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의 문법범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의 문법범주"

Copied!
3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말하는 사람이 말을 듣는 사람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방식(의향법).

서술법: 청자에게 요구하는 바 없이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방식 의문법: 청자에게 대답을 요구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말하는 방식 명령법: 청자에게 행동을 요구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말하는 방식 청유법: 청자에게 화자와 같이 행동하기를 요구하며 말하는 방식

※ 한국어의 경우 서법은 문장종결법으로 나타남.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법, 의향법)

 서법의 개념

(2)

[기준]

1) 청자에 대한 요구가 있느냐 Y / N 2) 행동으로 나타나느냐 Y / N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법, 의향법)

 서법의 분류

기준1 기준2 서법(문장)

요구

NO -

요구 YES

행동수행 NO -

행동수행 YES 청자 only 청자+화자

→ 서술법

(평서문, 감탄문, 약속문)

→ 의문법(의문문)

→ 명령법(명령문)

→ 청유법(청유문)

(3)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법, 의향법)

: 서법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언어에 독자적인

문법장치(문법범주)가 있어야 독립적인 문장이 된다.

예: ① 한국어는 ‘청유’에 대한

독자적인 문법장치가 있는가? ( Y / N ) ② 영어는 ‘청유’에 대한

독자적인 문법장치가 있는가? ( Y / N )

 서법(문장종결법)과 문법범주

(4)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법, 의향법)

: 한국어는 문장종결법이 서법(문장의 종류)를 결정. 즉, 독자적인 종결어미를 가지고 있느냐 에 의해 결정.

❶ 청자 높임법의 등급에 따른 분화 여부

 한국어의 서법과 문법범주

등급 서술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

평서 감탄 약속

1 ↑ -습니다 - - -습니까 -(으)십시오 -(으)ㅂ시다

2 -네

-ㄹ세 -구만 -음세 -나

-은가/을까 -게 -세

3 -다 -구나 -으마 -을게

-으냐, -니

-어라

-으라 -자

⇒ 따라서 감탄문과 약속문은

독자적인 문장을 갖는다고 하기 어렵다.

(5)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❷ 간접인용절에서의 독자적인 어미 형태의 존재 여부 가) 평서법

① “철수가 그 책을 읽었다.”

→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 ]고 말했다.

② “철수가 그 책을 읽었네.”

→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 ]고 말했다.

③ “철수가 그 책을 읽었습니다.”

→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 ]고 말했다.

(6)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나) 의문법

① “철수가 그 책을 읽었니?”

→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 ]고 물었다.

② “철수가 그 책을 읽었는가?”

→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 ]고 물었다.

③ “철수가 그 책을 읽었습니까?”

→ 나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 ]고 물었다.

느냐 느냐 느냐

(7)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다) 명령법

① “그 책을 읽어라.”

→ 나는 그 책을 읽[ ]고 말했다.

② “그 책을 읽게.”

→ 나는 그 책을 읽[ ]고 말했다.

③ “그 책을 읽으십시오.”

→ 나는 그 책을 읽[ ]고 말했다.

으라 으라 으라

(8)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라) 청유법

① “그 책을 읽자.”

→ 나는 그 책을 읽[ ]고 제안했다.

② “그 책을 읽세.”

→ 나는 그 책을 읽[ ]고 제안했다.

③ “그 책을 읽읍시다.”

→ 나는 그 책을 읽[ ]고 제안했다.

(9)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마) 감탄법

① “날씨가 춥구나.”

→ 나는 날씨가 춥[ ]고 말했다.

② “날씨가 춥구만.”

→ 나는 날씨가 춥[ ]고 말했다.

(10)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바) 약속법

① 책을 읽으마.

→ 나는 책을 읽[ ]고 말했다.

② 책을 읽을게.

→ 나는 책을 읽[ ]고 말했다.

