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Ⅰ)"

Copied!
23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

Study on the Realization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Ⅰ)

(2)

국토연 2009-32․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

지은이․정문섭․조춘만․권혁기․김계욱․최재성 / 펴낸이․ 박양호 / 펴낸곳․국토연구원 출판등록․제2-22호 / 인쇄․2009년 12월 20일 / 발행․2009년 12월 31일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로 224 (431-712)

전화․031-380-0114(대표), 031-380-0426(배포) / 팩스․031-380-0470 ISBN․978-89-8182-662-8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B170500 http://www.krihs.re.kr

Ⓒ2009, 국토연구원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3)

국토연 2009-32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 Study on the Realization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Ⅰ)

정문섭․조춘만․권혁기․김계욱․최재성

(4)

연 구 진

연구책임 정문섭 GIS연구센터장 연구진 조춘만 책임연구원

권혁기 연구원 김계욱 연구원 최재성 연구원

협동연구 김명수 가톨릭대학 교수

Christopher D. Ellis 미시간대 교수 최용복 제주대학교 교수

연구심의위원 김영표 부원장(주심)

류재영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장 정일호 도로정책연구센터장 김근용 부동산시장연구센터장 양하백 선임연구위원 연구협의(자문)위원 전호인 경원대학교 교수

이득우 유비스티 대표이사 이영진 경일대학교 교수 김태진 충주대학교 교수 최봉문 목원대학교 교수 이상호 한밭대학교 교수 강영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박정희 안양시청 팀장

(5)

P ․ R ․ E ․ F ․ A ․ C ․ E

발 간 사

1980년부터 추진된 국토공간정보화사업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경제사회적 수요변화와 함께 진보를 거듭해 오고 있다. 국토정보체계구축사업, 국가GIS사업, U-CITY구축사업 등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국토정보 수요에 부응하여 지리정보 와 속성정보 및 국토상황정보 등을 구축해오고 있고 이를 활용한 활용체계구축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30년에 이른 국토공간정보화 사업은 공공부문의 수요를 어느 정도 충 족시키고 있는 실정이나, 민간수요 측면에서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으로 평가되 고 있다. 또한 최근의 국토공간정보서비스 범위의 확대, 유비쿼터스 기술 등 첨 단정보통신기술의 발전, 국토공간정보의 확대구축 등 국토정보화 추진상의 패러 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토공간정보사업의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공공차원에서는 초광역권 등 국토공간범위의 확대, 지역의 상생발전, 국 토개발과 환경의 조화, 도시의 재생 등 국토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 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또한 민간차원에서는 지역 및 도시의 자원 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및 도시 브랜드화사업을 추진하여 국토공간공동체 구축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공간과 정보통신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종합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분 야 간의 통섭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즉 그동안 공급자 중심에 치중했던 공간계

(6)

획, 정보통신계획, 첨단공간서비스계획, 시설계획 등의 사업을 종합적으로 재편 하여 첨단국토 및 도시공간을 창조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2차원의 속성정보 위주의 웹서비스 차원 가상공간을 스토리가 있는 3차원 가 상공간으로 발전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현실공간에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의 국 토공간서비스를 창조하여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연동화하는 제3의 공간을 창 조할 시점인 것이다.

이러한 공간상의 확대를 통하여 가상국토공간을 통한 국토공간의 확대발전과 현실국토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노력을 통 하여 관련 산업과 분야가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6-2020)에서 제시된 디지 털통합국토 추진에 기여하고 특히 정체되어 있는 국토공간정보화사업의 활력소 로써 국토공간정보화사업 추진에 일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 동안 본 연구에 연구책임자로 참여한 정문섭 GIS연구센터장과 조춘만 박사 등 연구진의 열정과 노고를 치하하며 연구수행 과정에서 적극적인 협조를 아끼 지 않은 관련기관의 공무원과 전문가 여러분에게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09년 12월 국토연구원장 박양호

(7)

F ․ O ․ R ․ E ․ W ․ O ․ R ․ D

서 문

1970년대 말부터 현재 4차 수정계획이 입안중인 국토종합계획은 국토공간을

디자인하여 한반도의 절반을 살기 좋은 공간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국토계획, 지 역계획, 도시계획, 주택계획, 토지계획, 교통계획, 수자원계획, 건설경제계획, 국 토정보계획 등 다양한 국토공간계획이 종합적으로 추진되어 현실국토공간을 변 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국토공간계획 중 국토정보화사업은 1980년 초반 기획되어 속성정보 위 주의 정보화사업에서 지리정보를 포함한 국가GIS사업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국 토공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1995년부터 시작된 국가GIS사업은 국내 국토정보화사업 추진에 한 획을 그었다. 제1, 2차 국가GIS사 업을 통하여 국가GIS정책, 기본지리정보, GIS표준, GIS정보유통, GIS기술개발 등 국가공간정보기반(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등을 구축하여 GIS활용 체계 개발 사업을 가속화하였다. 현재는 제3차 국가GIS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유 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하여 다양한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과 GIS활용체계 고도화사업을 진행중이다.

그러나 지리정보만의 기반조성과 활용체계 개발은 그 한계를 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부처별 국토지능화 구 축 및 기술개발사업 등이 추진 중이고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도시정보화 추진의 일환으로 첨단도시(u-city) 구축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8)

그러나 현재 추진 중인 국토공간정보화사업은 국토 및 도시계획 등 국토공간 계획, U-CITY 계획 등 첨단공간서비스 계획, 국가GIS계획 등 공간정보계획 등 관련계획이 별도로 추진되고 있고, 부처별 첨단기술의 개별적인 추진, 첨단국토 공간서비스의 중복적인 추진 등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를 직 접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민간에서는 종합적인 차원의 접근이 아닌 미시적인 측 면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국토공간정보사업의 중장기적인 발전을 가져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토공간정보와 관련한 계 획, 기술, 국토공간콘텐츠, 법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국토공간상에 종합적으로 투영하여 국민의 피부에 와 닿는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금년도에는 지구(ZONE)차원의 디지털통합공간을 제시하여 이를 중장기적 으로 확대하여 도시차원과 국토차원의 디지털통합국토를 완성할 수 있는 방안 을 중장기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담보할 수 있는 실험사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을 통하여 침체되어 있는 국토공간정 보 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한편 다양한 국토공간상의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기본모형, 서비스모델 등의 확대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범위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정책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다 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차년도 연구를 통하여 현실국 토공간의 지능화와 가상국토공간의 연동을 공고히 하는 중단기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동안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를 위하여 수고해 주신 관련기관 전문가 여러분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는 바이며, 디지털통합공간 추진 개념이 공공행정과 특히 국민의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 이다.

