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등학교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초등학교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Copied!
7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초등학교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ee of Contentment with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학과

위 진 오

2002

(2)

초등학교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ee of Contentment with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지도교수 : 김 귀 봉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학과

위 진 오

2002

(3)

위 진 오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

2002년 12월 일

심 사 위 원 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국민대학교육대학원

(4)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 특기․적성교육 활동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참여지역에 따른 체육 특 기․적성교육활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참여정도가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2002년 현재 서울지역에 재학중인 남․여 초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8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중기입 및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후 805명 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법으로 설문지의 구성은 참여지역, 참여정 도,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의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이중기입 및 무기 입한 자료는 분석대항에서 제외시키고 유효표본만을 코딩의 지침에 따라 부호와 (Coding)하였으며 부호화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0.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법은 T-test, 중다회귀분석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만족도에는 학년을 제외한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참여지역에 따른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정도에 따라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변인 및 가설 ···3

4. 연구의 제한점 ···6

5.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특기․적성교육 활동 ···8

2.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운영현황 ···13

3.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23

4. 체육 특기․적성교육 활동 ···28

5. 선행연구 ···33

Ⅲ. 연구방법 ···36

1. 연구대상 ···36

2. 조사도구 ···37

1) 설문지 구성 ···37

2) 설문지의 신뢰도 ···38

3. 조사절차 ···39

4. 자료처리 ···39

(6)

Ⅳ. 결과 및 논의 ···40

1. 결과 ···40

2. 논의 ···51

Ⅴ. 결론 및 제언 ···55

1. 결론 ···55

2. 제언 ···56

참고문헌 ···58

ABSTRACT ···62

부 록 ···64

(7)

표 목 차

표 1. 특기․적성교육활동 참여학교 및 참여학생비율 ···16

표 2. 특기․적성교육활동 운영 프로그램 ···18

표 3. 특기․적성교육활동 프로그램 종류로 본 참여 우선순위 ···20

표 4. 특기․적성교육활동 ···21

표 5. 특기․적성교육활동의 강사비 지원의 예 ···22

표 6.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6

표 7. 설문지의 구성지표 및 내용 ···37

표 8. 만족도의 신뢰도 계수 ···38

표 9.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41

표 10. 강남과 강북지역간 운영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43

표 11. 강남과 강북지역간 시설과 수업환경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43

표 12. 강남과 강북지역간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44

표 13. 강남과 강북지역간 지도교사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45

표 14. 강남과 강북지역간 효과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46

표 15. 참여정도가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46

표 16. 참여정도가 시설과 수업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47

표 17. 참여정도가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 48

표 18. 참여정도가 지도교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 49

표 19. 참여정도가 효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50

(8)

그 림 목 차

그림 1. 체육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관계모형 ···4 그림 2. 피라미드 모델 ···30

(9)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교실 또는 학교의 붕괴론까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오늘날의 사회 현실은 교 육현장에까지 정보화, 세계화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교육개혁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학 습자의 개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 1995년에 ‘신교육체제 수 립을 위한 교육개혁’, 1998년에 ‘새 학교 문화창조’, 1999년에 창조적 지식기반국 가 건설을 위한 ‘교육발전 5개년 계획’ 등의 교육개혁 과제를 선정하여 이를 적극적 으로 추진하고 있다(인천교육청, 1998).

따라서, 교육분야에서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대처하고, 무한 경쟁시대 의 21세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유능한 ‘인적자원’을 개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모든 교과에 유능한 학생이 아니라, 각자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분 야에 뛰어난 학생,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학생을 육성하여 학 생 개개인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는 다양하고 급변하게 변화하는 시대 흐름을 이끌어갈 인재양 성을 위한 학교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1999년부터 새로운 명칭으로 운영되는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교육청, 1999).

교육청(1999)자료에 의하면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 능력을 가장 알맞은 상태로 발전시키는 데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 환경을 마련하여 바람직한 신체활동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간의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적응 능력은 태어나면서 가지는 것이 아니고 경험의

(10)

과정에서 학습을 통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특히, 체육활동은 학습을 통하여 형성하 게 되는 것이며, 학생들이 신체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학습은 평생 체육활동에 참 가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의 정과 체육 시간만의 신체활동으로 는 학생들의 왕성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체육 특기․적성 활동을 활성화 하여 평생 체육활동을 즐기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장우현, 2000).

따라서 특기․적성교육활동은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흥미, 소질, 적성 및 능력 등 의 개인적 특성을 최대한으로 신장시키는 교육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기․적성교육이 실시되었으나 교사와 학생의 참여도가 낮고, 수준별 반 편성이 고려되지 않았고, 학생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강좌개설이 충족되지 않아,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연계수업이 곤란하였다(하명자, 2000).

아직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특기․적성교육은 학생이 주체가 되는 능동 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학생의 입장에서 모든 운영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고,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인간으로의 양성에 주안 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기․적성교육에 관한 최근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활 동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류이상, 2000),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 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심정숙, 2001),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의 운영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장세순, 2001), 초등하교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교 사와 학부모의 관심도 연구(김영임, 2001), 초등학교의 특기․적성교육이 관한 연 구(최종승, 2001),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도 연구(문애순, 2001)등이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실태, 인식도, 관심도 방안에 관 한 내용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고, 특기․적성교육 중 체육에 한 분야에 관련된 변

(11)

인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제로 체육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을 대상 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특기․적성교육의 만족도를 학생들의 입장에서 체육 특기․

적성교육의 정착하에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기대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과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체육 특기․적성 교육의 내실화 및 정상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있는가 ? 둘째, 참여지역(강남, 강북)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있는가 ? 셋째, 참여정도에 따른 만족도에 영향이 미칠 것인가 ?

3. 연구변인 및 가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 의 <그림 1>과 같은 변인을 설정하였다.

먼저, 초등학생 체육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성별 학년, 학교유형을 배경변인으로 설정하고, 체육 특기․적성 교육의 참여지역(강남, 강북)과 참여정도에 강도, 기간을 독립변인에 설정하고,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는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12)

그림 1. 체육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관계모형

초등학생 체육 특기․적성 교육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초등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만족 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1-1. 성별에 따라 체육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

배경변인

인 구 사 회 학 적

배 경

성 별

학 년

학 교 유 형

체 육 특 기

․ 적 성

교 육 활 동

참 여 정 도 독립변인 종속변인

체 육 특 기

․ 적 성

교 육 활 동

운 영 만족도

시설과 수업환경 만족도

효 과 만족도 프로그램 (수업내용)

만족도

지도교사 만족도

기간 강도 참 여 지

역 강북

강남

(13)

이다.

