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대 한국어의 문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대 한국어의 문법"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고대 한국어의 문법

강의 주제

학습목표

고대 한국어 문법의 면모를 이해할 수 있다 .

(2)

고대 한국어의 문법이라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

(3)

1) 주격: 伊, 是

脚烏伊四是良羅(가리 네히어라)<처용가>

民是愛尸知古如(民이  알고다)<안민가>

(4)

2) 목적격: 乙, 肹

薯童房乙(맛둥바)<서동요>

吾肹不喩慚肹伊賜等(나 안디 븟리샤)<헌화가>

花肹折叱可獻乎理音如(곶 것가 받리다)<헌화가>

▪ 乙: 중세 한국어의 ‘-/을, -/를, -ㄹ’에 대응 肹: 중세 한국어의 ‘-/흘’에 대응

(5)

3) 관형격: 矣, 衣, 叱

耆郞矣史是史藪邪(耆郞 즈 이슈라)<찬기파랑가>

於內人衣善陵等沙(어느 人의 善)<수희공덕가>

倭理叱軍置來叱多(예ㅅ軍도 옷다)<혜성가>

▪ 矣, 衣: 중세 한국어의 ‘-/의’에 대응 叱: 중세 한국어의 ‘-ㅅ’에 대응

(6)

4

) 부사격

(1) 처소격: 矣, 衣, 未, 中, 希 등

夜矣卯乙抱遣去如(바 몰 안고 가다)<서동요>

目煙廻於尸七史伊衣(눈 돌칠 이예)<모죽지랑가>

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그릴  녀올 길)<모죽지랑가>

一念惡中涌出去良(一念 악 솟나거라><칭찬여래가>

磧惡希(재)<찬기파랑가>

▪ 중세 한국어 ‘-애/에, -/의, -예, -/희’ 등에 대응

에(처격) 참고

(7)

4

) 부사격

(1) 처소격: 良中, 也中 등

千手觀音叱前良中(千手觀音ㅅ 前아)<도천수관음가>

沙是八陵隱汀理也中(새파 나리여)<찬기파랑가>

▪ ‘良中’(아, ‘-애’의 古形), ‘也中’(여, ‘-예’의 古形)

(8)

4

) 부사격

(2)도구격: 留

心未筆留( 부드루)<예경제불가>

▪ 중세 한국어의 ‘-로’에 대응

(9)

5) 호격: 良, 下, 也

花良汝隱(곶아 너는)<도솔가>

月下伊底亦(하 이뎨)<원왕생가>

郞也慕理尸心未(郞여 그릴 )<모죽지랑가>

▪ ‘良, 下’는 각각 중세 한국어의 ‘-아’(평칭), ‘-하’(존칭)에 대응

▪ ‘也’는 감탄의 호격 조사 ‘여’에 대응

(10)

6) 서술격: 是如, 是良羅

吾下是如馬於隱(내해다마)<처용가>

脚烏伊四是良羅(가리 네히어라)<처용가>

(11)

▪ 현대 한국어와 고대 한국어 격조사의 차이점은?

주격 목적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 서술격

퀴즈

(12)

1) 隱, 焉

君隱父也(君은 어비여)<안민가>

民焉狂尸恨阿孩古爲賜尸知(民 얼 아고 샬디)<안민가>

▪ 중세 한국어 ‘-/은, -/는, -ㄴ’에 대응 2) 置

倭理叱軍置來叱多(예ㅅ軍두 옷다)<혜성가>

▪ 중세 한국어 ‘-도’에 대응

(13)

3) 沙

入良沙寢矣見昆(들어사 자리 보곤)<처용가>

▪ 중세 한국어 ‘-/사’에 대응 4) 每如

刹刹每如(刹刹마다)<예경제불가>

▪ ‘각자’의 의미를 나타내는 ‘-마다, -마락’에 대응

(14)

5) 那, 乃

經寫筆師那(經寫筆師나)<화엄경사경>

種種施賜人乃(사이나)<규흥사종명>

▪ 선택의 ‘-나’에 대응

(15)

▪ 중세 한국어와 같이 주체존대, 객체존대, 상대존대의 세 체계를 갖춤

1) 주체존대: 賜

去賜里遣(가샤리고)<원왕생가>

法界滿賜隱佛體(法界 샨 부텨><예경제불가>

▪ 중세 한국어의 ‘시/샤’에 대응

(16)

2) 객체존대: 白

九世盡良禮爲白齊(九世 다아 禮져)<예경제불가>

慕呂白乎隱佛體前衣(그리 부텨 前에)<예경제불가>

▪ 중세 한국어의 ‘-//-’ 등에 대응 3) 상대존대: 音

獻乎理音如(받리다)<헌화가>

▪ 轉音借로서 중세 한국어의 ‘--’에 대응

(17)