2009년 12월 연구위원 정 문 섭

(9)

S ․ U ․ M ․ M ․ A ․ R ․ Y

요 약

본 연구는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 내용 및 절차 등 연구개요를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디지털융합시대에 걸맞은 국 토지능화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유비쿼터스공간의 선행사례를 검토하고 유비 쿼터스정보기술(U-IT) 적용에 의한 공간활용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발전 단 계에 따른 공간개념의 패러다임 변모양상과 분야별 유비쿼터스 공간구현의 현황 에 따른 국토 지능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고찰해보았다. 3장에서는 선행연구 와 사례를 바탕으로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을 정의하고 필요성, 구성요 소, 공간분류별 특성을 통해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를 수립하였다. 디지털 통합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개념정립 과정의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비전과 목표를 통해 기본방향을 세우고 공간구현을 위 한 세부적인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법과 정책지원, 모델표준화, 융합콘텐츠 구 상, 기기간 융합 및 기능구현과 계획부문별 추진전략을 통해 각 단계를 제시하였 다. 5장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실험사업의 개요 및 내용 과 구현 프로세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구축 및 실험운영을 사례화하였다. 6장에 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과 관련하여 관련 법제도 정비 방안과 관련 정책지 원방안을 제시하였다. 7장에서는 본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특징 및 한계, 정책 건의 및 향후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10)

제1장 서론

본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연구의 방법, 연구의 주요 내용, 연구의 절차 등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융합의 시대가 도래하여 공간정보의 융합적 활용 및 산업화 지원 등의 요구가 많아졌고, 최근 국토관리 및 활용 패러다임에 변화에 따른 국토 유비쿼터 스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1995년부터 시작된 국토정보화사업은 공간정 보기반을 구축하고 공공부문의 다양한 활용체계구축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제4 차 국토종합계획』및 『제3차 국가 GIS계획』이 수정되는 시점이다. 또 2008년 부터 각 지자체별로 추진되어온 U-City사업의 표준화 및 지원정책 마련의 일환 으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그리고 각종 관련 지침들 을 제시되는 실정이며 첨단국토 및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국토 유비쿼터스 화의 실행을 위한 부처 간 협력추진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황에서 본 연구는 국토의 유비쿼터스화를 명제로 신 국토공간의 패 러다임인 ‘디지털통합공간’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국토공간 첨단화, 공간정 보의 역할정립 및 활용 고도화가 요구되고 국토첨단화 기반기술 발굴 및 활성화 와 표준화가 시급한 큰 그림의 필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의 연구범위는 시간적으로 2011년부터 2020년, 공간적으로 국토 전역 의 지상․지하․해양․공중 등을 포괄한다. 당해 연도의 내용적 범위는 디지털 통합공간의 개념을 수립, 기본구상 및 실현구축방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간정보 관련제도, 해외 첨단공간서 비스 현황조사, 디지털통합공간 경제성 분석 등에 관해 국내외 관계 전문가등 관 산학연과 협동연구를 수행하며, 디지털통합공간의 모델링을 공동 추진하였다.

또한 현실과 가상공간의 융합적인 기본구상과 실험연구를 추진하였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공간 구현을 위한 계획단위 유비쿼터스 공간으로서 디지 털통합공간 구축을 위한 개념정립과 세부추진모델을 제시하며 관련 연구 및 사 업 추진에 기여하여 ‘유비쿼터스 국토건설’ 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한 국민삶이 질을 높이며 혁신할 수 있는 다양한 첨단의 융합서비스사업을 도 출하여 신산업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하고 있다.

(11)

제2장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지능화 현황 및 문제점

이 장에서는 21세기 다양한 첨단기술에 의해 발전하는 디지털 융합시대의 흐 름에 따라 국토 지능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국토제반의 공간정보 분 야에서도 다른 산업과의 융합의 추세로 이어짐에 있어 국토 지능화의 필요성과 관련성을 살펴보고 대표적 첨단공간개념에 해당하는 유비쿼터스 공간의 구현 현 황을 분야별로 개관하고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국토 지능화의 문제점을 종합정리하고 그 개선을 위한 접근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보기술 발전에 의한 인간의 컴퓨터 활용 특성을 시대적으로 구분해보면 제

3기까지 구분한다. 이러한 발전에서 정보기술의 활용은 디지털융합 현상을 가속

하고 이제까지의 정보‧콘텐츠 및 기기 그리고 그들 상호간 융합현상에서 더 나 이가 U-IT기술과 만나면서 인간‧사물‧공간 간 융합으로 진화되어간다. 유비쿼터 스 정보기술(U-IT)의 적용에 의한 디지털융합의 영역확대는 국토 공간정보와 그 기반기술의 중핵적 역할에 더욱 의존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국토공간 정 보화 및 지능화 기술의 발전은 국토공간 첨단화를 촉진하여 국가의 생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공간정보기반 디지털융합의 핵심기술 개발로 신산업의 부 가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IT기반 첨단기술이 발전하며 국토공간 개념이 진화하는데 단계적으로 보면 물 리공간으로서 도시공간, 전자공간, 유비쿼터스 공간으로 나뉘어볼 수 있고 물리 공간과 전자공간이 융합된 새로운 신기술 기반의 서비스공간인 유비쿼터스 공간 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또한 국토지능화를 위한 공간 유비쿼터스화의 기본개념에 해당하는 유비쿼터 스공간의 개념정의 및 실제 구현현황을 관(官)계, 산업계, 학술․연구계 및 시 사․언론부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국토공간의 지능화를 위한 기초 공간개 념으로서 유비쿼터스공간의 개념, 조직구성 및 활용의 기초개념체계가 부재하고 각 분야에서 서비스 접근방식이 전자공간 중심의 사고방식에 머물러 있으며 GIS 의 역할정립 및 U-IT와의 유기적 기술융합을 위한 방향제시 미흡하다고 문제점 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토지능화의 개선방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 였다.

(12)

제3장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 수립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융합시대에 현실적용 가능한 기술기반의 유비쿼터스공 간의 계획단위 개념으로서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를 제시한다. 유비쿼터스 공간은 유비쿼터스공간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구축되고 무단절, 개별사용자 중심성, 비가시성 및 정숙성 등의 대표적 특성을 지향하기에 이를 살펴보며, 유 비쿼터스공간 구현을 위한 한계가 있으므로 구현 가능한 서비스 실현을 위해 차 선의 공간개념 및 구현체계로 ‘디지털통합공간(Digital Convergence Space)’를 제 안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적 정의와 운영적 정의를 통해 여러 특징들을 살펴본 다. 디지털통합공간은 공간 유비쿼터스화가 요구되는 특정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서비스 제공이 해당공간에 국한되며 유비쿼터스공간 기반기술의 발전에 따른 단 계적 첨단공간 구현에 적합하다.