1-2. 학년에 따라 체육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 이다.

1-3. 학교 유형에 따라 체육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 을 것이다.

가설 2.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지역(강남, 강북)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정도(강도, 기간)는 만족도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1.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정도는 운영 만족도에 영 향을 미칠 것이다.

3-2.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정도는 시설과 수업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3.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정도는 프로그램 만족도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4.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정도는 지도교사 만족도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5.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참여정도는 효과 만족도에 영 향을 미칠 것이다.

(14)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연구방법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지닐 수 있다.

1) 연구 대상을 서울지역의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룰 일반화하는 데는 전국적이지 못하다.

2) 연구 대상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교사와 학부모에 관한 인식 을 반영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3)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학교체육과 관련하여 해석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5.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 설정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개념들에 관한 용어의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 특기․적성 교육활동

1995년 5월 31일에 발표된 교육개혁방안의 일환으로 발표된 ‘방과후 교육활동’

을 말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소질․적성 개발 및 취미․특기를 신장시킬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한다는 목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 루어지는 모든 교육활동을 말한다.

(15)

․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특기․적성교육활동의 내용에는 교과, 컴퓨터, 음악, 미술, 체육, 기타 등이 있는데 이중 학생 스스로 자신의 취미나 적성에 맞는 체육활동을 선택하여 참여함으로써 체육 관련 특기를 신장하고 소질을 개발시키고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줄일 수 있는 교육활동 을 말한다.

․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만족도

특정 개인이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선택과 참가의 결과로써 개인이 형성하거 나 획득되는 긍정적 인식 또는 감정으로, 하위요인으로는 운영의 만족, 시설과 수업환 경의 만족, 프로그램의 만족, 지도교사의 만족, 효과의 만족 요인이 있다.

(16)

Ⅱ. 이론적 배경

1. 특기․적성교육 활동

1) 특기․적성의 교육의 개념

적성(Aptitude)이란 어떤 지식이나 기능, 또는 특정의 반응 방식을 훈련이나 경 험에 의하여 획득하기 이전에 예측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만한 징후나 징후군을 가르친다. 직업 적성을 그 예로 들어보면, 특정 직업에 종사하여 그것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만한 능력이나 성격 특성이 그 직업에 종사하기 이전이나 특별한 훈련을 받기 이전에 잠재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직업에 대한 적성이라고 한 다. 또 적성의 개념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먼저 넓은 의 미의 적성이란 미래의 어떤 직업이나 분야에 있어서 성공을 예언할 수 있는 것으로 현재의 한 개인이 갖고 있는 지적, 정의적, 신경 운동적 기능을 말한다. 그리고 좁 은 의미의 적성은 미래에 있어서 학습을 해낼 수 있는 인간의 지적 요소만을 의미 한다(두산동아대백과사전, 1997). 특기(Special ability)는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기능이나 뛰어난 기술을 뜻하는 것으로 적성보다는 좁은 의미로 사용 되어 진다.

요즘 들어서 강조되고 있는 특기․적성 교육은 사실 새로운 개념이나 과거와 다 른 형태의 색다른 교육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기․적성 교육은 인간의 잠재 가능 성을 개발하고 실현해 나가기 위한 교육으로 선진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각 개 인의 소질과 특기․적성을 살리는 교육으로 실시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7)

「새 학교 문화 창조」라는 목표와 새로운 교육으로서 패러다임을 위한 대안적 모 색으로서 특기․적성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 동안의 입시 위주의 획일적, 기계 적, 단편적 교육에서 다양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으로 활발히 논 의되어져 왔다.

특기․적성 교육을 직업 교육이며, 직업 적성 교육으로서 개인이 자신의 진로를 합리적으로 인식하도록 돕는 인간 교육으로 정의하고 있다(김충기,1988).

Bailey와 Stadt(1973)은 개인이 만족스럽고 생산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진 로에 대한 방향을 세우고 선택하며, 그에 대한 준비를 하고 선택한 진로에 들어가 계속적인 발달을 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공되는 교육활동 이라고 정의하고 있 다. Hoyt(1974)는 일 지향적인 사회 가치에 친숙하게 하여 이 가치들을 자신의 인성 적인 가치 체계 속으로 통합하여 일을 통해 보람과 만족을 느끼는 삶을 살도 록 도와주는 공교육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직업이나 진로에 대한 준비과정이나 생계유지의 수단으로서 특 기․적성 교육을 접근 할 것이 아니라, 직업과는 무관하게 자신의 취미나 여가 생 활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노력으로 인생을 향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교육으로 그 의미가 바뀌어져야 할 때이다(교육청, 1999).

후기 산업 사회에 기초한 특기․적성 교육의 철학적 바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람은 누구나 독특한 존재로 태어나며 각자 독특한 존재 로서의 삶을 추구 할 수 있다. 둘째, 사람은 누구나 필요하고 존엄한 존재로서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는 사상에 기초한다. 따라서 특기․적성 교육은 누구나 타고난 잠재능력을 기본으로 자기의 소질, 능력, 흥미, 적성, 인성에 알맞은 방향으로 자신 이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철학적 바탕에서부터 출발한다(진로교육학회, 1999).

(18)

2) 특기․적성의 교육 성격

21세기는 창의성과 다양성을 요구하는 지식 기반 사회로서 신기술과 지식 창출 능력이 국민의 삶의 질과 국력을 좌우하게 된다. 다양한 능력의 개발과 창의력의 신장은 학습자의 소질과 능력, 적성 등 개성을 적극적으로 배려하는 교육을 통해 길러진다. 기종의 교육이 근대화, 산업화 시대의 교육이라면 새 학교 문화의 교육은 정보화, 세계화 시대의 교육을 지향한다. 지금 진입하고 있는 이 시대는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와 지식 수준이 개인에게는 삶의 질을 결정하고 국가 단위에서는 국가의 유성을 결정하게 된다. 이제 새로운 지식․정보사회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정보를 창출 할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해졌다. 현재의 획일적인 제도 교육은 세계 무대에서 당당하게 일해 낼 새로운 엘리트층을 만들어내기에 부적절하며, 그 렇다고 건강한 시민을 길러 내고있지도 못했다. 앞으로의 교육 문제는 고등학교 교 육의 정상화와 대학 교육 개혁에 달려 있다. ‘학업 우수자’ 만이 인간이 아니라 다양 한 재주를 살려낼 수 있는 배움의 터전을 마련하는 일이 급선무라고 하겠다.

