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효율환 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효율환 방안 연구"

Copied!
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 책 연 구 보 고 서 2013-00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효율화 방안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김 기 희 책임연구위원

연구진

연구책임 • 김기희 / 도시경영연구실 책임연구위원

(2)

서 문

정부와 대전광역시는 매년 일자리 창출 및 고용률 제고를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 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에 상응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에 따라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문제들을 완화하여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대전광역시 지역단위에서 시행할 수 있는 정책상의 개선 보완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바람직한 재원배분 방향을 모색하고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대전지역단위에서의 제도적 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습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창출 사업이 우리 지역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추진됨으로써 지역민들에게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소 득을 보전함으로써 지역의 안정적인 경제성장기반을 초석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본 연구결과가 우리지역의 더 많은 일자리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면서 성실히 연구에 임해 준 연구자와 본 연구에 도 움을 준 대전광역시 공무원 및 관련 전문가 여러분께 심심한 사의를 표하는 바입 니다.

2013. 11.

대 전 발 전 연 구 원 장 이 창 기

요약 및 정책건의

1. 연구개요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정부와 대전광역시는 매년 일자리 창출 및 고용률 제고를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에 상응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 음.

- 사업들이 상호 조율과 연관성이 결여된 채 진행되고 있으며 효과가 확인되 지 않는 사업들을 계속 추진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한편, - 아직도 사업 목적이 불분명하거나 유사 중복되는 사례, 사업간・시행기관간

의 협력 및 연계가 부족한 사례들이 자주 발견되고 있음.

◦ 따라서 이러한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문제들을 완화하여 정책의 효 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대전광역시 지역단위에서 시 행할 수 있는 정책상의 개선 보완책이 절실히 요구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바람직한 재원배분 방향을 모색하 고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대전지역단위에서의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 이를 위하여 정부 재정지원 일사리사업의 유형별 일자리사업수와 참여인원, 예산투입규모 등을 파악하고, 정부와 대전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정책의 실태를 분석을 통하여 대전지역 노동시장정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 시하고자 함.

(3)

- II -

2. 주요 연구내용

■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유형과 규모

□ 유형분류

◦ 2011년 이후 기준

- 직접일자리 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실 업소득 유지 및 지원

◦ 직접일자리사업 유형

- 취업연계형, 소득보전형, 복지서비스형, 핵심기능형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예산 규모

◦ 중앙정부 기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규모

- 2008년 6조 1,1206억원에서 연평균 12%씩 증가하여 2013년(계획)에는 10조 8,079억원에 이름

- 2013년 유형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수는 직접일자리창출 70개, 직업능력개 발훈련 70개, 고용서비스 37개, 고용장려금 19개, 창업지원 16개,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7개

◦ 지방정부 기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규모

- 2012년 기준 자체재원으로 총 1,092개, 7,420억원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수행함

- 유형별로는 직접일자리창출사업 69.1%, 창업지원 12.0%, 직업능력개발훈련 10.5%, 고용서비스 6.0%, 고용장려금 2.5%

- 지역별 자체예산 대비 일자리사업의 예산비중은 서울 2.17%~전남 0.33%에 이르기 까지 매우 다양함. 대전광역시는 0.57%로 전국의 14위 수준

- III -

■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특징 분석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사업수 특성

◦ 대전의 재정지원 유형별 일자리사업수는 총 15개이며, 이 중 직접일자리사업 이 10개로 대부분을 차지

- 다른 특 광역시와 비교할 때, 향후 민간부문의 고용촉진을 유인할 수 있는 고용장려금지원사업과 창업지원사업의 확대가 필요함

◦ 대전의 직접일자리사업 10개 중에서 복지서비스형이 8개로 대부분을 차지 -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할 때, 복지서비스형사업에 치중된 반면, 취업연계형

사업은 빈약한 실정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 특성

◦ 대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인원은 총 3,481명이고, 유형별로는 직접일 자리사업 1,686명과 직업능력개발훈련사업 1,355명 참석하여, 이들 사업이 전 체의 87.4% 차지

-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할 때, 고용서비스와 고용장려금, 창업지원사업 등의 적극 추진을 통해 참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대전의 직접일자리사업에 참여한 총 1,686명 중에서 복지서비스형 사업 참여 인원이 1,526명으로 전체의 90.5% 차지

-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할 때, 대전은 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복지성격이 강한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 규모와 특징

◦ 대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총예산은 79억 2,700만원으로, 이 중 지접일자리 사업에 71억 2,000만원을 투입하여 전체의 89.8%를 차지

-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할 때, 예산 투입규모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준 - 향후 창업지원사업, 직업능력개발훈련사업 등에 예산을 확대할 필요 있음.

◦ 대전의 직접일자리사업에 투입한 총예산 71억 2,000만원 중 복지서비스형 사 업에 62억 1,800만원을 투입하여 전체의 87.3%를 차지

(4)

- 다른 특 광역시와 비교할 때, 대전은 취업연계형이 3억원에 불과하고 소득 보전형 사업은 없는 실정임

- 따라서 대전의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이 향후 취업과 소득보전으로 연 계될 수 있도록 취업연계형과 소득보전형 직접일사리사업에 재정지원을 확 대할 필요가 있음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계획인원대비 투입예산 특징

◦ 대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인원 당 예산액은 창업지원 2,500만원, 직접 일자리 319만원, 고용서비스 26만원, 직업능력개발훈련 14만원 순임 -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할 때, 대전은 창업지원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참

여인원대비 투입예산이 매우 효율적으로 투입된 것으로 평가됨

◦ 대전의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당 투입예산은 취업연계형이 503만원, 복지서비스형이 309만원임

-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할 때, 직접일자리사업도 참여인원당 투입예산이 상 대적으로 낮아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된 것으로 평가됨

■ 중앙정부와 대전광역시의 중복사업 분석

□ 대전광역시 고유사업

◦ 대전광역시의 고유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보 지서스형 사업임

- 발달장애인 직무지도요원 운영, 보육도우미 파견, 복지만두레사례관리단 운 영, 영유아어린이집 보조교사 지원, 총 6개 사업에 14억 2,000만원을 투입하 여 245명 일자리창출

- 다른 특・광역시 역시 고유 일자리사업은 대부분이 노숙인이나 장애인 등 취약계층 대상 복지서비스형이고, 광주의 경우는 취업연계형 지원사업이 많 았음.

- 대전광역시도 향후 광주의 경우를 참조하여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이 주로 취

업연계형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사업기획이 필요함

□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직접일자리 중복사업 비율

◦ 대전지역 지자체의 직접일자리사업에서 중앙정부와 중복사업이 차지하는 비 율은 대전광역시는 80.0%이고 기초자치단체는 77%에 이름

- 다른 특・광역시와 비교하면, 지자체에서 다양한 일자리사업을 운영하고 있 고 일부 사업은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지자 체 고유의 일자리사업은 많지 않은 실정임

- 이는 지자체의 일자리사업이 중앙정부 일자리사업의 대체재적 성격을 가지 고 있기보다는 보완재적 성격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기 때문임

- 따라서 이러한 특성 때문에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일자리사업에서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 할 수 있음