디지털통합공간은 유비쿼터스공간의 개념체계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유사 유 비쿼터스공간의 개념체계,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공진화 및 논리적 연계를 위 한 균형 있는 기술개발 및 현실세계에 응용방안,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적용 및 현실화 등 세 측면에서의 디지털통합공간의 필요성을 말하며 구현요소를 크게 정보․콘텐츠, 통신망, 기기, 계획관리시스템 4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의 구성요소 및 상관관계

(13)

구현과정에 있어 전자공간영역, 물리공간영역 그리고 전자․물리공간간 연계 등에 관한 각각의 세부 구현과정을 포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통합공간 구 현 프로세스와 목표서비스 구현을 위한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시스템 (DCS-MS, Digital Convergence Space Planing & Management System)을 제시하였 다. 디지털통합공간의 차별성은 기존 전자공간 중심의 유비쿼터스서비스 지향에 따른 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물리공간에 대한 GIS 공간분석 및 각 단계적 공간지 능화의 접근방식에 있기에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세부구현과정을 각 항목별로 제 시하며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과정은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 프로세스

유비쿼터스공간화를 분류하고 분류별 특성은 목표서비스 분류, 현장․휴대기 기 사용여부, 실내․외부 서비스제공 여부, 공간지능화 요소기술 활용수준, 공간 의 물리적 특성, LBS서비스 구현여부, 공간활용 복합성 여부 등 세부 항목에 따 라 분류하였다.

(14)

제4장 공간구현의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

이 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계념체계를 바탕으로 4대 구현요소인 통신망, 서 비스관리시스템, 현장입출력장치 및 정보콘텐츠 등을 규정하고 각각의 요소별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향후 공간의 실제 구현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에 앞서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의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기본방향 수립 및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세부 추진전략 별 접근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간구현에 있어 3대 비전으로서 인본공간, 첨단공간, 창조공간을 설정하고 이에 조화하는 세부 목표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창조적 융복합 공간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시민생활을 추구하는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유비쿼터스정보기술을 핵심으로 공간정보기반 융합콘텐츠의 국민수요를 극대화하여 다양한 융․복합 신산업을 창출하며 국토공간관리 기반 기술을 고도화하고 결과적으로 효율적 국토공간관리에 이바지에 초점을 둔다.

<그림> 디지털 통합국토 구현의 목표

공간구현의 기본 방향은 ‘디지털통합공간’ 신개념을 통해 새롭게 정립 및 제도 화하여 전 국토 유비쿼터스화의 실제수행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유비쿼터스공간 화의 핵심기술 요소로서 USN 인프라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 GIS를 유비쿼터스 공간 구현과정 상 주요 핵심 기반기술로 하여 기 국축된 국가공간정보 인프라 활용 및 공간정보산업 부흥에 적극 기여해야 함을 제시한다. 또한 국토첨단화의

(15)

<그림>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의 접근방법

신기술을 발굴 활성화하고 물리공간, 전자공간의 공진화 및 효율적 연계를 위해 유비쿼터스공간 개념 및 구현절차를 표준화 및 제도화해야하며 마지막으로 국토 의 유비쿼터스공간화를 기반으로 하향식(top-down) 공간정보 서비스로부터 상향 식(bottom-up) 대국민 첨단공간 서비스체계를 구축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의 세부 추진전략으로 디지털통합공간의 표준모델을 제도화하 기 위해서는 디지털통합공간 모델의 개념정의 및 다양한 공간별 차별화를 이루 고 디지털콘텐츠들의 공간정보기반 신 융합콘텐츠화, 기기간 융합화를 구상으로 콘텐츠별 기기별 상호 효용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능구현 부문, 계 획부문별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디지털통합공간 추진체계를 아래 그림과 같은 방 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의 계획, 구축 및 운영관리 전반에 연계된 기존의 법제도 정비 가 선행되며 융합콘텐츠 및 융합기기의 개발 및 활용에 따른 혼돈과 지연을 막기 위한 해당 분야별 법제도 정비방안 등이 정리․보완되어야 한다.

(16)

<그림>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실험구축 제5장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이장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 실현 연구의 실험 모델로 진행한 실험 시스템 구 축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 10대 브랜드사업 내용 중 문화복 지 분야의 하나인 ‘지능형 문화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서비스모델로 ‘안양예 술공원 안내 서비스’와 ‘문화해설공간 나래터’를 실험 구축하여 디지털통합공간 의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안양예술공원 안내 서비스’는 현실공간에서의 모델로, 현실공간을 센서 네트

워크화하고 사용자 단말기용 UI를 제공함으로써 현실공간 내에서 길안내, 정보 조회 및 정보수신, 미아찾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성된다.

‘문화해설공간 나래터’는 가상공간에서의 모델로, 문화콘텐츠에 해당하는 역

사,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문화 소재들과 실제 좌표를 이용하여 공간정보화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 내 동선을 따라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내레이션)를 보 고, 듣고, 직접 창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두 가지 서비스모델 사례를 통해 디지털통합공간에서 좀 더 구체적으 로 다루어야 할 연구 핵심사항을 도출하여 반영하며, 향후 추진 및 실현방향 수 립 등의 연구에 참조하였다.

(17)

제6장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이 장에서는 5장이 제시한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기본방향과 추진전략을 바 탕으로 실제 실현을 위한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크게 관계 법제도 정비방안 및 정책지원방안 등 2개 부문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관계 법제도 정비방안에 있어 서는 디지털통합공간 표준모델 제도화 방안, GIS기반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 시스템 제도화 방안 및 디지털통합공간 표준 계획체계 제도화 및 관련계획간 연 계방안으로 나눠 정리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 표준모델 제도화 방안은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1)구성 요소, 2)계획프로세스 및 3)운영관리 등 세 부분으로 나뉘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표준모델을 기존 관련법 체계와 연계하여 장기적 정비의 절차를 밟아야한다.

GIS기반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시스템 제도화 방안은 유비쿼터스공간 분류 에 따른 DCS-MS의 목표, 기능 및 구조 등이 점진적으로 세분화되어야한다. 디지 털통합공간 표준 계획체계 제도화 및 관련계획간 연계방안은 국가․지자체 정보 화계획, 국토계획법 및 U-City법 등 유사관계법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디지털통 합공간 표준체계의 법제도기반 역할을 규명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 표준체계 제도화(안)

(18)

한편 관련 정책지원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는 공공주도의 초기 기반인프라 구 축 방안, 디지털통합공간 10대 브랜드사업화 지원방안, 사업 추진체계 제도화 및 중장기 정책지원 로드맵 구축 및 실행가능 재원조달 방안, 수행주체별 역할 분담 등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림> 디지털통합공간 관련 계획부문

(19)

제7장 결론 및 정책건의

유비쿼터스공간 개념의 미래지향적 비현실성을 감안하여 현실 구현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기술(U-IT)을 적용하여 ‘계획단위 유비쿼터스공간’ 즉, 디지털 통합 공간의 개념적 정의를 제시한다. 국토 또는 지자체 관할 구역 전체의 유비쿼터스 공간화는 계획단위 유비쿼터스공간의 확산 적용에 의해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통합 공간의 운영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즉, 인간의 요구에 따라 현실 및 가상공간을 넘나들며 안전과 편안한 삶을 누리기 위해 물리공간을 유비 쿼터스 공간화를 위한 계획단위 단위 공간으로 정의하고,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을 기반으로 디지털콘텐츠, 기기 및 통신망 등을 융합 활용하여 유비쿼터스 서비 스(U-서비스)를 발굴하고 실험하였다.