교육부(1999)가 발표한 “새 학교 문화 창조와 2002년 대학 입시제도의 개선”에 관한 내용을 보면 새로운 교육 개혁의 방향이 모색되어 지고 있다. 이제는 수학능 력시험과 내신 전과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공부벌레보다는 잠재력과 창의력 및 장인 정신으로 갖춘 학생에게 대학의 문이 넓어지고 있다. 이제는 새로운 개념의 우수 학생이 아니라 특기․품성․장인정신․개성 등 지덕체를 조화롭게 겸비한 학 생을 의미한다. 새로운 대학입학 전형제도의 도입을 계기로 ‘시험성적 올리기’ 라는 경쟁적 교육관을 탈피해 개성을 살리고, 다양한 독서로 사고력을 키우며, 봉사활동 과 협동 생활에 적극 참여하여 서로 협력할 줄 아는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하는 데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더욱이 고도의 창의성을 필요로 하는 21세기 지식․정보․세계화 시대의 주역으

(19)

로 차세대 신 지식인을 육성하여야 할 시대적 당위성을 고려할 때, 지금과 같은 입 시 준비 위주의 암기 주입식 교육은 근본적인 한계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교육부에서는 지난 1998년 10월 22일 학 교 현장의 입시 위주․교사 중심의 수업 관행을 일소하여, 학생이 삶과 배움을 함 께 즐길 수 있고, 민주 시민․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춰 자아 실현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학교 문화 실천 운동으로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담은 ‘교육 비전 2002 : 새 학교 문화 창조’를 발표하였다.

2002년부터 제7차 교육과정을 목전에 둔 1999학년도는 새 학교 문화 창조의 원 년이 될 것입니다. 이에 학교 교육의 중점은 인성과 학력의 중요한 두 축에 두고, 기본 방향으로 이웃 사랑 실천운동을 통한 바른 인성 함양, 창의력 신장을 위한 새 학력관 정착, 교육정보화를 위한 교실개혁 추진, 향토애를 제고하는 교육실천, 수요 자를 존중하는 열린 교육행정을 구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교육부, 1999).

3)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교육은 궁극적으로 개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도록 돕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 각자가 가지고 있는 개성과 능력 그리고 취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는 일이 중요하게 된다. 최근 일부 교과나 교수 이론에서 학 생의 능력에 따른 개별적인 교수 방안이나 학습 이론이 제안되어 있고 또, 새 교육 과정에서 학교나 학생의 재량에 따른 선택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지만, 교과 학습만 으로는 한계가 있다. 교과 활동이 갖는 획일성의 문제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기능 은 많은 부분이 특별활동에 주어진다(교육부, 1997).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성격상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과 참여를 기본원리로 하 고 있으며, 특히 개인의 취미와 소질 등에 따라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권장되

(20)

고 있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다양한 개성을 존중하고 인성 및 창의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는 교육 체제를 갖추고 모든 학습자의 잠재 능력을 최대 한 계발하여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교육의 추세는 교육을 공공사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공교육 투자의 비용을 늘려 가는 것이며, 날로 성행되어 가는 과외시 장에 정부나 지방자치 단체가 참여하거나 특기․적성 교육활동으로 흡수하는 적극 적인 정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은 첫째, 취업모의 자녀를 포함하여 방과후 보호를 필요 로 하는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과 둘째, 학교교육을 보완하는 기능으로서 아 동의 흥미와 욕구를 만족시키는 활동, 학생지도를 통하여 아동의 건전한 정서적, 사 회적 발달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최소의 비용으로 아동에게 학습의 보충뿐만 아 니라 다양한 특별활동의 기회제공으로 그들의 미래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제 고와 전인적 측면의 발달을 제공한다는 것이다(최기웅, 1996).

조광제는 사교육비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방안의 하나로 학교시설을 이용한 교내 교육활동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학부모의 과중한 사교육비 부담에서의 해방과 신뢰성 있는 공교육기관에서 자녀가 보호받고, 교육받고 있다는 안도감으로 취업과 여가생활이나 사회활동 참여에 어머니가 자유로워질 수 있는 부차적인 목표 를 강조하고 있다(최기웅, 1996).

따라서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유해 환경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고 아동의 발달 수준과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을 보충하고 다양한 경험을 얻어서 그들 이 전인적 성장을 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해 주는 것이 주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21)

2.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운영현황

1) 운영방침

특기․적성교육은 그 본래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고 그 기대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본 방침을 가지고 추진되고 있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육에서 탈피하여 소질․적성 계발 및 특기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하고, 둘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자문)를 받아 학교장이 운영하게 함 으로써 운영의 중요 사항인 프로그램 개설, 강사 채용 및 강사료책정, 교재 선정, 학교 밖 외부시설의 이용, 예산 집행 결과 등을 학부모에게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 보하고, 셋째, 개인의 소질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하되 학생 의 선택권을 중시하여 희망하는 학생만 참여토록 하고, 수준별로 반 편성을 하도록 하며, 넷째, 희망하는 학생 수가 적거나 특별 시설․설비가 필요하며 단위 학교별로 개설이 곤란한 일부 프로그램은 인군 학교와 협력 또는 교육청 주관으로 운영토록 권장하고, 다섯째,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소요되는 강사비 및 최소한의 필요 경비는 수익자가 부담토록 하며 여섯째, 프로그램 개선, 수준별 운영 등으로 추가 소요되는 강사비의 일부, 농․어촌 지역의 12학급 미만의 소규모 학교, 저소득층 자녀 및 소년․소녀 가장, 실직자 자녀 등을 대상으로 교육활동 비용을 지원하고, 일곱째, 주기적인 모니터링․평가 및 환류체제를 확립하여 정기적으로 운영 내용, 예산 집행 등의 효율성을 점검토록 하며, 여덟째, 학교의 시설이 부족할 때는 지방 자치단체의 문화관, 시민회관, 체육시설 등의 활용 또는 지역사회의 예술 단체 및 전문기관의 시설과 프로그램을 활용하게 하거나 사교육 부분과 연계하여 시설 및 프로그램을 활용․운영토록 하고 아홉째, 단위학교, 학교간 연합, 교육청별로 주제

(22)

별로 작품전시회, 연극제 방송제, 문학제 등을 개최토록 하여 청소년 축제문화로의 승화 등을 들 수 있다.

