ) ··· 17

표 4. 체육수업의 중요성 ··· 20

표 5. 체육수업의 관심도 ··· 22

표 6.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 ··· 24

표 7.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 ··· 26

표 8. 체육수업을 받는 목적 ··· 28

표 9. 체육수업 전 심리상태 ··· 30

표 10. 체육수업 실시 후 느낌 ··· 32

표 11. 체육수업과 체력증진과의 관계 ··· 35

표 12. 체육수업의 스트레스와 긴장해소와의 관계 ··· 37

표 13. 체육수업과 사회성과의 관계 ··· 39

표 14. 체육수업 선호종목 ··· 41

(9)

표 14-1. 스포츠 선호종목 ··· 44

표 15. 종목 선택의 이유 ··· 46

표 16. 종목 선택 시 영향을 준 요인 ··· 48

표 17. 체육교사의 실기능력 ··· 50

표 18. 체육교사의 지도능력 ··· 52

표 19.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 53

표 20. 학생들이 원하는 체육교사 ··· 55

표 21. 체육교사의 학생 의견 수용 정도 ··· 57

표 22.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의 필요성 ··· 60

표 23.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이 이성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61

표 24.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의 효과성 ··· 63

표 25.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의 긍정성 ··· 65

표 26. 남․여 합반 수업의 필요성 ··· 68

표 27. 남․여 합반 수업이 이성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69

표 28. 남․여 합반 수업의 효과성 ··· 71

표 29. 남․여 합반 수업의 긍정성 ··· 73

표 30. 남․여 합반 수업의 부정성 ··· 75

표 31. 남․여 분반 체육수업 희망 ··· 76

(10)

그 림 목 차

그림 1. 체육수업의 중요성 ··· 20

그림 2. 체육수업의 관심도 ··· 22

그림 3.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 ··· 24

그림 4.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 ··· 26

그림 5. 체육수업을 받는 목적 ··· 28

그림 6. 체육수업 전 심리상태 ··· 30

그림 7. 체육수업 실시 후 느낌 ··· 32

그림 8. 체육수업과 체력증진과의 관계 ··· 35

그림 9. 체육수업의 스트레스와 긴장해소와의 관계 ··· 37

그림 10. 체육수업과 사회성과의 관계 ··· 39

그림 11. 체육수업 선호종목 ··· 41

그림 11-1. 스포츠 선호종목 ··· 43

그림 12. 종목 선택의 이유 ··· 46

그림 13. 종목 선택 시 영향을 준 요인 ··· 48

그림 14. 체육교사의 실기능력 ··· 50

(11)

그림 15. 체육교사의 지도능력 ··· 52

그림 16.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 54

그림 17. 학생들이 원하는 체육교사 ··· 56

그림 18. 체육교사의 학생 의견 수용 정도 ··· 57

그림 19.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의 필요성 ··· 60

그림 20.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이 이성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62

그림 21.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의 효과성 ··· 64

그림 22. 남․여 합반 혼성 체육수업의 긍정성 ··· 66

그림 23. 남․여 합반 수업의 필요성 ··· 68

그림 20. 남․여 합반 수업이 이성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70

그림 21. 남․여 합반 수업의 효과성 ··· 71

그림 22. 남․여 합반 수업의 긍정성 ··· 73

그림 23. 남․여 합반 수업의 부정성 ··· 75

그림 24. 남․여 분반 체육수업 희망 ··· 77

(12)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사회 각각의 영역에서 21세기를 준비하는 현 시점에서 교육이 가장 중요한 관심 대상으로 지목 받고 있다. 거기에 따른 노력으로 우리 나라 교육의 현실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이 세계화의 중요한 핵심이 되기 때문에 교육위 질을 높이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초, 중, 고등학교 교육에 큰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개혁과 검토가 계속되고 있다. 그 만큼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이 하나의 독립된 성인으로 되기 위한 기본적 인 내용들을 얻는 과정이기에 교육의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체육이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발달을 야기 시키는 교과임은 이미 많은 사람이 인정하고 있다. 이렇게 체육의 중요성은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육은 잠재된 신 체적 능력과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여 운동욕구를 실현하고 건강을 추구하는 신체활동에 대한 교과이다. 따라서 체육은 신체활동을 통하여 운동 능력을 개발하고 건강을 증진시켜 풍요로운 삶을 향유할 수 있게 하며, 체육문화를 계승 발 전시키는 교과이다. (교육부, 1994) 학교교육이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행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체육 수업의 시수는 줄어들고 그나마 행해지는 수업도 진학을 위한 타 교 과목 수업으로 대치되고 있는 사실은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현상은 남, 여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관심도 저하,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저하, 체육교사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 학부모의 체육에 대한 관심 부족, 학교 체육시설의 부족 및 열악한 환경 등에서 오는 교육 수요자의 불만족이 그 원인이라 하겠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체육수업에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위주의 수업계획 수립과 개인의 능력을 고려한 수업 전개, 학생활동 중심의 교과활동, 체육

(13)

수업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최순자, 1998)

학습자의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는 교사의 지식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학 습자가 필연적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여야 한다. 학습자는 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학습 주체로서 체육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에 따라 체육 학습의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 참여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모송 근, 1993) 그래서 체육 수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는 무엇보다도 먼저 수업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하며 학습자가 그 수업을 얼마나 받아 들이냐 하는 수용도를 파 악할 필요가 있다. 체육수업을 행하는데 있어서 즐거움과 긴장의 해소 그리고 성취 감을 주지 못한다면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갖게 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체육 수업이 운영되는데 필요한 자료로서 체육 수업의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도 중요한 과정이겠지만, 체육 수업에 일하는 학습자들이 체육 수업의 목표에 얼마나 달성되었는지, 학습자들이 얼마나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도 중요하겠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료를 찾아 학습 자로 하여금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어 학습동기 유발이 가능하도록 하며, 앞으로의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교 체육수업 방향 및 개선방안을 조사, 연구하 여 효율적인 수업 운영으로 자료 및 현장의 체육교사의 체육 수업에 효과를 거두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4)

3. 연구 문제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교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도, 만족도, 선호도,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1) 학교별, 남․여 성별에 따라 학교체육의 관심 및 흥미에 관한 차이가 있을 것 이다.