디지털 통합 공간의 구현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즉 전자공간 인프라 구축 프 로세스, GIS 기반의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시스템(DCS-MS) 구축 프로세스, 디지털 통합 공간 부분별 계획 수립, 디지털 통합 공간 구축 사업 프로세스, 디지 털 통합 공간 서비스 운영 인프라 관리 프로세스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세부 프 로세스를 제시하였다

공간의 대구분을 인간 중심의 살기 좋은 국토공간인 인본공간, 유비쿼터스 기 반의 첨단 국토공간인 첨단공간, 융합 정보 기반 창조적 국토공간인 창조 공간으 로 구분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실천 전략으로서 법제도 정비 및 정책지원 전 략, 디지털 통합 공간 모델 표준화 전략, 공간정보 기반 융합 콘텐츠 구상 전략, 기기(네트워크 포함)간 융합화 전략, 유비쿼터스 기능 구현 전략, 디지털 통합공 간 계획 부문별 추진 전략, 디지털 통합 공간 추진 체계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현재 유비쿼터스공간 실현의 시도는 u-City, u-IT 사업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해당 현실공간의 유비쿼터스공간의 필요성을 과학적으로 이끌어낸 후의 공간 실 현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과학적 공간 계획에 입각한 유비쿼터스공간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명제 및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이 기존 연구 및 사업과 개별화된 특징을 가진다.

(20)
(21)

C ․ O ․ N ․ T ․ E ․ N ․ T ․ S

차 례

발간사 ··· ⅰ 서 문 ··· ⅲ 요 약 ··· ⅴ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 1

2. 연구목적 ··· 3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의 목적 ··· 5

3. 연구범위 ··· 6

4. 연구방법 ··· 6

1) 협동연구 ··· 6

2) 전문가 의견수렴 ··· 7

3) 연구 공동체 운영 ··· 7

4)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융․복합 실험연구 ··· 7

5) 관․산․학․연 협동연구 ··· 7

5. 연구내용 및 수행절차 ··· 8

1) 선행연구 검토 ··· 8

2) 선행연구와 차별성 ··· 9

(22)

제 2 장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지능화 현황 및 문제점

1. 디지털융합시대의 개관 ··· 15 2.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지능화 ··· 17 1) 디지털융합시대의 정보기술 활용 ··· 17 2) 디지털융합시대의 핵심기술 : 유비쿼터스 정보기술(U-IT) ··· 18 3)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지능화 혁신 ··· 20 3. 국토지능화 현황분석 ··· 21 1) IT기반 공간개념의 발달과정 ··· 21 2) 단계별 공간특성 비교 ··· 22 3) 유비쿼터스공간 구현 현황분석 ··· 27 4) 시사점 정리 ··· 36 4. 국토지능화 문제점 종합 및 개선방향 ··· 37 1) 국토지능화 문제점 종합 ··· 37 2) 국토지능화 개선방향 ··· 38

제 3 장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 정립

1. 디지털통합공간의 정의 ··· 41 1) 개념적 정의 ··· 41 2) 운영적 정의 ··· 46 2. 디지털통합공간의 필요성 ··· 47 3.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요소 ··· 48 4. 디지털통합공간 구현 프로세스 정의 ··· 50 1) 기반인프라 사전구축 ··· 51 2) 물리공간의 유비쿼터스공간화 의사결정 ··· 56 3) 디지털통합공간 부문별 계획수립 ··· 57 4) 디지털통합공간 구축사업 수행 ··· 65 5)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운영 ··· 65 6)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인프라 관리 ··· 67

(23)

5. 공간분류 및 분류별 특성 ··· 70 1) 목표 서비스별 분류 ··· 71 2) 현장․휴대기기 활용여부에 따른 분류 ··· 72 3) 실내외 서비스 제공여부 ··· 73 4) 공간지능화 수준에 따른 분류 ··· 74 5) 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 ··· 75 6) LBS 연동여부에 따른 분류 ··· 76 7) 공간활용의 복합성에 따른 분류 ··· 77

제 4 장 디지털통합공간 기본구상

1. 비전 및 목표 ··· 79 1) 공간구현의 비전 ··· 79 2) 공간구현의 목표 ··· 80 2. 공간구현의 기본방향 ··· 81 3. 세부 추진전략 ··· 84 1) 디지털통합공간 모델 표준화 ··· 84 2) 융합콘텐츠 구상 ··· 85 3) 기기간 융합화 ··· 85 4) 유비쿼터스 기능구현 부문 ··· 86 5) 계획부문별 추진전략 ··· 86 6) 디지털통합공간 추진의 접근방법 ··· 91 7) 법제도 정비 및 지원정책 ··· 92

제 5 장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1. 실험구축 개요 ··· 95 1) 실험구축 배경 ··· 95 2) 실험구축 필요성 ··· 97 3) 목적 ··· 99 4) 실험 모델 선정 ··· 99 5) 실험 모델 추진전략 ··· 101

(24)

2. 실험서비스모델(1) : 안양예술공원 안내 서비스 ··· 102 1) 서비스모델 개요 ··· 102 2) 계획수립 기본방향 ··· 112 3) 부문별 계획수립 ··· 114 4) 실험구축 공간서비스 구동 및 결과분석 ··· 125 5) 시사점 및 적용방안 ··· 126 3. 실험서비스모델(2) : 문화해설공간 나래터 ··· 127 1) 서비스모델 개요 ··· 127 2) 서비스모델 추진내용 ··· 128 3) 서비스모델 주요 기능 ··· 129 4) 디지털통합공간으로서의 발전 방향 ··· 133

제 6 장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1. 관계 법제도 정비방안 ··· 135 1) 디지털통합공간 표준모델 제도화 방안 ··· 135 2) GIS기반 디지털통합공간 계획관리시스템 제도화 방안 ··· 138 3) 디지털통합공간 표준 계획체계 제도화 및 관련계획간 연계방안 ··· 139 2. 관련 정책지원 방안 ··· 141 1) 공공주도의 초기 기반인프라 구축 방안 ··· 141 2) 실행가능 재원조달 방안 ··· 144 3) 수행주체별 역할분담 ··· 146

제 7 장 결론 및 정책건의

1. 차세대 디지털 통합 공간 구축 및 기대 효과 ··· 149 1) USN 망과 GIS 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지능형 u-서비스 제공 가능 ···· 150 2) 공공 서비스의 효율성 증대로 인한 국민 삶의 질 향상 ··· 150 3) 모든 국민이 무선 통신망 접속료의 부담 없이 향유 가능한 방안 확보 ·· 151 4) 공간 정보의 위상 정립 및 관련 융합 산업 창출 지원 ··· 151 5) 차세대 디지털 통합 공간 구축 기술의 국제 표준화 주도 및 이를 통한

신성장 동력 산업 확보 ··· 152

(25)

2. 연구의 특징 및 한계 ··· 153 1) 연구의 특징 ··· 153 2) 연구의 한계 ··· 154 3. 정책건의 및 향후과제 제안 ··· 155