겠다/으마 겠다/으마

(11)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한국어 문장종결법과 문장의 종류

(1) 평서법에서는 어미로 ‘ ’만이, 의문법에서는 ‘ ’만이, 명 령법에서는 ‘ ’만이, 청유법에서는 ‘ ’만이 간접인용문(내포문

embedded sentence/clause)에 사용된다. 이들 어미는 각 서법의 독자 적인 어미가 된다. 그런데 감탄법은 어미로 ‘ ’를 사용하여 ( )법과 동일하다. 이것은 감탄법은 독자적인 서법이 될 수 없고 따라서 독자적인 문장을 이루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학자들은 감탄문 을 평서문의 하위 문장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다 -느냐/으냐

-으라 -자

-다 서술

(12)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2.2 서법(문장종결, 의향법)

한편, 약속법의 경우, ‘ ’와 같은 독자적인 어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 만 평서형 어미 ‘ ’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따라서 약속문도 ( )의 하위 문장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감 탄법과 약속법 중 ( )이 더 독자성이 있는 하위범주가 된다.

(2) 학교문법에서는 문장종결에 따른 문장의 종류로 평서문, 의문문, 명령 문, 청유문, 감탄문의 다섯 가지를 둔다.

-(으)마 -다 평서문

약속문

(13)

2.3 시제

2 한국어 문장 구조

시간(time)은 우주 속에 스스로 존재하며 자연스럽게 흘러 가는, 그리하여 결코 분할할 수 없는 것인 반면, 시제(tense) 는 인간의 인식 속에서 만들어져 분할 가능한 개념이다.

시간이 자연적인 반면 시제는 인위적이고, 시간이 실재적 (real)이고 물리적인 반면 시제는 가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간이 객관적(언어 외적)인 반면 시제는 주관적(언어 내적) 이다. 즉, 시제의 구분 또는 범주화는 처음부터 자연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사용자들이 만들어 놓은 것이 다.

(14)

2.3 시제

2 한국어 문장 구조

시간이란 어떻게 보면 현재만 존재하고, 또 어떻게 보면 현재는 존재 하지 않는다. 전자의 경우는 우리가 맞이하는 시간은 오직 현재뿐이고, 후자의 경우는 우리가 현재라고 인식하는 순간 그것은 과거가 될 뿐이 다.

a. 그 사람 지금 떠났어.

b. 그 사람 지금 떠날 거야.

위에서 ‘지금’이라는 단어는 ‘현재’를 표상하는 단어이다. 그런데 위의 문장에서 ‘떠나다’라는 동사의 시제는 각각 과거와 미래로 제시되어 있 다. 이러한 문장이 가능한 것은 인간의 인식은 현재를 어느 정도 확장 하여 가까운 과거와 미래까지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15)

2.3 시제

2 한국어 문장 구조

자연에서의 시간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로 두 시점 사이의 선후 관계만 있을 뿐 그것이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되지는 않는다(윤병달, 2009). 그런데 인간은 그것을 구분하고, 그 구분을 언어적, 문법적 장 치로 설정한 것이 시제이다. 나라가 다르다고 해서 우주에 동등하게 존재하는 객관적 시간의 존재의 차이는 없을 텐데, 언어마다 시제 구 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바로 시제가 자연적 시간의 실재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허용·김선정(2013)

(16)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시제 결정의 두 시점

┏ 상황시/사건시(point of view): 상황(사건)이 발생한 시점

┗ 발화시(point of speech): 화자가 말하는 시점

(17)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과거, 현재, 미래

① 과거: 상황시가 발화시보다 시간적으로

{선행, 후행}하는 경우(예: 나는 밥 먹었어.)

상황시 발화시

(18)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과거, 현재, 미래

② 현재: 상황시와 발화시가 시간적으로 같은 경우 (예: 나는 지금 밥 먹어.)

상황시 = 발화시

(19)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과거, 현재, 미래

③ 미래: 상황시가 발화시보다 시간적으로

{선행, 후행}하는 경우(예: 나는 나중에 밥 먹을게.)

