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의 음운현상 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의 음운현상 3"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1):

(2)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1 음운현상이란 무엇인가 1) 음운현상의 개념

• 낱말(또는 구)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두 소리가 만나 이웃하게 될 때 일어 나는 소리의 변동

(예) /국+민/ [궁민] /꽃+잎/ [꼰닙]

(3)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1 음운현상이란 무엇인가

2)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한국에서는 ‘막내’를 [망내]로 발음한다. 왜 이렇게 발음할까? 발음의 경제성, 즉 보다 쉽게 발음하기 위해서인가? 다른 언어도 이렇게 발음할까? 아래 인도네시아어는 어떠한가?

(4)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1 음운현상이란 무엇인가

2)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그런데 영어에서도 nickname와 같은 경우 소리의 변동 없이 그대로 발음한다.

그리고 ‘ㄴ’과 ‘ㄹ’이 만날 경우 한국어는

‘진리’ [질리]로 발음하지만

영어의 경우 ‘헨리(Henry)’는 발음의 변동이 없다. 이 차이는 무엇일까?

(5)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한국어에서 음절의 초성과 종성에 올 수 있는 음운과 올 수 없는 소리를 비교해 보자.

[정확한 관찰 ➞ 현상 파악 ➞ 원인 분석 ➞ 결론 도출]

(6)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초 성

예 강 꿈 너 돌 땀 레 문 발 빵 손 쌀 - 잠 짬 춤 칼 통 파 힘

가능

여부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종 성

예 복 밖 손 곧 - 돌 곰 밥 - 옷 있 공 낮 - 낯 녘 낱 잎 낳

가능 여부 O X O O X

ㄱ ㄱ ㄴ ㄷ X

(7)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음절말 초성과 종성을 비교해 볼 때 어떤 차이가 있는가?

A: 초성에서는 /ㅇ/을 제외한 모든 자음이 올 수 있는 반 면, 종성에서는 몇 개의 자음만 올 수 있다.

Q1

(8)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자음들을 종류별로 보면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Q3

종성에는 몇 개의 자음이 올 수 있는가?

Q2

제8항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A: 7개

A: 장애음 3개(ㄱ ㄷ ㅂ)

공명음 4개(비음 3개, 유음 1개)

(9)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음가대로 발음이 되지 않는 소리들은 어떤 것들이며 어떤 소리로 발음되는가?

Q4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닦다[닥따] 키읔[키윽] 키읔과[키윽꽈] 옷[옫] 웃다[욷:따]

있다[읻따] 젖[젇] 빚다[빋따] 꽃[꼳] 쫓다[쫃따]

솥[솓] 뱉다[밷:따] 앞[압] 덮다[덥따]

A: 장애음 중 폐쇄음이 아닌 소리(ㅅ ㅆ ㅈ ㅊ ㅎ) 들은 폐쇄음으로 발음되고, 평음이 아닌 소리들 (ㅋ ㄲ ㅌ ㅍ)은 평음으로 발음된다.

(10)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위와 같은 음운현상은 어느 위치에서, 어떤 소 리로 바뀌는가?

Q5

A: 어말 또는 자음 앞(즉, 음절 말)의 위치에서 평폐쇄음으로 발음된다.

음절말 평폐쇄음화

a. 밖[박] 부엌[부억] ~ [ㄱ]으로 중화 b. 밭[받] 옷[옫] 있다[읻따] 낮[낟] ~ [ㄷ]으로 중화 c. 잎[입] ~ [ㅂ]으로 중화

‘서로 대립하던 소리가 특정 위치에서 동일하게 실현되는 현상 ’

(11)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한국어에서 음절말 평쇄음화가 일어나는 이유 무엇인가?

Q7

다른 언어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Q6

A: 영어 : /bus/ 한국어: 벗/bus/

[s] [t]

A: 한국어는 음절말(종성)에서 조음상

폐쇄(닫음)가 일어난다. : 불파(unreleasing)

(12)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1) 음절말 평폐쇄음화

폐쇄[닫음] 또는 불파 현상은 말소리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Q8

1. 마찰음 /ㅅ ㅆ/은 공간을 주지 말고 입천장 붙여야 한다. (페쇄음으로 발음)

2. 폐쇄음과 파찰음은 폐쇄 이후 파열의 과정을 없애야 한다. (폐쇄음으로 발음) 3. 파열을 하지 않기 때문에 평음으로만 발음 (즉, 격음과 경음의 발음이 불가능)

A:

모든 장애음은 음절말의 위치에서

평폐쇄음으로 발음된다.

(13)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2) 자음군 단순화

‘닭, 삶, 값’ 등이 ‘[닥], [삼], [갑]’으로 발음되는 것에 대한 의문은 무엇인가?

Q9

1. 언제 하나의 자음만 발음되는가?

(또는 항상 하나의 자음만 발음되는가?) 2. 왜 받침의 두 자음 중 하나만 발음되는가?

(cf. 영어: silk, tent, caps 등)

3. 두 자음 중 어떤 것이 발음되는가?