참고문헌 ··· 157 SUMMARY ··· 161 부 록 Ⅰ 부문별 유비쿼터스공간 사례 ··· 169 부 록 Ⅱ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사례 ··· 181 부 록 Ⅲ 유무선통신망 및 USN 기술 ··· 189

(26)
(27)

T ․ A ․ B ․ L ․ E ․ C ․ O ․ N ․ T ․ E ․ N ․ T ․ S

표 차 례

<표 1-1> 연차별 연구계획 ··· 5

<표 1-2> 협동연구 내역··· 6

<표 1-3> 국내 선행연구 현황 ··· 9

<표 1-4>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11

<표 1-5> 연구내용 및 수행기관 ··· 13

<표 2-1> IT기반 기술발전에 의한 공간의 변화과정 ··· 22

<표 2-2> IT기반 공간개념의 발전과정 특성 비교 ··· 26

<표 2-3> 유비쿼터스공간의 국내외 유사개념 연구사례 ··· 28

<표 2-4> 해외의 스마트공간(Smart Space) 관련 연구사례 ··· 29

<표 2-5> 우리나라 지능형공간 관련 연구사례 ··· 30

<표 2-6> 유비쿼터스공간 관련 유사용어 및 개별 특성 ··· 31

<표 2-7> 공공주도 유비쿼터스공간 유사사업 추진사례 ··· 33

<표 2-8> 산업계 유비쿼터스공간 유사사례 ··· 35

<표 3-1> 유비쿼터스공간과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기술 차이 ··· 44

<표 3-2> 유비쿼터스공간과 디지털통합공간 특성비교 ··· 45

<표 3-3> 디지털통합공간의 계획․관리를 위한 DCS-MS 지원사항 ··· 55

<표 3-4>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서비스 프래임워크 예시 ··· 58

<표 3-5> 서비스관리시스템의 부문별 관리내역 ··· 62

<표 3-6> 유비쿼터스공간의 분류 및 각 분류별 특성 ··· 70

(28)

<표 5-1> 공원안내 서비스 시나리오 순서 ··· 108

<표 5-2> 맛집정보 서비스 시나리오 순서 ··· 110

<표 5-3> 가족안심 서비스 시나리오 순서 ··· 112

(29)

F ․ I ․ G ․ U ․ R ․ E ․ C ․ O ․ N ․ T ․ E ․ N ․ T ․ S

그 림 차 례

<그림 1-1> 연구수행 프레임워크 ··· 12

<그림 2-1> 디지털융합의 사례 ··· 16

<그림 2-2> 컴퓨터활용의 시대적 변천 ··· 18

<그림 2-3> 디지털융합시대, 유비쿼터스(정보)기술의 역할 ··· 19

<그림 2-4> 물리공간의 사례 ··· 23

<그림 2-5> 전자공간의 사례 ··· 24

<그림 2-6> 마크와이져와 유비쿼터스공간 ··· 25

<그림 2-7> 학술‧연구계 유비쿼터스공간 유사사례 ··· 32

<그림 2-8> 공공부문 유비쿼터스공간 유사사례 ··· 34

<그림 2-9> 분야별 유비쿼터스공간 관련 유사사례 비교 ··· 36

<그림 3-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운영적 정의 개념도 ··· 46

<그림 3-2> 디지털통합공간의 구성요소 및 상관관계 ··· 48

<그림 3-3> 디지털통합공간과 일상공간의 개념차이 비교 ··· 49

<그림 3-4> 디지털통합공간의 구현 프로세스 ··· 50

<그림 3-5> 다양한 전자(가상)공간 사례들 ··· 52

<그림 3-6> GIS분석을 통한 계획대상 영역계 도출의 예시 ··· 59

<그림 3-7> 기존 u-City 및 IT서비스의 물리공간 상충문제 예시 ··· 60

<그림 3-8> 물리공간내 정보입출력기기 유형구분 ··· 63

(30)

<그림 4-1> 디지털통합국토 구현의 목표 ··· 81

<그림 4-2>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통한 공간계획, IT계획간

연계체계 강화 ··· 83

<그림 4-3>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표준모델 요소(예시) ··· 84

<그림 4-4> 미디어발전경로와 참단서비스의 특성변화 ··· 88

<그림 4-5> USN 기술에 의한 정보유통체계 예시 ··· 91

<그림 4-6>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의 접근방법 ··· 92

<그림 5-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배경 ··· 96

<그림 5-2> 실험구축 대상지(안양예술공원) 위치 ··· 102

<그림 5-3> 실험구축 대상지(안양예술공원) 내부구조 ··· 103

<그림 5-4> 안양예술공원 내 복합 여가▪소비공간 ··· 103

<그림 5-5> 안양예술공원 상시 문화예술 전시물 ··· 104

<그림 5-6> 실험사업 서비스 모델 ··· 106

<그림 5-7> 서비스 모델 웹 흐름도 ··· 107

<그림 5-8> 공원관람 안내 서비스 화면 ··· 107

<그림 5-9> 맛집 정보 서비스 화면 ··· 109

<그림 5-10 > 가족 안심 서비스 화면 ··· 111

<그림 5-1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험시스템 구축 방향 ··· 113

<그림 5-12> USN 인프라망을 이용한 관람 안내 서비스 ··· 114

<그림 5-13> USN 인프라망을 이용한 맛집 광고 서비스 ··· 115

<그림 5-14> USN 인프라망을 이용한 자녀안심 서비스 ··· 116

<그림 5-15> 공간정보 및 콘텐츠 구축 절차 ··· 118

<그림 5-16> GIS 기반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시스템 구축 ··· 119

<그림 5-17> 휴대폰에 내장된 입출력 장치 ··· 120

<그림 5-18> USN 기반 u-서비스에 사용되는 전용 단말기 ··· 121

<그림 5-19> USN 인프라망을 이용한 서비스 구현 ··· 122

<그림 5-20> USN 인프라의 구축 개념도 ··· 123

<그림 5-21> GIS 데이터 기반 평면도 상에서의 USN 인프라 ··· 123

<그림 5-22> 공원초입부터 1/3거리에 설치된 USN 인프라 ··· 124

<그림 5-23> 공원 전체의 중간 1/3 거리까지 설치된 USN 인프라 ··· 124

(31)

<그림 5-24> 공원 전체의 끝 1/3 거리까지 설치된 USN 인프라 ··· 125

<그림 5-25> 공간정보 내 문화객체 모델링 ··· 129

<그림 5-26> 공간정보 내 문화콘텐츠 정보 매핑 ··· 130

<그림 5-27> 공간정보 내 문화해설 콘텐츠 재생 ··· 131

<그림 5-28> 공간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콘텐츠 등록 ··· 132

<그림 5-29> 공간 내 동선을 가진 문화해설 콘텐츠 작성 ··· 133

<그림 6-1> 디지털통합공간 표준체계 제도화(안) ··· 139

<그림 6-2> 디지털통합공간 표준체계의 관련계획 연계체계(안) ··· 141

<그림 6-3>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관련 계획부문 ··· 142

<그림 6-4> 국토 유비쿼터스화를 위한 수행주체간 역할관계 ··· 148

(32)
(33)