■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정책의 문제점

□ 단기 일자리 중심

◦ 녹색뉴딜 사업 : 토목공사 중심의 단기 임시 일자리

◦ 잡셰어링 : 삭감된 재원, 고용창출 성과 불투명

◦ 단기 일자리 : 안정된 취업의 경로보다 저임금, 저수련 일자리 양산으로 소득 원에 주력

□ 중앙정부 주도의 일방적・획일적 추진

◦ 지역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사업 부족

◦ 지방정부의 역할 및 민간 부문과의 협력 부족

□ 지방정부의 재원부족 및 역량차이

◦ 재정력이 취약한 지방정부의 가용 재원 부족

◦ 빈곤층 밀집지역에 대한 차등 지원의 어려움

◦ 지방차원에서 일자리사업을 총괄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하는 능력 한계

□ 정부간, 일자리사업간 유사・중복과 그에 따른 비효율적 예산집행

(5)

- VI -

◦ 다양한 정부 부처별 일자리사업이 체계적인 조정 없이 지자체의 관련부서로 따러 전달되고, 지자체의 총괄조정 기능이 미약

◦ 지자에 일자리사업간 유사 중복과 그에 따른 예산의 비효율적 집행

□ 기타 문제

◦ 지역의 일자리사업 설계 및 재량권 보장 필요

◦ 일자리사업의 정책우순순위가 낮고 담당인력의 잦은 인사이동

◦ 지자체의 일자리사업 예산의 재량권이 낮아 단순한 중간전달 기능에 그침

3. 정책제언

■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의 방향

◦ 일자리지원사업의 범주, 목적, 정책대상, 성과평가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설정 과 이의 엄격한 준수

◦ 취약계층에 대한 단기일자리 위주의 사업은 지양하고 「취업능력 제고 → 취 업유인 정책수단 제공 → 안정적인 일자리 → 빈곤 탈출」의 연계고리형 사업 중심으로 추진

◦ 청년, 고령자, 비정규직, 여성 등 취약계층별로 3~4개의 핵심사업 분야를 선정 하여 집중투자

◦ 기간에 따라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분류하고 단기, 중기, 장기의 각각에 대 해 별도의 정책패키지를 개발

◦ 직접적 일자리 창출의 예산비중을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고용지원서비 스와 직업훈련 및 능력개발 부문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재원을 배분

■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 방안

□ 일자리사업 추진의 원활한 전달체계 확립

- VII -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총괄 조정체계 구축

-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을 통합・운영관리 할 수 있는 전담조직을 만 들고,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에 대한 관리를 명확히 하며, 총괄 조정체제를 구축하여 일자리사업 간 종적・횡적 연계를 강화해야 함

◦ 수요자 친화적 일자리사업 중심으로 개선

- 일자리사업의 통합된 전달체계를 갖추어 수요자의 접근성과 이용 편리성을 제고해야 함

- 일자리사업의 정보제공을 위해 운영 중인‘일모아시스템’을 수요자의 이용 편리성의 관점에서 개선할 필요

◦ 지자체 일자리사업의 국가 전체적 조정 메커니즘 마련

- 지자체별로 진행되는 일자리사업을 국가 전체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담당주 체나 메커니즘을 마련

◦ 사후적인 관리・감독 강화를 통한 사업의 효과성 제고

- 일자리사업의 조정과 통합의 기준은 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인 사업평가가 필수

-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 평가기준을 다변화 하고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양적 질적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차별화된 평가 및 지원기준을 마 련해야 함.

◦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필요성이 높은 사업에 대한 상위기관 검토 및 재정 지원 -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위 행정기관에서 필요성이 높은 일자리사업에 대하여

상위 행정기관이 사업내용을 검토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전달체계를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음

□ 유사・중복 일자리사업의 개선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범위 명확화와 관리권한 부여

- 중장기적으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범위와 담당 부서를 명확히 하고 제 도적으로 관리권한을 부여할 필요가 있음

◦ 직접적 일자리 창출사업의 정책대상 명확화 및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도입

(6)

- 직접 일자리 창출사업의 주요 대상인 취업취약계층의 참여율이 낮은 사업 은 과감히 조정.

- 중앙정부의 직접적 일자리 창출사업과 유사한 지방정부 사업은 지역의 구 인 구직 정보를 활용한 지역 기업의 수요 밀착형으로 유도

- 일자리 사업의 반복 참여, 민간부문으로의 이동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여자의 책임성을 강화

◦ 일자리사업 효율화를 위한 유사・중복사업 여부의 사전적 평가

- 국가 전체적으로 일자리사업의 효율화를 위해 지자체 자체사업이 유사・중 복된 사업인지 보완적인 사업인지의 여부를 사전적으로 평가할 필요

◦ 분절적인 사업의 패키지화 또는 복합화

- 다양한 유형의 일자리사업을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필요성이 높지만, 이를 위한 재정지원이 매우 미흡한 실정임.

- 특히 취업취약계층은 상당수가 일자리문제뿐 아니라 금융문제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결합하는 패키지사업을 확충할 필요가 있음

◦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반복 및 사업간 중복참여에 대한 방안 마련

- 중장기적으로 복지성 일자리사업으로 사업관리를 정교화하는 방안과 전문 적인 노동인력이 장기적으로 취업하고 있는 일자리는 정규화하는 방안을 마 련해야 함.

□ 일자리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인정책

◦ 창업지원사업의 네거티브 시스템으로의 전환

- 지원대상 업종을 사전적으로 제한하는 포지티브 시스템은 업종간 복합적이 고 융합적인 참신한 창업 아이디어를 육성·지원하는 데 걸림돌이 됨 - 정부 지원의 정당성이 훼손되거나 구조조정이 예상되는 일부 업종은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되, 그 밖의 업종에 대해서는 지원신청을 허용한 후 경쟁력 과 발전 가능성에 따라 선별·지원하는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전환

◦ 고용지원서비스의 전문화 및 내실화

- 고용지원 서비스분야 인력확충의 방안으로서 서비스센터를 증원·확충하

는 방안, 지방공법인 또는 별도의 공단 설립 등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

◦ 노동시장 약자를 고려한 직업능력개발사업 추진

- 영세기업 근로자, 비정규직 자영업자 대상의 직업훈련 및 능력개발의 기회 를 확충하고 대기업 대상 사업은 축소 또는 폐지

◦ 고용장려금의 사중손실 최소화

- 고용장려금의 필요성이 대체로 낮은 대기업에 대한 지원은 상당한 사중손 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축소할 필요가 있음

- 고용장려금 대상조건으로 ‘수급 전 일정 기간 동안 해고. 감원 등이 없어 야 한다’는 조항을 명시화함로써 사업의 실효성을 제고함

- 세액공제 또는 직접적인 임금보조보다는 사회보험 기여금을 일부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임

(7)

- i -

- 목 차 -

제1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1. 연구배경 ··· 3

2. 연구목적 ··· 4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 6

1. 연구의 방법 ··· 6

2. 연구의 구성 ··· 6

제2장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개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제1절 정부 일자리사업 정책의 변화 ··· 9

1. 일자리창출 정책의 흐름 변화 ··· 9

2. 최근 정부의 일자리사업 정책 ··· 10

제2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개념과 현황 ··· 14

1.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개념과 필요성 ··· 14

2.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현황 ··· 17

제3장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실태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 31

제1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특징 분석 ··· 31

1. 유형별 사업실적 분석 ··· 31

2. 중앙정부와 대전광역시의 중복사업 분석 ··· 39

제2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운영실태와 문제점 ··· 44

1.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운영실태 ··· 44

2.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정책의 문제점 ··· 51

- ii -

제4장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효율화 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제1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의 방향과 정책과제 ··· 57

1.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의 방향 ··· 57

2.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를 위한 정책과제 ··· 59

제2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 방안 ··· 61

1. 일자리사업 추진의 원활한 전달체계 확립 ··· 61

2. 유사 중복 일자리사업의 개선 ··· 64

3. 일자리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인정책 ··· 67

제6장 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8)