(2) 학교별, 남․여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효과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학교별, 남․여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 선호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학교별, 남․여 성별에 따라 체육교사에 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5) 학교별, 남․여 성별에 따라 남․여 합반 수업에 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1)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개의 지역 구청만을 조사 대상으 로 한정하였기에 결과는 완전한 표집의 대표성을 가졌다고 불 수 없다. 그러므로 결 과를 전국적인 차원에서 일반화하기에 주의가 요구된다.

2) 본 연구에서 피험자인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어 영 향을 줄 수 있는 시설 및 기타 변인은 통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에 주의가 요구된다.

3) 연구 대상의 학교별 / 학년별 / 성별 인원 비율에는 다소의 차이가 있다.

4) 피검자는 본 연구 도구인 설문지에 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15)

Ⅱ. 이론적 배경

1. 체육 수업의 특성

체육 수업이란 신체활동을 통해서 체육의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교 재 단위로서의 체육 활동을 말한다. 그러나 신체활동을 통하여 행해지는 교육이라고 해서 모든 신체활동이 무조건 다 포함되는 것이 아니며, 이와 같은 목표를 실현시키 기 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적절한 신체활동이 선택되어져야 한다.(윤익호, 1978) 체육 활동은 인간의 활동인 이상 정신활동을 동반하는 것이며, 신체활동을 하는 데에는 정신활동의 영역인 지각이나 기억, 판단, 정서 등의 정신현상을 반드시 포함 하는 종합 활동이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현재의 체육활동이 학생들에게는 신 체활동으로써 정신활동에 대칭 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 있다는 점이다.(임번장, 1980)

체육 수업이 타 교과와 다른 점은 학생과 교사 상호간에도 신체 접촉이 빈번하다 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체적 접촉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체육의 목적을 어디 에 두는가? 즉 오로지 승리에만 있느냐? 아니면 인간과 인간의 신체적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인격 형성에 있느냐? 에 따라서 그 효과도 달라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체 육의 특성은 교재로서의 운동경기에서 연유하겠지만 본질적으로 경쟁적인 활동이라 고 할 수 있다.

Lawther(1972)는 체육 수업이 근육발달 훈련, 지구력 훈련 또는 일반적인 체력 훈 련을 위한 규정된 운동이라면, 그것은 본래의 의미와 즐거움이 대부분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경쟁면에 있어서의 경쟁은 자신의 기록 갱신이나 상대의 능력을 능가하 기 위하여, 즉 운동수행 능력 증진에 필요 불가결한 동기유발 요인이 된다. 그러나 학교 체육에서 지나친 경쟁심을 유발하거나 승패에 중점을 둔다면 학교 체육의 고 유한 영역을 벗어날 우려가 있다.

또한 체육 활동에 있어서의 경쟁 장면을 통해서 엄격한 규칙을 준수하고 심판을

(16)

존중하며, 상대에 대한 적대심이 아닌 존중심이 발휘되는 스포츠맨쉽이 길러지고 이 러한 체육 장면에서 길러진 준법정신이나 사회성은 학교생활을 떠나 사회생활을 하 게 될 때에 크게 전이된다. 효율적인 체육 수업은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 에도 큰 도움을 주게 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2. 체육 수업의 실태

첫째, 체육수업 실태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해보면 이창학(1988)은 경기도내 소 재의 인문계 남․여 고등학교 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학교별로 나누 어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의 학습지도 내용이 영역별로 고르게 지도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최 희란(1997)은 현행 중학교 체육 교육과정의 분석에 따른 운영상의 문제점에서 교과 목표나 학습내용, 교수방법, 평가가 보다 현실적, 교육적 측면에서 그 목적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현재 교육여건의 개선이 시급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을 과밀 학급과 운동시설의 부족, 용구의 부족, 수업 시수의 부족 등 환경적 요인이 크게 문제시되 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명길(1990)은 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의식 조사연 구에서 남여 고등학생 대부분이 체육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있고, 흥미를 갖는 이 유는 건강에 좋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수업 방법은 실기 위주이며, 체육 수업 이 교과과정대로 이행되고 있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김종세(1991)는 여고생들의 체 육수업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에서 여고생들은 대체로 체육수업을 좋아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체력과 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체육 수업이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이론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해보면 한상하(1995)는 중등체육교사의 교 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실태에 관한 심층적 연구에서 교과서의 활용 시기는 학년초에 학습 진도나 연간 계획 수립 시 목차를 정하고, 단원을 결정하는데 활용하

(17)

며, 실제 수업에는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또한 교과서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로는 교육경력이 오래되면서 학습 내용의 파악과 공을 주며 놀도록 하 는 구습 속에 안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정영하(1986)는 중등학교 체육교과 서 활용도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학생들은 체육이론 수업 및 교과서의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비교적 높게 생각하고 있는 반면, 이론수업의 방법에 대해서는 만족치 못 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셋째, 실기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해 보면 이명길(1900)은 고등학생들의 체 육수업에 관한 의식 조사연구에서 수업 비율은 실기 위주인 반면, 시설 및 용구가 부족하여 효율적인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김종세(1991)는 여고생 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체육수업이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목을 실시하지 못하는 이유는 시설 및 용기구 의 부족이 가장 큰 이유라고 지적하였다. 장 영(1998)은 중학교 체육교과서 내용의 현실성에 관한 연구에서 계절운동과 대부분의 개인운동은 수업 시설 및 용구의 부 족으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이외에도 교사 본인의 기능 미숙과 학 생 상해의 위험으로 인해 지도되고 있지 않는 세부 학습 내용들이 있다고 보고하였 다. 안재준(1989)은 고교생들의 체육수업 관심도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대부분의 고 교생들이 시설 및 기구 부족과 교사의 교수방법에 대해 불만이 있으며, 시설 확충 및 효율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길 원한다고 하였다.

넷째, 평가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해 보면 이창학(1988)은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교과 전도 및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보고하 였다. 신승윤(1989)은 중등학교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실기와 필기의 비 중이 7 : 3 이었으며, 평가 요인별 비중은 실기, 필기, 태도라고 하였다. 정유세, 송 면환(1988)은 중학교 체육교사의 평가분석에서 이론 평가는 연간 2회 실시한다고 하 였다.