상황시 발화시

(20)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절대시제와 상대시제

① Mike said, “John is very smart.”

→ Mike said that John was very smart.

② 철수는 “영수가 매우 똑똑하다.”라고 말했다.

→ 철수는 영수가 매우 똑똑하다고 말했다.

● 절대시제(absolute tense)

- 영어: 발화시 기준(주절이 과거이면 종속절도 과거)

● 상대시제(relative tense)

- 한국어: 상황시 기준(주절의 시제가 종속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 기준시(time of reference)가 무엇인지에 따라 절대시제와 상대시제가 달라짐

(21)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절대시제와 상대시제

① 행사 때 연주할 악기가 고장이 났다.

② 나는 지하철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을 보았다.

● 주절의 동사: 났다(과거), 보았다(과거)

● 내포절의 동사: 연주할(미래), 부르는(현재)

(22)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시제의 문법적 체계

해당 언어에 를 나타내는

문법적 표현이 존재하는가?

(23)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1) 영분법 체계= 무시제 언어 ① 시제형태소가 동사에

{나타난다, 나타나지 않는다}.

② 대신 시간 부사 등을 통한 {문법적, 어휘적}

방법을 사용하거나 상(aspect) 범주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③ 해당 언어: 중국어, 버마어 등의 동남아 언어, 아랍어 등

(24)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2) 일분법 체계

① 과거, 현재, 미래를 {동일한, 서로 다른}

문법표지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방법.

② 시제를 동일하게 나타낸다는 점에서 무시제 언어 체계와 다를 바 없다.

① 나는 어제 밥을 먹☺다.

② 나는 지금 밥을 먹☺다.

③ 나는 내일 밥을 먹☺다.

(25)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3) 이분법 체계

- 이분법 체계의 종류 ① 과거 : 비과거

② 미래 : 비미래 ③ 현재 : 비현재

위의 세 가지 중

어느 것이 그에 해당하며, 그 이유는 무엇일까?

(26)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가. 과거 : 비과거 (전망시제, prospective tense)

시제

과거 비과거

현재 미래

(27)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나. 미래 : 비미래 (회상시제, retrospective tense)

시제

비미래 미래

과거 현재

(28)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과거시제와 미래시제의 표현방식

현재를 중심으로 하여 볼 때 과거와 미래는 서로 대칭을 이룬다. 그러나 개념 적 시간의 관점에서 이 둘은 단순한 대칭을 넘어 의미적 차이를 형성한다. 과거 는 ‘이미 지나간 것으로 확정된 것, 결정된 것, 고정된 것, 눈에 보이는 것’ 등의 의미를 지니는 한편, 미래는 ‘불확정적인 것, 잠재적인 것, 변화의 가능성이 있 는 것, 눈에 보이지 않는 것’ 등의 의미를 가진다.

(29)

2 1 한국어의 문법범주

과거시제와 미래시제의 표현방식

이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것은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독립 된 문법표지가 있는 반면, 미래를 나타내는 문법요소는 원래 시제를 위한 것인 지, 아니면 상이나 다른 것(예; 추측, 의지 등)을 위한 문법요소가 시제에 원용된 것인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우리는 언어에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가 위에서 언급한 과거와 미래의 의미적 차이에 기인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된 다.(허용·김선정 2013)

(30)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4) 삼분법 체계

시제

과거 현재 미래

5) 다중분할체계

: 과거나 미래를 더욱 세분하여 제시하는 체계

(31)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한국어의 시제 체계 1) 학교문법: 삼분 체계

구분 시제 선어말어미 관형사형 전성어미

과거 -었/았/였-, -더- -(으)ㄴ(동사), -던, -었던/았던

현재 -는/ㄴ/ø- 동사 -는

형용사 -(으)ㄴ

미래/추측 -겠-/-리- -(으)ㄹ

(32)

생각해 봅시다 (2)

다음 세 가지 경우를 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① 아래에서 와

를 살펴보자.

a. 내일 이맘때쯤에는 철수가 그 책을 읽었을 것이다.

b. 나는 요즘 학생식당에서 밥을 먹는다.

c. 나는 내년에 대학원에 간다.