(값[갑], 몫[목] vs. 닭[닥], 삶[삼]) A:

(14)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2) 자음군 단순화

언제 하나의 자음만 발음되는가?

Q10

A: _#

(어말)

_+C

(자음 앞)

_+V

(모음 앞)

[닥] [닥도] [달기]

[삼] [삼도] [살미]

[갑] [갑또] [갑시]

자음수 1 1 2

(15)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2) 자음군 단순화

제10항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 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넋[넉] 넋과[넉꽈] 앉다[안따] 여덟[여덜] 넓다[널따]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없다[업:따]

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닭[닥] 흙과[흑꽈] 맑다[막따] 늙지[늑찌]

삶[삼:] 젊다[점:따] 읊고[읍꼬] 읊다[읍따]

한국어는 음절말의 위치에서 자음군 단 순화 현상이 일어난다.

(16)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2) 자음군 단순화

왜 음절말에서 두 자음 중 하나만 발음되고 모음 앞에서는 두 자음 모두 발음되는가?

Q11

음절말이란 뒤에 모음이 오지 않는 경우. 따 라서 뒤에 모음이 오지 않은 경우 선행 자음 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이 제약은 언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CV, CVC, CVCC 등)

<프랑스어>

• 자음 앞의 발음: petit ku [peti ku]

• 모음 앞의 발음: petit ami [peti tami]

A:

(17)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3.2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2) 자음군 단순화

두 자음 중 어떤 것이 발음되는가?

이에 대한 규칙을 찾을 수 있는가?

 생각해봅시다

(18)

1

한국어의 음운현상

3

소리의 변동, 즉 음운현상은 발음의 경제성만으로 설명되지 않음.

한국어의 제약(constraints)

• 음절구조 제약: 음절의 특정 위치에서의 제약

• 말소리 연쇄 제약: 특정의 두 말소리가 나란히 있을 수 없는 제약

(19)

1

주요 개념 및 용어

음성, 음운, 최소대립쌍, 변이음, 상보적 분포, 음성적 유사성, 자유 변이, 음절, 음절구조, 초성(두음), 중성(

음절핵), 종성(말음), 개음절, 폐음절, 음절 유형(V, CV,

VC, CVC, CVCC, CCVCC 등), 음절화, 어두 초성, 어중

초성, 음운현상, 음절말 평폐쇄음화, 불파, 중화, 자음

군 단순화, 제약(음절구조제약, 말소리 연쇄 제약)

(20)

1

참고문헌

강옥미(2011),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김진호(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개정판), 박이정.

박시균(2013), 「한국어 음성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배주채(2013),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신지영(2011),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 교양.

이진호(2014), 「국어음운론강의」, 삼경문화사.

이호영(1996), 「국어음성학」, 태학사.

허용·김선정(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 박이정.

Crystal, D.(2008),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Blackwell,

(21)

4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1):

(22)

1) 다음의 개념이 왜 필요한지 설명해 보자.

음운(음소) 최소대립쌍 변이음 상보적 분포 음성적 유사상 자유변이

2) 음절과 음절구조, 음절화에 대해 설명해 보자.

3) 음절구조 제약에 의한 음운현상 두 가지에 대해 현상의 구체적인 모습, 소리 변동의 이유를 설명 하고 그에 따른 규칙을 만들어 보자.

1

평가하기

(23)

4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1):

(24)

정리하기

 음운은 모국어 화자들의 머릿속에 들어 있는 범주화된 추상적 말소리

 단 하나의 음운의 대립으로 의미가 달라 지는 한 쌍을 최소대립쌍이라고 한다.

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요소들은 하나의 음소의 변이음이다.

 자유변이란 동일한 음성 환경에서 말소 리를 바꾸어도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 자유로운 변화이다.

1

(25)

정리하기

 한 번에 발음될 수 있는 소리 묶음 단위를 음절이라고 하며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 성된다.

 한국어 V / CV / VC / CVC 의 음절 유형 이 있다.

 낱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두 소리가 만 나 이웃하게 될 때 일어나는 소리 변동을 음운현상이라 한다.

 음절구조 제약에 의해 음절말 평폐쇄음화, 자음군 단순화 현상이 일어난다.

1

참조

관련 문서

시간이 자연적인 반면 시제는 인위적이고, 시간이 실재적 (real)이고 물리적인 반면 시제는 가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간이 객관적(언어 외적)인 반면 시제는 주관적(언어

고구려의 언어와 남부의 백제 및 신라의 언어가 서로 달랐다고 한 다면 한민족의 성립은 삼국 통일 후가 하나의 분수령이 됨. 남북의 언어가 삼국 시대에 방언적

두음은 존재하는 것이 자연스럽고(무표적이고) 말음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무표적이다).. 즉, 음절은 두음으로 시작해

兒馬 아질게 aǯirγa 土黃馬 고라 qula 栗色馬 구렁 küreng 白角鷹 궉진 kögsin 帖裏 텰릭 terlig.. 중고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산출 자료에

1984년 317개 언어의 말소리를 분석한 통계)에 의하면 파열음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고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