다섯째, 교과서 내용 만족도 및 체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고찰해보면 이

(18)

영덕(1985)은 교사가 지니고 있는 교과서 관에 관한 연구에서 “교과서란 어떠한 것 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대하여 교사의 95%가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 중의 하나이다. 라고 응답했으나, “선생님께서 실제로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대하여 32.1%의 교사가 “교과서에 있는 대로 가르친다.”라고 응답하였 고, 67.7%의 교사가 “삭제, 첨가, 재조직해서 가르친다”에 응답했다고 하였다. 정영 하(1986)는 중등학교 체육교과서 활용도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학생들은 교과서 내용 및 활용방법 등에 있어서는 만족치 못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이유로는 교과서 내용 이 학교 현실에 맞지 않고, 지나치게 많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하였다. 김명길(1988)은 우리나라 체육과 교과서에 관한 분석 연구에서 2종 교과서 대부분이 교육과정의 내용 중 많은 부분이 제외되어 있다고 하였다.

강신복, 문호준(1996)은 현행 체육교육 과정에 대한 현직 교사의 관심도 분석에서 현행 체육 교육 과정에 대한 중등체육 교사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61.1%가 무관심 단계에 있으며 이것은 현생 체육 교육과정은 학교현장에서 가르치는 일이나 교수 활동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하였다. 모송근(1993)은 중학교 체육 교과서 실기 내용과 중학생의 실기 선호에 관한 조사 연구에서 현행 교과서는 시대 및 현실에 맞지 않고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와는 무관하게 내용이 구성되었으며, 교 과서 별로 제외된 내용이 많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볼 때 이론수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로 인해 교과서가 정상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과서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을 학교의 현실적 시설 및 여건상, 또는 수업 시수의 제한상 가르칠 수 없는 내용들을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해야 한다. 또한 현행의 입시위주의 과열 경쟁으로 인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업 시수가 감소되고, 주지 교과목으로 대 치되는 현상은 사라져야 할 것이며, 체육이 현행이 입시위주의 교육풍토에서 비주지 교과목이자 비 입시 교과목이지만 학생들의 정신 건강과 체력 향상을 위해 필수 교 과목임을 인식할 때 학교 교육이 정상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승묵 (1999)

(19)

3. 체육 수업의 만족도 1) 수업 운영

수업운영이란 수업활동을 조직하고 변경하고, 용구의 배치를 지시라고 정규적 수업활동을 수행하는 등의 목적에서 표출되는 언어적, 비언어적 교사행동을 말한다.

박상길(1992) 올바른 수업운영은 간단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수업이 참가 학 생에게 어떤 의도된 방법에서 행해지기 이전 즉, 확정된 과제가 달성되기 이전에 또 한 수업이 즐겁고 만족스러우며 가치 있는 것이 되기 위해서는 주의 깊은 사고, 정 확한 판단, 계획 등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모든 최상의 조건이 갖추어진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업의 시작에서부터 끝까지의 세밀한 계획을 세우 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또한 체육 수업은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로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학습자 특성과 가르치려는 과제의 특성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려는 수업이 실행되어야 한다. 우영배(1994)는 학생들이 수업에 만족하는 이유로 스트레스 해소와 운동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하였지만, 선생님의 지도방법 에 많은 문제점들을 제시하였으며, 강지원(1994)은 교사들이 수업 목표를 운동을 즐 기는 태도를 형성하여주고 운동 후 효과적인 면은 이해하게 하고 이론지도 내용에 서 이론과 건강지도를 하였다. 이와 같이 수업 운영 면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지도방법

모든 교육은 결국 교사가 결정한다. 모든 아름다운 교육정책 참신한 교육과정 계 획과 교육이론도 교사의 자질, 교사의 행동이라는 장벽을 여과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이시은, 1993) 체육학습은 교사의 성격과 지도방법에 따라 크게 그 효과가 달 라진다. Lippit는 지도자의 성격에 따라 전제적 지도자, 방임적 지도자, 민주적 지도 자로 구분하였다. 전제적 지도자는 지시적 명령적인데 체육에서 유희의 즐거움을 빼

(20)

앗는 결과를 가져와 즐거운 신체적 움직임을 통한 건강증진이라는 목적달성에 역행 하는 수가 있다. 또 방임적 지도자는 체육을 누구나 가르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하고 체육교과의 국가적 사회적 책무성을 다하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서 체육을 교 육의 장에서 추방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전정자, 1990) 따라서 체육학 습에서 요구되는 지도자 상은 민주적이고 언제나 노력하는 지도자이어야 한다.

체육에서의 지도방법은 다른 교과와 달리 인간의 신체활동을 매개로 하는 학습을 하는데 특색이 있다. 이러한 특색으로 인하여 체육의 지도방법은 기능위주의 단습적 인 전통적 지도방법에 입각하여 교사가 가르쳐야할 활동을 선택하고 그것을 간단히 설명하고 시범을 보이는 것을 위주로 했다. 그러나 Heitmamn은 지도과정에 따른 학습단계에 대하여 지도자는 학습자를 진단하고 처방하며 학습내용을 정착화 시키 고 자신감을 주어 자기 평가를 하게 한 다음 최종평가를 내려야 한다고 하였다. 이 러한 내용에 따르면 교사는 수업계획을 입안하여 학생에게 전달하고 학습자를 최종 목표로 이끌어 나가는데 그 임무가 있다고 본다. 그렇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윤형탁, 1994)

최준식(1988)의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에 의하면 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적인 특성과 학습지도에 대한 만족도 가 전문적인 특성에 관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1,3학년이 2학년보다 높게 나타 났고, 계열별로는 실업계의 만족도가 높고 성적별로는 성적이 높을수록 높은 만족도 를 나타냈다.

안재환(1989), 구봉근(1993)은 고등학생의 수업에 관한 관심도 조사에서 수업시 교 사의 시범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정자(1990)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실태 조사엣 교사들이 목표 의식 불분 명으로 체육의 교육적인 가치가 상실되었다고 하였고, 우영배(1994)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육 학습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에서 교사의 지도방법에 문제점이 많 다고 조사하였다.