1

C ․ H ․ A ․ P ․ T ․ E ․ R ․ 1

연구개요

이장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 실현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 연구수행 프 레임워크 등을 기술하였다. 디지털통합공간은 그동안 추진되었던 국토의 디지털화 및 U-City 구현을 위한 법제도 및 정책수립에 뒤이어 추진되어야 할 새로운 국토지능화 영역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공간정보기반의 확충에 힘입어 새로운 패러다임의 국토 첨단공간화를 의미하며, 연차별 연구를 거쳐 관련 개념과 기본구상, 시범구축 및 기반 인프라구축 지원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1. 연구배경

1995년부터 국가차원에서 시작된 국토정보화사업은 공간정보기반을 구축하였 고 공공부문의 다양한 활용체계구축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경제인문사회적 발전에 부응한 국토정보화사업 추진에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또한 2008년부터 정부는 그동안 지자체 개별적으로 추진되어온 U-City사업의 표준화 및 지원정책 마련의 일환으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그리고 각종 관련 지침들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국토정보화는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U-City구축 및 국토의 유비쿼터스 화 정책과 상호 조화된 큰 그림 하에 추진되어야 하나 국토정보화, 국토 유비쿼 터스화 및 국토정책 등은 상호 긴밀한 연계 하에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다.

(3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의 유비쿼터스화라고 하는 큰 명제를 가지고 정보 화, U-City 그리고 국토공간정책이 상호 연계관계를 가지고 추진될 수 있도록 하 기 위한 새로운 국토공간 패러다임으로서 ‘디지털통합공간’의 신개념을 제안한 다. 이를 통해 결국 국토정보화사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중장기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실현가능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배경을 가지고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디지털융합(Digital Convergence)1)의 시대가 도래하여 공간정보의 융합적 활용 및 산업화 지원 등의 요구가 많아졌다. 21세기 디지털기술 기반의 다양한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은 디지털융합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디지털융합시대 의 기본특성은 영역의 경계 없는 다양한 기기와 정보간 융합 및 새로운 서비스, 콘텐츠 등의 창출에 있으나, 이러한 다 분야간 융합의 홍수 속에서 국토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반 인프라로서 공간정보의 역할과 융합적 활용방향 등 이 모호하다. 따라서 공간정보기반 산업 컨버전스에 따른 다양한 신산업 창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존 법제도정비 및 정책적 지원이 현실적으로 요구된다.

둘째, 최근 국토관리 및 활용 패러다임에 변화에 따른 국토 유비쿼터스화의 필 요성이 대두되었다. U-City, ITS, 디지털홈 등 공간과 IT융합의 움직임은 국토공 간 활용패턴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국토공간과 첨단기술 의 융합 움직임은 인간활동, 사회구조 및 산업구조 등에 큰 변화요인으로 작용하 고 있다. 이러한 경제‧인문‧사회의 변화정보, 통신기술 및 서비스의 발전, 국토정 보의 다양성 증대 등 국토관리 및 활용여건이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국가정보화사업 고도화를 통하여 국가경쟁력 제고와 국민 삶의 질 향상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1) 디지털융합(Digital Convergence)이란 디지털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기기(device) 또는 정보(information) 를 사회적 수요에 맞게 상호 융합하여 새로운 기기‧정보로 재창출하는 것을 의미함. 디지털기술이란 데이터를 0과 1의 두 가지 상태로만 생성‧저장‧처리하는 전자기술을 말하며, 디지털융합은 실제로는

"현대인의 실수요에 따라 디지털콘텐츠(Contents), 정보통신망(Network),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s) 등의 이종간 또는 상호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첨단 IT서비스로 재창출하는 것”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5. ‘디지털 컨버전스로 나타나는 유비쿼터스사회>내용참고 일부수정

(35)

셋째, 실용적‧대민 지향적 지능형 국토서비스로부터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견 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지난 13년간 추진하였던 공공부문의 국토공간정보를 기 반으로 민간의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능형국토서비스를 도출하여 ‘한국형 유비쿼터스 사회’를 창조할 수 있게 되었고 1995년부터 추진 중인 국토정보화사 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지능형국토를 구상하여 차세대 국토정보화 미래성장동력 사업을 발굴‧육성할 필요가 생겼다.

넷째, 『제4차 국토종합계획』및 『제3차 국가 GIS계획』이 수정되어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에서는 국토정보화 부문에 가상공간의 구 현, 현실공간의 지능화, 국토의 유비쿼터스화 등에 관한 개념의 재정립과 수정계 획이 필요해졌다. 수정사항들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추진 중인 『제3차 국가 GIS계획』에 반영될 것이다.

다섯째, 국토 유비쿼터스화의 실행을 위한 부처 간 협력추진이 필요하다.

u-Korea(지식경제부), u-City (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 전자정부(행정안전부, u-

지역정보화(행정안전부), u-EcoCity(국토해양부), 국가GIS사업(국토해양부) 등 공 공부문의 국토정보화 관련사업의 종합적으로 검토되었다. 첨단국토 및 도시를 건설하기 위하여 국가차원의 중복적인 추진을 지양하고 부처 간, 지방정부 간 협 력적인 지능형국토가 추진되고 있다. (Collaborative Intelligent Territory Making)

2. 연구목적

1) 연구의 필요성

이상과 같은 시대적 배경 하에 본 연구 수행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관리 혁신을 위한 국토공간 첨단화가 요구된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수준의 IT기술과 GIS 등 공간정보 활용기술을 기반으로 국토의 과학적 이용 및 관리를 위해 국토공간의 첨단화가 기반이 되어야한다. 이 미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통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첨단교통체계(ITS) 및 다양한

(36)

u-City서비스 등 개별 개발기술의 통합적 활용 및 국토차원에서 체계적의 국토공 간 첨단화 발전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분야 및 산업간 융합현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공간정보의 새로운 역할 정립 및 활용 고도화가 필요하다. 디지털융합을 위한 핵심기반기술의 하나인

U-IT기술2)은 실제 서비스구현을 위해 GIS기술의 중핵적 역할에 점점 더 의존해

가는 추세에 있다. 현행 제3차 국가GIS사업은 ‘유비쿼터스 국토실현’의 비전하에 국가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음에 맥을 같이 해야 한다. 위치 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 텔레매틱스, 홈네트워크, u-City 등 유비 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은 삶의 질 향상 뿐 아니라 디지털융합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 및 기기 연계로 폭발적 신규산업 창출에 기여해가고 있음에 주목 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융합시대의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한 국토첨단화 기반기술 발굴 및 활성화가 요구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 과학화는 GIS 및 U-IT기술 기반의 국토공간 첨단화를 통해 다양한 활용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공간정보를 융합 활용한 실수요기반 융합서비스 창출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이 현재로서는 매우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실제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 다. 또한 기존 전문분야의 콘텐츠, 서비스간 융합에 따른 혼돈과 지연을 막기 위 한 현행 법제도의 미비점 개선, 이해관계 조정, 정보보호 등 제도적 장치보완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융복합 트랜드가 민간 정보서비스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 우선 수요확대를 위한 선도적 시범사업 활성화가 필요하다.