Levine 과 Seltzer(1980)는 학교시설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특기․적성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사회의 필요성을 섭외 하는 것은 이 프로그램의 큰 틀을 잡는데 도움을 준다. 둘째, 가능한 지역사회의 도움을 이끌어 내기 위해 위원회를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이 프로그램에 호의적인 학교장을 찾아 지역사회의 저항을 줄여야 한다. 넷째, 필요성에 따라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작은 규모로 수립해서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 다섯째, 본 프로그램의 시행에 앞서 먼저 시험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겸손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한다. 여섯째, 새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 충분한 논의를 걸쳐 부모 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일곱째, 특기․적성 교육 프로그램의 예산은 학교예산과 분 리하여 수립한다. 여덟째, 학교시설과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학교관리인의 협조를 얻어야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보면 우선 프로그램 운영에 교사의 참여, 학부모와 지역 사회 협조로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결고리로서의 역할 등 여러 가지 긍정적인 면이 있다.

학교 현장에서 특기․적성 교육을 운영하는데 고려해야 할 기초적인 사항을 경기 도 교육청(1999)은 첫째, 다양한 특기 부서를 편성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희망을 최대한 수용한다. 둘째, 명예교사, 외부 강사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사교육을 공교육 으로 끌어들인다. 셋째, 특기 활동과 연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소질과 특기를 개 발 신장시킨다. 넷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을 바르 게 함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 시설을 발굴, 활용함과 동시에 지역 의 여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여섯째, 학생 활동 중심의 교육이 되도록 하여 자율성과 협동성이 배양되도록 한다 등으로 정리하고 있다.

(23)

특히, 교육부(1999)의 특기․적성에 관한 지침상의 기본방침은 첫째, 교육과 교 육에서 탈피하여 소질, 적성 계발 및 특기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둘째, 학교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학교장이 운영, 셋째, 소요 경비는 수익자 부담의 원칙으 로 운영, 넷째,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환류(feed back)체제 확립(정기점검 1 회, 수시 점검 필요시), 다섯째, 지방자치단체, 민간 청소년단체 및 사교육부문과 연계한 시설 이용, 프로그램 운영으로 인적, 물적 자원 활용의 상승효과를 얻음, 여 섯째, 단위학교, 인근 학교간 연계, 교육청 주관의 청소년 축제문화로 승화가 될 수 있도록 기본 방침을 세우고 있다.

2) 운영방법

1996년도부터 대부분 초등학교에서 정규활동 이후에 아동의 취미, 소질, 적성계 발을 위해 수익자 부담으로 방과후 활동이 실시되었다. 하지만 극히 제한적이고 부 분적이고 또 소수의 인원만 참여하여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1998년부터 초, 중, 고등학교까지 특기․적성교육 활동이 실시되었다. 이는 급증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핵가족에 따른 방과후 자녀보호, 관리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또는 지나치게 많이 지출되는 사교육비에 대한 대안으로 학교에서 특기․적성교육활동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교육청, 1999).

3) 참여학교 및 참여학생 비율

교육소식 제26호(1998)에 의하면 초등학교의 경우 전국 초등학교의 99.3%에 해당되는 학교들이 특기․적성교육활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중학교는 95.4%가, 고

(24)

등학교는 92.5%가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하였고 참여하는 학생수를 보면 초등학생은 39.7%, 중학교는 54.5%, 고등학교는 71.4%의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 에 참여하고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 특기․적성교육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개혁방안이 제기됨에 따라 대 부분의 학교에서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참가를 권장하고 있고 양적 증대만을 목적으로 하는 보여주기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1998년부터 2000까지 교육부자료를 요약하자면 참여학교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참여학생비율 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뒷받침해 주는 근거는 <표 1>과 같다.

표 1. 특기․적성교육활동 참여학교 및 참여학생비율

단위 : 백분율

* 자료 : (교육부, 1999) 구 분

1999년 2000년

참여학교비율 참여학생비율 참여학교비율 참여학생비율

초등학교 99.3 39.7 99.8 40.1

중학교 95.4 54.5 99.7 35.5

고등학교 92.5 71.4 98.9 40.1

계 95.7 55.2 99.1 39.1

(25)

4)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프로그램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운영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육부 자료(1999)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할 때는 학교 실정과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 및 학부모 등의 희망을 받아 개설한다. 의견 수렴을 통해 수요가 많은 부서부터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개설한다. 대학이나 각종 사회단체의 협력을 받은 교육프로그램 개설도 가능하다.

자세한 특기․적성교육활동 운영 프로그램은 <표 2>과 같다.

(26)

표 2. 특기․적성교육활동 운영 프로그램

자료 : (교육부, 1999)

영역 프로그램명 비고

교과관련 프로그램

* 글짓기, 독서 및 감상문 쓰기, 소설쓰기, 시(시조), 고전문학연구, 한문 연구

* 중국어 회화, 독일어 작문, 일어소설 읽기, 영어 영화감상, 영어연극, 외국어 웅변반

* 수학경진대회반, 과학경진대회반, 실험탐구반, 식물지질탐구반, 역사탐

구, 지구촌 탐구, 우주탐구 등 *교과관련

입시지도 (이론교육,

문제풀이, 실험실습 등)를 목적으로 운영금지

*중고등 학교에서 특정학교 진학과 관계된

〔경진 대회반〕

운영금지 컴퓨터

관련 프로그램

* 워드, 인터넷, 그래픽, PC통신, DBASE, CAD, 컴퓨터 조립, 파워포인 트, 엑셀, OA, 컴퓨터 애니매이션, 프로그 래밍 등

음악관련 프로그램

* 합창, 성악, 판소리, 시조창, 가야금, 병창, 대금산조

* 단소, 가야금, 거문고, 대금, 장구, 아쟁, 해금, 태령소, 사물놀이

* 피아노, 바이올린, 플릇, 첼로, 크라리넷, 리토더, 키타, 하모니카, 아코 디언, 콘드라베이스, 트럼본, 트럼펫

* 작곡, 편곡, 음악감상

* 고적대, 관련악대, 합주, 대취타 등

미술관련 프로그램

* 붓글씨, 한국화, 도예

* 회화, 파스텔화, 조각, 데생, 공작, 조소, 염색, 지공예, 목공예, 디자 인, 판화

* 만화그리기, 수예, 종이접기 등

체육관련 프로그램

* 육상, 수영, 체조, 사격, 검도, 펜싱, 스케이트, 숏 트랙, 피겨스케이팅, 한국무용, 발레, 탈춤, 유도, 레슬링, 태권도, 쿵푸, 합기도, 택견, 씨 름, 리듬체조, 승마, 양궁, 에어로빅, 사이클, 역도, 로올러스케이팅, 스 키, 체력단련, 스쿠버다이빙, 응급처치, 레포츠