(21)

그러나 조성은(1993)체육 수업운영 실태 조사에서 교육목표에 따른 수업진행 지도 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상반된 결과는 학생들과 교사간이 지도방법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 수업환경

시설 및 용구는 체육학습지도에 있어 학습을 보다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 조건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동기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 문에 체육학습의 효율화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체육은 그 학습내용이 주로 신체활 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 신체활동은 시설과 용구를 매체로 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체육 교육을 위해서는 넓은 공간과 여러 가지 학습용구가 필 수적이다. 또 체육시설 및 용구의 종류, 수량 및 질적 문제가 동시에 고려될 수밖에 없는 것은 학습자의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시설 및 용구는 학습자의 활동량을 좌우하는 것으로서 질, 양에서 얼마나 좋은 경험을 학습자들에게 부여할 것인가를 결정 지운다. 이와 같이 체육 시설적인 목적 달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의미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김문규, 1992)

정재환(1998)은 시설, 용구, 기구의 확충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가장 많은 희망 사항이며, 안재준(1989)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관심도 조사에서 시설, 기 구, 용구 등 여러 가지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 운동을 하고 싶지만 하지 못한다고 하 였다. 최윤숙(1992)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수업운영 실태 조사에서 시설 및 용구 보 완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 하였다.

이와 같이 효율적인 체육 수업운영의 가장 큰 장애는 수업환경 중 시설, 용구, 기 구에 관한 요인이다.

(22)

(4) 건강생활

건강위주는 건강의 달성과 유지를 위해 조직화된 신체활동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 한 건강주의는 체육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주장되었다. 개인주의와 건강주의의 결합 은 사회적 관심과 책임보다는 개인으로서의 건강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교에서의 보건교육은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보건의 기본적인 개념을 습 득시켜 자기의 건강문제는 자기 자신이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 르기 위한 것이다.(김동근, 1989)

백운경(1992)은 건강에 대한 요구가 절실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여고생 및 교사 들이 보건은 매우 필요한 교육으로 생각한다 하였다. 김선혜(1992)는 수업하기 가장 어려운 내용이 가족 생활과 성교육이라 하였고, 이유로는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가 미비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박남이(1995)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보건교 육 개선 방안 연구에서 98.8%가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조사한 바 있다. 이 렇게 중요하게 인식되는 보건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은 학교 행 정 담당자의 적극적인 인식 부족과 체육 수업 운영이 기초체력 및 운동 중심으로 이루어져 실내 수업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보건 수업에 대한 교과서 활동 계 획이 잘 수립되어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김동근, 1989)

또한 김정옥(1989)은 고교생들이 보건영역 중 가장 흥미 있어 하는 부분은 건강생 활 부분이라 하였다. 이와 같이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관심에 비 해 교육되어지는 실태는 매우 열악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 교재와 교수 방 법의 계발 및 학교 관계 기관의 정책적인 뒷받침이 요구된다.

4. 선행연구

우리나라의 중학교에 관한 연구들 중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선행연구 논 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3)

보다 나은 체육수업환경을 모색해 온 다수의 연구들은 학생들이 일반수업보다 체 육수업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이수영, 1985; 남한웅, 1991; 이명철, 1990;

김윤희, 1999; 권순정, 1998; 정갑신, 1999; 엄세용, 1999; 정찬옥, 1997; 윤병옥, 1997). 이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중생은 모두 체육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 며(이수영, 1985), 남녀학생 모두가 체육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남한웅, 1991). 대체적으로 운동에 대한 흥미도와 관심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 다 높았고(정찬옥, 1997), 최근에 이루어진 권순정(1998)의 연구에서도 대부분의 남 녀학생들이 체육을 좋아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체육을 좋아하는 정도에는 남녀간의 차이가 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더 긍정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학년 간에도 학년이 낮을수 록 체육수업을 선호하였는데(정갑신, 1999), 김영조(1992)의 연구는 학년간의 차이가 나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정자(1997)는 체육에 대한 관심도에 학년의 차 는 없으나 지역, 성별간의 차이가 있다고 하여 많은 변인에 의해 체육에 대한 관심 도에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체육수업을 좋아하는 이유로는 남녀모두 체육시간을 통해 건강이나 체력을 증진 시키고,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수업이 진행되며, 스트레스가 해소되어 운동을 좋 아한다고 하였다(이수영, 1985; 이명철, 1990; 김윤희, 1999; 정갑신, 1999; 엄세용, 1999).

그러나 남한웅(1991)은 열거한 이유 외에도 기분전환에 체육수업이 공헌하고 있음 을 밝혔다. 또한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관심이 높아 체육수업에 임하는 태도가 긍정적인 반면 여학생은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남한웅, 1991; 김영조, 1992; 엄세용, 1999).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연구 로 김상국(2000)은 신체활동의 욕구가 왕성한 남학생은 체육수업의 흥미도, 참여도, 만족도가 높은 반면, 여학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하였다. 또 곽은창․박은 서(1998)도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이 체육시간에 대하여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생각과

(24)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권순정(1998)은 남학생이 여학생과 비교하여 훨씬 높은 신체적 자신감과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하였다.

이만형(1981)은 서울시 남․여 중학교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의 인식에 대하여 조 사 연구를 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스포츠의 필요성을 인정한다고 하였지만 남 학생이 여학생보다 관심이나 스포츠 경기에의 참여도가 높다고 하였다.

김우만(1987)은 동두천시의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운동과 체육수업 흥미에 관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남학생은 1주일에 3∼4시간의 체육수업을 받기 원한다고 하 였으며, 여학생은 1주일에 2~3시간의 체육수업을 받기 원한다는 결과를 얻기도 하였 다.

민배식(1991)은 서울시와 인천시의 남․여 중학교 학생과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 로 체육수업 시간에 대한 흥미도 조사 연구를 하여 그들 모두가 체육 수업시간에 체육복이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윤병옥(1997)은 체육수업의 관심도에 대한 조사 연구에서 대체로 체육수업에 관심 이 많으며 좋아하는 운동 종목으로는 농구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체육 시 설의 부족과 체육교사에 대하여는 수업시간에 열심히 가르치고 인간교육을 가르치 는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생각한다는 결론을 얻고 있다.

