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5. 선행연구

5. 선행연구

전인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습경험을 하게 함으로서 각자의 개성과 능력을 신장시 키기 위한 체육 특기․적성교육에 관한 연구는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를 분석 하는 소수의 연구물이 있을 뿐이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김명례(1996)은 “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관리자의 관심도 연 구” 연구내용으로는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지도교사, 관리자, 지도 하지 않는 교사의 ‘관심도’를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지도교사와 관리자의 경우

‘정보적 관심’이 높게 나타난 반면 지도하지 않는 교사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지각 적인 관심’에 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 대상을 교사와 관리자에 국한시키고 있어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학생, 학부모나 운영주체인 학교운 영위원들의 관심도를 다루지 않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허현국(2000)은 “초등학교 방과후 체육 클럽 활동 운영 실태” 연구내용으로는 학 생의 창의력과 자기 학습력의 계발, 핵가족화에 따른 가정교육의 약화에 대한 방안, 맞벌이 부부의 증가에 따른 탁아 및 교육대책의 해결 방안으로서의 특기․적성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외국의 풍부한 사례와 한국이 실체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이차 문헌을 중심으로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머무르고 있어 정작 현재 진행중인 이 제도의 실제 운영상의 문제점 진단과 개선방안 제시는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성열(1999)은 “중등학교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에 관한 연구”였으며 이 연구는 교사 학생 모두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교육 후 학생들의 생활 만족도도 향상되고 있고, 특기․적성교육에 내용이 다양성이 부족하여 학생들 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음, 교사나 학생모두 특기․적성교육의 결과 특기 와 적성의 신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특기․적성교육의 결과를 발표할 기회 가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으며, 학급경영은 교사들에 의해 통제되고, 수업환경은 교 사와 소수의 학생에 의해 구성되며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지 않아 자율적 학습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교사나 학생 모두 특기․적성교육의 프로그램 운영이 비교적 적절하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그 이 유로는 자율적 활동, 다양한 체험 그리고 경제적 부담 감소 등을 들고 있고 그러나 지도자, 운영시간, 선택의 자율성 등은 부적절 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 는 특기․적성교육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어 실효성 있게 운영되려면 다양한 프로그 램 개발과 시설과 용구의 지원, 인적 물적 자원 등 교육여건 조성을 위한 보다 적 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전규언(2000)은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와 학습성향과의 관계”에서 결론 으로는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성향의 차이에서 성별에 따라 학습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기대감, 수업불안감, 수 업집중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과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학습성향과의 차이에서 성별과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학습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체육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학습 성향의 차이에서 교과기대감, 교사선호도, 수업불안감, 수업집중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추측 할 수 있듯이 현장에서 체육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올바르게 할 수 있고, 체육수업의 질도 높일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손용(2001)은 “체육 특기․적성교육활동에 대한 실태 및 만족도 비교에서 결론 으로는 교육당국에서는 특기․적성교육활동을 빠르게 확산시키고 무리하게 활성화 시키기 위한 거시적인 부피의 팽창을 지향하고, 교사들과 학생들의 실제적인 운영 실태 및 만족도를 심도 있게 파악하여 내실 있는 제도의 개선을 지향할 때, 비로소 특기․적성교육활동의 활성화는 더욱 더 가속화 될 것이다.

위와 같이 선행 연구자들이 각 분야에 걸쳐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역 사회의 시설이나 인적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야 하고, 정책 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되며, 실기 능력이 우수한 전문지도자를 확보하 여 계획적인 교육이 되도록 노력해야하며, 학습경영과 수업 환경 조성에 있어 교사 와 학생이 모두 동참하도록 노력하고 특히 학생들의 자율적 참여를 확대하여야 한 다.

체육 특기․적성교육은 아직은 초기화 단계에서 머무르고 있으며 실제로 참여하 는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그들이 요구하고 원하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좀더 나은 체육 특기․적성교육이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