* 축구, 배구, 농구, 야구, 핸드볼, 배드민턴, 볼링, 당구, 탁구, 테니스, 정구, 아이스하키, 골프, 라켓볼, 소프트볼 등

기타 프로그램

* 사진, 에니매이션, 동화구연, 웅변, 연기반, 방송반, 바둑, 장기, 방송제

작, 비디오 영화제작, 연기, 연극놀이반, 자기표현 연극놀이, 풍물놀이,

제빵요리 등

(27)

5) 프로그램 참여 우선순위

특기․적성교육활동은 교과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개성을 살리 수 있는 자발적인 선택과 참여가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표 3>에 의하면, 학생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의 종류로는 컴퓨터, 영어 회화, 일어회화, 논술, 사물놀이 등이다. 즉 학교급과는 관계없이 학부모나 학생과 같은 수요자들은 사회적 유용성이나 학과공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 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학교급별 차이를 반영한 특성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지 못하여 수요자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허동, 2001).

실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특기․적성교육활동은 그것이 지녀야 할 교육적인 값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학입시에 가까워진 고등학교 단계에서 이루어 지는 특기․적성교육활동은 입시준비를 위한 주요 교과의 공부로 채워지고 있다고 한다.

(28)

표 3. 특기․적성교육활동 프로그램 종류로 본 참여 우선순위

단위 : 백분율

* 자료 : (허동, 2001)

6) 강사

첫째, 특기․적성교육활동 담당강사의 현황을 살펴보면, <표 4>와 같이 현직교사 의 비율이 외부강사나 명예교사의 활용비율보다 2배 가령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학교급이 상승할 수록 현직교사의 비율이 높은 것은 교과관련 프로그램이 초등

참여 우선순위 학교급

프로그램명

1 2 3 4 5

1999년 컴퓨터 영어회화 미술관련 글짓기 서예

2000년 컴퓨터 영어회화 회화 전통예술 기악관련

1999년 컴퓨터 영어회화 미술관련 논술 수리탐구

2000년 컴퓨터 영어회화 구기관련 전통예술 일어회화

일반계

1999년 컴퓨터 영어회화 일어회화 논술 워드

2000년 컴퓨터 영어회화 수학관련 일어회화 논술

실업계

1999년 컴퓨터 워드 인터넷 사물놀이 영어회화

2000년 컴퓨터 전통예술 구기관련 일어회화 영어회화

(29)

학교에 비하여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많아진다는 것과, 개설 프로그램 수 준이 학교급의 상승에 따라 높아지는데 비해 전문강사 채용이 어렵다는 것을 반영 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허동, 2001).

종합적으로 현재 우리 특기․적성교육활동은 대체로 교과 또는 시험공부의 연장 이거나 명분만의 교육적 체험이 되고 있는 것이다.

표 4. 특기․적성교육활동

단위 : 백분율

* 자료 : (허동, 2001)

학교급 강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계

1999 2000 1999 2000 1999 2000 1999 2000

현직 교사

유급 6.3 11.4 61.7 63.0 63.7 76.4 34.0 44.8 무급 43.6 25.9 13.5 8.9 15.1 7.2 29.1 15.7 계 49.9 37.3 75.2 71.9 78.8 83.6 63.1 60.5

외부 강사

전문강사 26.2 31.1 17.6 20.4 16.6 12.6 21.7 22.7

전문단체강사 4.7 6.3 3.3 3.5 2.8 2.0 3.9 4.2

인력풀강사 16.6 23.6 2.8 3.0 0.7 0.8 9.4 11.2

자원봉사자 1.2 1.0 0.8 0.5 0.7 0.8 1.0 0.8

계 48.7 62.0 24.5 27.4 20.8 16.2 36.0 38.9

명예교사 1.4 0.7 0.3 0.7 0.4 0.2 0.9 0.6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0)

둘째, 강사는 능력 있고 희망하는 현직교사를 하거나, 교원발령 대기자, 외부강사 또 는 올바른 교육관을 가지고 해당분야에 일정자력 또는 능력을 구비한 특정기술․기능 보유자, 학부모, 외국인, 지역인사 등을 계약 고용하거나 명예교사로 위축하여 활용한 인력 풀(pool)제를 적극 활용한다.

셋째, 강사료 및 회계관리에 있어서는 소요비용은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처리한 다. 그러나 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필요경비에 한정하 며 교육비 등과 구분하여 별도회계로 운영하여야 한다.

외부강사의 강사료 및 현직교사의 교육활동 연구비는 지역 및 학교실정과 개설 프로 그램 내용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책정한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 이 결정한다.

특기․적성교육활동의 강사비 지원의 예는 <표 5>와 같다.

표 5. 특기․적성교육활동의 강사비 지원의 예

자료 : (교육부, 1999)

사례 학생수

(명)

학생월당 수강료(원)

학생부담 총액(원)

강사비 보전(원)

강사료

(학생부담총액+강사 비 보전)

예1 20 15,000 300,000 100,000 400,000

예2 20 12,000 240,000 160,000 400,000

예3 21 10,000 210,000 190,000 400,000

예4 19

극빈자 1명 10,000 190,000 190,000

극빈자지원20,000

400,000

(31)

3.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1) 문제점

곽학근(1998)에 의하면 특기․적성교육활동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역행한다.

현재 각급 학교에서 실시하는 특기․적성교육활동은 본래의 취지에 부합되는 프 로그램이라기 보다는 정규수업을 연장한 과외수업으로 학생들에게 또 다른 부담을 지우고 있으며, 특기․적성교육활동 지도가 외래강사가 아닌 교사들에게 맡겨지므 로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어렵고, 교사들에게는 부담을 가중시켜 정규수업에 지장을 주고 적절한 보상책이 마련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봉사를 가용하기도 하는 등 교사 들의 불만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국회의원 김정숙(2000)의 보고에 의하면 교사, 학생, 학부모에게 특기․적성교 육활동의 성공정도를 묻는 질문에서 ‘제대로 진행 안 된다’에 67.4%의 부정적인 응 답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능력별․계층별․지역별 불균형의 교육이다.