김동철(2000)의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에서 체육수업의 중요성 은 전체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여학생들보다는 남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고,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 대해 흥미를 갖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볼 때 ‘운동을 좋아해서’라는 학생이 많았지만, 여학생의 경우에 는 ‘친구들과 즐길 수 있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또한 체육시간이 싫은 이 유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취미나 소질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많았지만, ‘수업준비 가 귀찮아서’라고 응답한 학생도 많았다. 체육수업을 받는 목적은 전체적으로 체력 과 건강증진을 위해서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여학생들의 경우에는 교과목의 하나이 기 때문에 체육을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체육실시 후 느낌은 남학생들의 경우는

(25)

‘기분이 상쾌해진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지만, 여학생들의 경우 ‘그저 그렇다’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김한기(1997)의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에서 체육수업이 자신 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에 도움이 되는 효과에 대해서 남녀학생 모두 ‘도움 이 된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 식하고 있었다. 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하여 남녀학생이 ‘그저 그렇다’라고 인식하 는 경향을 보였으나, ‘뛰어나다’고 인식하는 경향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 다. 교사의 학생 의견 수용태도에 대하여는 전체적으로 ‘무시한다.’라는 인식을 가지 고 있었다.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은 잘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도방법이 여 학생이 ‘창의적이고 효율적이다’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남학생은 ‘이론적 배경 없이 경험에 의해서만 지도한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선호하는 체육수 업은 ‘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체육의 기본 종목인 ‘육상’과 ‘체조’는 상대적으 로 낮게 나타났다.

강신복(1999)은 중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여 체육수업의 학습참여유형을 분석 하였는데 진지형과 착실형의 태도를 보이는 학생들은 학습활동에 적극적이고, 운동 참여수준, 체력, 운동기능 수준이 뛰어나며 경쟁의식도 높아 교사에 지시에 잘 따르 는 등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의무형이나, 기피형의 모 습을 보이는 학생들은 학습활동에 마지못해 참여하는 소극적인 면을 보이며, 아예 기피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운동기능수준도 낮았으며, 운동에 대한 흥미도 낮았다.

또한 수업 참여 중 급우들과 잡담을 하거나 장난을 치는 경우가 빈번하며 대부분의 여학생들이 여기에 속한다고 하였다.

권순정(1998)은 남학생들이 남․여 공학 혼성수업에서 운동신경, 체력, 지구력, 유 연성이 높다고 하였다. 그러한 학생들은 기능수준, 체력수준을 떠나 혼성학급보다는 동성학급을 더 선호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체육수업활동 형태에 대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혼성학급의 형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점차적으로 여학생들도 혼성학급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26)

Ⅲ.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 및 흥미를 조사,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과 방법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표본 추출과정에서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대 상으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개의 지역 구청을 유층집락 무선표집하여 각 지역 구청 산하 학교 유형별로 남중학교 1개교, 여중학교 1개교, 남․여 공학중1개교 총 6개교를 본 연구의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및 학생수는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대상 및 학생수

구 분 학 생 수 백 분 율 (%)

학교

B 중학교(남) 105 16.5

S 중학교(여) 119 18.7

Y 중학교(남․여공학) 90 14.1

D 중학교(남) 109 17.1

K 중학교(여) 113 17.7

S 중학교(남․여공학) 100 15.7

학 년

1 학 년 222 34.9

2 학 년 204 32.0

3 학 년 210 33.1

성 별 남 자 314 49.5

여 자 322 50.5

계 636 100

(27)

2. 연구 기간

연구의 기간은 2001년 11월 1일부터 2002년 11월 30일까지로 구체적인 일정은 표 2와 같다.

표 2. 연구 기간

내 용 날 짜

연구 계획 및 문제설정 2001년 11월 1일 ~ 2001년 12월 31일 참고 문헌 및 자료수집 2002년 1월 1일 ~ 2002년 3월 31일 연구 대상 설정 및 표집 2002년 4월 1일 ~ 2002년 4월 30일

설문지 작성 2002년 6월 1일 ~ 2002년 6월 31일 설문지 배부 및 회수 2002년 7월 5일 ~ 2002년 7월 31일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 2002년 8월 1일 ~ 2002년 10월 30일

논문 작성 2002년 10월 1일 ~ 2002년 11월 30일

3. 조사 도구

1) 설문지 구성

사용된 도구는 김동철 (2000)의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연구, 오인환 (2001)의 남․여 공학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김한기 (1997)의 중학생 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김의영 (1988)의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관심도 연구에서 나타난 설문지의 문항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28)

표 3. 설문지-Ⅰ 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1 (남자중 ․ 여자중)

구성지표 구성내용 문항수 합계

개인통계학적 특성 학교, 성별, 학년 3

체육수업 인식요인 및 관심,흥미요인

학교체육 관심 요인 관심도, 이유, 목적, 느낌 7

체육수업 효과 요인 신체, 심리, 사회성 3

체육수업 선호 요인 선호종목, 이유, 영향(흥미) 3

체육교사 수업 요인 능력, 인격 5

남․여 합반수업 선호요인 선호, 필요성, 영향 4 25문항

표 3-1. 설문지-Ⅱ 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2 (남․여 공학중)

구성지표 구성내용 문항수 합계

개인통계학적 특성 학교, 성별, 학년 3

체육수업 인식요인 및 관심,흥미요인

학교체육 관심 요인 관심도, 이유, 목적, 느낌 7

체육수업 효과 요인 신체, 심리, 사회성 3

체육수업 선호 요인 선호종목, 이유, 영향(흥미) 3

체육교사 수업 요인 능력, 인격 5

남․여 합반수업 요인 필요성, 선호, 영향 6 27문항

2) 예비 검사

예비검사(pilot test)는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첫 번째 예비검사는 전문가 집 단 12명(사회학자 2인, 국민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과 석․박사 과정생 10인) 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검사목적은 설문내용의 적합성 및 설문 문항이 우리 나라 실 정에 적용 가능한 내용인지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두 번째 예비검사는 본 연 구에 포함되지 않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두 번째 예비검사 목적은 첫 번 째 예비검사를 통하여 수정된 설문지 내용의 적합성을 평가함과 아울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설문지 초안은 예비검사를 통하여 질문내용의 접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다

(29)

음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이를 수정하여 본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구성된 설문지는 남자중․여자중의 신뢰도 계수인 Cronbach'α 값이 .78 과 남․여 공학중의 신뢰도 계수인 Cronbach'α 값이 .75인 것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신뢰도에 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자료 처리

자료 수집은 본 연구자가 직접 대상학교를 방문하여 체육 주임 교사에게 협조를 의뢰하여 각 학년별 담당 교사들로 하여금 학생들에게 응답요령 및 주의사항을 설 명한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stration method)의로 작성하도록 하고 즉시 설 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이중기입 및 무기입한 자료는 분 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유효표본만을 코딩에 지칭에 따라 부호화하여 자료를 컴퓨 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는 SPSS Windows 10.0 Version을 사용하였 으며, 구체적인 통계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각 문항 별로 단순빈도, 총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2) 서울시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 의식 및 만족, 흥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 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의 카이자승( χ2 ), 교차분석(학년별․성별)을 사용 하였다.

