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2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22제"

Copied!
18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허 장 명예선임연구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 학 균 선 임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구 자 춘 연

∙ 편집부위원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 대 석 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 상 현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 은 미 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차 원 규 부 연 구 위 원

∙ 편집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 수 석 시니어이코노미스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 정 섭 선 임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어 명 근 시니어이코노미스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 경 필 선 임 연 구 위 원 충 북 대 학 교 송 양 훈 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 명 기 선 임 연 구 위 원 전 남 대 학 교 문 한 필 교

(4)

11

월호

(5)

「세계농업」은 홈페이지(https://www.krei.re.kr/wldagr/index.do)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본지에 수록된 원고는 집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우리 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확하게 표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

연 락 처

>

허 장 편 집 위 원 장 (명예선임연구위원) heojang@krei.re.kr (Tel. 061-820-2357)

김 상 현 편집부위원장 (연 구 위 원) sanghyun@krei.re.kr (Tel. 061-820-2280)

장 혜 진 편 집 간 사 (연 구 원) jhyejin@krei.re.kr (Tel. 061-820-2125)

(6)

OECD

FAO

2022~2031

농업전망 가운데 이번 호에서는 국제곡물 수급과 가격을 전망한 부분을 소개하였다

.

단수 증가와 농지 활용도 증가에 따라 곡물 생산량은 계속 늘어날 것인데 그 가운데 절반은 미국

,

중국

,

브라질이 주로 생산하는 옥수수일 것이 다

.

반면에 수요는 증가 속도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

국제곡물 가격은 장기적으 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

해외농업농정포커스에서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는

ESG

경영이 농업 분야에서 어떻게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의 이행과 관련하여 추진되고 있는지 그 동향을 소개한 글을 실었다

.

다양한 사례를 소개함과 더불어

ODA

정책 수립에 대한 함의도 도출하고 있다

.

일본이

2014

년 법 제정 이후 도입한 다면적 기능 직불제에 대하여 도입 배경과 목적

,

주요 내용

,

실시 현황

,

추진체계를 자세하게 설명하였고

,

두 개 지역에서의 사례도 소 개함으로써 이 제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

국가별 농업자료 섹션에서는 독일과 미국의 기후대응 관련 정책을 소개한다

.

독일의 경우

2021

년 연방기후보호법을 개정하면서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 세부 실행계획이 변동 되었는데

,

그 내용을 자세하게 소개하였다

.

기후보호 실행 프로그램

,

재정 운영

,

온실 가스 감축 프로그램 등의 세부 내용을 설명하는 자료이다

.

두 번째로는 미국 내 기후 완화와 적응의 핵심인 농업 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단과 정책이 무엇이 있 는지 상세하게 소개한 글을 포함하였다

.

농업부문 온실가스의 배출원별 배출 현황에 관한 구체적인 통계자료를 그림과 표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

국제기구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섹션에서는

2022

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TO

의 공공포럼에서의 논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

이 포럼에서는 포용적 회복을 위한 기술 활용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무역

,

무역의 미래 조성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는데

,

농식품 분야와 관련이 있는 것은 식량안보

,

지속가능한 생산과 식량 체계

,

기후변화

,

농식품 가치사슬 등으로 다양하였다

.

그 가운데 혁신과 디지털 전환

,

식량안보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

(7)
(8)

02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현황과 농식품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논의동향···이효정❙

23

03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일본의 다면적 기능 직불제···김기흥❙

57

04

국가별 농업자료

독일 새 정부의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김수석❙

81

미국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수단과 정책···이현정❙

99

05

국제기구・연구 동향

2022WTO 공공포럼(Public Forum)의 논의 동향···임송수❙

135

06

국제 농업 정보

··· 161

(9)
(10)

세계농업 전망

OECD-FAO 농업전망 2022~2031 |김종진

(11)
(12)

OECD-FAO 농업전망 2022~2031:

국제곡물 수급 및 가격 전망 1)

김 종 진 *

1.

주요 전망 결과 요약

단수

(

단위 면적당 수확량

)

증가가 생산량 증가를 주도하고 있지만

,

국제 곡물1) 시장은 높은 수급 불확실성과 가격 변동성에 직면해 있다

.

국제 곡물 가격은

2020

년 하반기부터 상승세로 전환된 이후

2021

년 연말에는

9

년 동안의 최고치를 경신했다

.

강력한 수요와 무역 정책 불확실성이 결합된 세계 곡물 시장의 수급 불안으로 밀과 잡곡류

(

보리

,

귀리

,

호밀

,

수수

,

밀레

,

기타 곡물

)

국제가격이

2020

년 대비 약

30%

상승하였다

.

옥수수 가격은 남미 지역의 생산량 감소 가능성

,

생산 비용 증가

,

중국의 대규모 옥수수 수입으로 인해 전년보다

50%

이상 올랐다

.

반면 쌀 국제가격은 풍부한 수출 가능 물량이 수출업체 간 경쟁을 심화시키면서

2020

년 수준을 밑돌았다

.

향후

10

년 동안

,

세계 곡물 생산 증가는 이용 가능한 경작지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단수 증가와

2

모작 확대와 같은 농지 활용도 증가에서 비롯될 것으로 판단된다

.

단수 증가는 종자 개량

,

투입재 사용의 효율성 향상

,

그리고 더 나은 농작물 관리에서 비롯될 것이다

.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신기술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고 농업분야 투자 부족이 단수 증가를 제약할 수 있다

.

게다가 새로운 기후・환경 관련 정책

(

, EU Green Deal targets

)

도입 및 강화는 단수 증가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향후

10

년 동안 곡물 생산량은

3

4,300

만 톤

(12%)

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이러한 생산량 증가의 거의 절반은 옥수수 생산량 증가에 의한 것이며 밀과 쌀은 각각 약

20%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시스템연구부 연구위원(jkim@krei.re.kr)

이 글은 「OECD-FAO 농업전망 2022~2031」보고서 중 제3장(Cereals)의 내용을 번역・정리한 것임.

1) 본 고에서의 곡물은 밀, 옥수수, 쌀 및 잡곡류(보리, 귀리, 호밀, 수수, 밀레, 기타 곡물)로서 콩, 유채 등의 유지류(oil seeds) 는 제외됨.

(13)

차지하고 잡곡류는 나머지

10%

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밀 생산량 증가의 절반 이상은 인도

,

러시아 연방

(

이하

러시아

”)

및 캐나다 생산량 증가가 차지하며

,

옥수수 생산량 증가의 절반 이상은 미국

,

중국

,

브라질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잡곡류

(

보리

,

귀리

,

호밀

,

수수

,

밀레

,

기타 곡물

)

의 경우 인도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특히 니제르와 말리

),

에티오피아

,

캐나다 등지에서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태국

,

베트남

,

미얀마

,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와 인도

,

중국 등이 쌀 생산량이 증가하는 주요국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

향후

10

년간 곡물 수요량 증가 속도는 몇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전

10

년에 비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첫째

,

사료용 곡물 수요 증가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 다

.