- 표 목 차 -

< 표 2-1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분류 기준 ··· 15

< 표 2-2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분류기준 변경 현황 ··· 21

< 표 2-3 > 예산회계 기준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 25

< 표 2-4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예산 현황(중앙정부) ··· 26

< 표 2-5 > 2012년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현황 ··· 27

< 표 2-6 > 지역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현황 ··· 28

< 표 3-1 > 특 광역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일자리사업 수 ··· 32

< 표 3-2 > 특・광역시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일자리사업 수 ··· 33

< 표 3-3 > 특・광역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 ··· 34

< 표 3-4 > 특・광역시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 ··· 35

< 표 3-5 > 특・광역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 ··· 36

< 표 3-6 > 특・광역시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 ··· 37

< 표 3-7 > 특・광역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 당 예산액 ··· 38

< 표 3-8 > 특・광역시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 당 예산액 ···· 39

< 표 3-9 > 대전광역시 고유의 일자리사업 종류 ··· 39

< 표 3-10 > 특・광역시 고유의 일자리사업 종류 ··· 40

< 표 3-11 > 특・광역시 직저일자리사업에서 중앙정부와의 중복사업이 차지하는 비율 ···· 42

< 표 4-1 > 부처별 상이한 취업알선기관 ··· 62

< 표 4-2 > 주요국의 국가 고용지원서비스기관 종사자 수 비교 ··· 68

제 1 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 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9)

- 3 -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경제의 저성장 조짐과 선진국형 장기 고실업의 고착화 가능성으로 일자리창출이 핵심 정책과제로 부상함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저액수단을 동원하여 일자리창출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지속적으로 사업조정을 시도하여 왔음.

- 정부는 일자리창출정책의 추진과정에서 부처 단위의 산발적인 사업 추진에 따른 비효율 해소를 위해 3차례에 걸쳐 효율화를 시도하였음.

-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고용정책이 큰 폭의 도약을 하였고, 그에 따라 정책의 효율성도 높아진 것으로 평가됨.

◦ 그러나 정부와 대전광역시는 매년 일자리 창출 및 고용률 제고를 위하여 지속 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에 상응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 사업들이 상호 조율과 연관성이 결여된 채 진행되고 있으며 효과가 확인되지 않는 사업들을 계속 추진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한편,

- 아직도 사업 목적이 불분명하거나 유사 중복되는 사례, 사업간・시행기관간의 협력 및 연계가 부족한 사례들이 자주 발견되고 있음.

◦ 따라서 이러한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문제들을 완화하여 정책의 효율 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대전광역시 지역단위에서 시행할

- 4 -

수 있는 정책상의 개선 보완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음.

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바람직한 재원배분 방향을 모색하고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대전지역단위에서의 제도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 이를 위하여 정부 재정지원 일사리사업의 유형별 일자리사업수와 참여인원, 예 산투입규모 등을 파악하고, 정부와 대전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정책 의 실태를 분석을 통하여 대전지역 노동시장정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10)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1. 연구의 방법

◦ 본 연구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정부 재정지원 일자 리사업추진 관련 정부정책에 대한 고찰과 관련 통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분석 함.

◦ 현실적 정책추진 실태분석을 위해 기 조사된 실태분석자료를 활용하였음.

◦ 아울러 문제분석과 대안제시의 객관성과 실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자문위원회 및 간담회를 활용하였음.

2. 연구의 구성

◦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 우선 제2장에서는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개관하고 있음. 그간 정부의 일자리정책의 흐름을 논의한 후, 최근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일자리사업 정책을 정리하였음. 다음으 로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에 대한 개념을 정 의한 후, 다양하고 복잡하게 추진되고 있는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유형별 사업내용과 예산규모 등을 검토하였음.

◦ 제3장에서는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대전과 유사하게 대도시 특성을 갖는 특 광역시를 포함하여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실태를 분석하였음. 일자리사업 의 유형별 사업수와 참여인원수의 특징을 분석하고 또한 참여인원대비 예산투입 규모의 특징을 분석하였음. 이어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중앙정부와 대전광역 시의 일자리사업 유사 중복문제에 대하여 대전광역시의 고유사업,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중복사업 비율 등의 분석을 통해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

였음. 다른 한편,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대전광역시와 차 지구(기초자체단체)의 운영실태를 각각 분석한 후, 정책 추진상의 문제점에 대하 여 논의하였음.

◦ 제4장에서는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효율화 방안에 관하여 효율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 나아가 앞에서 적출한 정책 추진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보완 개선할 수 있는 세부적인 추진사업을 제시하였음.

◦ 제5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요약한 후 몇 가지 정책적 추진사업을 제언하였음.

(11)

제 2 장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개관

제1절 정부 일자리사업 정책의 변화 제2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개념과 현황

- 9 -

제 2 장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개관

제1절 정부 일자리사업 정책의 변화 1. 일자리창출 정책의 흐름 변화

◦ 1980년대까지의 일자리 정책은 경제성장과 산업확대에 필요한 노동력 공급을 목표로 추진되었음.

- 급속한 산업변화에 따른 인력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기능·기술인력 양성이나 저숙련 인력의 취업알성에 초점을 두었으며 경제·산업정책의 부차적 기능을 수행하였음.

◦ 1990년대 들어 중소기업의 인력난, 취업자 증가세의 둔화 등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기반을 구축하기 시작함.

- 1997년 외환위기를 계기로 대량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는 실 업대책을 중심으로 다양한 고용 관련 정책들을 도입·추진하였음.

◦ 2000년대 들어 저성장 기조가 고착되는 가운데 일자리 창출역이 약화되고 노동 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일자리 창출 및 고용구조 개선이 주요한 정책기조로 등장하였음.

(12)

2. 최근 정부의 일자리사업 정책

1)

1) 노무현 정부의 일자리사업 정책

◦ 일자리 문제가 과거와 근본적으로 다른 향상을 보이고 있다는 인식하에 일자리 창출과 고용구조 개선 등 일자리정책을 적극 추진하였음.

- 일자리정책과 관련된 경제 산업정책, 노동시장정책, 교육정책, 복지정책 등과 의 연계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근본적인 종합처방을 모색・실천하는 데 노력함.

◦ 참여정부 시기 일자리 창출정책의 변화과정을 보면, 2003년 10월 중기고용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정책과제로 일자리 창출, 인력 수급 원활화, 취업취약계층 고용안정, 평생직업능력개발체계 구축, 사회안전망 확충, 고용안정인프라 확충 등 6대 과제를 제시하였음.

- IT산업, 10대 성장산업을 중심으로 30~4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고용흡수 력이 높은 중소기업 육성, 서비스산업의 일자리창출, 비정부기구를 중심으로 사회적 일자리 창출, 고용안정사업을 통한 고령자・여성・장기실업자등의 고용 증대 등이 주요 일자리 창출방안이었음.

◦ 2004년에는 일자리 만들기를 국가정책의 최우선과제로 삼아 경제・사회・산업정 책 전반을 포괄하는 일자리 창출동력 확충과 추가적인 일자리 발굴을 두 축으로 일자리 창출 종합대책 수립함.

- 일자리 창출동력 확충을 위하여 ① 서비스산업경쟁력 강화 ② 기존 주력산업 의 경쟁력 강화 ③ 새로운 성장동력 기반확충 등 3가지 정책방향을 제시하였 고 추가적 일자리 방안으로는 ① 일자리 나누기 ② 중소기업 빈 일자리 채우 기 ③ 사회・복지서비스 일자리 확충 ④ 공익적 일자리 제공 등을 주요 정책방 향으로 제시함.