3) 집단간 평균 및 빈도 차이 검증시 유의수준은 α= .05로 하였다.

(30)

Ⅳ. 결과 및 고찰

1. 학교체육 관심에 관한 인식도

학교체육 관심에 관한 인식도로 ‘체육수업의 중요성, 체육수업의 관심도, 체육수업 에 관심(흥미)이 높은 이유, 체육수업에 관심(흥미)이 없는 이유, 체육수업을 받는 목적, 체육수업 전 심리상태, 체육수업 실시 후 느낌’을 알아보고자 한다.

1) 체육수업의 중요성

‘문항 1. 학교 수업 중 체육수업은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체육수 업이 ‘매우 중요하다’라는 응답은 남학교학생 36.4%, 여학교학생 10.3%, 남․여공학 교 21.0%-(남학생 15.7%, 여학생 5.3%)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많았으며, ‘중요하다’

라는 응답도 남학교학생 39.2%, 남․여공학교 38.9%-(남학생 25.2%, 여학생 13.7%), 여학교학생 27.5%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많았다.. 보통이다’라는 응답은 여학교학 생 19.6%, 남․여공학교 33.6%-(남학생 11.5%, 여학생 22.1%), 남학교학생 19.6%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많았으며 남학교는 비교적 응답이 적었다. ‘중요하지 않다’라는 응답도 여학교학생 7.8%, 남․여공학교 6.3%-(남학생 0%, 여학생 6.3%), 남학교학 생 0.9%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많았으며 남학교는 비교적 응답이 적었다. ‘잘 모르 겠다’라는 응답은 여학교학생 4.3%, 남학교학생 3.7%, 남․여공학교 0%로 남․여공 학교는 한 명도 없으며 나머지 학교는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체육시간의 중요성에 대해서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34.9%, 와

‘중요하다’의 응답이 34.9%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매우 중요하다’(22.3%), ‘중요하 지 않다’(5.0%), ‘잘 모르겠다’(2.8%) 순서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각 학교별(남․여)간의 빈도와 백분율은 표 4와 그림 1 과 같다. 각 학교별․성별에 대한 체육 수업의 중요성 인식은 유의수준 0.05에서 통

(31)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체육수업의 중요성

단위 : 명(%)

구분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전체 χ2 df p

남 여

매우 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 않다

잘 모르겠다

78 84 42 2 8

24 64 116

18 10

30 48 22 0 0

10 26 42 12 0

142(22.3) 160(26.4) 222(34.9) 32(5.0) 18(2.8)

154.013 4 0.000

계 214 232 190 636

36.4 39.2

19.6

3.7 10.3

27.5

4.3

21

38.9

6.3

0.9 0

7.8 19.6

33.6

0 5 10 15 20 25 30 35 40 45

매우 중요하다 중요하다 보통이다 중요하지 않다 잘 모르겠다

%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그림 1. 체육수업의 중요성

위의 결과를 보면 ‘매우 중요하다’에 대한 응답에 남학교학생이 매우 높게 나타났 으며 상대적으로 여학교학생이 가장 적었으며, 남․여공학교에서도 역시 남학생의 응답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중요하다’의 응답엔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남학교 학생과 남․여공학교와의 응답에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보통이다’의 응답에 남․여공학교의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혼성수업에서의 여학생들의 응

(32)

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중요하지 않다’와 ‘잘 모르겠다’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 나고 있어 체육수업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각 학교별․성별의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남․여 모두 부정적인 견해보다는 대체로 긍정적 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볼 때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2) 체육수업의 관심도

‘문항 2. 체육수업의 관심도는 어느 정도입니까?’라는 질문에 체육수업에 대해서

‘매우 관심이 높다’라는 응답은 남학교학생 30.8%, 여학교학생 5.1%, 남․여공학교 18.9%-(남학생 17.8%, 여학생 1.1%)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많았으며, ‘관심이 있다’

라는 응답도 남학교학생 45.7%, 남․여공학교 34.7%-(남학생 18.9%, 여학생 15.8%), 여학교학생 31.0%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많았다. ‘그저 그렇다’라는 응답은 여학교 학생 43.1%, 남․여공학교 40%-(남학생 13.6%, 여학생 26.4%), 남학교학생 17.8%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많았다. ‘관심이 없다’라는 응답도 여학교학생 18.1%, 남․여공 학교 5.2%-(남학생 2.1%, 여학생 3.1%), 남학교학생 4.6%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많았다. ‘전혀 관심이 없다’라는 응답 역시 여학교학생 2.5%, 남․여공학교 1.1%-(남 학생 0%, 여학생 1.1%), 남학교학생 0.9%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많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체육수업의 관심도에 대해서는 ‘관심이 있다’라는 응답이 37.1%

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그저 그렇다’(33.6%), ‘매우 관심이 높다’(17.9%), ‘관심 이 없다’(9.7%), ‘전혀 관심이 없다’(1.6%) 순서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의 관심도에 대한 각 학교별(남․여)간의 빈도와 백분율은 표 5와 그림 2 와 같다. 각 학교별․성별에 대한 체육수업의 관심도는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표 5. 체육수업의 관심도 단위 : 명(%)

구분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전체 χ2 df p

남 여

매우 관심이 높다 관심이 있다

그저 그렇다 관심이 없다 전혀 관심이 없다

66 98 38 10 2

12 72 100

42 6

34 36 26 4 0

2 30 50 6 2

114(17.9) 236(37.1) 214(33.6) 62(9.7) 10(1.6)

