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9장 설화 작품론 발표 기본 자료 (2강과 동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9장 설화 작품론 발표 기본 자료 (2강과 동일)"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9장 설화 작품론 발표 기본 자료 (2강과 동일)

이야기. 이야기판에서 생성, 전달, 전승되는 언어 예술. 허구적 이야기, 역사적 이야기, 경험담 포함. 사건·사물의 객관적 설명과 경험담(48쪽) 제외.

특징: 허구성(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 구전성(망각·개성에 의한 개변. 단순하면서 도 잘 짜인 구조), 산문성(일상 대화와 구별), 연행의 개방성(한 명 이상의 화자와 청자면 이야 기판 성립. 일반인에게 친숙한 갈래. 청자의 반응이 각편에 영향), 화자 자격의 무제한성(광범 위한 향유층. 문헌 정착 기회 확보→문헌 설화), 보편성(타 문화권에서 유사 유형·화소 발견) 문화적 의의: 오락적 측면과 함께 지식 체계 전수의 교육적 기능. 정신세계의 깊은 층위를 설 화 통해 탐구.

경험담 포함. 일정한 형태를 지니려는 경향. 이로써 설화의 범주와 갈래 설정.

신화(신적 존재의 창조적 행위. 태초와 신성 공간. 민족·씨족 범위로 전승 한정), 전설(특별한 상황 속 인간의 예기치 않은 사건. 제한된 시공간. 씨족·지역 범위로 전승 한정. 증거물), 민담 (일상적 인간의 운명 극복. 옛날 옛적 어느 곳. 전승 지역 무한정). 삼분법에 대해 옛날이야기 의 일분법도 제기됨. 갈래의 혼재, 상호 전이 고려해야 함.

이야기의 사회적 기능. 의사 교환이 이루어지는 이야기판(화자, 청자, 이야기 항목으로 구성).

전승자의 태도(믿음-무관심-회의-불신-부정)에 따른 수용. 이야기판의 약화 속에도 육성으로 이야기를 나누려는 욕구 존재. 이야기꾼(조선 후기의 전기수傳奇叟)의 역할. 동화 구연사가 증 가하고 코미디언의 이야기 극장 등이 생겨남.

■ 신화

역사적 사건·사회 구조의 반영물. 제의·종교의 상관물. 인간의 잠재의식·꿈의 투사. 문학의 관 점에서 이야기 신화의 언어와 구조가 담고 있는 우주론·세계관, 사고·상상력에 주목.

신성에 관한 이야기. 상징의 언어(신성의 다름을 말하기 위해). 시원·근원에 대해 이야기함(신 화는 곧 본풀이). 신화의 보편성은 인간의 이원 대립적 정신 구조에 기인.

신화란 신성한 창조적 시원에 대한 상징적 언술. 다시 말해, 신·신인·영웅에 의해 이루어지는 위대한 창조적 행위를 서사적 줄거리로 엮되 그것을 상징의 언어로 들려주는 것.

인간의 일생 의례의 구조와 상응. 문학의 원형이자 문화의 핵심 모델. 태초의 창조 행위가 매 년 되풀이되는 순환적·가역적 시간성. 신성에 대한 믿음에서 신화의 힘 발생. 공동체를 결속·

유지하는 기능.

신화의 범주: 문헌 신화와 구비 신화(서사무가, 창세·인간 기원 신화, 수호신·당제 기원 신화, 제세주濟世主 신화)

신화 분류(전승 집단의 범위 기준): 건국 신화, 성씨 시조 신화, 마을 신화(당 신화-원혼 당신, 자연물), 종교 신화(주로 무속신화), 기타 민간 신화(영등신, 여산신, 업신, 제세주 등)

고조선 신화: 천부지모의 신성 혼인으로 한국 신화의 구조적 전형. 삼칠일의 금기, 신단수-마

(2)

을의 당목, 환웅·곰·호랑이의 상징, 풍백·우사·운사의 존재, 천부인의 실체 등.

부여계와 고구려 신화: 주몽-고구려 시조, 동명-부여계 나라들의 시조. 정복과 투쟁의 역사를 신성화, 영웅의 일생 구조, 3대기, 아버지 찾기.