둘째

,

바이오 연료 및 기타 산업용 곡물 수요 증가율이 감소할 것이다

.

마지막으로 직접적 인

1

인당 곡물의 소비는 많은 나라에서 포화 수준에 도달했다

.

그러나 인구 증가는 주로 중・저소득 국가에서 곡물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

특히 밀과 쌀은 아시아에 서 식단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남을 것이다

.

기장

,

수수

,

흰 옥수수는 향후에도 아프리카에서 중요한 주식으로 소비될 것이며

,

특히

,

쌀은 아프리카 식단에서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

.

<그림 1> 대륙별 곡물 순 교역량

주: 유럽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을 포함함.

자료: OECD/FAO(2022)

전 세계

2021

년 곡물 생산량의 약

16%

가 국제적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

쌀은

10%

로 교역률

(

생산량 대비 교역량 비율

)

이 비교적 낮으나 밀은

24%

에 이른다

.

밀과 쌀의 국제 교역률 증가로

2031

년에는 전체 곡물 교역률이

17%

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교역량 측면에

(14)

서 곡물 순 수입국과 순 수출국은 명확한 지역 패턴을 보여준다

(

그림

1).

그러나 이러한 패턴은 곡종별로 서로 다른 형태를 보인다

.

예를 들어

,

쌀 순 수출국은 대부분 아시아 지역이 될 것으로 보이나

,

중남미

(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

지역은 옥수수 순 수출을 밀 순수입이 상쇄하면서 전체적으로는 곡물 순 수출 지역이 될 것이다

.

전반적으로

,

몇몇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들의 수입 곡물 의존도는 향후

10

년 동안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 곡물 교역량은

2031

년까지

5

3,100

만 톤

(15%

증가

)

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밀이 이러한 증가의 약

40%

를 차지하고 옥수수

,

,

그리고 잡곡류는 각각

30%, 16%, 8%

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러시아는

2031

년까지 세계 밀 수출량의

22%

를 차지하는 최대 밀 수출국으로 남을 것이다

.

미국은 옥수수 수출

1

위를 유지하며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우크라 이나가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된다

.

유럽연합

(EU),

호주

,

러시아

,

캐나다

,

미국은 잡곡류의 주요 수출국이 될 것이다

.

인도

,

태국

,

베트남은 쌀 수출의 선두주자로 유지될 것이며 캄보디 아와 미얀마가 점점 더 중요한 수출국으로 성장할 것이다

.

중국의 사료용 수요는 곡물 시장 의 수급 상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중국의 옥수수와 밀 수입량이

2031

년 까지 저율관세할당

(TRQ)

으로 설정된 물량 이내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국제 곡물 시장의 파급 영향이 예상된다

.

곡물의 명목 국제가격은

2022/23

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평균 수확 량과 지정학적 안정성을 가정하면

2031

년까지 장기적인 하락추세를 전망할 수 있다

.

최근 곡물 국제가격은 코로나 관련 국내외 공급망 혼란

,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

가축 질병

,

곡물 수확량 변동성

,

높은 비료 가격과 운송비

,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거시경제 환경으로 매우 변동성이 크다

.

그러한 요인들은 물론 본 고에서 제시된 가격 전망치를 바꿀 수 있다

.

추가로

,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한 국제 교역 중단과 자국 인플레이션 문제 해결을 위한 각국 의 정책 등도 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일부 국가는 재고량

(

비축

)

증대나 수출 제한과 같은 자국 내 가격 통제에 초점을 맞춘 특정 전략을 실행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지만

,

많은 경우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정책과 실행 가능성에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다

.

마지막으로 곡물 국제가격은 극단적인 기상 현상을 겪는 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변동성 은 심화될 수 있다

.

(15)

2.

현재 시장 동향

곡물 수출가격은

2020

년 중반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 FAO

의 곡물가격지수

(FAO’s Cereal Price Index)

에 따르면

2021

년 말에

9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 2020

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곡물 국제가격 상승은

COVID-19

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중국의 옥수수 수입량 증가 로 인한 영향이 컸지만

, 2021

년의 가격 상승은 쌀 국제가격 하락을 능가하는 밀과 옥수수 국제가격의 급격한 상승의 결과였다

. 2021

년 밀의 수출가격은 주요 생산국

,

특히 캐나다

,

미국

,

러시아 등 고품질 밀 생산국의 수확량 감소의 영향으로 평균

31%

상승했다

.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특히

,

중동 국가로부터의 강력한 수요 증가는 밀 수출가 격 상승의 추가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잡곡류 수출가격은

2021

42%

의 상승을 기록했 는데

,

이는 주로 남미의 옥수수 생산 불확실성

,

투입 및 운송 비용 증가

,

에너지 가격 상승

,

항만 혼란

,

보리 수급 상황 악화

,

강력한 대체재인 밀 가격 상승 등이 반영된 것이다

.

반면

, 2021

년 쌀 국제가격은 수출국의 여력이 충분해

2020

년 수준을 평균

4%

밑돌면서 수출시장의 경쟁이 심화됐다

.

이러한 최근 곡물 국제가격의 변동성 증대를 촉발한 요인들은 대부분 단기적인 성격으로 판단된다

.

따라서 내년부터 세계 곡물 수급의 변동성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3.

수급 및 가격 전망

3.1 소비량 전망

전 세계 곡물 소비량의

49%

에서

65%

가 각 곡종의 상위

5

개 소비국에서 발생하나 생산량 집중도에 비해서는 훨씬 낮다

(

그림

2).

전 세계 곡물 소비량은 기준연도

(2019

~2021

,

이하 생략

)

평균인

28

억 톤에서

2031

년까지

31

억 톤으로 완만한 증가세가 예상되며

,

이는 식용 소비량 증가

(1

5,700

만 톤

)

와 사료용 소비량 증가

(1

5,000

만 톤

)

에서 기인한다

.

수요 증가분의 절반 이상이 아시아 국가들의 증가에서 기인한다

.

사료용 곡물 소비 증가는 향후

10

년간 옥수수

(

연평균

1.3%)

와 밀

(0.8%)

및 잡곡류

(0.7%)

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나 식용 곡물 소비는 지난

10

년보다 느린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16)

<그림 2> 2031년 세계 곡물 시장 수요 집중도 전망

주: 제시된 숫자는 해당 품목의 세계 소비량 대비 국가별 소비량 점유율을 나타냄.

자료: OECD/FAO(2022)

밀 소비량은

2031

년까지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4

개국이 이 증가의

40%

를 차지한 다

.

인도

(1,700

만 톤

),

중국

(800

만 톤

),

파키스탄

(600

만 톤

),

이집트

(400

만 톤

).

