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2022제 (페이지 54-66)

지금까지 식량안보와 관련한

SDGs

목표의 이행현황과

SDGs

달성을 위해 민간부문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ESG

의 개념과 사례를 설명하였다

.

농식품산업은

SDGs

의 모든 목표와 연관이 깊다

.

기아를 근절하고 식량안보와 영양개선이라는 인류의 난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산업이며

,

특히 개발도상국에 많은 지원이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

.

본 고에서 사례로 제시한 네슬레와 유니레버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기업과 비교할 때 기업의 역사와 규모 면에서 압도적인 차이가 난다

.

그만큼 그들의 성과를 바로 적용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

다만

,

대기업

,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등이

SDGs

달성을 위해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사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

우리나라의 국제개발협력 정책인 「제

3

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2021-2025)

」에서도 민 간부문과의 협력을 주요 전략사업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에서는 혁 신적 기업협력 프로그램으로

IBS, CTS, IPS

등을 지원하고 있다

.

15) 농식품부에서도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융자와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 하고 있어16) 기업이 해외 진출을 목적으로 한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14) https://www.unilever.com/planet-and-society/ (검색일: 2022.10.24.) 15) https://www.koica.go.kr/koica_kr/959/subview.do (검색일: 2022.10.24.) 16) https://www.mafra.go.kr/mafra/1270/subview.do (검색일: 2022.10.24.)

유니레버의 경영 목표 SDGs 목표

건강과 웰빙: 손 씻기 및 구강 위생에 대한 교육 강화, 언론 캠페인을 포함한 미디어 파트너십. 20217

명의 건강개선에 기여 6

형평성, 다양성, 포용성: 2025년까지 직원의 5%를 장애인으로 고용하며, 다양한 비즈니스에 연간 20

유로를 지원하여 편견과 차별을 없애는 데 활용함. 제품 광고에 다양한 그룹의 대표성을 나타냄. 510 생활 수준 향상: 2030년까지 최소 생활임금 보장. 2025년까지 소매 가치사슬에 500만 개의 중소기업

(SME) 지원 1, 8, 10

미래의 일자리: 2025년까지 직원 대상 새로운 기술을 재교육, 2030년까지 직원 고용 옵션에 대한 새로운 모델 구상. 2030년까지 1천만 명의 청년이 필수교육 받도록 지원 8 인권 존중: 인권보고서 발표(2015, 2017, 2020), 사업 전반에 걸쳐 인권 존중, 공급업체 및 비즈니스 파트

너와의 관계에서 인권을 존중하며, 책임 있는 소싱 정책을 수립함.

1, 2, 3, 5, 8, 10, 16, 17 책임 있는 사업: 직원의 안전, 마케팅, 혁신, 제품 품질에 이르기까지 지속가능한 사업수행 15

그러나 단순히 정부로부터 예산지원을 받는 것으로 기업이

SDGs

달성에 기여한다거나

, ESG

경영을 이행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

기업 스스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사업을 이어가야 한다

.

기업의 경영진은 기업의 이해관계자는 누구이며

,

그들이 가치있게 여기는 것이 무엇인지 를 고려하여

ESG

경영전략을 도입해야 한다

.

이 과정에서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와 성과지표 를 표준에 맞춰 설정하고

,

결과를 외부에 공개하여 성과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검증받아야 한다

.

국내의 농식품 기업도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외부 투자자들로 부터 자금을 유치하고

,

또한 사회와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상생의 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

.

참고문헌

국회예산정책처. 2017. 지속가능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업 ESG 정보공개 제도의 국내외 현황, 주요 사례 및 시사점. 국회예산정책처.

김호석. 2021. ESG 관련 국내외 동향 및 환경정책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연구원.

노한균. 2011. ODA 분야에서의 민관협력 발전방향 모색: 기업의 해외 사회공헌을 중심으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리베카 핸더슨. 2020. 하버드 ESG 경영수업: 자본주의 대전환(임상훈 역). p. 34. 서울: 어크로스.