1) 현재시제: 內, 臥

吾隱去內如(나 가다)<제망매가>

造將來臥乎隱 惡寸隱(지려누온 머즈는)<참회업장가>

▪ ‘內, 臥’는 각각 ‘--, -누-’에 대응 2) 과거시제: 如, 隱

持以支如賜烏隱(디니다시온)<찬기파랑가>

去隱春(간 봄)<모죽지랑가>

▪ ‘如’는 ‘-다-, -/드-’로 중세 한국어의 ‘-더-’에 대응

▪ ‘隱’은 관형사형으로 쓰인 것으로 과거시제를 나타냄

(18)

3) 미래시제: 理, 里, 尸

何如爲理古(엇디 릿고)<처용가>

西方念丁去賜里遣(西方장 가샤리고)<원왕생가>

宿尸夜音有叱下是(잘 밤 이시리)<모죽지랑가>

▪ ‘理, 里’는 중세 한국어의 ‘-리-’에 대응하고, ‘尸’는 관형사형

‘-ㄹ’로 미래시제를 나타냄

(19)

▪ 현대 한국어와 고대 한국어 시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퀴즈

(20)

1) 평서형: ‘如, 多, 之’(-다), 齊(-져)

花肸折叱可獻乎理音如(곶 것가 받리다)<헌화가>

置內乎多(두오다)<도천수관음가>

進在之(나겨다)<화엄경사경조성기>

際叱肸逐內良齊( 좇누아져)<찬기파랑가>

▪ ‘如’는 향가뿐 아니라 이두 등에 흔히 사용됨.

▪ ‘齊’는 ‘願望’을 나타냄

(21)

2) 의문형: 古(-고)

奪叱良乙何如爲理古(아 엇디 릿고)<처용가>

3) 명령형: 賜立(-쇼셔), 去良(거라)

慕人有如白遣賜立(그릴 사 잇다 고쇼셔)<원왕생가>

一念惡中涌出去良(一念 악 솟나거라><칭찬여래가>

▪ ‘賜立’는 존칭, ‘去良’는 비칭 4) 감탄형: 羅(-라)

來如 哀反多羅(셜번하라/셔럽더라)<풍요>

(22)

1) 대등적 연결어미

抱遣去如(안고 가다)<서동요>

一等隱枝良出古( 가재 나고)<제망매가>

膝肹古召旀(무루플 고조며)<천수관음가>

‘遣, 古’는 전후 나열의 의미로 중세 한국어의 ‘-고’에 대응,

‘旀’는 동시 병행을 나타내는 중세 한국어의 ‘-며’에 대응

(23)

2) 종속적 연결어미

功德修叱如良來如(功德 닷라 오다)<풍요>

散花唱良(散花 블어)<도솔가>

此矣有阿米次肹伊遣(예 이샤매 저히고)<제망매가>

夜入伊遊行如可(밤드리 노니다가)<처용가>

<풍요>의 ‘良’은 목적을 나타내는 중세 한국어의 ‘-러’에 대응

<도솔가>의 ‘良’은 이유, 근거, 계기 등을 나타내는 ‘-어’에 대응

‘米’는 원인을 나타내는 중세 한국어의 ‘-매’에 대응

‘伊’는 도급을 나타내는 ‘-이’에, ‘如可’는 전환을 나타내는 ‘-다가’

에 대응

(24)

3) 보조적 연결어미

嫁良置古(얼어 두고><서동요>

(25)

1) 관형사형 어미

去隱春(간 봄)<모죽지랑가>

吾衣身不喩仁人音< 나 모마 안디인 사)<수희공덕가>

慕理尸心未(그릴 ), 行乎尸道尸(녀올 길)<모죽지랑가>

東京明期月良( 기 래)<처용가>

▪ ‘隱, 仁’과 ‘尸’은 중세 한국어의 ‘-ㄴ/은’, ‘-ㄹ/을’에 각각 대응

▪ ‘期’(-이)가 관형사형 어미로 사용된 점은 특이함

(26)

2) 명사형 어미

誓音深史隱(다딤 기프샨)<원왕생가>

衆生叱田乙潤只沙音也(衆生ㅅ 田을 저지샴여)<청전법륜가>

此矣 有阿米(이샤)<제망매가>

‘音, 米’는 중세 한국어의 ‘-음/ㅁ’에 대응

(27)

▪ 다음 문장의 문법 요소를 찾아 보고 현대어로 풀이해 보라.

1) 毛如云遣去內尼叱古<제망매가>

2) 慕呂白乎隱佛體前衣 拜內乎隱身萬隱<예경제불가>

모둠활동

참조

관련 문서

그는 런던에서 겨울을 보냈다. 그들은 강가에서 고기를 잡았다. 한국어: 명사와 동사의 엄격한 구분. 한국어와 영어의 인지적 차이.. 즉, 영어권 화자들이 한국어의

고대 근동의 종교와 이스라엘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를 중심으로.. Wright). • The Old Testament against

중세 한국어의 자모 체계와 음운 현상을 이해할

건설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피라미드란 고대 이집트인들의 관심을 충족하는 죽은 자의 안식처, 즉

고대 이집트인들은 죽은 자의 부활을 믿엇고 무덤이란 죽은 자가 살았을 때와 마찬가지로 생활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파트나 박물관 소장 야크시 입상 세부... 인도 고대

고대 기와의 제작기술과 변천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