전 세계 식용 밀 소비량은

5

7

백만 톤 증가하지만

,

전체 밀 소비량의 약

70%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

세계 인구의 증가가 둔화됨에 따라 지난

10

년에 비해 증가 속도가 더뎌질 것이다

.

밀의 사료용 소비는

2

천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3).

세계 식용 밀의 예상 증가량은 사료용 밀의

2

배 이상이며

,

특히 페이스트리

(pastry)

와 면류 등 가공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아시아에서는 더욱 그렇다

.

이 제품들은 미국

,

캐나다

,

호주 및 유럽연합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한 밀로 제조된다

.

이집 트

,

알제리

,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 같은 등 중동 국가들은

1

인당 소비량이 높은 밀의 주요 소비국으로 남을 것이다

.

밀 기반 에탄올

(wheat-based ethanol)

의 세계 생산량은 유럽연합 의 감소를 인도와 중국의 생산량 증가로 상쇄되어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 옥수수 소비량은 지난

10

년간의 연평균 증가율인

2.9%

에 비해 훨씬 느린 속도인 연평균

1%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증가세는 주로 전체 소비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용 수요 증가를 유발하는 소득 증가로 인한 것이며

,

사료용 소비 비중은 기준 년도 평균 수준인

58%

에서

2031

년까지 약

60%

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가축 및 가금류 부문의 빠른 확대로 사료용 소비 증가의

33%

는 아시아 국가에서 발생할

(17)

것이다

.

세계 사료용 수요는 중국

(2,700

만 톤

),

미국

(2,600

만 톤

),

브라질

(900

만 톤

),

인도와 베트남

(500

만 톤

),

인도

(450

만 톤

)

를 중심으로

1

1,600

만 톤 증가한

8

600

만 톤으로 예상 된다

.

특히 동남아시아는 가금류 산업의 빠른 성장으로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3> 용도별 세계 곡물 사용량 전망

자료: OECD/FAO(2022)

식용 옥수수 소비량은 인구 증가세가 강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흰 옥수수는 전체 칼로리 섭취량의 약

4

분의

1

을 차지하는 중요한 주식으로 남을 것이다

.

전체적으로 식용 옥수수 소비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연평균 약

1.4%

로 아프리카 국가에서 가장 크게 증가할 것이다

.

세계 바이오 연료용 옥수수 소비량은 국제 에탄올 시장이 각국의 바이오 연료 정책에 의해 제약되면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3).

그러나 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에탄올 소비량은 중국과 유럽연합에서는 감소하지만

,

미국에서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잡곡류 세계 소비량 증가율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들에 의해 주도된 지난

10

년간 연평균

0.7%

이었으나 향후

10

년 동안 연평균

0.9%(3,200

만 톤

)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

고소득 국가에서는 소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아프리카

(1,400

만 톤

)

의 식용 수요 증가로 전체 잡곡류 소비에서 차지하는 식용 점유율은 기준연도의 약

27%

에서

2031

년까지

29%

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국가들

,

특히 에티오피 아는 식량원으로서 기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

(18)

쌀은 주로 아시아

,

중남미에서 주요 식량으로 소비되며

,

아프리카에서도 점점 더 많이 식용으로 소비되고 있다

.

세계 쌀 소비량은 지난

10

년과 유사하게 향후

10

년도 연평균

1.1%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

아시아 국가들이 예상 증가량의

70%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

이는 주로

1

인당 소비량 증가보다는 인구 증가 때문이다

(

1).

다양한 지역 중에서도 특히

,

아프리카에서만

1

인당 식용 쌀 소비량이 현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적인 수준에서

1

인당 연평균 식용 쌀 소비량은 약

55kg

이며 향후

10

년 동안에는 기준연 도 대비

1kg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표 1> 1인당 쌀 소비량 전망

단위: kg/1인/년

구분 2019-21 2031 연평균 증가율(%)

아프리카 27.3 31.4 1.20

오세아니아 13.8 14.1 0.41

북미 6.4 6.7 0.39

유럽 19.2 21.0 0.25

중남미 27.2 27.0 -0.12

아시아 76.9 78.7 0.15

자료: OECD/FAO(2022)

3.2 생산량 전망

세계 곡물 재배면적은 기준연도부터

2031

년까지

1,900

ha(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다

.

주로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약

900

ha,

특히 인도와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확대 될 것이다

.

밀과 옥수수 세계 재배면적은 각각

3%

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

잡곡류와 쌀은

2%

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

,

베트남

,

브라질의 쌀 재배면적은 줄어드나 인도와 아프리카 국가들의 재배면적 증가로 상쇄될 것이다

.

지난

10

년간에 비해 제한된 토지 가용성으로 인한 농경지의 제한된 확장성과 지속적인 도시화뿐만 아니라 산림이나 목초지를 경작지로 전환하는 것의 제약으로

,

곡물 생산량 증가는 주로

2

모작과 같은 농지 활용도 증가에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중소득 국가의 농업 기술과 농작업 관리 개선으 로 인한 수확량 증가는 미래에도 세계 곡물 생산량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

향후

10

년 동안 밀은

6%,

잡곡류

7%,

옥수수

8%,

쌀은

12%

안팎으로 세계 단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19)

세계 밀 생산량은

2031

년까지 기준기간 대비

7

천만 톤 증가하여

8

4,000

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 중

3

5

백만 톤이 아시아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전망되는데

(

그림

4)

이는 지난

10

년보다 향후

10

년간의 생산량 증가 속도가 완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그림 4> 지역별 곡물 생산량 증가: 2019-21년 대비 2031년

자료: OECD/FAO(2022)

세계

3

위의 밀 생산국인 인도는 밀 자급률 향상을 위한 국가 정책으로 단수가 개선되고 재배면적이 확대되면서

2031

년까지 밀 생산량이

1,800

만 톤까지 늘 것으로 전망된다

.

이러 한 인도 밀 생산량 증가는 세계 생산량 증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러시아

(1,410

만 톤

),

캐나다

(700

만 톤

),

파키스탄

(500

만 톤

),

카자흐스탄

(400

만 톤

)

에서 생산 량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

봄밀 파종 증가 등으로 러시아

,

인도

,

카자흐스탄의 밀 재배면적 증가는 전 세계 면적 증가의

3

분의

2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

중국은

2031

년까지 계속해서 최대 밀 생산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5).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2031

13

3

천만 톤으로 기준기간 평균 대비

1

6,100

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

생산량이 많이 증가하는 국가는 미국

(5,000

만 톤

),

중국

(3,200

만 톤

),

브라질

(2,400

만 톤

),

아르헨티나

(600

만 톤

)

순일 것으로 보인다

.

브라질 옥수수 생산량 증가는 콩 수확 후에 파종되는

2

모작 옥수수 생산량 증가에 의해 주도될 것이다

.