147.535 4 0.000

계 214 232 190 636

30.8

45.7

17.7

0.9 5.1

31

2.5

18.9

34.7

40

1.1

4.6 18.1 43.1

5.2

0 5 1 0 1 5 2 0 2 5 3 0 3 5 4 0 4 5 5 0

매우 관심이 높다 관심이 있다 그저 그렇다 관심이 없다 전혀 관심이 없다

%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그림 2. 체육수업의 관심도

위의 결과를 보면 남학교학생과 남․여공학교 학생은 ‘매우 관심이 높다’와 ‘관심 이 있다’의 응답이 ‘관심이 없다’와 ‘전혀 관심 없다’에 비해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체육수업에 관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학교학생은 ‘매우 관 심이 있다’에 대한 응답이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그저 그렇다’와 ‘관심이 없다’ 에 서는 남학생들보다 매우 높은 응답을 보였다. 또한 남․여공학교 학생은 여학교와 비슷하게 ‘그저 그렇다’를 중심으로 ‘관심이 있다’의 응답에 특히 남학생이 많았으며,

‘관심이 없다’의 응답이 여학생을 중심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체적으 로 남학생과 여학생을 비교하여 보면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체육수업의 관심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4)

3) 체육수업에 관심(흥미)이 높은 이유

‘문항 3. 체육수업에 관심(흥미)이 높은 이유는?’라는 질문에 ‘2번 문항 중 ①,②번 을 답한 경우’로서 긍정적인 응답을 한 남학생 총 314명중 238명, 여학생 총 322명 중 122명에 대하여 ‘운동에 소질이 있어서’라는 응답은 여학교학생 11.9%(10명), 남 학교학생 7.2%(12명), 남․여공학교 5.4%(6명)-남학생 1.8%(2명), 여학생 3.6%(4명) 으로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다소 많게 나타났으며, ‘운동이 좋아서’라는 응답도 남학 교학생 44.5%(74명), 남․여공학교 32.7%(36명)-남학생 27.3%(30명), 여학생 10.9%(6명), 여학교학생 30.9%(26명)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매우 많았다. ‘체육선생 님이 좋아서’라는 응답은 남학교학생 1.2%(2명), 여학교학생 2.3%(2명), 남․여공학 교 3.6%(4명)-남학생 3.6%(4명), 여학생 0%(0명)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많이 응 답했다. ‘친구들과 즐길 수 있어서’라는 응답은 남학교학생 27.7%(46명), 여학교학생 16.6%(14명), 남․여공학교 29.0%(32명)-남학생 14.5%(16명), 여학생 14.5%(16명)로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기분전환이 되므로’라는 응답은 여학교 학생 11.9%(10명), 남학교 학생 7.2%(12명), 남․여공학교 3.6%(4명)-남학생 3.6%(4명), 여학생 0%(0 명)으로 여학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에 좋아서’라는 응답에는 남학교학 생 9.6%(16명), 여학교학생 16.64%(14명), 남․여공학교 24.6%(26명)-남학생 12.7%(14명), 여학생 11.9%(12명)로 나타났다. ‘기타’의 내용으로는 ‘밖으로 나갈 수 있으니까, 답답한 교실이 싫어서 등’의 내용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는 ‘운동이 좋아서 ’라는 응답이 21.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친구들과 즐길 수 있어서’(14.5%), ‘건강에 좋아 서’(8.8%) ‘기분전환이 되므로’(4.1%), ‘운동에 소질이 있어서’(4.4%), ‘기타’(2.2%), ‘체 육선생님이 좋아서’(1.3%) 순서로 나타났다.

이 문항에 대한 결과는 남․여 응답자의 수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백분율보 다는 빈도수를 보는 것이 좋겠다.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에 대한 각 학교(남․여) 간의 빈도와 백분율은 표 6

(35)

과 그림 3과 같다. 각 학교별․성별에 대한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의 인식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

단위 : 명(%)

구분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전체 χ2 df p

남 여

운동에 소질이 있어서 운동이 좋아서 체육선생님이 좋아서 친구들과 즐길 수 있어서

기분전환이 되므로 건강에 좋아서

기 타

12 74 2 46 12 16 4

10 26 2 14 10 14 8

2 30

4 16

4 14

2 4 6 0 16

0 12

0

28(7.8) 136(37.8)

8(2.2) 92(25.6)

26(7.2) 56(15.6)

14(3.9)

129.322 6 0.000

계 166 84 110 360(100.0)

7 . 2

4 4 . 5

1 . 2

7 . 2 9 . 6

2 . 4 1 1 . 9

3 0 . 9

1 1 . 9

1 6 . 6

9 . 5 5 . 4

3 2 . 7

3 . 6

2 9

3 . 6

2 3 . 6

1 . 8 2 7 . 7

1 6 . 6

2 . 3 0

5 1 0 1 5 2 0 2 5 3 0 3 5 4 0 4 5 5 0

운 동 에 소 질 이 있 어 서

운 동 이 좋 아

체 육 선 생 님 이 좋 아 서

친 구 들 과 즐 길 수 있 어 서

기 분 전 환 이 되 므 로

건 강 에 좋 아 서 기 타

%

남 학 교 여 학 교 남 여 공 학

그림 3.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

위의 결과를 보면 ‘운동에 소질이 있어서’의 응답엔 여학교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친구들과 즐길 수 있어서’에는 남학교학생과 남․여공 학교학생들에 비해서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는 남학교 학생은 ‘운동이 좋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친구들과 즐길 수 있어 서’, ‘건강에 좋아서’의 응답이 높고, ‘운동에 소질이 있어서’와 ‘기분전환이 되므로’는 똑같이 나타났다. ‘체육선생님이 좋아서’의 응답은 166명중 겨우 2명에 불과한 것으

(36)

로 나타났다. 여학교학생의 경우는 체육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로 ‘운동이 좋아서’

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와 ‘건강에 좋아서’, 그리고 ‘기분 전환이 되므로’의 순서로 나타났다. ‘체육선생님이 좋아서’의 응답은 84명중 2명으로 소수인 원에 불과하고, ‘운동에 소질이 있어서’의 응답은 10명으로 비교적 높은 관심과 건 강에 좋아서라는 높은 관심을 나타났다. 남․여공학교의 학생들 모두 남학교 학생과 여학교 학생과 같이 남학생은 ‘운동이 좋아서’에 응답을 높게 보이며, 여학생은 ‘친 구들과 즐길 수 있어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남․여 모두 체육 수업에 관심이 높은 이유는 ‘운동이 좋아서’와 ‘친구들과 즐길 수 있어서’로 나타났 으며 특히 여학생들의 운동에 관한 관심이 증가했음을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수 있 다.