Boffo, R., and R. Patalan. 2022. ESG investing: Practices, progress and challenges, Paris: OECD Publishing.

Davies, P. 2011.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Context of Aid Effectiveness.”

『Consultative Findings Document Final Report』. pp.42-43.

EY. 2021. 6th Global Institutional Investor Survey: Is your ESG data unlocking long- term value?

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IFAD). 2016. How to do: Public- Private-Producer-Partnership (4Ps) in agricultural value chains. Rome: IFAD.

OECD. 2011. OECD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Paris: OECD Publishing.

OECD. 2014. Policy Framework for Investment in Agriculture. Paris: OECD Publishing.

OECD. 2016. Better polic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aris: OECD Publishing.

OECD. 2018. OECD Due Diligence Guidance for Responsible Business Conduct. Paris:

OECD Publishing.

OECD. 2022. The Short and Winding Road to 2030 : Measuring Distance to the SDG Targets. Paris: OECD Publishing.

OECD・FAO. 2016. OECD-FAO Guidance for Responsible Agricultural Supply Chains.

Paris: OECD Publishing.

Pérez, L.・V. Hunt・H. Samandari・R. Nuttall・D. Bellone. 2022. “Does ESG really matter

—and why?,” 『McKinsey Quarterly』, August 10. McKinsey.

PwC. 2021. PwC’s Global investor survey: The Economic realities of ESG. PwC.

Raghunandan1, A. and S. Rajgopal. 2022. “Do ESG funds make stakeholder-friendly investments?” 『Review of Accounting Studies』 27:822–863.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UNGC). 2013. Post-2015 Business Engagement Architecture. UNGC.

United Nations. 2022. Inter-agency Task Force on Financing for Development, Financ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United Nations publication.

Willburn, K. and R. Willburn. 2020. ESG Reporting using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Journal of Strategic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15(2): 109~128.

<온라인 자료>

네슬레 지속가능성 관련자료 https://www.nestle.com/sustainability/nature-environment /regenerative-agriculture

유니레버 지속가능성 관련 자료 https://www.unilever.com/planet-and-society/

KOICA 혁신적개발협력사업 https://www.koica.go.kr/koica_kr/959/subview.do

농식품부 농식품산업 해외진출지원 사업 https://www.mafra.go.kr/mafra/1270/subview.do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연도별 월별 제 목

2016년

1월

스마트농업

해외 스마트농업 사례 일본의 스마트농업 현황

한국의 스마트농업 현황과 주요 과제

2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와 농업: 경제부문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속의 농업 SDGs와 농업부문 성과평가 및 쟁점

SDGs와 농업개발: 식량안보와 포용적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3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와 농업: 환경부문 SDGs 농업·환경 연관 목표 이행방안

SDGs와 기후변화 대응: 중앙아메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4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와 농업: 사회개발부문 SDGs와 농촌개발 현황 및 시사점

SDGs와 농업분야 국제개발협력: 방향과 전략

5월

식품표시제도

미국의 식품영양표시제도 개정안 논의 동향 유럽연합의 식품표시제도

일본의 식품표시제도 특징 및 시사점

6월

도시농업 I

일본의 도시농업과 관련 기술 동향 싱가포르의 도시농업 현황과 정책 쿠바의 도시농업

7월

도시농업 II

독일의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영국의 도시농업과 시사점 해외 도시양봉의 현황과 사례

8월 메가 (Mega) FTA I

TPP협정 내용과 농업분야 시사점

9월

메가(MEGA) FTA II FTAAP 논의 동향과 시사점 RCEP 협상 동향과 시사점

10월

나고야의정서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중국의 정책과 법제 동향 분석 나고야의정서에 대한 우리나라 농업 및 식품분야 대응방안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HISTORY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연도별 월별 제 목