옥수수 수요 증가세 둔화

(

특히 에탄올 제조용 수요

)

로 향후

10

년간의 미국 옥수수 생산량 증가율은 지난

10

년간 연평균 증가율인

1.9%

에 비해 낮은 연평균

0.6%

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

옥수수 단수 증가가 콩과의 경쟁으로 인한 재배면적 감소로 상쇄되는 것이 연평균 미국 옥수수 생산량 증가 속도 완화의 원인이 될 것이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총 옥수수 생산량은

2,580

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

이 지역의 주식 작물인 흰 옥수수 생산량이 전체 옥수수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

옥수수 생산량 증가는 주로 단수 개선에서 비롯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15

년부터

2018

년까지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2016

년 정부가 수매를 통한 가격지지를 철회하는 정책변화로 감소하였다

. 2016

년 중국 정책변화로 종전에 농가소득을 보전하고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 수매 가격을 시장 가격에 비해 높게 책정하던 옥수수 가격지지 정책이 철회되고 정부는 시장 가격으로 수매하는 대신 농가에 대해서는 직불금으로 소득을 보전받게 되었다

. 2015

년 중국 옥수수 재고율은 거의

80%

로 추정되나 최근

3

년 동안 약

53%

로 감소하여 재고가 축적되기 전인

2007~2009

년 추정 재고율에 매우 근접하게 회귀하 였다

.

이는 중국 옥수수 재고율이 더 이상 하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

중국 옥수수 재고율은 전망 기간 내내

50%

수준이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

그림

6).

중국 농부들이 새로운 정책에 적응함에 따라 중국 옥수수 농가는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다

.

실제로 중국은 미국

(26%)

에 이어 세계 옥수수 생산량 증가에 두 번째로 큰 기여

(20%)

를 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2031

년까지 잡곡류 세계 생산량은 기준기간보다

2,800

만 톤 증가한

3

3,500

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아프리카 국가들이 이러한 생산량 증가에 가장 큰 기여를 할 것이다

(1,600

만 톤

).

아프리카는 인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식용 소비를 위해 기장

,

수수와 같은 곡물을 재배한다

.

에티오피아는

2031

년까지

400

만 톤이 증가해

1,700

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

인도는 해당 기간에

500

만 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사료용 수요 증가 둔화와 보리보다는 옥수수를 선호하는 사료 구성비 변화로

2020

년의 기록적인 수확량을 포함하는 기준연도에 비해 유럽연합의 잡곡류 생산량은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에서는

2021/22

년에 역대급 생산량을 기록하였으나 향후에는 생산량이 거의 정체될 것이다

.

(21)

<그림 5> 2031년 국제 곡물 생산량 집중도 전망

주: 제시된 숫자는 해당 품목의 세계 소비량 대비 국가별 생산량 점유율을 나타냄.

자료: OECD/FAO(2022)

세계 쌀 생산량은 향후

10

년간

6,800

만 톤 증가하여

2031

년에는

5

8,400

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 쌀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시아 국가들의 생산량 증가세는 견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인도

(

기준연도 대비

2,600

만 톤 증가

)

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

이어 아시아 저개발국

(1,200

만 톤

),

중국

(880

만 톤

),

태국

(500

만 톤

),

베트 남

(400

만 톤

)

이 뒤를 이을 것이다

.

인도는 인디카와 향미

(basmati)

의 주요 생산국으로 남을 것이다

.

베트남은 주로 단수 개선을 통해 생산량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며

,

재배면적은 대체 작물 전환을 장려하는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고 효과가 있다고 가정할 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계 최대의 쌀 생산국인 중국은 지난

10

년 동안보다 느린 속도로 쌀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생산성이 낮은 경작지를 도태시키는 정책이 계속될 것이라고 기대한다면 중국의 예상 쌀 생산량 또한 단수 개선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국과 일본

,

유럽연합 등 고소득국의 생산량은 기준 기간의 생산량 수준을 약간 밑도는 반면 미국과 호주의 생산량은 각각 연평균 약

0.3%,

1.7%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2)

<그림 6> 세계 곡물 재고량 및 재고율

자료: OECD/FAO(2022)

3.3 교역량 전망

곡물 국제 교역량은 현재 세계 소비량의 약

16%

를 차지하고 있으며

, 2031

년에는

17%

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전통적으로 북미

,

남미

,

유럽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곡물을 수출하 였는데

,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인구 증가와 축산부문 확대로 인한 식용 및 사료용 곡물 수요가 국내 생산량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이러한 교역구조는 향후

10

년 동안 계속되어

2031

년까지 곡물 수출량이 기준연도 대비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

그림

7>

은 곡물 교역량이 생산량과 소비량과 비교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준다

.

중남미와 카리브해

,

오세아니 아는 곡물 순교역량이 가장 적으나 국내 생산량 대비 곡물 수출량 비율은 모든 지역 중 가장 높다

.

중남미는

2031

년까지 곡물 수입량과 수출량이 각각 국내 소비량과 생산량의 약

30%

를 차지할 것이다

.

모든 지역 중에서 국내 소비량 대비 수입량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아프리카이며

, 2031

년까지 아프리카는 국내 곡물 소비량의 거의

35%

를 비아프리카 국가에서 수입하게 될 것이다

.

밀 수출은

2031

년까지 기준연도 대비

2,800

만 톤 증가한

2

1.7

만 톤으로 예상되며

,

러시아는

2031

년까지 세계 수출의

22%

를 차지하며

1

위 수출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된다

(

그림

8).

(23)

<그림 7> 생산량 및 소비량 대비 교역량 비율

주: 유럽연합을 제외하고는 지역 내(intra-regional) 교역량을 포함한 추정치임.

자료: OECD/FAO(2022)

2031

년까지 세계

2

위의 밀 수출국인 유럽연합이 세계 교역량의

14%

를 차지할 것이지만

,

수출량은

2019

년의 기록적인 수출량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준기간보다 유럽연 합의 국제시장 점유율이 감소한 것은 주로 국내 생산량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비록 미국

,

캐나다

,

그리고 유럽연합의 밀 수출시장 점유율은 감소하지만

,

특히 아시아에서 고품질

(

단백질 함량비가 높은 밀

)

밀 시장 점유율은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이러한 시장에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

동아프리카와 중동과 같은 연질밀

(soft wheat)

시장에서는 더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밀 수입량 점유율은 향후

10

년간

26%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

옥수수 수출량은

2031

년까지

1

9,600

만 톤으로 기준연도 대비

2,200

만 톤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

미국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우크라이나

,

러시아 등 상위

5

개 수출국의 수출 시장 점유율은

2031

년까지

90%

에 이를 것이다

.

수출량이 기준연도 최고치에 못 미치고 생산량 대비 수출량 점유율도

29%

로 소폭 하락하 겠지만 미국은 여전히

1

위 옥수수 수출국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

브라질

(21%)

2

모작 옥수수 생산량이 늘면서 수출 점유율 증가가 예상된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저개발국은 이 지역의 식용 소비를 위해 흰 옥수수를 공급하는 주요 역할을 계속할 것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 지역에 대한 주요 수출국으로 남겠지만

,

이웃 국가에서 수입을 제한하는

GMO

(24)

품종을 생산하기 때문에 확장은 제한적일 것이다

.