1) 본 부분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2012)을 참고하여 재작성함.

◦ 2006년 11월에는 성장・고용・분배의 선순환구조를 이루기 위해서 국가 고용전략 을 수립함.

- 재정을 통한 일자리 창출사업은 ① 청년실업 대책 ② 사회적 일자리 지원사 업 ③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 및 교육훈련에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사회적 일 자리 창출에 집중됨.

◦ 사회적 일자리의 경우 2003년 예산비중이 3.5%에서 2007년 46.6%로 증가하였으 며 일자리창출 예상수의 비중도 2003년 2.7%에서 2007년 33.1%로 크게 증가하였 음.

◦ 재정을 통한 일자리지원사업의 정책수단 중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된 방법은 직접 일자리창출로 2007년 기준으로 전체 투입예산의 64.1%를 차지함.

- 직접 일자리는 단기일자리와 사회서비스 일자리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사회 서비스 일자리에 중점을 두고 있었음.

◦ 참여정부 일자리 창출관련 사업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청년실업대책의 경우, 직 장체험, 단기일자리제공, 해외취업인턴, 청년층 직업훈련, 청년취업인프라 확충, 중소기업 유휴일자리 충원 등을 들 수 있으며,이중 직장체험과 직업훈련이 중심 이 되었음.

◦ 사회적 일자리창출 사업은 방문도우미, 보육시설 일자리, 사회복지 시설 일자리 등이 중심이 되었으며, 취약계층 일자리 및 교육훈련은 노인일자리 지원 자활근 로 실업자재취업 훈련지원 등을 들 수 있음.

(13)

- 12 -

2) 이명박 정부의 일자리사업 정책

(1)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에 대한 정비

◦ 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국내 경기침체로 일자리 예산을 추가적으로 편 성하고 일자리사업들을 확대하면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에 대한 본격적인 정비 를 실시함.

◦ 2009년 12월에 개최된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유사․중복 일자리사업 정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듬해인 2010년 1월 ‘국무총리실 고용 및 사회안전 망 TF’에서 이에 대한 추진방향이 논의됨에 따라 실무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음.

- 제도 정비 당시 파악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총 179개이며, 투입예산은 8조 9,028억 원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들 사업을 대상으로 고용상황에 따라 일자리 사업 예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OECD 노동시장 프로그램 기준에 맞추어 R&D 지원 성격의 인력양성 사업을 제외하고, 고용서비스․실업자 창업 지원․장애인 직업재활 등을 추가하여 사업을 재분류하였음.

- 재분류를 통해 확정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6개 분야 / 24개 부처 / 202개 사업이고 예산은 9조 2천억 원으로 파악됨.

(2)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효율화 방안 마련

◦ 효율화 추진배경은 부처 간,중앙-지방 간 칸막이와 복잡한 사업추진 체계로 사 업집행 기관과 국민의 불편이 발생한다는 점, 정부지원 필요성이 낮은 계층이 다수 참여하고 있고 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의 참여는 적어 예산낭비 소지가 있 다는 점, 일자리의 지속성이 부족하다는 점 등임.

-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초하여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 였으며, 사업의 통폐합이 이루어져 기존의 24개 부처/ 202개 사업은 23개 부처

- 13 - / 134개 사업으로 감소함

◦ 또한 취업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제도가 운영되도록 취약계층의 참여 비율을 높 였으며 일자리 추진체계를 정비하여 지자체 및 민간의 역할을 확대하고 중앙부 처의 조정 및 평가기능을 보강함

(3)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추가 정비

◦ 2011년 들어 정부는 두 차례에 걸쳐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정비하였음, - 먼저 2011년 상반기에 새로 정비하여 발표된 일자리사업 수는 153개이며 예

산은 8조 8천억 원이며 이중 적극적 노동시장정책(ALMP)은 149개 사업/ 4조9 천억원임.

- 2011년 하반기에 다시 사업들을 정비하였는데, 2011년 기준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은 총 183개이고 이 중 직접일자리창출사업이 66개(청년층 29개, 중장년층 33개, 고령·장애인 4개)에 예산은 2조 3천6백억 원이며, 직업능력개발훈련사 업은 42개(1조 15백억 원), 고용서비스 사업은 38개(3천 8백억 원), 창업지원사 업은 15개(1천 9백억 원),실업소득유지 및 지원사업은 5개(3조9천억원)임.

◦ 직접 일자리 창출 사업의 수는 감소하였으나 나머지 사업들은 모두 증가하였는 데, 변경된 기준을 토대로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12년 사업예산(안)은 9조천억 원이고, 이중 직접 일자리 창출사업 예산은 2조 5천억원이며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사업은 3조9천억 원임

(14)

제2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개념과 현황

1.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개념과 필요성 1) 정의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은 고용정책기본법(제13조의 2)상에서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도는 이들로부터 위탁받은 각종 기관 및 단체가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재정을 활용하여 시행하는 사업”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 법적 근거에 의해 고용노동부는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정부(지방자치단체 포함)가 재정지출을 통해 취업취약계층 등의 고용안정을 직 간접으로 지원하 기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규정하고 있음.

◦ 효율적인 노동시장의 기능수행과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노동시장 내 공적 개 입으로 노동시장에서 특정그룹에게 선택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하는 프로그램 - 실업자, 비자발적 해고위기에 있는 근로자, 비경제활동 인구 등

2)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분류 기준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2010년 7월 1차 효율화 방안)은 OECD 노동시장프로그램 분류기준을 토대로 6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음

- 6개 유형 : 직접일자리 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 지원,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표 2-1>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분류 기준

분 류 내 용

고용서비스 구직자를 고용주와 연결, 정보제공・안내・집중적인 상담・구직 도움 등 관련 모든 행정

직업훈련 대학・훈련기관 훈련・사업내훈련・교대제 훈련・도제훈련 등 일자리 배치전환과

나누기

근로시간을 조정하여 실업자 등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려는 신규 인력 지원(일자리 배치전환, 나누기)

고용장려금 채용장려금, 고용유지 장려금(경제적 어려움으로 일자리를 상 실할 위기에 있는 근로자를 대상)

지원고용 및 재활 장애인의 노동시장 통합을 위한 고용 및 재활지원사업(지원고 용, 보조금, 재활 등)

직접 일자리 창출

장기실업자 또는 취업애로계층의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추가 적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

- 공공부문의 개입을 통해 창출된 비시장적・임시적 일자리 - 노동비용의 대부분을 공적자금으로 부담

- 비생산적인 고용인 보호작업장 유형의 일자리는 일반 노동 시장 밖에 존재하므로 노동시장정책 밖에 있는 사회정책으 로 간주

창업 인센티브 대출, 시설임대, 컨설팅 등 간접적인 지원 또는 직접적인 자금 제공(일반적 지원은 제외)

실업급여 등 완전실업급여, 부분실업급여, 단시간실업급여 해고보상, 파산보 상, 임금체불에 대한 보상

조기퇴직 고령 근로자의 조기퇴직을 촉진하여 실업자 등 대상 집단의 취 업을 촉진시키는 정책

3)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필요성

(1) 중앙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필요성

◦ 전통적인 재정연방주의론에 의하면, 중앙정부는 경제의 안정, 공평한 소득분배 의 달성, 그리고 사회전체 구성원의 후생수준에 영향을 주는 공공재의 공급에

(15)

- 16 -

제1차적 책임을 가지고, 지방정부는 이러한 활동을 보완하면서, 그 관할지역 주 민에만 제1차적 이익이 주어지는 공공재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Oates, 1972)

◦ 우리 경제는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이른바 저성장 저고용 구조, 즉 경제 성장률 자체가 둔화됨과 동시에 경세성장의 고용유발효과가 저하되는 구조로 고 착화되면서 일자리창출력이 크게 약화되었음.