신라와 가야의 신화: 스스로 신성 혼인을 한 점에서 북방 신화와 구분. 여러 집단의 연맹·결속 을 통한 건국, 천강형과 성모형 계열(신라, 가야 공통), 산신(지신-서술산 성모), 수신(용신-계 룡과 알영)계와 연관.

구조와 세계관: 천부지모의 구조적 패턴, 태양·하늘에 대한 신성 관념, 지상의 존재들을 신성 시, 산의 상징(지상에 있으면서 하늘에 닿을 만한 곳), 하늘과 땅을 중개하는 상징(단수檀樹), 신성혼인, 영웅의 일생, 출생-입사-혼인-즉위-죽음의 과정(일생 의례의 모형), 이주·도래자의 존재, 천강·표착은 이계로부터의 이주·도래, 천신족의 동점東漸.

후삼국, 고려의 신화 만들기: 견훤(야래자형, 산만한 구성), 궁예(고대신화 모방, 미륵불로 조 작), 호경-강충-보육-진의-작제건-용건-왕건의 고려 왕실 신화, <용비어천가>의 조선 왕실 신 화. 신화적 상상력 위축, 신성 왕권의 징표 획득.

성씨 시조 신화, 가문 신화: 신라 육촌의 장들, 탐라국 삼성 시조, 야래자형 이물교혼異物交婚 모티프가 대부분, 미추왕·김유신·김춘추 등 친족 집단의 신화.

무속 신화: 무신의 일생담(본풀이·풀이·거리), 신을 굿판에 불러내기 위한 것(청신請神), 당금애 기의 출산과 바리데기의 이계 여행이 삼신과 영혼 천도신으로 좌정 근거. 당신 본풀이, 조상 신 본풀이의 편린. 무속 신화는 나라굿에서 구송되었을 것이고 왕조 본풀이가 역사서에 오르 고 다른 무가는 굿판에서 기능 지속. 1910년대부터 채록. 지속과 변모 양상(여성 수난의 일생 비중 큼).

마을 신화: 자연물의 시원, 개촌開村의 역사, 마을 수호신 및 신앙 이야기. 처녀의 원혼을 당 신으로 모시거나 김유신·최영·공민왕·단종·금성대군·임경업 등을 모심.

민중 신화: 피지배층, 반체제적 신화, 진인 출현설(제세주의 상징), 아기장수 이야기의 신화적 지향성, 사회 신화적 담론의 기능.

현대 신화: 비행접시, 정치신화 등

한국 신화의 사유·상징·기능: 신성과 인간의 결속을 통해 인간의 근원적 정체성 확인. 신의 근 본을 푸는 것인 동시에 인간의 근본을 푸는 것. 역사적 인물의 신격화는 인간 중심적 사고 및 현실적 경향과 관련. 의미 다발적이고 복합적인 상징 언어(금궤·석함, 난생, 신수神樹-우주목, 신성 동물-토템, 동물의 중의성·양가성(닭-밤과 아침, 새·뱀-두 세계 오고감, 용-바다와 하늘 과 땅 넘나듦), 공동체 통합의 기능, 인간 행위와 삶의 모델.

■ 전설

증거물을 근거로 진실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이야기. 역사 구술적 기능. 허구적 요소 포함, 증 거물, 특정 지역 중심. 증거물의 해석을 둘러싸고 논쟁적 양상.

전설의 문체: 한문 문구, 설명적 진술, 논증적 진술.

전설의 구조: 단순 설명에서 허구적 서사까지 다양, 길지 않은 편. 서두와 결말에 구체적 시공 간과 증거물 제시, 금기와 위반-비극적 결말, 초자연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상충 혹은 예상치

(3)

못한 세계의 횡포로 인한 비극적 좌절, 허구적 내용을 실제로 받아들임, 상상과 현실의 충돌.