유럽연합의 수입량 증가세가 둔화되고

2020

, 2021

년 중국의 대규모 옥수수 수입은 일시적인 것으로 판단되기에 향후

10

년간 멕시코는 최대 옥수수 수입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 다

.

이집트는

2031

년까지 한국 수입량을 추월하고 다섯 번째로 큰 옥수수 수입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8).

보리와 수수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잡곡류 국제 교역량은 옥수수나 밀보다 훨씬 적다

.

수출량은

2031

년까지

5,300

만 톤으로 기준연도에 비해

1

2

백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다

.

유럽연합

,

호주

,

러시아

,

캐나다

,

미국 등 상위

5

개 수출국의 점유율은 주로 러시아의 수출량 증가로

2031

년까지 기준연도보다 약간 높은

72%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터키

,

일본 등

5

대 수입국의 수입량 세계 점유율은

2031

년에 거의

70%

에 이르며 중국 점유율은

39%

로 예상된다

.

<그림 8> 2031년 세계 곡물 교역량 집중 전망

주: 제시된 숫자는 해당 품목의 세계 교역량(수출량) 대비 국가별 교역량 점유율을 나타냄.

자료: OECD/FAO(2022)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이 과거

10

년보다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1

년과

2022

년에 증가한 사료용 옥수수 수입량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 옥수수 수입량은

2031

년에

WTO

가 합의한

TRQ

수준보다 낮은

680

만 톤으로

,

수수와 보리의 수입 량은

1,900

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5)

지난

10

년 동안 쌀 세계 교역량은 연평균

1.9%

씩 성장했다

.

이러한 연평균 교역량은 향후 연평균

2.4%

로 가속화되어

2031

년 세계 교역량은 기준연도 대비

1

6

백만 톤 증가한

6

4

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인도

,

태국

,

베트남

,

파키스탄

,

미국 등

5

대 쌀 수출국 의 수출량 비중은

76%

에서

81%

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인도는 세계 최고의 쌀 수출국으 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며

,

품종의 지속적인 변화와 고품질 품종에 대한 관심 증가는 베트남 이 아시아 이외의 지역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태국은 계속해서 중요한 수출국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더 많은 경쟁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아시아의 저개발국들

,

특히 캄보디아와 미얀마는

2031

년까지 쌀 수출량이 기준기간

380

만 톤에서

590

만 톤으로 총

55%

증가하는 등 수출량 증가세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

역사적으 로 인디카 쌀은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쌀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

인디카 이외 품종에 대한 수요는 향후

10

년 동안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준기간 최대 쌀 수입국인 중국의 수입량은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

수입량은 아프리 카 국가들에서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

아프리카 국가들은 수요량 증가가 생산량 을 계속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

나이지리아는

2031

년까지 국내 소비량의

45%

에 해당하는

300

만 톤을 수입하여 최대 쌀 수입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전체적으로 아프리카 국가들의 쌀 수입량은 기준기간

1,700

만 톤에서

2031

년까지

3,200

만 톤 증가하여 세계 교역량에서 아프리카의 점유율은

37%

에서

49%

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31

년 주요

5

개 수입국에는 중국과 나이지리아 외에도 필리핀

,

베트남

,

유럽연합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이들

5

개 국가는

2031

년까지 전 세계 쌀 수입량의

23%

를 차지해 기준기간과 비슷한 점유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3.4 가격 전망

세계 밀 가격은

2021

년 톤당 평균

263

달러

(USD)

2015

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 2022

년 상반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

2) 생산량 증가와 수출량 및 식용 소비량의 완만한 증가를 기반으로 예상한

2031

년 명목 밀 가격은 톤당

271

달러로 계산되었다

.

2) 가격은 양곡 연도(marketing year)가 아닌 역년(calendar year)을 기준으로 전망됨.

(26)

2021

년 연평균 세계 옥수수 톤당 가격은

259

달러로

2013

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 다

.

향후에도 재고량 감소와 강력한 글로벌 사료용 수요가 결합하여

2031

년에는 톤당

206

달 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그림 9> 세계 곡물 가격 전망

주: 밀은 US wheat, No.2 Hard Red Winter, fob Gulf, 옥수수는 US Maize, No.2 Yellow, fob Gulf, 기타 잡곡은 France, feed barley, fob Rouen, 쌀은 India, indica high quality 5% broken. 실질가격은 명목 가격을 미국 GDP 디 플레이터(2021=1)를 이용하여 전환하였으며 연도는 양곡 년도 기준임.

자료: OECD/FAO(2022)

2021

년 잡곡류 세계 평균 시장 가격은 톤당

273

달러로

, 2012

년의 역사적 최고치보다 약간 낮았다

. 2031

년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수입 수요 증가로 인해 잡곡류의 세계 명목 시장 가격은 톤당

245

달러로 예상된다

.

2019~2021

년 정곡 쌀 수출가격

(

인도 인디카

high quality 5% broken

기준

)

은 톤당

387

달 러와

420

달러의 좁은 범위 내에서 움직였다

.

향후에도 아시아

,

아프리카

,

중동 국가들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

이에 따른 수출국의 수출량 증가로 명목 가격을 기준으로

2031

년에는 톤당

416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현재의 경제위기로

2022

년과

2023

년 곡물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

물가상승률 로 조정된 밀

,

옥수수

,

잡곡류

,

쌀 실질가격은 향후

10

년 동안 하락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27)

4.

위험과 불확실성

곡물

(

특히

,

밀과 옥수수

)

시장은 대부분의 여타 상품 시장보다 비료와 화석 연료에 대한 국제시장에서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강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은 지속될 수 있다

.

양국의 곡물 생산량과 수출량 전망치는 전쟁이 장기화되면 본 고에 제시된 양보다 훨씬 감소할 수 있다

.

더하여 계속되는 분쟁으로 현재 흑해 지역에서 주로 곡물을 수입하는 북・동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국가들은 새로운 곡물 수입처를 찾아야 할 것이다

.

지속적인 공급 차질

,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비료 가격 상승은 특히 저소득 국가의 단기적인 곡물 수확량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인상은 가뜩이나 어려운 국제 식량 안보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

현재 전망치에 반영되지 않은 몇 가지 요인이 국제 곡물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평년 수준의 기상 수준 가정은 주요 곡물 생산 지역의 긍정적인 생산량 전망으로 이어지나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기상이변은 곡물 생산량 변동성을 증대시키며

,

이는 세계 공급량과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물 부족으로 농작물 재배가 제한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

정책환경도 시장의 수급 및 가격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

식량 안보 강화

,

예상되는 몇 가지 정책변화

(

:

유럽연합의

Farm to Fork

전략

), (

특히

,

브라질 및 인도에서의

)

바이오 연료 정책의 지속・강화 등은 곡물 수요를 증대시켜 시장의 경쟁상황 을 악화시킬 수 있다

.