◦ 여기에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국내 경기침체의 지속으로 일자 리 위기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경제의 일자리창출력 강화는 최우선적인 국 정운용전략으로 제기되었음.

◦ 일자리창출력 제고를 위해서 무엇보다 중장기적으로 민간부문의 질적 발전 및 양적 확대가 전체되어야 하지만, 경제가 위축된 상황에서 경제의 일자리 창출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용친화적인 경제・산업정책 추진 등을 통해 민간부 문의 일자리창출력 제고를 유도・촉진하고, 다양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정부의 역할이 불가결하며, 또한 매우 중요 함.

(2) 지방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필요성

◦ 중앙정부가 지역의 여건이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지역 주체들에게 사업 들을 단순히 집행하는 수준으로 위임하는 전달체계는 지역의 정책능력과 사업집 행능력 제고가 어렵고 충분한 사업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움

- 일자리사업에 대한 의사결정권한이 중앙정부에 집중될 경우, 일자리사업이 최 종 실행되는 단위인 지역의 특성이나 노동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맞춤형 일자 리사업의 추진이 어려워져 사업운영의 효율성 및 사업성과를 떨어뜨리는 요인 으로 작용할 수 있음.

- 17 -

◦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은 분권화된 전달체계와 파트너십에 기반을 두는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정부의 일자리사업이 보다 많은 질 높은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 기 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우리나라 일자리사업 전달체계는 대체 로 중앙정부 주도로 추진되어 중앙집권화의 경향이 비교적 강하다고 할 수 있음 (윤윤규, 2010).

- 지방자치단체 설문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해 일자리사업 전달체계의 개선방안 을 제시하고 있는 윤윤규(2010)에 따르면, 중앙집권화 경향이 강한 우리나라의 일자리사업 전달체계는 대내외적 환경 변화와 사업의 실효성을 고려할 때 개 선이 요구됨.

- 즉, 일자리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중앙・지방정부, 중앙정부 지방사무소, 공공・민간전문기관, 기업, 노동조합, 서비스수혜자 등 다양한 주체 의 참여・연계를 통해 파트너십에 기반을 두는 전달체계의 분권화가 필요하다 는 것임.

2.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현황 1)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 추진 과정

(1) 제1차 효율화 방안 (2010년 7월 6일)

◦ 2009년 12월 24일 비상경제대책회의 시 대통령의 유사・중복 일자리사업 정비 지시에 다라 중앙부처 일자리사업의 유사・중복 등 비효율 해소를 위해 지난 2010년 7월에 중앙부처 사업 중심의 제1차 일자리사업 효율화를 추진하였음.

◦ 제1차 효율화 방안은 유사・중복사업을 통폐합하고 일자리사업의 추진체계를 정

(16)

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었음. 제1차 효율화 방안을 통해 유사 중복사업, 지원내용의 정비, 관리시스템의 구축 등에 관한 성과를 달성하였음. 구체적으로 보면,

- 유사・중복사업과 부처별로 산재된 훈련사업 등의 수요자 친화적 정비 및 고 용서비스 사업의 조정・연계 강화

- 지원내용(지원기준, 지원금액 등) 조정 - 운영방식 개선

-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교육자료 공유

- 현장심사 강화 및 평가・환류체계 정비 - 현장심사 강화

- 정성평가제 도입 및 평가결과의 지원금 지급에 반영 등의 통합된 훈련사업의 평가 및 환류체계 정비 등

(2) 제2차 효율화 방안 (2011년 8월 10일)

◦ 2011년 6월 고용정책기본법 개정을 통해 ‘분류・평가・조정’ 등 재정지원 일자 리사업의 효율화를 위한 법적근거가 마련됨.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법위, 분류 및 평가기준 마련 및 조정 - 취업취약계층의 사업별 고용비용・고용방법 등 제시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통합 관리하는 정보전산망 운영 등

◦ 2011년 8월에는 1차 효율화 방안에 이어 누락사업을 추가하는 등 리자리사업의 재분류를 통한 2차 효율화 방안을 마련함.

◦ 제2차 효율화 방안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분류체계 정비, 유사・중복사업간의 조정 및 연계, 참여자 관리 강화, 사업의 평가와 조정 강화 등이 추진되었음.

◦ 주요 내용을 보면,

- 중앙부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분류 체계를 정비하고, 직접일자리사업을 “정 부(지방자치단체)가 재정지출을 통해, 장기실직자 등 취업취약계층 등에 대하 여, 한시적 성격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개념과 범 위를 설정하였음.

- 중복사업은 통・폐합하고, 유사(관)사업은 주관부처를 중심으로 관계부처 협의 체 운영 등을 통해 연계・조정을 강화하였음.

- 참여자 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일모아시스템을 통한 통합관리 방안을 구축하 고, 취약계층 참여비율 확대, 다년간의 지속적 사업 참여의 제한 등의 조치를 강구하였음.

- 평가체계를 확립하여 개별 일자리사업 및 일자리사업의 유형별 효과성 평가, 자치단체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추진실적 평가, 중앙 사업의 효율화 추진 및 정부예산(안) 편성과 연계, 지방사업의 총괄・조정 등을 시행

(3) 제3차 효율화 방안 (2012년 9월 7일)

◦ 전반적인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한 2012년도 일자리 사업 관련 「중앙-자치단체 합동지침」이 마련됨.

◦ 중앙부처 사업 중심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관리범위를 확대하여 2012년부터 는 자치단체의 일자리사업도 포함.

- 244개 자치단체별 일자리사업에 대한 현황파악을 통해 중앙-자치단체 일자리 사업 참여자에 대한 통합관리 강화

◦ 2012년 9월 7일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3차 일자리사업 효율화 방안」을 마 련하여 그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을 평가하고 문제점에 대하여 개선방안(효율 화방안)을 추진함.

(17)

- 20 -

◦ 제3차 효율화 방안은 유사 중복 문제를 조정하고, 한시적 재정지원 일자리에서 안정적 민간 일자리로의 전환 촉진, 평가체계 구축 및 전산망 개편 등을 위해 추진되었음.

- 공공근로 유형의 직접 일자리 사업 효율화를 위해 자치단체별로 유사 사업의 선발시기를 통일하는 등 지역의 고용동향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 고, 민간 일자리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근로능력자에게 일자리 사업 참여기간 동안 취업알선과 직업훈련 제공을 의무화하고, 공공근로유형 사업의 반복 참 여를 제한하였음.

- 산업정책과 인력양성의 연계 등 부처의 특수성이 있는 인력양성은 부처별 사 업추진을 지원하고, 통합적 직업능력 개발이 필요한 경우 등은 고용노동부 사 업으로 지원하도록 하였음.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평가심의위원회(가칭)를 통해 평가기준, 평가방식 등을 사전 협의하여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일모아시스템 관리사업을 대상으로 상시적 평가 실시로 유사중복 해소, 부처유지사업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음.

- 취약계층 등 참여자 관리를 강화하였음. 취약계층의 범주를 명확하게 설정하 고,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에 미달한 중앙부처 사업에 대한 예산 조정과 자 치단체에도 취업취약계층 최소참여 목표 비율제도를 도입・운영하도록 제안되 었음.