넷째, 국토의 유비쿼터스화를 위한 물리공간, 전자공간의 공진화 및 효율적 연 계를 통한 유비쿼터스공간 표준화가 시급하다. 스마트공간, 유비쿼터스지능공간,

U-공간, 유비쿼터스서비스공간 등 학계 및 산업계의 다양한 유비쿼터스공간 용

2) U-IT기술은 아직 제도적으로 표준화된 개념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유비쿼터스정보기술로도 불

리며, 사람-사물-공간의 무한연계 및 상호작용 구현에 요구되는 다음의 세 가지 기반기술로 이루어짐

- 유비쿼터스컴퓨팅기술 : 물리공간의 전자공간화 진화에 요구되는 기술

- IT기술 : 전자공간의 확장 발전에 요구되는 일반 정보통신기술

- 유비쿼터스네트워킹기술 : 전자공간의 물리공간화 진화에 요구되는 기술

(37)

구분 연구목표 주요 연구내용 1차년도

(2009년)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 및 기본구상

-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지능화 현황 및 문제점 -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 및 기본방향

-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및 평가 -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2차년도 (2010년)

중단기 첨단기기 기반 디지털통합공간

추진모델 정립

- 첨단기기 기반의 디지털통합공간 추진모델을 정립하고 관련 실험연구를 통한 중단기 공간 정보기반 디지털통합공간 확산방안을 제시 y 3차년도

(2011년)

디지털통합공간 공통기반 모델링

- 공공부문의 공간정보를 활용한 디지털통합공간 부문별 모델링 및 법제도 수정방안 제시 4차년도

(2012년)

디지털통합공간 표준화 방안

- 부문별 디지털통합공간을 표준화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첨단기기 기반 디지털통합 공간을 확산하는 방안 제시

5차년도 (2013년)

디지털통합공간

산업화 방안 - 디지털통합공간의 산업적 활용과 파급효과분석

<표 1-1> 연차별 연구계획

어 및 정의가 공존하고 있다. 유비쿼터스공간의 핵심적 특성과 효율성을 극대화 하여 국토공간 지능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개념체계 제도화가 시급하다. 중앙과 지 자체 그리고 산업계 전반적으로 통용 가능한 유비쿼터스공간의 표준모형, 구현 프로세스 및 제도화를 통해 상호 운용성 조기 확보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수행의 목적은 디지털융합시대에 국토공간 이용․관리의 첨단화를 위한 국토지능화의 계획단위 유비쿼터스공간으로서 ‘디지털통합공간’의 신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구현을 위한 기본구상 및 실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국민의 삶의 질적 향상과 국토공간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통합공 간의 개념정립과 기본모형을 구상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추진방안 을 다음과 같이 다년도 연구로 추진하고자 한다.

(38)

3. 연구범위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의 실제 주권이 미치는 국토공간 전역의 공중․지상․

지하․해양 공간을 대상으로 하고, 시간적 범위는 2010년에서 2013년까지로 설 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당해 연도의 내용적 범위는 아래와 같이 디지털통합 공간의 개념, 기본구상 및 실현방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지능화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 수립

▪ 공간구현의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

▪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 결론 및 정책건의

4. 연구방법 1) 협동연구

본연구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기존 공간정보 관련제도와 연계성, 해외 첨 단공간서비스 현황조사, 디지털통합공간 경제성 분석 등에 관해 다음과 같은 국 내외 관계 전문가들과 협동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부문 기간 협동기관

디지털통합공간과 공간계 획관련 기존 법제도와 관

계정립 2009년 4월~6월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디지털통합공간

경제성 분석 2009년 6월~8월 가톨릭대학교 경제학과

외국의 첨단공간서비스 구

현현황 및 추세 2009년 7월~11월

School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

<표 1-2> 협동연구 내역

(39)

2) 전문가 의견수렴

정부 정책협의회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의 공공부문 협력방안, 학계 연구협의 회에서는 디지털통합공간의 기본구상 및 전략, 업계 기술협의회에서는 실험구축 의 타당성 및 실용적 구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3) 연구 공동체 운영

살기 좋은 국토공간 조성을 위해 요구되는 디지털통합공간을 창조하기 위한 연구공동체를 조성‧운영하여 연구결과를 시민과 민간업계에 돌려주는 연구결과 피드백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민, 민간업계, 학계, 연구소, 공공부문 등 디지털 통합공간의 궁극적인 수혜자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통합공간 모델링 공동추진에 역점을 두었다.

4)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융․복합 실험연구

국토정보의 연계활용, 공간정보기술의 융합 등을 통하여 현실과 가상공간의 융합적인 국토공간서비스 실험구축을 통해 향후 사업추진 기반조성에 기여하고 자 하였다. 소규모 지역을 대상으로 특정 목적지향적 디지털통합공간을 모델링 하여 이를 확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5) 관․산․학․연 협동연구

국토의 첨단화를 위한 국토공간 지능화를 통해 보다 효율화하고 살기 좋은 삶 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기본구상을 추진하였다. 1차 기본구상에서 학계 전 문가그룹에 의해 발굴된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를 2차 실용성 분석을 통해 실험 구축의 실용성과 현실성 등을 분석하였고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3차 활용도 분석을 통해 시민과 학계, 업계, 관계와의 디지털통합공간의 활용성 등을 분석하여 국내외 확산방안을 모색코자 하였다.

(40)

5. 연구내용 및 수행절차

1) 선행연구 검토

국토지능화를 위한 국내 선행연구는 <표 1-3>과 같이 현실국토공간의 정보화 와 가상공간의 정보화 및 제3의 공간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첫째, 국토공간에 관한 연구는 국토정보체계구축과 관련된 연구가 주류를 이 루고 있다.「국토종합정보체계 구축 및 추진전략수립 연구」3)는 국토정보화 추 진에 필요한 부문별 국토정보화 추진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추진해야 할 국토정보화 추진방향을 제시한 연구로써 현시점에서 현실공간의 정보화 추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최근에는 이를 바탕으로 부문 간 국 토정보의 연계활용을 위한 ‘국토통합정보시스템 기반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둘째, 가상국토공간에 관한 연구는 국토연구원에서 추진된 사이버국토 관련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4) 및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5) 등의 연구에서는 국토 및 도시에 대한 가상국토 건설을 통하여 현실공간의 정보화 추진방향과 이를 활용 한 가상국토의 건설 및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본연구들을 통하여 제2의 국토를 건설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전통적 인 국토의 개념을 혁신시키는 계기를 제공했다고 판단된다.

셋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 접점을 가지고 있는 유비쿼터스 공간에 관한 연 구는「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의 공간」6)과「지식정보화시대의 디지털통합국 토 구상연구」7) 및「디지털생태계 미래전략 연구」8)등이 있다.