자국내 생산량과 수입 수요량에 대한 영향력이 큰 중국의 정책은 향후 곡물 시장의 수급 및 가격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Box).

주요국 의 곡물 수출규제는 과거의 쌀 시장의 반응 예와 같은 급격한 교역 흐름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 GMO

및 유전자 편집과 관련된 정책변화는 여타 농업 기술의 확산에서 볼 수 있

었던 바와 같은 빠른 적용확산으로 세계 곡물 생산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다

.

농작물 병해충과 가축 질병은 곡물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적인 위험이다

.

공급 혹은 생산 측면에서

,

농작물 병해충과 가축 질병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된 지역은 특히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최근 아시아와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 식량 안보를 저해하는 메뚜기 떼와 가을군벌레의 확산이 그 예이다

.

최근 서남아시아에서의

ASF

발병 영향에서 볼 수 있듯이 가축 질병은 사료용 곡물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

.

(28)

<중국 사료곡물 수입량 증가의 곡물 국제시장 영향>

국제 곡물 가격은

2020/21

년 크게 상승하였다

. 2021

년 중반 이후의 추가적인 가격 상승은 여타 요인 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 2020/21

년 가격 상승의 중요한 요인은 과거 수준을 크게 웃도는 중국의 곡물 수입량 증가였다

.

이 기간 중국의 곡물 수입량 증가는

ASF

로 감소한 돼지 사육두수를 재건하기 위한 사 료용 곡물 수요량 증가로 인한 것이다

.

지난해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에서는 이러한 대규모의 중국 곡물 수입량 증가가 단기적 인 현상이고 수입량은 곧 정상적인 수준으로 돌아간다고 가정했다

.

그리고 실제로

2021

년 곡물 수입량 은 비록 증가했지만

2020

년 최고치보다 훨씬 작았다

.

Adenäuer(2022)

는 중국이 지속적으로 주요 옥수수 수입국으로 남아있을 경우 국제 곡물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 분석에서

2030

년 중국이 세계 옥수수 수입량

15%

이상을 수입한다면 세계 농산물 가격은 지난해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에 제 시된 수준에 비해

4%

에서

25%

까지 상승할 수 있음을 보였다

.

이러한 가격 상승은

<

그림

10>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에서 제시한 실질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 결과를 바꿀 수 있는 수준이다

.

<그림 10> 중국 옥수수 수입량 지속의 국제 곡물가격 영향 분석

주: 중국 옥수수 수입량 세계 점유율이 15%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시나리오)를 시나리오로 설정함. 좌측 그림은 세계 옥 수수 실질가격을, 우측 그림은 FAO 식품가격지수(Food price index)를 나타냄.

자료: Adenäuer, M. (2022), OECD/FAO(2022)에서 재인용함.

(29)

참고문헌

OECD/FAO (2022),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22-2031, OECD Publishing, Paris, https://dx.doi.org/10.1787/f1b0b29c-en.

Adenauer, M. (2022), "The role of China’s feed deficit in international grain markets", OECD Food, Agriculture and Fisheries Papers, No. 172, OECD Publishing, Paris.

(30)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현황과 농식품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논의동향 |이효정

(31)
(32)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이행현황과 농식품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 (ESG) 논의 동향

이 효 정

**3

1.

서론

2022

9

,

미국의 아웃도어용품 전문업체인 파타고니아

(Patagonia)

의 창립자인 이본 쉬나드

(Yvon Chouinard)

는 기업의 소유권을 기후변화 문제에 맞서 싸우고 있는 신탁과 비영리조직에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

1) 환경에 해를 덜 끼치는 재료로 제품을 생산하고

,

매 년 매출의

1%

를 기부해온 파타고니아의 행적을 익히 알고 있는 소비자들에게도 파격적이 었던 이러한 행보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및 환경적 책임과 관련하여 새로운 이정표가 되는 이벤트였다

.

이로 인해 지속가능성과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ESG)

가 다시 한번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

그러나 모든 기업이 파타고니아와 같은 선택을 할 수는 없다

.

기업은 기본적으로 이윤을 추구하는 조직이다

.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이익을 최대화하고

,

이를 주주에게 나누거나

,

재투자하는 것이 기업의 운영 원리이다

.

그러나 이윤추구를 위해 소비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외부의 투자가 지속되어야 하는데

,

세계적인 투자자와 소비자의 행동은 보다 지속가능하고 모두가 상생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 McKinsey

의 연구에 의하면

Z

세대

(1995~2010

년 출생

)

소비자는 특히 윤리적 소비

,

투명성

,

진정성 및 평등을 소비의 중요한 기준으로 여기고 있으며

,

기업은 새로운 소비자 그룹의 등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Pérez, L. et al. 2022)

또한 글로벌 투자자인 블랙록

(BlackRock)

CEO

인 래리 핑크

(Larry Fink)

는 매년 초 주주 들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ESG

에 대한 투자의 철학과 비전을 공유하며

ESG

논의를 주도하고

* E&S 컨설팅,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객원연구원(hyojunglee@gmail.com) 1) 기사 전문 참조(https://www.patagonia.com/ownership/검색일: 2022.10.20)

(33)

있다

. 2018

년엔

사회는 공기업・사기업을 막론한 모든 기업에 사회적 목적을 위해 봉사하라 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

지속가능한 기업경영을 위해 기업은 재무 실적만 챙겨서는 안 됩니 다

.

어떻게 사회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하고 있는지도 보여주어야 합니다

.

주주

,

직원

,

고객

,

지역사회와 같은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고루 이익을 나누어줄 수 있어야 합니다

라는 내용의 서한을 포트폴리오에 있는 모든 기업의

CEO

들에게 보냈다

(

리베카 헨더슨

, p. 34, 2020).

이후 전 세계적으로

ESG

의 열풍이 더욱 확산되는 촉매제가 되었다

.

이에 본 고에서는 국제적으로 이행압력이 증가하고 있는 기업의 환경・사회적 책무성과 관련한 표준의 의미로

ESG

의 논의 동향과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그에 앞서

2030

년까지 빈곤

,

불평등

,

기후변화와 같은 인류 공동의 문제해결을 위해 전 세계가 노력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목표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의 이행현황을 점검하고

,

특 히 농식품 분야와 가장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식량안보 문제해결을 위한

SDGs 2

번 목표의 의미와 현황을 검토한다

.

또한 농식품 기업의

SDGs

달성을 위한

ESG

사례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농식품 기업과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정책 수립 에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2.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의 이행현황

기후변화

,

전염병의 확산

,

분쟁과 난민과 같은 이슈의 해결을 위해서는 전 세계가 협력해 야 하며

,

특히 회복탄력성이 낮은 개발도상국

,

그리고 빈곤층을 위한 선진국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SDGs

17

번째 목표는

이행 수단 강화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활성화

로써

,

이 중 세부목표

17.2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ODA/GNI

0.7%

수준의

ODA

지원

이다

.