일제식 보충수업 형태로는 교과활동의 심화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능력 별 교육의 기회를 주어지지 못하고 가정이 빈곤한 학생들에게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고 있다. 더구나 교육자원이 제한된 중소도시나 농어촌의 경우 특기․적성교육활 동이 다양하게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국회의원 김정숙(2000)의 보고에 의하면 교사, 학생, 학부모에게 ‘특기․적성교 육활동은 지역 간 교육기회 불균형을 확대시킨다’ 라는 질문에 ‘그렇다’에 39.9%의 응답결과가 나타났다.

(32)

셋째, 수요자 중심의 교육여건 미흡이다.

교과 외 활동 프로그램인 경우 학생이 선택할 수는 있으나, 지도강사 부족으로 선택 가능한 프로그램수가 제한되어 학생들이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 제가 있다.

넷째, 학생들의 잠재적 계발 미흡하다.

교과중심의 일제식 보충수업 위주의 운영으로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주기 어려운 실정으로 개개인의 실정으로 개개인의 적성과 소질을 발굴 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 고 있다.

국회의원 김정숙(2000)의 보고에 의하면 교사, 학생, 학부모에게 ‘특기․적성교 육활동은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할 수 있는 교육이다’ 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에 65.6%의 부정적 응답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사교육비의 경감이다.

특기․적성교육활동을 통해 막대한 사교육비를 경감한다는 목적이 있으나 이것이 다른 학생보다 더 많은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부모 및 학생들의 과외 열을 식히지 못하고 과외를 받지 않으려는 학부모에게는 오히려 과중한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 이다.

국회의원 김정숙(2000)의 보고에 의하면 교사, 학생, 학부모에게 ‘특기․적성교 육활동으로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이 경감되었다.’ 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에 61%의 부정적 응답결과가 나타났다.

여섯째, 특기․적성교육활동으로 인한 학생 보호상 문제이다.

학생들은 늦게까지 남아 특기․적성교육활동으로 학생을 보호한다고 볼 수 있으 나, 늦게 귀가시킴으로써 학교주변 불량 청소년들로부터 범행의 대상이 될 수 있어 또 다른 학생보호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일곱째, 지역사회와 학교 협력체제 미흡이다.

특기․적성교육활동에 지역사회의 활용함으로써 교육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은 바

(33)

람직하나, 지역사회 교육자원의 부족과 지역사회인의 특기․적성교육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매우 낮아 상호 협력체제가 미흡한 실정이다.

여덟째, 학생이나 학부모가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모두 운영하기에는 시설이나 상 황이 열악한 실정이다.

또한, 허동(2001)은 다음과 같이 특기․적성교육활동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첫째, 특기․적성교육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이 부족하다.

둘째, 교사는 정규교육과정 운영과 생활지도 외에 방과후에 부가적으로 활동하는 데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셋째, 강사비 보전, 저소득층 자녀 등의 지원금이 축소됨에 따라 사교육비 부담이 증가하고, 재정 지원에 따른 까다로운 집행절차 및 감사로 운영이 위축되고 있다.

넷째, 학교시설 미비 및 관리비 과중, 기자재 부족 등 교육여건이 불충분하다.

다섯째,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지 못하여 선택의 폭 을 제한하고 있다.

여섯째, 전문적인 식견이 있고 동시에 교육자적인 자질을 가지고 있는 강사확보가 어렵다.

종합적으로 교육부의 특기․적성교육활동 1999년 운영결과 및 2000년 운영계획 에 따르면 프로그램 운영, 지원금 운영관리, 강사 관리, 시설관리의 4가지 측면에서 추진상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2) 개선방향

조훈기(2000)는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현황 및 문제점을 바탕으로 보다 바람직 한 특기․적성교육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34)

(1) 프로그램 운영면

특기․적성교육은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해 야 한다. 이러한 조사는 1차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다음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다음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충분하 게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학생과 학부모가 희망하는 관련 내용들을 선정하고, 선 정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수준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자신 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 소규모 단 위 학교에서는 시설, 인적자원 등 현실 여건상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설이 어려으므 로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인근 학교와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프로 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거 나, 지역교육청이 주관하여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 학생들을 지방자치단 체를 비롯한 관련기관에서 개최하는 전시회, 음악회, 방송제 등의 참여를 확대시켜 특기 신장의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사회 인사 및 문화시설을 적극 활용하는 지역사 회 문화학교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방법도 있다.

(2) 지도 강사면

전문화되고 다양한 강사를 확보하여 질 높은 특기․적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우수 강사의 확보는 능력 있고 희망하는 현직교사, 외부 강사 또는 올바른 교육관을 가지고 해당 분야에 일정 자격 또는 능력을 구비한 특정 기능 보 유자, 학부모, 외국인, 지역사회 인사를 계약 고용하거나 명예교사로 위촉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전문적인 자질을 가진 유능한 강사에게는 국가에서 강사비를 적정하 게 보조해 주어 그들이 학교에서 계속적으로 근무를 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특기․적성교육상사가 정해지면 밀도 있는 교육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재교육 및

(35)

위탁교육을 시켜서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 기능을 갖춘 특기교사를 요원화 하여 인근학교, 지역별, 교육청 단위별 순회 지도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도 강구해 볼 수 있다.

(3) 시설 환경면

시설 투자 확대, 공공시설의 대여, 사설 단체의 후원 유도를 통해서 특기․적성교 육에 필요한 각종 공간과 시설을 확보하도록 노력하여 적어도 사설학원보다는 충실 한 여건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특기․적성교육 활동중의 안전사고 위험에 대비하여 시설 안전 및 학생들의 안전의식 강화지도와 학교안전공제회의 보상범위 확대 등의 조치도 이루어져야 한 다.