(33)

생각해 봅시다 (2)

다음 세 가지 경우를 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② 아래의 경우

a. 책을 읽ø습니다/읽ø습니까?/읽ø니?

b. 밥을 읽었습니다/읽었습니까?/읽었니?

c. 밥을 읽겠습니다/읽겠습니까?/읽겠니?

(34)

생각해 봅시다 (2)

다음 세 가지 경우를 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③ 아래에서 는 과연 미래일까?

a. 내일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b. 지금쯤 고향에는 꽃이 피었겠지?

c. 알았습니다./알겠습니다.

(35)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3 시제

 한국어의 시제 체계

2) 학술문법: 이분 체계

⇒ 한국어의 시제체계는 ( ) : ( )의 가능성이 높다.

과거 비과거

(36)

1 주요 개념 및 용어

3

문법범주, 격, 수, 인칭, 문법성, 시제, 상, 서법, 태, 비교, 격조사(주격조사, 목적격조사, 보격조사,

관형격조사, 부사격조사, 서술격조사, 호격조사), 구조격조사, 문장종결법(의향법), 서술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 상황시(사건시), 발화시, 기준시,

시제의 문법적 체계(영분법, 일분법, 이분법, 삼분법, 다중분할체계)

(37)

1 참고문헌

4

 고영근·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커뮤니케이션북스.

 권재일(2001), 「한국어통사론」, 민음사.

 김진호(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개정판), 박이정.

 김현권 외(2010), 「언어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신승용(2011), 「학교문법산책」, 태학사.

 윤병달(2009), 「언어와 의미: 문법현상에 대한 해석과 설명」, 동인.

 이관규(2013), 「학교문법교육론」,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 이익섭(2011), 「국어학개설」, 학연사.

 이익섭·장소원(1994), 「국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이철수·김준기(2000), 「언어와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 허용 외(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박이정.

 허용·김선정(2013) 「대조언어학」, 소통.

(38)

10주차.

한국어 한국어 문장구조(2)

(39)

1) 문법범주의 개념과 자연언어에 나타나는 문법범주 종류에 대해 말해 보자.

2) 한국어의 격과 그에 따른 문법형태소에 대해 말해 보자.

3) 한국어의 서법과 그에 따른 문법형태소에 대해 말해 보자.

4) 한국어의 시제와 그에 따른 문법형태소에 대해 말해 보자.

1 형성평가

5

참조

관련 문서

방열기 표면온도가 높을수록 상부의 온도는 높게 되고 하부 는 낮게 된다.. 예열, 방열량

어떤 사람이 외적인 보상을 바라지 않고 스포츠 그 자체가 좋아서 운동을 하면 내적 동기가 높다고 말한다.. 반면, 스포츠 활동을 하는 이유가 상금이나 기타 외적인 보상

1.. • 상태지향적일수록 행동의도에 주관적 규범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반면, 행동지향적일수록 행동의도에 태도가 크게 영향을 미침.. • 독선주의: 기존신념에

언어 체계가 언어 사용에 의존한다면 화자가 특정 낱말이나 다른 종류의 구문과 마주치는 상대적인 빈도가 언어 체계의 본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결과.. -가장 고착화된

시간이 없을수록 정보탐색에 소비하는 시간이 적어지며, 있는 정보의 사용도 감 소하고 , 부정적인 정보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전달 가능한 정보의 양이 적다 주의를 끌기 어렵다. 광고

FTA 이행에 따른 국내 농축산물의 파급 영향은 이행 초기에는 관세감축률 이 작아 영향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품목과 규모가 확 대될

이처럼 북한은 언어 도구관에 입각하여 주체적 언어 사상과 주체적 언어 이론을 정립하고 이의 추진을 위한 언어 정책을 시행하였는데,언어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