- 사업의 협의・조정 및 평가기능이 강화되었음. 주요 사업(공공근로유형 등)을 대상으로 사업계획 수립 단계에서 사전 협의・조정 기능 강화, 유사・중복, 사업 연계 등 효율화를 추진함.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일자리 관점에서 사업성과 를 종합평가・환류하는 절차를 도입하고, 중앙-지역 단위 사업의 총괄・조정 기 능을 강화하였음.

- 직접일자리 사업의 탄력적 운영을 위해, 신규 사업의 일몰제 도입을 검토하고 상시적・지속적 공공서비스 제공 사업은 정규직 일자리로의 전환을 추진(공공 부문 비정규직 대책과 연계 검토)하도록 하였음.

◦ 운영지침에는 참여자 선발 및 관리의 개선을 위해 일부 사업에서 ‘공동모집・

- 21 -

선발위원회 구성, 취약계층의 선발에 있어 우선선발 및 인원의 확대, 목표관리 등의 개선 방안이 실시됨. 민간 일자리로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직업능력개발 사업과 연계하거나, 취업알선을 지원하는 등의 지원책, 최저임금제에 기반한 임 금조건과 고용보험 등 4대 보험의 적용확대 등의 근로조건 개선 등의 내용을 담 고 있어 효율화 달성을 위한 제도 개선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됨.

2)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유형 분류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이란 정부(자치단체 포함)가 재정지출을 통해 취업취약계층 등의 고용안정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을 의미하며, 지방자치단체가 중앙부처로부터 위임받은 사업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을 모두 포함함.

- 대상 : 실업자,비자발적 해고위기에 있는 근로자, 비경제활동인구 등

<표 2-2>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분류기준 변경 현황 2010년 이전 기준

2011년 이후 기준

• 직접일자리 창출 • 직접일자리 창출

• 직업능력개발훈련

• 일자리나누기·지키기 • 고용서비스

• 고용촉진 • 고용장려금

• 창업지원

• 교육 및 훈련 •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1) 직접일자리 창출

◦ 공공부문 또는 민간기업에 미취업자를 취업시킬 목적으로 임금의 대부분을 정 부가 직접 지원하는 사업.

(18)

- 재정지출을 통해 장기실직자 등 취업취약계층 등에 대하여 한시적 성격의 일 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

- 은퇴인력 등을 주된 대상으로 실비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자원봉사형 일자리 도 포함

* 베이비부머 희망찾기(사회공헌형 일자리), 아동안전지킴이 등 * 정규직 일자리를 임시직으로 대체하는 형태의 사업은 제외

(2) 직업능력개발훈련

◦ 실업자 및 재직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대학, 훈련기관, 기업 연수원 등을 활용하 여 실시하는 직업훈련 및 인력양성 사업

◦ 산업육성을 위한 실업자 및 재직자 양성 사업도 포함

* 특정대학․훈련기관 등에 대해 R&D․연구비․기자재․장학금 등을 지원하는 사업은 제외

(3) 고용서비스

◦ 실업자 및 구직자의 노동시장 통합을 용이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직원 채용과 선발을 지원하는 서비스

* 공공고용서비스기관 외 재정을 지원받는 기구에 의한 고객서비스 포함 - 사업주 및 구직자(재직자 포함)에 대해 구인·구직 정보제공, 취업알선 등 취

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 구인․구직 정보제공, 일자리 알선, 취업지원계획 수립 지원, 취업상담 등 * 자치단체별 일자리지원센터(취업정보센터) 운영, 구인·구직 만남의 날 운영

및 취업박람회 개최 등 포함

◦ 보조공학기기 지원 등을 통한 장애인 취업지원 사업도 포함

* 장애인 등에 대한 사회적․의학적 재활프로그램은 제외

(4) 고용장려금

◦ 실업자 등의 채용을 촉진하거나 자발적 실직위험이 있는 자의 계속고용 지원 - 고용촉진지원금, 고용유지지원금 등 고용촉진․고용유지 등을 위해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

(5) 창업지원

◦ 직접적인 지원(현금)외 간접적인 지원(창업자금대부, 시설제공, 경영조언 등)을 통해 창업을 지원하는 사업

*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거나, 일반 사업주에 대한 지원은 제외

(6)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 실업급여, 취업촉진수당, 체당금 지급, 직업훈련 생계비대부 등 공적자금으로 실 직자의 임금보전을 지원하는 사업

※ 직접일자리사업의 유형

◦ 위에서 제시한 (1)~(5)까지의 다섯 가지 대분류에서 직접일자리사업으 ㄴ다시 사 업유형별, 직무유형별로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음(김병석 외 3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취업연계형 : 사회적기업, 중소기업 청년인턴사업, 농가도우미 등 - 소득보전형 : 공공근로, 노숙인 일자리지원, 시니어 클럽 등

- 복지서비스형 : 노인돌봄서비스, 경로당 급식도우미, 아이 돌보미, 장애인 생 활 도우미 등

(19)

- 24 - - 핵심기능형 : 녹지시설 유지관리, 산불감시원 등

3)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예산규모

(1) 중앙정부 기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규모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예산(중앙정부)는 2008년 6조 1,1,206억원에서 연평균 12%씩 증가하여 2013년(계획)에는 10조 8,079억원에 이름.

- 재정지원 일사리사업 예산 중 적극적 노동시장 프로그램(실업소득 유지 및 지 원을 제외한 5개 유형의 사업)의 예산은 2009년 3조 3,492억원에서 2009년 7조 3,119억원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2010년과 2011년에는 각각 5조 1,662억원 및 5조 679억원으로 감소하였고, 2012년 이후에는 점차 증가하여 2013년 6조 6,855억원(계획)에 이름.

◦ 2013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사업 수(중앙부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2013년 시행 기준)를 보면, 직접일자리 창출 70개, 직업능력개발훈련 70개, 고용 서비스 37개, 고용장려금 19개, 창업지원 16개 및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 7개 등 이 계획되었음.

- 2012년 총 194개 사업이 22개 정부기관에 의해 시행되고 있으며, 기금으로부 터 약 67%, 일반회계로부터 약 28%, 특별회계로부터 5%의 재원을 조달.

- 회계기준별 예산규모와 사업 수를 보면 일반회계사업은 상대적으로 소규모이 며, 기금사업은 대규모 위주로 구성되어 있음.

- 직접적 일자리 창출 관련 예산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고용지원서비스 와 복합형(패키지형)사업의 예산 비중은 미미한 수준임

- 25 -

<표 2-3> 예산회계 기준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단위 : 백만원, 사업수)

예산회계 2011년 2012년

일반회계 2,519,391 (95) 2,661,855 (95) 특별회계 465,083 (24) 454,732 (24) 기금 6,052,907 (75) 6,413,480 (75) 합계 9,037,381 (194) 9,530,067 (194)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연도별 예산 추이를 보면, 2009년에 재정지원 일자리사 업 예산이 대폭 증가한 후 2010년에는 큰 폭의 감소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주로 직접일자리 정책과 고용장려금 예산 감소에 기인한 것임.

◦ 2011년 예산은 경기회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큰 변화 없이 미세한 감소를 보였으나 2012년에는 2010년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2012년 예산 변화 중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창업지원 사업의 예산이 대폭 증가한 것을 지적할 수 있음

◦ 직접 일자리 창출정책의 참여자별 예산추이를 보면 청년층 예산은 2009년 7천 6백억 원에서 2010년에 6천4백억 원으로 감소하였으나 2011년에는 7조 1천억 원 으로 증가하여 총예산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청년층 예산은 증가하였으며, 고령 층 및 장애인 지원 2010년 예산은 2009년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으나 2011년에는 이전 연도에 비해 증가하였음.