2016년

11월

사회적 농업 I

유럽의 사회적 농업 개관과 이탈리아의 사례 네덜란드의 사회적 농업: 치유농업을 중심으로

12월

사회적 농업 II 영국의 사회적 농업 일본의 사회적 농업

2017년

1월

사회적 농업 III 독일의 사회적 농업 사회적 농업: 결론 및 시사점

2월

여성농업인

FAO의 성 인지적 농식품 가치사슬 개발 EU 농촌 여성의 경제적 지위와 성주류화 전략

3월

기후변화정책

미국의 농업부문 기후변화정책 영국의 농업부문 기후변화정책

4월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미래 I 4차 산업혁명과 미래 농업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미래: 스마트팜과 공유경제

5월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미래 II

4차 산업혁명 대응 주요국 농업과학기술 정책동향

6월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미래 III

4차 산업혁명과 농업부문 해외 관련 기술 및 연구동향 4차 산업혁명과 우리 농업의 미래

7월

음식물쓰레기정책 I

영국의 음식물쓰레기 감축 활동 미국의 식품 손실 현황과 과제

8월

음식물쓰레기정책 II

EU 음식물쓰레기 현황과 감축 활동 일본의 음식물쓰레기 관리 정책

9월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I 기후변화와 물발자국의 미래 보이지 않는 물 교역

(계속)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연도별 월별 제 목

2017년

10월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II

물-에너지-식량 넥서스를 통한 지속가능한 자원관리 물발자국의 개념과 산정

11월 GMO표시제

주요국별 유전자변형식품 표시제도

12월

농촌지역 일자리 정책 I

OECD선진국들의 농촌지역 일자리 전략 유럽 청년농업인 실태와 육성 전략

2018년

1월

농촌지역 일자리 정책 Ⅱ 미국의 신규농 육성사업 아일랜드의 청년 농업인 정책

2월

농촌지역 일자리 정책 Ⅲ 콜롬비아 농촌 일자리 쟁점과 정책 일본 청년농업인 육성 정책 및 프로그램

3월 식물검역

일본·미국·호주 식물검역제도 현황

4월 지방농정체제 Ⅰ미국의 지방농정 추진제도 - FSA와 AMS를 중심으로 -

5월 지방농정체제 Ⅱ

일본 지방농정 추진체계와 시사점

6월

지방농정체제 III

독일의 농정 추진체계와 시사점 프랑스의 지방분권과 지방농정 추진체계

7월 동물·축산물 검역EU 주요국의 동물·축산물 검역제도

8월 문화유산과 농촌개발Ⅰ

유럽 주요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농촌 개발

9월

문화유산과 농촌개발Ⅱ

유럽 주요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농촌 개발:

자연경관과 전통문화 활용 사례, 문화유산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 사례

10월 세계중요농업유산중국·일본의 세계중요농업유산 현황과 시사점

(계속)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연도별 월별 제 목

2018년

11월 학교급식 I

일본의 학교급식과 지역 농산물의 이용

12월 학교급식 Ⅱ

미국의 학교급식 및 USDA 아동 영양 프로그램

2019년

1월 학교급식 III

유럽 학교급식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과 지역농업 연계 사례

2월 농업보험 일본의 농업경영수입보험 실시와 시사점

3월

2018년 OECD 농업정책평가 I 농업정책 및 지지의 변화와 추세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4월

2018년 OECD 농업정책평가 II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러시아, 스위스, 우크라이나, EU 이스라엘,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5월

2018년 OECD 농업정책평가 III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멕시코 중국, 일본, 카자흐스탄, 필리핀, 베트남

6월 빅데이터 I

해외 농업 빅데이터 활용 현황

7월 빅데이터 II

일본의 농업 빅데이터 활용 현황

8월 생물다양성

식량과 농업을 위한 생물다양성

9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세계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동향

10월 산림 SDGs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을 위한 산림의 역할

11월 푸드플랜

주요국의 국가 푸드플랜 현황과 시사점: 프랑스,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12월 농식품표시정보

해외 농식품 표시정보 현황과 시사점: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계속)

문서에서 2022제 (페이지 54-6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