(4) 학생과 학부모 의식면

학생과 학무모들에게 특기․적성교육을 해야 하는 목적을 뚜렷하게 인식시키기 위해서 각종 소식지 및 간행물, 가정통신문, 학교신문,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 의, 특기․적성교육 참관 기회 확대 등을 통하여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교과성 적만 높으면 된다는 잘못된 인식에서 벗어나 특기가 있어야 경쟁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고 보람된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의식의 전환을 위해서 꾸준한 계도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2002학년도부터 대학들이 시험성적에 의한 학생 선발 을 대폭 축소하고 학교장 추천제 등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중시하는 전형방법으로 전환한다는 점도 충분하게 홍보할 필요가 있다.

(36)

4.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

1) 체육교육의 성격

체육이란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활발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개인을 신체적, 정신 적, 정서적, 사회적 및 지적으로 최적의 발달을 도모하게 하는 교육과정의 일부이 다.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활발한 신체활동이란 교육 과정 속에서 추구하는 바람직 한 인간상을 육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동적이며 활력적인 대근육을 사용하는 신 체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체육은 잠재된 신체적 능력과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운 동욕구를 실현하여 건강을 추구하는 신체활동에 관한 교과이다.

Thompson(1971)은 “체육이란 신체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한 방법”

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Nixon과 Jewett(1974)는 “체육은 개인의 운동 가능성의 발달과 이와 관련된 반응, 그리고 이러한 반응의 결과에서 오는 개인의 영속적인 행동수정에 관계된 전 교육과정의 일면이다.”라고 하였으며, Siedentop(1972)은

“체육은 오늘날 세계에서 필요로 하고 운동을 통해서 고안된 인간활동과, 표현형식 을 제한하거나, 주위 사실을 묘사할 필요로 제한한 인간활동의 기술과 과학을 연구 하기 위한 학교 프로그램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포츠와 움직임을 통한 교육에 관한 체육의 또 다른 면이 상당히 부각 되고 있고 ‘신체의 교육’에서 ‘움직임을 통한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체 육교과의 움직임을 통한 교육이란 움직임 그 자체를 수단으로 해서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사회적, 발육 발달에 크게 공헌한다는 것이며 움직임을 통한 또 다른 교육 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신체활동을 통하여 운동능력을 개발하고 건강을 증진시켜 풍요로운 삶을

(37)

향유할 수 있게 하며 체육문화를 계승․발전시키는 교과가 바로 체육교과인 것이 다. 또한 체육교과의 성격은 운동기능 숙달이라는 내재적 가치에서 출발하여 각 개 인의 건강이라는 외재적 가치를 절충한 체육교육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2) 학교체육

학교체육은 사회체육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교육으로서의 체육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간과 스포츠와의 본연의 관계에 대하 여 가치체계를 근거로 하여, 자기학습의 이념을 바탕으로 기초적인 학습을 보장하 고 그 지도를 행하는 것으로 취급된다(조명열 외, 1988).

사회체육은 성인들이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체육활동임에 반 하여 학교체육은 정부가 정한 체육목표에 따른 체육교육과정을 학교의 책임하에 주 로 학교시설을 이용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교사가 일정한 연령에 있는 피교육자 를 대상으로 하여 의도적,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체육활동을 의미한다.

학교체육의 범주는 매우 광범위하여 정과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학교가 필요하다 고 인정하여 실시하는 모든 신체활동이 포함된다. 즉 일정한 시간과 정해진 내용을 가지고 모든 학생들에게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정과 체육활동, 학생들의 필요와 요 구에 의해 자율적으로 조직․운영되는 방과후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 학생들의 희망과는 관계없이 교내 최상의 기능 보유 학생이 선발되어 타교와의 경기에 임하 는 대교경기활동으로 나누어진다(윤종호, 2000).

이와 같이 광범위한 학교체육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요소로는 학교체육을 직접 운 영하는 교사, 체육활동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학교체육시설, 그리고 학교체육에 관련된 여러 가지 학교체육 제도 등이 있다.

따라서 학교체육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어떠한 체육활동에서나 학생들의 흥미와

(38)

욕구를 충족시키고 수준 높은 체육환경의 조성을 통하여 체육에 대한 이해를 폭 넓 게 만드는 것이다.

3) 체육 특기․적성교육 활동

학교체육은 크게 정과체육활동,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 대교경기활동으로 나누 어진다. 이 중 정과체육활동은 시간의 제한성, 개별활동의 기회부족, 정해진 과정의 학습, 타율과 강제성을,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은 시간활동의 자유, 충분한 활동 기회보장, 자율적 선택참여를 대교경기활동은 소수 학생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엘리트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Beeman 외(1960)는 <그림 2>과 같이 정과체육의 기본 위에서 체육 특기․적 성교육활동이 이루어지며 이것이 대교경기에 필요한 체육기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관점으로 상호보완적 관계임을 시사한다.

그림 2. 피라미드 모델(Beeman외, 1960) 대교경기

체육 특기․적성교육

정 과 체 육

(39)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은 참가자가 스스로 참가하고자 하는 의욕만 보이면 되 고, 운동 기능의 수준은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으며, 정과 체육시간에 익힌 학습내용을 실제로 시간의 제약이나 심리적인 부담감 없이 적용하고 활용 할 수 있 는 기회가 되므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학생을 위한 체육활동으로 남녀 학생, 운동기능이 뛰어나거나 뒤지는 학 생, 체력이 강하거나 약한 학생 모두가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윤종호, 2000).

4) 체육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필요성

청소년은 신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감수성이 예민해지고 긴장, 불안, 좌절 등의 정서적 불균형이 수반되는 시기이며 유아기에서 성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 이다(문익수, 1990). 교육계와 사회단체를 비롯한 여러 유사기관들이 청소년의 비 행문제에 대하여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지만 소극적이거나 형식적인 경향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이렇다 할 효과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청소년들의 비행문제는 시발행동으로 시작해서 비행단계를 거쳐 범죄단계에 이르 게 되므로 가능하면 시발 단계에서 선도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김태랑, 1990).

사회변화에 따른 청소년들의 문제는 다각도로 다가오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처방 안은 실질적이지 못하므로 학교에서의 역할은 더욱더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 는 전인 교육의 가치 아래 학생들의 지․덕․체를 고루 길러주지 못한채, 한낱 우 수한 학업성적만을 산출하기 위한 교습소이자 단편적 지식전수의 공장으로 전락해 버렸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권이종 외, 1998).