◦ 반면 중장년층 지원예산은 2009년 3조원에서 2010년 1조 9천억 원으로 감소하 고 2011년에는 1조 6천억 원으로 감소하여 직접 일자리사업 감소예산의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러한 특징은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용취약계층인 청년층과 고령자 및 장애인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이 이루어졌음 을 의미함.

(20)

<표 2-4>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예산 현황(중앙정부)

(단위 : 억원, %) 사업유형 2008

예산

2009 예산 2010 예산

2011 예산

2012 예산

2013 예산

연평균 본예산 추경최종 증가율

1.직접일자리 14,035 (22.9)

19,099 (24.0)

38,117 (32.0)

25,050 (27.9)

23,996 (26.7)

25,028 (25.3)

27,151 (25.1) 14.1 2.직업훈련 10,111

(16.5) 11,837

(14.9)

12,901 (10.8)

11,739 (13.1)

11,868 (13.2)

12,759 (12.9)

13,177 (12.2) 5.4 3.고용서비스 1,125

(1.8) 1,511

(1.9)

1,870 (1.6)

3,190 (3.6)

3,521 (3.9)

4,083 (4.1)

4,832 (4.5) 33.8 4.고용장려금 7,648

(12.5) 9,434 (11.9)

18,890 (15.9)

10,101 (11.2)

9,369 (10.4)

14,191 (14.3)

17,383 (16.1) 17.8 5.창업지원 574

(0.9) 1,190

(1.5)

1,342 (1.1)

1,583 (1.8)

1,925 (2.1)

4,394 (4.4)

4,314 (4.0) 49.7 6.실업소득

유지및지원 27,714

(45.3) 36,517

(45.9)

45,965 (38.6)

38,196 (42.5)

39,360 (43.7)

38,612 (39.0)

41,224 (38.1) 8.3 합 계 61,206

(100.0) 79,578 (100.0)

119,084 (100.0)

89,859 (100.0)

90,039 (100.0)

99,066 (100.0)

108,079 (100.0) 12.0 1~5 유형 계 33,492

(54.7) 43,061

(54.1)

73,119 (61.4)

51,662 (57.5)

50,679 (56.3)

60,454 (61.0)

66,855 (61.9) 14.8 자료 : 고용노동부

(2) 지방정부 기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규모

◦ 지방자치단체는 2012년 기준으로 자체재원으로 총 1,092개, 7,420억원의 재정지 원 일자리사업을 수행하였음.

- 전체 재정지원 일자리사업(115,186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4%로 적은 편 - 중앙정부가 시행하는 ‘실업소득 유지 및 지원’사업(3조 8612억원)을 제외할

경우 자치단체의 일자리사업 비중은 9.7%임.즉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일자리 사업 중 약 10%가 지방자치단체가 기획하고 예산을 조달하는 사업임.

◦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중에서 유형별로는 ‘직접 일자리창 출사업’(69.1%)이 대부분임.

- 이외에는 ‘창업 지원’(12.0%), ‘직업능력개발훈련’(10.5%), ‘고용서비스’

(6.0%), ‘고용장려금’(2.5%)순임

<표 2-5> 2012년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예산 현황

(단위: 억원)

구 분

합 계 중앙부처 자치단체

% 소계

직접 매칭사업 (자체 사업) %

% 중앙 자치

합계 115,186 100.0 107,766 100.0 74,241 22,038 11,487 7,420 100.0 직접일자리 41,526 36.1 36,396 33.8 3,811 21,316 11,269 5,130 69.1

직능개발 13,061 11.3 12,283 11.4 12,171 107 5 778 10.5 고용서비스 5,027 4.4 4,584 4.3 3,756 615 213 443 6.0 고용장려 11,719 10.2 11,537 10.5 11,537     182 2.5 창업지원 5,241 4.6 4,354 4.0 4,354     887 12.0 실업소득

유지및지원 38,612 33.5 38,612 35.8 38,612         자료 : 관계부처 합동, 제3차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 방안, 2012년 9월

◦ 지역별로 자체예산 대비 일자리사업의 예산비중은 서울 2.17%∼전남 0.33%에 이르기까지 다양함.

- 자체예산 규모가 크다고 해서 반드시 일자리사업의 예산이 큰 것은 아님. 예 를 들면 전남은 자체예산규모가 6위이지만 자체예산대비 일자리사업 규모는 16위로 가장 낮고, 자체예산 규모가 1위인 경기도의 일자리사업 비중은 12위 에 불과함.

- 그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지자체별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에 대한 정책우선순 위가 다름을 보여주고 있음.

(21)

- 28 -

<표 2-6> 지역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현황

(단위 : 억원, %) 지역 자체

예산

재정지원일자리

지역 자체 예산

재정지원일자리

예산 비중 순위 예산 비중 순위

서울 147,893 3,209 2.17 1 충남 32,191 211 0.66 9 경남 53,963 728 1.35 2 제주 9,289 59 0.64 10 경북 46,690 532 1.14 3 충북 25,937 156 0.60 11 대구 22,491 217 0.96 4 경기 173,899 1,025 0.59 12 부산 34,357 327 4.00 5 강원 26,894 159 0.59 13 광주 12,506 100 0.80 6 대전 14,494 83 0.57 14 울산 13,439 99 0.74 7 인천 42,389 189 0.45 15 전북 29,543 206 0.70 8 전남 36,185 120 0.33 16 자료 : 행안부 ’12년도 지방자치단체 예산개요』(시군구 포함).

주 : 자체예산 = 총계예산-(보조사업+재무활동+행정운영경비)⇒ 순수 가용 재원.

제 3 장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실태분석

제1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유형별 특징 분석

제2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22)

제 3 장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실태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제1절 정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특징 분석

1. 유형별 사업실적 분석

◦ 일자리 유형을 앞에서 분류한 바에 따라 직접일자리,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 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으로 분류하여 대전의 일자리사업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대도시 특성을 갖는 특·광역시의 일자리사업을 분석하였음.

◦ 한편 직접일자리사업은 다시 복지서비스형, 소득보전형, 취업연계형, 핵심기능형 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함.

1) 일자리사업 유형별 사업수와 참여인원 특징

(1) 일자리사업 유형별 사업수

◦ 대전을 포함한 대도시 특성을 갖는 특·광역시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하는 재 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사업수의 특성을 분석함.

◦ 대전의 재정지원 유형별 일자리사업의 수는 총 15개이며, 이 중에서 직접일자리 사업이 10개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직업능력개발훈련사업 2개, 고용서비스원사업 2개 순임

- 고용장려금사업은 없는 형편이나, 다른 특 광역시도 적은 편임

◦ 다른 특 광역시 대비로는 대구와 인천보다는 비교적 일자리사업 수가 많은 편 이나, 향후 민간부문의 고용촉진을 유인할 수 있는 고용장려금지원사업과 창업 지원사업의 확대가 필요함.

<표 3-1> 특 광역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일자리사업 수

(단위 : 개) 구분 직접일자리 직능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합계

전국 182 72 69 19 44 385

대전 10 2 2 - 1 15

서울 46 9 11 5 10 81

부산 11 12 5 2 4 34

대구 2 1 3 - 1 7

인천 5 1 3 - 3 12

광주 12 3 - - 2 17

울산 7 2 2 1 1 13

자료 : 김병섭 외 3인(2012)에서 부분 발췌.