삼국 시대: 신화적 전설(연오랑세오녀, 선도산성모), 좌절형 인물(해명태자, 호동왕자), 불교 설 화(어산불영), 인물 전설(명장, 충신, 효자, 열녀)

고려 시대: 출생담(최응, 균여, 강감찬), 풍수 설화(왕건 5대조 강충), 보은담(박세통), 절혈 전 설(호종단-조선시대 이여송, 일제강점기 일본인으로), 신유학과 재래 신앙의 갈등(우탁)

조선 시대: 고려 유민(선죽교, 두문동, 성계탕), 다양한 지명·인물전설, 현전하는 전설 유형 망 라, 임란의 체험과 후유증, 여성 인물형(곽재우·정충신·이기축 부인), 건달형 인물형, 부를 축 적하는 인물형, 이인형 인물, 고난 해결 인물형(박문수·숙종·고창녕), 전설의 기록 문학화.

근대 이후: 동학, 일제 강점, 6.25전쟁 등-민간 영웅의 일생 바탕, 지명 유래담.

전설의 분류: 전승 장소에 따라 지역적 전설과 이주적 전설(광포 전설), 발생 목적에 따라 설 명적 전설·역사적 전설·신앙적 전설, 설화 대상에 따라 사물 명칭-자연물·인공물·인간, 신앙 행 위-인물·동물·식물·사물, 증거물의 성격에 따라 사물 전설·인물 전설·풍속 신앙 전설.

지명·지형·마을 형성 유래 전설: 산 이름의 유래는 단순한 설명적 서사, 대홍수 모티프, 특별 한 기운, 특정 사건·행위, 지형 형성 유래(선문대 할망, 마고할미), 입촌入村시조·마을 형성 내 력.

광포전설: 장자못 전설(구체적 지명 제시-장자의 인색함과 학승虐僧-며느리의 시주-도승의 제 의-며느리의 금기 위반-화석과 장자못 생성-장자못에 대한 정보, 악행 응징의 의미·이상 세계 와 욕망 사이의 갈등), 아기장수 전설(비범한 아기의 출생-부모에 의한 살해-용마의 죽음(기본 형), 비범한 아기의 출생-추적자로부터의 은신(재생 준비)-어머니의 금기 위반-아기의 죽음(재 생형), 하층민의 패배 의식·문제적 사회 구조·민중적 역사의식의 소산, <황토기>·<역사力士>·

<옛날 옛적에 훠어이> 등으로 재창작), 오뉘힘내기 전설(오누이의 갈등(양웅불립兩雄不立)-오누 이의 힘내기-어머니의 부당한 개입-누이의 패배와 그 결과, 힘내기 방법과 결말의 변이, 견 훤·김덕령·이몽학·정여립 등과 결부, 패자 중심의 시선), 달래고개 전설(근친상간 모티프, 대홍 수와 관련된 남매혼 신화에 근원, 윤리보다 생명에 대한 긍정)

이인·고승 전설: 문화 영웅(명풍수, 명의, 도술적 이인. 비범성 획득의 사연-이물교혼異物交婚 담의 전통(여우 구슬), 고승(의상, 원효, 혜공과 혜숙)

효자·열녀 전설: 효자 호랑이의 비극적 결말, 설씨녀·도미 처, 전란기·국가적 혼란기에 열녀전 설 많음, 가짜 열녀·이부열녀二夫烈女 이야기.

원혼 전설: 아랑 전설(정절형) 인물과 결부되어 구애를 거부당한 여인의 원혼(욕구형), 원혼의 제향·당신堂神 좌정(좌정형), 인간성의 긍정에 귀결.

전설의 인간관·세계관: 인간적 속성에서 비롯된 불완전성에 비극성 기인, 인간을 이야기하는 장르, 막연한 기대·근거 없는 낙관은 존재 않음, 중세적 규범 체계에서 경시되던 인간 존재에 대한 문제 제기, 이웃과 나누는 공생적 가치관, 인간 중심적 윤리관, 자기 성찰의 문학.

■ 민담

흥미 위주로 전승되는 옛날이야기, 사실 여부에 구애받지 않고 상상력을 마음껏 동원하여 흥

(4)

미진진하게 스토리를 엮어나가는 이야기. 민담은 시적詩的‧개인적, 전설은 역사적‧집단적, 표현 중시, 사적이고 일상적, 꿈‧상상의 이야기, 낙관적, 꿈을 통해 현실을 드러냄.