한편, 오늘날 체육이나 스포츠 활동은 신체적 발달에만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사 회적 성격, 지적 발달, 정서적․도덕적 발달에 도움을 주는 전인적 교육의 중요한

(40)

한 영역이라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개인의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우울증 과 불안감을 감소시켜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과거 연구들이 있었고, 특 히 학교 내에서 정규수업 이외의 시간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과외 체육활동이 체력 은 물론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라고도 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체육활동에 참여와 문제학생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 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가 다각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Donnelly(1981)는 조직적인 체육활동은 비행을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 적이며 특히 교내 체육프로그램은 비행예방 효과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야간 농 구리그를 운영하여 대도시 청소년들의 비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는 연구보고도 있 었다(Gomez, 1996). 국내에서도 체육활동에 참가한 경험이 많은 청소년일수록 비 행이 낮다고 보고가 있었다.(구창모, 1991).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기․적성교육은 주로 영어, 수학, 과학, 사회 등의 교과 지 식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전환되어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지 못하고 인성교육에 실패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잃어가며 입시위주의 획일적인 교육을 받고 있 는 청소년들에게 흥미와 욕구에 맞는 체육활동을 통하여 개성과 소질을 계발하고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5) 체육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만족

체육 특기․적성 활동과 만족의 관계에 대한 국내․외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들 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다만 여가활동 혹은 여가활동으로서의 생활체육과 생활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에서 참가와 여가만족의 변인간의 관계가 부분적

(41)

으로 제시되어 왔다.

문화체육부에서 발표한 연구에 의하면, 정기적인 체육활동 참여가 근육 및 심폐 지구력, 내분비 및 면역계 등 신체적 건강 요인의 향상 뿐 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 소, 인간관계 개선 등 사회 심리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는 경험적 이해의 증대에 따라 일반 국민의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문화체육부, 1996).

5. 선행연구

전인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습경험을 하게 함으로서 각자의 개성과 능력을 신장시 키기 위한 체육 특기․적성교육에 관한 연구는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를 분석 하는 소수의 연구물이 있을 뿐이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김명례(1996)은 “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관리자의 관심도 연 구” 연구내용으로는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지도교사, 관리자, 지도 하지 않는 교사의 ‘관심도’를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지도교사와 관리자의 경우

‘정보적 관심’이 높게 나타난 반면 지도하지 않는 교사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지각 적인 관심’에 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 대상을 교사와 관리자에 국한시키고 있어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학생, 학부모나 운영주체인 학교운 영위원들의 관심도를 다루지 않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허현국(2000)은 “초등학교 방과후 체육 클럽 활동 운영 실태” 연구내용으로는 학 생의 창의력과 자기 학습력의 계발, 핵가족화에 따른 가정교육의 약화에 대한 방안, 맞벌이 부부의 증가에 따른 탁아 및 교육대책의 해결 방안으로서의 특기․적성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외국의 풍부한 사례와 한국이 실체를 분석하는데

(42)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이차 문헌을 중심으로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머무르고 있어 정작 현재 진행중인 이 제도의 실제 운영상의 문제점 진단과 개선방안 제시는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성열(1999)은 “중등학교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에 관한 연구”였으며 이 연구는 교사 학생 모두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교육 후 학생들의 생활 만족도도 향상되고 있고, 특기․적성교육에 내용이 다양성이 부족하여 학생들 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음, 교사나 학생모두 특기․적성교육의 결과 특기 와 적성의 신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특기․적성교육의 결과를 발표할 기회 가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으며, 학급경영은 교사들에 의해 통제되고, 수업환경은 교 사와 소수의 학생에 의해 구성되며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지 않아 자율적 학습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교사나 학생 모두 특기․적성교육의 프로그램 운영이 비교적 적절하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그 이 유로는 자율적 활동, 다양한 체험 그리고 경제적 부담 감소 등을 들고 있고 그러나 지도자, 운영시간, 선택의 자율성 등은 부적절 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 는 특기․적성교육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어 실효성 있게 운영되려면 다양한 프로그 램 개발과 시설과 용구의 지원, 인적 물적 자원 등 교육여건 조성을 위한 보다 적 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전규언(2000)은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와 학습성향과의 관계”에서 결론 으로는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성향의 차이에서 성별에 따라 학습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기대감, 수업불안감, 수 업집중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과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학습성향과의 차이에서 성별과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학습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학습 성향의 차이에서 교과기대감, 교사선호도, 수업불안감, 수업집중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추측 할 수 있듯이 현장에서 체육

수치

그림  1.  체육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관계모형     초등학생  체육  특기․적성  교육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표  2.  특기․적성교육활동  운영  프로그램   자료  :  (교육부,  1999)영역 프로그램명 비고교과관련프로그램*  글짓기,  독서  및  감상문  쓰기,  소설쓰기,  시(시조),  고전문학연구,  한문     연구*  중국어  회화,  독일어  작문,  일어소설  읽기,  영어  영화감상,  영어연극,     외국어  웅변반*  수학경진대회반,  과학경진대회반,  실험탐구반,  식물지질탐구반,  역사탐     구,  지구촌  탐구,  우주탐구
표  3.  특기․적성교육활동  프로그램  종류로  본  참여  우선순위                                                                                                                                   단위  :  백분율 *  자료  :  (허동,  2001)     6)  강사     첫째,  특기․적성교육활동  담당강사의  현황을  살펴보면,  &l
표  9.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분류 배경변인 운  영 시설과  수업환경 프로그램 지도교사 효  과MSDMSDMSDMSDM SD 성별 남자 2.96   .79 2.98   .84 3.07 .90 3.06 .83 3.06 .85 여자 3.02   .83 2.98   .80 3.12 .92 3.07 .85 3.07 .82 -1.028 .029 -.710 -.268 -.259
+3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college English course by English majors and non-majors.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method for evaluating service reliability based on service processes using fuzzy failure mode effects analysis (FMEA) and grey

And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utilize the witty stories appeared in the novels of Korean Pansori as actual educational texts, the brief analysis

Two: The persons answering the questionnaire took the functional food 89.4%, and the persons answering the questionnaire have experience alternative therapy 80.0%..

eds., Social Change and Social Issues in the Former USSR, Selected Papers from the Fourth World Congress for Soviet and East European Studies, Harrogate...

The struggle was successful, and in January 1926 the first of four papers on “Quantization as an Eigenvalu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perception, life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of taekwondo classes for high school boys and girls with

For camera 1, comparison of actual vision data and the estimated vision system model’s values in robot movement stage, based on the EKF method(unit: pixel) ···.. The estim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