4) 체육수업에 관심(흥미)이 없는 이유

‘문항 4.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는?’라는 질문에 ‘2번 문항 중 ④,⑤번을 답 한 경우’로서 부정적인 응답을 한 남학생 총 314명중 18명, 여학생 총 322명중 56명 에 대하여 ‘취미나 소질이 없어서’라는 응답은 여학교학생 20.8%(10명), 남․여공학 교-남학생 14.2%(2명)로 나타났고, ‘수업준비가 귀찮아서’라는 응답은 여학교학생 16.6%(8명)으로 나타났으며 남학교학생과 남․여공학교 학생들은 응답이 없었다.

‘활동하기가 싫어서’라는 응답은 남학교학생 33.3%(4명), 여학교학생 29.1%(14명), 남․여공학교 42.8%(6명)-남학생 14.3%(2명), 여학생 28.5%(4명)로 나타났고, ‘체육 선생님이 싫어서’라는 응답은 여학교학생 8.3%(4명), 남․여공학교-남학생 0%(0명), 여학생 14.3%(2)으로 나타났다. ‘몸이 약해서’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힘들고 어려워서’라는 응답에는 남학교학생 50.0%(6명), 여 학교학생 12.5%(6명), 남․여공학교-남학생 0%(0명), 여학생 14.2%(2명)로 나타났다.

‘기타’의 내용으로는 수업 내용이 싫어서, ‘중요하지 않아서, 매일 하는 것이 똑같아 서 등’이 있었다.

(37)

전체적으로 볼 때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활동하기가 싫어서’

라는 응답이 32.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힘들고 어려워서’(18.9%), ‘취미나 소 질이 없어서’(16.2%), ‘기타’(13.5%), ‘수업준비가 귀찮아서’(10.8%), ‘체육선생님이 싫 어서’(8.1%) 순서로 나타났다. ‘몸이 약해서’라는 질문에 대해 아무런 응답이 없는 자신의 몸이 건강하다는 긍정적인 면을 보이고 있다.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에 대한 각 학교별(남․여) 간의 빈도와 백분율은 표 7과 그림 4와 같다. 각 학교별․성별에 대한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의 인식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

단위 : 명(%)

구분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전체 χ2 df p

남 여

취미나 소질이 없어서 수업준비가 귀찮아서 활동하기가 싫어서 체육선생님이 싫어서

몸이 약해서 힘들고 어려워서

기 타

0 0 4 0 0 6 2

10 8 14

4 0 6 6

2 0 2 0 0 0 2

0 0 4 2 0 2 0

12(16.2) 8(10.8) 24(32.4)

6(8.1) 0(0) 14(18.9) 10(13.5)

8.243 6 0.000

계 12 48 14 74(100.0)

0 0

3 3 . 3

0

5

1 6 . 6 2 0 . 8

1 6 . 6

0

1 2 . 5 1 2 . 5

1 4 . 2

0

4 2 . 8

1 4 . 2

0

1 4 . 2 1 4 . 2

0 8 . 3 2 9 . 1

0 5 1 0 1 5 2 0 2 5 3 0 3 5 4 0 4 5

취 미 나 소 질 이 없 어 서

수 업 준 비 가 귀 찮 아 서

활 동 하 기 가 싫 어 서

체 육 선 생 님 이 싫 어 서

몸 이 약 해 서 힘 들 고 어 려 워

기 타

%

남 학 교 여 학 교 남 여 공 학

그림 4. 체육수업에 관심이 없는 이유

수치

표  3.  설문지-Ⅰ  의  구성지표와  구성내용-1  (남자중  ․  여자중) 구성지표 구성내용 문항수 합계 개인통계학적  특성 학교,  성별,  학년 3 체육수업  인식요인  및  관심,흥미요인 학교체육  관심  요인  관심도,  이유,  목적,  느낌  7체육수업  효과  요인신체,  심리,  사회성 3체육수업  선호  요인선호종목,  이유,  영향(흥미)3체육교사  수업  요인 능력,  인격 5 남․여  합반수업  선호요인 선호,  필요성,  영
표  5.  체육수업의  관심도                                                                                                              단위  :  명(%)  구분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전체 χ 2 df p 남 여 매우  관심이  높다   관심이  있다 그저  그렇다  관심이  없다 전혀  관심이  없다 66983810 2 1272 100426 34362640
표  10.  체육수업  실시  후  느낌 단위  :  명(%)  구분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전체 χ 2 df p 남 여 기분이  상쾌하다 피곤하다 수업  분위기가  산만하다 그저  그렇다 기분이  나빠진다 96402256 0 4268268610 48244240 142418340 200(31.4)156(24.5)70(11.0)200(31.4)10(1.6) 111.780 4 0.000 계 214 232 190 636 4 4
표  13.  체육수업과  사회성과의  관계 단위  :  명(%)  구분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 전체 χ 2 df p 남 여 매우  도움이  된다 조금  도움이  된다 그저  그렇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5688546 10 1248 1263412 24442840 8 265222 100(15.7)206(32.4)260(40.9)46(7.2)24(3.8) 164.421 4 0.000 계 214 232 190 636 2 6
+7

참조

관련 문서

Last part of this section is an example to emphasize that the class of the Leavitt path algebras of ultragraphs is strictly larger than the class of the Leavitt path

- 국제 드림 휘트니스회의는 민간단체 대표자의 정보교환의 장으로 Sport for All운동 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제2조 스포츠 진흥은 인간성을 발전시키는 하나의

• Abusive husbands come from all social classes, but more come from the lower class and their education levels tend to be. lower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Sometimes the big reason, people lack energy is because they are confused about their purpose in life and they are not doing the work they feel they should be doing..

When static keyword is used with the variables and the methods, it signifies that these members belongs to the class and these members are shared by all the objects of

W Well, I like to discuss things with others, but I don’t think I’m fluent enough to take the class.. M Actually, the brochure says the class

That is, high-class farms are much more beneficial to adopt point system because they marked more higher sales income in the cooperative pooling system t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