삼국‧신라: 바보 온달, 당나귀 귀(경문왕), 내복에 산다 유형(서동), 토끼와 자리(구토설화) 고려: 남매혼(대전쟁), 견묘쟁주犬猫爭珠, 지하국대적퇴치 등은 몽고와 관련.

조선: 소화笑話, ‘골계전’류, 조선 후기 이야기꾼(오물음, 김중진, 김옹, 민옹, 윤영), 야담-민담 의 새로운 경지.

민담의 분류: 동물담‧본격담‧소화 및 일화‧형식담‧미분류담(아르네Aarne톰슨Thompson), 동물담

‧본격담‧소화(구비문학개설), 이기고 지기‧알고 모르기‧속이고 속기‧바르고 그르기‧움직이고 멈추기‧오고 가기‧잘되고 못되기‧잇고 자르기(조동일)

환상적 민담: 나무꾼과 선녀, 우렁 각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등 희극적 민담: 바보 사위, 방귀쟁이 며느리, 떡보와 사신 등 사실적 민담: 천 냥짜리 점, 복 많은 백정 딸, 내 복에 산다 등

민담의 구조: 흥미를 위해 존재, 경험과 꿈이 원천, 전승 과정에서 보편성 획득, 재미와 메시 지를 전할 수 있는 구조. 순차적 구조(결핍-해소, 금기-위반-결과 등)‧대립적 구조(생/사, 선/

악, 천/지, 남/녀, 귀/천, 화/복 등), 시퀀스sequence(서로 긴밀하게 결합되는 화소motif나 단 락의 연쇄)로 분석, 흥미와 함께 의미가 내재.

표현 방식과 문체: 표정과 동작, 인물과 상황 묘사, 대사의 극적 재현, 묻고 답하기 식 구연, 비유적 표현, 공식적‧관습적 표현, 허풍과 과장, 너스레 등, 상상의 즐거움, 비어‧속어 사용, 묘 사적 재현.

민중의 삶과 꿈 담김: 상상의, 남의, 옛날의 이야기, 유형type과 각편version에서 차이.

환상적 민담: <나무꾼과 선녀>: 결핍-해결의 시도-해결-금기의 위반-결과(이별)-해결의 시도- 해결(또는 실패), 민중적 소망, 꿈의 모습을 빌린 삶에의 의지‧신념, <구복여행>도 유사. 동물 우화 <호랑이와 토끼>: 인간 삶에 대한 우의적 대응물, 지배자와 민중의 갈등 암시.

희극적 민담: 재미와 웃음이 존재 의미. <바보신랑>‧<며느리의 방귀>: 유쾌한 웃음은 삶의 활 력소, 힘든 삶을 보듬고 기력 충전. <내 병 다 나았다>: 육담‧음담(성을 소재), <꾀쟁이 하인>:

풍자적 웃음, 전복顚覆의 사유.

사실적 민담: 언제 어디선가 있었을 법한 일, 상대적으로 진지함. <가장 말 따르는 집안>: 모 종의 깨달음. <세 번의 죽을 고비>: 운명 극복담, 흥미와 실감. <백정과 박문수>: 신분 변동 반영, 민중의 사회적 부상.

민담의 현재: 유머, 짤막한 소화들과 신변잡기류의 긴 이야기, 말장난, 너털웃음이나 쓴웃음, 이야기 문화의 문제로 귀결.

참조

관련 문서

16 Right after that moment, not only Brielle ’ s heart rate but also her body temperature came back to normal.. 17 She began to breathe

[r]

모두 합동이므로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고, 높이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세로의 길이와

용 범위를 넓혀 의약품 유통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영업 용 화물자동차의 시장진입 규제 또한 물류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완화 돼야 한다.. 재래시장의 보호

협력을 통해 청을 공격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었으나 끝내 자신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역모에 휘말려 죽음을 당한다. 소설과 전의 분야는 임경업 관련 소설과 전의

한국기업 인수합병

연속확률 변수 x의 평균이 25이고, 표준편차가 4일 때, 다음 x값 또는 범위를 z로 바꾸고 그 면 적을

졸업유보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