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日 정부 2021.6월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수립 추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日 정부 2021.6월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수립 추진"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日 정부 2021.6월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수립 추진

□ 日 정부는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실질 제로로 만드는 탈탄소 실현을 위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新목표 수립을 늦어도 6월 G7 정상 회의 개최 전까지 추진할 방침임.

ㅇ (배경) 일본은 당초 2021.11월 COP26에 맞춰 관련 목표를 제시할 계획 이었으나, 중장기 목표 뿐 아니라 2030년 수치를 중시하는 미국 등 선 진 각국의 동향을 의식

- 스가 총리가 4월 초 방미 시 바이든 대통령에게 관련 방침을 설명할 예정

※ 주요국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 (일본)‘2013년도 대비 26% 감축’에서 목표 상향조정 / (미국) 4월 공개 예정 / (영국) 1990년 대비 68% 감축 / (EU) 1990년 대비 55% 감축 / (중국) GDP 당 CO2 배출량을 2005년 대비 65% 이상 감축 / (인도) GDP 당 배출량을 2005년 대비 33~35% 감축

ㅇ (향후 계획) 스가 총리는 3.9 고이즈미 환경대신에게 기후변화 담당대신 겸 직을 지시하고 내각관방에 기후변화대책추진실을 신설한 바 있으며, 이르면 금주 중 관련 각료와 협의를 개최하는 한편, 3월 중 산업계 대표 및 전문가 로 구성된 전문가회의도 설치할 계획

- 향후 구체적 논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기후 변화 대응 행동 분석기관(Climate Action Tracker)’은 파리 협정이 제시한

‘기온 1.5도 이내 상승 억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13년도 대비 60% 이상 감축이 필요하다고 관측

- 에너지기본계획* 개정과 관련, 2030년 기준 어느 수준까지 재생에너지 비율 을 확대할 수 있을지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

* 현행 계획은 2030년도 전체 발전량에 차지하는 재생에너지 비율을 22~24%로 규정

※ 경산성이 3.22까지 경제단체 및 사업자를 대상으로 전체 전력 대비 재생에너지 비율과 관련한 청취조사

(2)

를 실시한 결과, ▲경제동우회는 2030년까지 50%, ▲일본기후리더스파트너십(JCLP)도 최소 약 50%를 주장하며 현행 목표를 대폭 상향조정토록 촉구 중

ㅇ (범정부적 지원 필요) 목표 상향 조정을 위해서는 범정부적 지원이 중요 하며, ▲농림수산성(농지 전용(轉用))과 ▲환경성(환경 평가 효율화)의 역 할이 크고, 특히 주택·건축물을 소관해 에너지절약 및 재생에너지 설비 도입 촉진 제도를 강화해 나갈 ▲국토교통성의 역할이 중요

ㅇ (과제) 단, 2012년 고정가격매입제도(FIT) 시행 이후 한정된 국토에 재생 에너지 발전시설이 빠른 속도로 도입되며 지자체가 시설 설치를 조례로 금지하는 사례도 등장하는 등 장소의 제약이 발생했고, FIT 비용 부담도 과제로 부상

- 한편, 全전력 재생에너지 100% 조달을 추구하는 ‘RE100’ 가맹사 약 300 곳 중 미국 및 유럽 기업은 80% 이상이 2030년을 달성 시기로 설정한 데 반해, 일본 기업은 70%가 2050년을 달성 시기로 설정하고 있어 기업의 추가적 대 응도 요구되는 상황

참조

관련 문서

[r]

[r]

ㅇ 간담회는 파리협정을 토대로 일본의 장기적 대책 방향성을 검토해온 바, 제언에는 야심적인 내용이 담길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내용의 구체성이 부족하고 기존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r]

[r]

ㅇ 다만 조속한 급부를 위해 노력한 나머지 본인확인 절차가 불충분해지는 등의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어 총무성 담당자는 ‘각 지자체의 노력은 부정하지 않 으나 누락·중복

배출권 거래제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상 한선(cap)을 정하고 어떤 기업이 이를 초과하 는 온실가스 절감에 성공할 경우 절감한 감축 분을 온실가스 절감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 가격 변화 원자재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비용은 높으나,. 최종 제품의 가격 인상에는 매우 제한적 산업부문의 기후중립 전환을 지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