◦ 대전의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사업수를 살펴보면, 총10개 사업 중에서 복지서 비스형이 8개로 대부분이고, 취업연계형과 핵심기능형이 각각 1개씩으로 나타남.

◦ 다른 특 광역시와의 비교에서도 역시 대전은 복지서비스형 일자리사업에 치중 된 반면, 취업연계형 사업은 빈약한 실정임.

- 전국과 서울의 경우 취업연계형 일자리사업이 가장 많은 점을 고려면, 대전도 복지서비스사업보다는 정부의 재정지원을 통하여 취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취 업연계형 직접일자리 사업에 재정지원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되어 야 할 것으로 사료됨.

(23)

- 33 -

<표 3-2> 특 광역시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일자리사업 수 (단위 : 개) 구분 복지서비스형 소득보전형 취업연계형 핵심기능형 합계

전국 46 45 54 37 182

대전 8 - 1 1 10

서울 7 13 16 10 46

부산 2 3 3 3 11

대구 - 1 1 - 2

인천 1 1 1 2 5

광주 2 2 4 4 12

울산 - 4 - 3 7

자료 : 김병섭 외 3인(2012)에서 부분 발췌.

(2) 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수

◦ 대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을 보면, 총 3,481명 중 직접일자 리사업 1,686명과 직업능력개발훈련사업 1,355명이 참여하여 전체의 87.4%를 차 지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용장려금사업은 사업 자체가 없기 때문에 참여자가 없는 실정이며 창업지원 참여자는 20명에 불과함.

◦ 다른 특 광역시와 비교해서는, 시세가 유사한 광주와 울산보다는 참여인원이 많 지만 서울을 제외한 부산, 대구, 인천에 비해서는 매우 저조한 수준임.

- 다른 특 광역시의 참여인원을 고려했을 떼, 대전은 고용서비스와 고용장려금, 창업지원사업 등의 적극 추진을 통해 참여자를 확대함으로써 고용 창출 또는 유지가 필요함.

- 34 -

<표 3-3> 특・광역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

(단위 : 명) 구분 직접일자리 직능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합계 전국 95,703 61,286 176,113 4,861 11,055 349,018 대전 1,686 1,355 420 - 20 3,481 서울 29,847 21,953 68,056 1,444 3,653 124,953 부산 5,863 25,138 6,020 112 233 37,366 대구 6,450 500 1,075 - 60 8,085 인천 4,908 80 3,314 - 204 8,506

광주 1,643 590 - - 260 2,493

울산 712 31 450 50 100 1,343

자료 : 김병섭 외 3인(2012)에서 부분 발췌.

◦ 대전의 재정지원에 의한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을 보면, 총 1,686명 중 복지서비스형 사업에 참여한 인원이 1,526명으로 전체의 90.5%를 차지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취업연계형 사업에 참여한 인원은 60명에 불과함.

- 다른 특・광역시는 인천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소득보전형 참여인원이 가 장 많아 대전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음.

◦ 주목할 만한 점은 대전의 경우 고용노동부 분류상 복지서비스형으로 분류된 사 업들(경로당 도우미, 애프러스쿨 케어, 배움터 지킴이, 장애인 가사 도우미 등)이 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적 성격을 띠고 있는 사업이라는 점임.

◦ 따라서 직접일자리사업은 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복지성 격이 강한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24)

<표 3-4> 특 광역시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참여인원

(단위 : 개) 구분 복지서비스형 소득보전형 취업연계형 핵심기능형 합계 전국 18,696 57,574 11,118 8,315 95,703

대전 1,526 - 60 100 1,686

서울 3,944 18,424 5,224 2,255 29,847

부산 240 4,769 820 34 5,863

대구 - 6,300 150 - 6,450

인천 3,299 1,041 500 68 4,908

광주 185 888 225 345 1,643

울산 - 611 - 101 712

자료 : 김병섭 외 3인(2012)에서 부분 발췌.

2) 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투입 규모와 특징

(1) 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규모

◦ 대전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을 보면, 총 79억 2,700만원 중 직접일 자리사업에 71억 2,000만원을 투입하여 전체의 89.8%를 차지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용장려금사업은 사업 자체가 없기 때문에 예산이 없 는 실정이며 창업지원 참여자는 5억원, 직업능력개발훈련은 1억 9,600만원, 고용서비스는 1억 1,100만원에 불과함..

◦ 다른 특 광역시와 비교해서는, 시세가 유사한 광주보다 예산규모가 작고, 울산 과 유사한 수준을 보여, 예산 투입규모는 상대적으로 매우 저조한 수준임.

- 다른 특 광역시의 예산규모를 고려했을 떼, 대전은 창업지원사업, 직업능력개 발훈련사업 등에 더욱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사업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 음.

<표 3-5> 특・광역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

(단위 : 백만원) 구분 직접일자리 직능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합계 전국 417,075 75,688 38,025 17,306 83,028 631,122 대전 7,120 196 111 - 500 7,927 서울 192,264 53,026 15,553 6,906 29,010 296,759 부산 18,416 4,499 841 1,500 2,551 27,807 대구 17,900 1,000 230 - 600 19,730 인천 8,213 100 875 - 4,174 13,362 광주 7,016 890 - - 1,961 9,867 울산 5,194 52 177 350 1,800 7,573 자료 : 김병섭 외 3인(2012)에서 부분 발췌.

◦ 대전의 직접일자리사업 유형별 예산규모를 살펴보면, 총 71억 2,000만원 중 복 지서비스형 사업에 62억 1,800만원을 투입하여 전체의 87.3%를 차지하고 있음.

- 반면, 취업연계형은 3억원에 불과하여 시세가 유사한 광주의 10억원보다 매우 저조한 수준임.

- 소득보전형도 대전은 없는 상태이지만, 전국과 서울, 부산, 대구, 울산 등은 직접일자리사업 유형 중 가장 큰 규모이며, 광주와 인천도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다른 특 광역시와의 비교에서도 역시 대전은 복지서비스형 일자리사업에 치중 된 반면, 소득보전형과 취업연계형 사업은 빈약한 실정임.

- 대전도 복지서비스사업보다는 정부의 재정지원을 통하여 취업과 소득보전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취업연계형과 소득보전형 직접일자리 사업에 재정지원을 확 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참조

관련 문서

수도권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방안 및 SOC 예산 증액에 따라 건물건설과 토목건설 모두 개선될 것 으로 예상되며 동남권도 건물건설과 토목건설 모두

다만 본 연구 에서는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를 통한 농산물 유통정책의 개선 방안 제시를 위해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설문조사), 농산물 산지유통 및 수급정책 변화와

이에 최적의 정유 추출조건을 산출하여 산업계에 제안하기 위하여 연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을 위하여 미국에서는 정부, 기업, 학계의 협력을 통해 연구 및 투 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아마존 및 구글 등의 기업에서 빅데이터의

2000년대 들어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면서 유아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관심과 재정지원 확대는 여러모로 바람직

부동산 규제 지속으로 건설경기 부진, 세부담 증가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 복수노조, 비정규직 보호조치 강화 등이 고용개선에 부정적 효과..

국 장시간근로의 심각성은 노사정 모두 공감 하고 있다. 하지만 장시간 근로를 줄이는 방안 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특히 정부의 근로시간 단 축정책은

본 보고서는 기술혁신이 가져올 일자리(직업, 직무)의 대체 효과 뿐만 아니라 보완 효과, 2차 일자리 증가 효과(second-order job-creating effect), 완전히 새로운 일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