최근

UN

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심각한 재정적 격차

(Financial Gap)

가 있음을 설명 하는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UN, 2022).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은 재정 수익의

3.5%

를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불하는데 사용하지만

,

최빈국은

14%

를 사용한다

.

최빈국 및 기타 저소득 국가의 경우 약

60%

가 현재 부채위기에 처해있거나 고위험군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

이는

2015

30%

의 두 배에 해당하는 지표이다

.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분쟁은

(34)

국제적으로 에너지 및 곡물을 포함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있으며

,

이로 인해 전 세계는 경제성장률의 하락과 높은 인플레이션

,

금융시장의 높은 변동성을 겪고 있다

.

<

그림

1>

은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의 하나인

ODA

예산의

2018~2021

년간 변화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

<그림 1> 공적개발원조(ODA) 예산 변화추이(2018~2021)

(단위: 십억 달러)

자료: OECD(2022)

2021

ODA

는 세계적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2020

년에 비해 실질 기준으로

4.4%

증가 한

1,790

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

공여국의 국민총소득

(GNI)

에서

ODA

가 차지 하는 비중은

0.33%

UN

의 목표인

0.7%

보다 여전히 낮은 상황이며

,

2) 덴마크

,

독일

,

룩셈부 르크

,

노르웨이

,

스웨덴의

5

개국만이 목표를 달성한 상황이다

.

그러나 대부분의 공여국은

ODA

예산을 증액했으며

,

감소한 나라는

6

개국에 불과했다

.

이러한 증가는 주로 전체

ODA

3.5%

에 해당하는 개발도상국 대상

COVID-19

백신에 대한 지원이 차지하고 있다

.

UN(2022)

의 발표에 따르면

, ODA

순예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SDGs

달성을 위해

2.4

~4.5

조 달러가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계속되는 경제 침체와 전염병의

2) 우리나라는 ODA/GNI 0.16임(2020년 기준. 출처: 국무조정실 ODA Korea)

(35)

확산 등으로 선진국조차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

그림

2>

SDGs

17

개 목표와

169

개의 지표가 각각 목표치에서 얼마만큼 거리를 나타내고 있는지 나타내고 있다

.

평균적으로

OECD

국가는

17

개의 목표 중

12

개 목표에서 최소

25%

를 이미 달성했거 나 거의 달성했다

.

3) 반대로 성평등

(Goal 5),

기후 행동

(Goal 13),

불평등 감소

(Goal 10)

목표는 달성을 일부라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SDGs

달성이

10

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2030

의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강력한 정책적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또한 이를 이행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그림 2>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목표별 이행현황

(단위: %)

자료: OECD(2022)

빈곤과 기아 문제해결을 위해 직접적인 연관은 식량안보의 지표가 될 수 있다

.

이는 여전 히 전 세계가 극복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이며

,

식량의 생산과 판매

,

소비에까지 농식품 분야는 다양한 방식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 SDGs

17

개 목표 중 두 번째 목표

(Goal 2)

기아의 근절

,

식량안보의 확보

,

영양개선 및 지속가능한 농업의 확대

이다

. 2022

OECD

에 서 발표된

Goal 2

의 이행현황은

<

그림

3>

과 같다

.

소비 관점에서 보면 대다수의

OECD

국가에서 심각한 수준의 기아는 근절되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영양 실조와 식량 불안정은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 2030

년까지 목표 달성에 부정적인 전망

3) 그래프의 가장 밝은색에 해당함. 저자 주.

(36)

이 지배적인 상황이다

.

특히

COVID-19

위기로 인해 가계 소득이 감소했으며

,

이로 인해 빈곤 국가에서의 식량 불안정은 급격하게 증가했다

.

생산 관점에서는 농업의 환경적 지속가 능성 또한 충분한 수준의 진전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COVID-19

로 인해 식품 공급망 에 큰 타격이 있었으며

,

이로 인해 생산 농가의 생계와 온실가스 배출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OECD, 2022).

<그림 3>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번 목표(Goal 2)의 이행현황

(단위: %)

자료: OECD(2022)

<

그림

3>

SDG 2

번 목표의 이행현황을 나타낸다

. 2

번 목표는 총

8

개의 세부 목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

이 중

5

개 세부목표가 모니터링이 가능한 상황이다

(2.1, 2.2, 2.4, 2.5,

2.c).

목표

2.1(

기아

, hunger)

은 영양결핍 유병률

(2.1.1)

과 중증도 또는 중증 식량 불안정의 유병률

(2.1.2.)

을 통해 측정되는데

, OECD

국가의

4

분의

3

이 해당 목표 달성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

모든 형태의 영양실조 종식

소녀

,

임산부

,

수유부 및 노인의 영양 요구 해결

을 목표로 하는 세부목표

2.2(

영양결핍

, malnutrition)

는 측정지표로

‘5

세 미만 아동의 발육부진

을 제시하고 있는데

(2.2.1.),

이 목표는

OECD

국가에서 측정하기에 충분한 데이터 를 갖고 있지 않아

<

그림

3>

에서는 가임기 여성의 빈혈 유병률

(2.2.3.)

로 측정되었으며

,

OECD

평균 가임기 여성의

14%

가 빈혈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세부목표

2.3(

농업

(37)

생산성

, productivity)

은 농업 생산성과 소농의 소득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

일부의 유럽국가와 캐나다 정도만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어서

<

그림

3>

에는 이행현황에 적시되지 않았다

.

세부목표

2.4(

지속가능한 농업

, sustainable agriculture)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시스템 을 보장하고 회복력 있는 농업 관행을 구현하는 것

이다

.

글로벌 수준에서

2.4

생산적이고 지속가능한 이용이 가능한 농업 면적의 비율

로 측정하지만

, OECD

국가 간에 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는 여전히 없는 상황이다

.

이에 따라

OECD

에서는 농업생산과 관련한 질소 과잉

(Nitrogen surplus)

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농업 부문의 환경 압력을 추정하고 있다

.

질소 과잉은 수질과 대기 오염을 가중하고

,

토양 비옥도를 낮춰 결국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 게 된다

.

따라서 이러한 질소 과잉을 없애는 것이

2030

년까지의 목표이며

, <

그림

4>

와 같이 최근 연도

(2018)

를 기준으로

6

OECD

국가

(

아이슬란드

,

콜롬비아

,

호주

,

에스토니아

,

슬로 바키아

,

캐나다

)

만이 목표에 근접한

(25kg

미만

)

상황이다

.