3) 국토연구원, 「국토종합정보체계 구축 및 추진전략 수립연구」, 2003 4) 국토연구원,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 」, 2004 5) 국토연구원,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 」, 2005 6)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 공간」, 2004

7) 국토연구원,「지식정보화시대의 디지털통합국토 구상연구」, 2005 8) 디지털융합연구원, 「디지털생태계 미래전략 연구」, 2007

(41)

구분 주요 연구

현실국토공간 정보화 - 국토종합정보체계구축 및 추진전략수립연구(2003) - 국토통합정보시스템 기반연구(2007)

가상국토공간 정보화 -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1)(2004) -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2)(2005)

유비쿼터스공간

-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2004)

- 지식정보화시대의 디지털통합국토 구상 연구(2006) - 디지털생태계 미래전략 연구(2007)

<표 1-3> 국내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와 차별성

관련 선행연구로는 ‘유비쿼터스 IT 혁명과 제3공간’, ‘지식정보화시대의 디지 털통합국토 구상 연구, ‘디지털 생태계 미래전략 연구’ 등이 있다.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하원규 외, 2000)’은 유비쿼터스 시대를 고찰하고 이를 구성하

는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융합발전 구상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지식정보화시 대의 디지털통합국토 구상 연구[국토연구원, 2005] ‘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 계획중 국토정보화 부문의 중장기 추진과제를 국토공간정보화 기반조성, 국토의 지능화 추진, 사이버국토의 건설 등으로 구성하여 국토공간의 효율성을 제고하 는 거시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한편 ‘디지털 생태계 미래전략 연구[디지털융합연 구원, 2007]’는 디지털 지식기반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하여 정부정책 추진 을 위한 디지털생태계 활용, 규제정책 및 규제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컨버전스 산업간 상호공존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협력모델 수 립 등 디지털생태계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국내 기존연구는 첨단정보기술을 활용한 국토정보의 디지털화(디지털 국토) 및 사이버화(사이버국토) 등에 관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능형국토 세부 구축방안 및 추진계획수립의 일환으로서 유비쿼터스공간 구현을 위한 계획

(42)

단위 유비쿼터스공간으로서 ‘디지털통합공간’ 개념을 새로 정의하였으나 구현 및 운영관리를 위한 추진방안이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통 합공간 구축을 위한 개념정립과 세부추진모델을 제시하여 관련 연구 및 사업 추 진에 기여하여 ‘유비쿼터스 국토건설’ 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다음과 같은 차별성 을 갖는다.

첫째, 디지털통합공간은 대상공간적인 측면에서 현재 기획되고 있는 첨단정보 도시(u-city) 뿐만 아니라 비도시 및 해양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종합적인 국 토정보 구축 및 활용의 혁신을 도모하는 등 사업의 효과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 안을 제시한다는 차별성이 있다. 그리고 현재 각 부처에서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자 하는 국토의 사이버화, 가상공간화 등의 사업을 종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 공간정보 및 상황정보 등을 기반으로 한 국토의 지능화사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그동안 추진되었던 정적인 측면의 국토공간정보화를 혁신하여 민간의 자생력을 증진하고 국토의 경쟁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디지털통합공간 추 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공간의 과학적 이용․관리를 위해 계 획적 국토지능화의 단위 유비쿼터스공간으로서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을 제안 하고 실제 실험구축을 통해 기본구상 및 실현방안을 제시한다. 선행연구들은 공 부문의 정보화 추진을 기반으로 공간정보와 타 분야 콘텐츠의 연계활용, 국토공 간정보 관련기술의 융합 활용, 법제도 등의 종합적인 연계 등을 통한 디지털국토 의 미래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디지털국토는 디지털융합시대의 다양한 기술과 콘텐츠를 종합 활용하여 국민실수요 기반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접근방법을 제 시해야 하나 기존연구들은 대부분 필요성 및 개념정립의 수준에 그쳤다.

(43)

구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1

-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 공간>(ETRI:하원규) - 유비쿼터스 세상의 도래에

따른 물리공간과 전자공간 융합발전 제시

- 미국과 일본의 연구 결과에 대한 문헌연

- 전문가 토론 - 워크숍

- 제3공간 등장

-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제3공 간기술

- 제3공간의 경제와 경영 - 제3공간의 사회와 과제 - u-Korea 비전과 전략

2

- <지식정보화시대의 디지 털통합국토 구상연구>

(국토연구원:정문섭) - 디지털복지사회 구현의 기

반이 되는 디지털통합국토 기본구상

- 국토의 정보화 추진 실적과 전망을 위하 여 문헌조사 - 국외사례조사, - 전문가 브레인스토

밍을 통한 미래전망

- 지식정보화시대의 여건변화 - 전망국토정보화 추진현황과 문제

- 디지털통합국토 추진목표 및 - 전략디지털통합국토 추진방안

3

- 과제명:디지털생태계 미래 전략 연구

- 연구자(년도):디지털융합 연 구 원, K T경 영 연 구 소 (2007)

- 연구목적: 지속가능한 성 장을 가져올 수 있는 디지 털생태계를 효율적으로 구 축하여 지식기반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

- 문헌 및 인터넷조사 - 전문가 자문 - 연구협의회

- 디지털생태계 개념 및 이론 - 국내외 디지털생태계 동향 - 디지털생태계 비즈니스 모델 - 디지털생태계의 전략적 이슈

본 연 구

본 연구는 디지털융합시대 의 국토공간 유비쿼터스화 의 현황을 분석하고, 획적 국토공간 유비쿼터스 화의 계획단위로서 ‘디지 털통합공간’의 신개념을 제안한다. 그 의미와 필요 성을 제시하고 디지털통합 공간의 기본방향제시 및 실험구축연구를 통하여 디 지털통합공간의 실현 방안 을 모색함

- 문헌 및 인터넷조사 - 외국전문가 활용을

통한 외국 사례 조 사 및 시사점 도출 - 외부전문가 활용 (경제성 분석) - 연구협의회 및 자문 (기본구상 및 실현회의

방안)

- 디지털융합시대 국토지능화 현황 및 문제점

-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 체계 - 수립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의 기본

구상 및 추진전략 -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 - 실현방안

- 기대효과 및 향후과제

<표 1-4>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4)

<그림 1-1> 연구수행 프레임워크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In the present paper, L-shaped curves are general- ized and it is shown that every knot in the minor subfamilies, called sporadic examples of Berge’s lens space surgery, is

– Search through the space of possible network weights, iteratively reducing the error E between the training example target values and the network outputs...

Ejectors is a fluid transportation device for which a principle is used that high-pressure fluid are spouted through driving pipe and the pressure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Internet media allowed netizens to participate in Internet journalism, which is limited through media convergence, but c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sic physical strength so that youth Taekwondo Poomsae player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an

In this architectural design field, the space with new concept and organic space come into sight, escaping from the space concept in the geometric and

• Robert Krier, Stadtsraum in Theories und Praxis (Theory and Practice of Urban Space), 1975. • Urban space is defined as 'covering all types of space between building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