덴마크

,

영국

,

노르웨이

,

체코

,

룩셈부르크

,

벨기에

,

일본

,

네덜란드

,

한국 등

9

개국은

70kg/ha

로 보고하여 목표까지 가장 많은 감축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

<그림 4> OECD 국가의 농지 질소균형(Nitrogen balance) 현황

단위: 질소 kg/농경지 ha

자료: OECD(2022)

(38)

세부목표

2.5(

유전적 다양성

, genetic diversity)

국가가 종자

,

재배 식물

,

어업 양식 및 가축

,

관련 야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 지식의 활용에서 발생하는 이익에 대한 공정한 접근

을 목표로 한다

.

이 지표는

2020

년까지 기한이 있었으나

,

거의 모든

OECD

국가에서 충분한 진전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평균적으로

OECD

국가 전체에서

2021

년 현재 지역 품종의

80%

가 여전히 위험에 처해있으며

,

유일하게 멕시코만이 목표에 가까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

멸종 위기에 처한 지역 품종

15%

미만

).

세부목표

2.a.

농촌 기반 시설 및 농업연구에 대한 투자

’, 2.b.

농산물 수출 보조금을 통해 모니터링되는 농산물 시장의 무역 제한 및 왜곡

에 관한 목표로

,

아직 모든 국가에 걸쳐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다

. 2.c.

식품의 시장기능을 보장하고 시장 정보에 적시 접근이 가능한 것

을 목표로 한다

.

이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시장 가격을 식별하 는 식품 가격 이상징후

(Food Price Anomalies)

지표로 모니터링하는데

, 2019

년 기준

OECD

국가 중 이 지표에 대한 큰 차이를 보고한 국가는 없는 상황이다

.

4)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OECD

국가가 심각한 수준의 기아를 완화하고

,

극심한 식량 가격 변동성을 제한했지만

,

기아와 영양실조 극복에 관한 목표

2

를 달성할 수 있는 국가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식량 시스템은 식량안보와 영양 보장

,

농민과 식품 가치사슬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생계를 제공하고

,

환경적 지속가능성 개선이라는 목표를 모두 충족해야 한다

.

대다수

OECD

국가의 국민은 충분하고

,

안전하며

,

영양가 있는 식품에 접근할 수 있지만

,

점점 더 많은 수의 인구는 영양실조와 비만을 겪고 있기도 하다

(

세부목표

2.2).

환경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일부 차원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OECD

국가는 종자 와 가축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부족하며

(

세부목표

2.5),

농업 부문의 환경적 압박을 완화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

세부목표

2.4).

그러나 식량안보는

SDG 2

번 목표에만 국한되는 개념은 아니다

<

1>

<

2>

에서는 식량안보를 결정하는 여러 요인과

17

개의

SDGs

목표가 어떠한 방식으로 연관이 되어있는지 보여준다

.

정책 입안자의 관점에서는 식량 시스템이 다른 분야와 상호연결되어 있고

,

목표 간의 상호연결성을 파악함으로써 국가의

SDGs

달성에 다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

<

1>

과 같이 식량안보는 가용성

,

접근성

,

이용성

,

안정성의 영역에서 결정된다

.

식량을

4) 0.90~1.20 사이의 점수로 발표되며, 호주, 네덜란드, 폴란드를 포함한 3개 OECD 국가가 중간 수준으로 간주됨.

출처: OECD(2022).

(39)

생산

-

공급하는 차원

,

유통과 소비의 차원

,

식량을 소비

(

섭취

)

함으로써 발생하는 건강의 차 원

,

이를 둘러싼 정치・경제・환경적 차원에서 식량안보의 확보를 점검하게 된다

.

<표 1> 식량안보의 차원과 결정 요인

가용성

(Availability)

접근성 (Accessibility)

이용성 (Utilisation)

안정성 (Stability) 국내 생산

수입 능력 식량 비축 식량 원조

소득 및 구매력 운송 및 시장 인프라

식량 유통

식품 안전 및 품질 건강 및 위생 식단의 질과 다양성

날씨 변동성 가격 변동 정치적 요인 경제적 요인 생태적 요인 자료: OECD(2016)

<

1>

에서 설명한 식량안보의 다양한 차원과 결정 요인은

<

2>

와 같이 각각의 목표와 상호연결성을 지니고 있다

.

목표별의 활동이 상호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고

,

반대로 상쇄하는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예를 들어

,

여성에 대한 차별을 종식하면

(

세부목표

5.1)

남성과 여성이 토지를 포함한 자원에 대한 소유권을 평등하게 가질 수 있게 된다

.

반면 식량 작물과 바이오 연료를 위한 농작물 생산에 동일한 토지와 물을 놓고 경쟁하는 경우 재생가능 에너지 비중

(

세부목표

7.2)

은 증가할 수 있겠지만

,

기아 종식

(

세부목표

2.1)

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따라서

,

정책 입안자

,

활동가

,

연구자들은

SDGs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및 이행전략 수립

,

현장 사업수행에 있어 다층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표 2>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이 식량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연결성

목표

(Goals)

식량안보에 대한

주요 잠재적 영향 내용 상호

연결성 목표 1

(빈곤)

↗ 접근성

↗ 이용성

• 빈곤층의 소득을 지속해서 늘리고 기본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면 식량과 더 나은 삶의 조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짐. 시너지 목표 3

(건강)

↗ 접근성

↗ 이용성

• 건강 관리 개선을 통해 식량 이용을 개선할 수 있음.

• 향상된 식량안보는 건강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시너지 목표 4

(교육)

↗ 이용성

↗ 접근성

↗ 지속가능성

• 교육 개선은 영양에 대한 정보의 증가를 의미함.

• 직업 전망, 수입 및 식량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농업기술의 향 상은 보다 지속가능한 농업에 기여함.

시너지

목표 5 (성별)

↗ 접근성

↗ 가용성

↗ 지속가능성

• 모든 영역에서 여성과 소녀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빈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식량안보의 미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침. 시너지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우선, DBWF를 대상으로 기상요인의 레짐 변화가 AEP에 미치는 영향성을 정량적 차이로 제시하였다. 다음, M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에너지 생 산량

이는 식육포장처리업체의 한우고기 구매력 감소로 이어져 도매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이러한 한우 사육 마릿수 증가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r]

수출 증가는 주로 유기농 및 다른 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른 것으로 특히 이러한 추세는 음용유와 요구르트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 가정 내

17/18년 세계 옥수수 수급과 관련해 전월 대비 미국의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와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약간 줄었다..

한국은 기온이 낮아 사탕수수에 부적합 한 기후대가 분포하고 있어 국내 설탕시장에서는 사탕수수 및 사탕무를 재배하는 국가 에서 원당을 수입하여 이를 가공하여

13) 부생 수소는 산업공정에서 부수적으로 수반되어 발생하는 합성가스를 고순도화하여 생산하기에 수소 생산량 산정 시, 부생 수소를 별도로 계상하는 한편, 부생

이는 작년 동월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전복 먹이용 미역 생산이 줄면서 식용 미역을 전복 먹이용 으로 판매한 어가들이 많아지면서 가공업체에서 식용 원초 확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