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전문대학 디자인교육과의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전문대학 디자인교육과의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

Copied!
14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士學位論文

실업계 디자인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전문대학 디자인교육과의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디자인 敎育專攻

金 嬛 注

2 0 0 1

(2)

실업계 디자인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전문대학 디자인교육과의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problems in the design education of vacational highschool and its promote plan

- Put first the connection of design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professional college -

指導敎授 : 鄭 道 成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01년 12월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디자인 敎育專攻

金 嬛 注

2 0 0 1

(3)

金 嬛 注 의

碩士學位 請求論文을 認증함

2001 년 12월

審 査 委 員 長 : (印)

審 査 委 員 : (印)

審 査 委 員 : (印)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4)

論 文 槪 要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산업사회의 이전가치들은 사회이념과 인간 삶의 방식 등에 걸쳐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는 필연적으 로 세계 모든 나라의 사회·경제·문화적인 측면에서 급속한 변화를 야기 하고 있으며, 각 나라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 세계적, 사회적 추세는 기존 조직원의 재교육을 포함 하여 모든 분야에 걸쳐 ‘교육의 환경(제도)과 방식, 내용’의 질적 변화를 강 제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 직업인을 1차적으로 양성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와 ‘전문대학’의 교육방향과 내용의 변화는 가장 우선적이면서도 중요한 과 제라 할 수 있다.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학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진학하는 상급학교는 ‘전문직업을 목적’으로 하 는 ‘전문대학’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문대학의 동일계 특별전형’이라는 제 도적 영향이 현상적인 이유이겠지만, 실업계 고등학교가 ‘세계화, 정보화 사 회를 주도할 창의적인 기능·기술인을 육성하기 위한 전문 교육을 실시하 는 직업교육기관’(제 7차 교육과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 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 직업 인이 되기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만으로는 부족하며, 상급교육기관 - ‘전문대학’의 과정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과 과정’과 ‘전문대학의 교과과정’이 각자 독자적이 아니라 상호 연계성을 가져 야 함은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다.

진학을 희망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직접적 ‘직업교육’보다는 상급학교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방향의 교과과정을 제공하

(5)

고, 이 자원을 받아들인 전문대학은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전문 직업교육을 이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

즉,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상급 학교로의 진학은 보다 우수한 산업 기 술인력을 양성한다는 차원에서 다루어져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 학교 교육은 기능 위주의 실업교육을 지양하고, 상급학교에서 학습내용을 원만히 체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기초로 상급학교에서는 고도 산업사회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전문 기능인으 로서 능력과 자질을 갖출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교육이 조속히 이루어져 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을 통하여 일정 기능·기술을 습득하는 획일적 인력양성을 지양하고 학교 급간의 디 자인 교육과정이 일관성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즉,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주로 기초학력 수준향상을 위한 기초교육과 전공 기초에 중점을 두고, 전문대학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시작된 전공기초 를 바탕으로 전문 기초 심화학습을 강화하고 개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는 방 안을 모색하고자한다. 이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지식보다는 체계화된 심화교 육을 통하여 전문기능인을 육성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교육의 발전 방향 을 모색하고자 한다.

(6)

目 次

논문개요 표목차 그림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목적 ···4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제 2 장.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고찰 ···8

2-1. 중등디자인 교육의 의의 ···10

2-2.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배경 ···16

제 3 장. 디자인 교육의 현황 ···19

3-1.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 ···19

3-1-1. 디자인과 교육과정의 변천 ···19

3-1-2.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 ···25

1)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내용 분석 ···27

2) 디자인교과서의 교육목표 및 지도상의 유의점 ···32

3-2. 전문대학 디자인계열학과 교육현황 ···37

3-2-1. 디자인 교과과정의 구성 ···38

3-2-2. 전문대학별 교과목 개설 현황 ···43

3-3.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및 방향 ···45

(7)

제 4 장. 외국의 연계교육에 대한 동향 ···47

4-1. 미국(Tech Prep) ···47

4-2. 호주 (JSSTAFE) ···51

4-3. 독일의 교육제도 ···53

4-4. 소결론 ···57

제 5 장. 디자인 교육에 관한 설문 분석 ···58

5-1.조사 목적 및 방법 ···58

5-2. 설문분석 ···59

5-2-1.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 ···59

5-2-2. 교사 설문 분석 ···70

5-2-3. 전문대학 교수 분석 ···90

5-3. 분석 결과 ···104

제 6 장. 연계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106

6-1. 연계교육의 방향 ···106

6-2. 연계교육의 효과 ···107

6-3. 연계교육의 유형 ···108

6-4. 디자인 연계교육 편성·모형 ···110

6-4-1. 연계교육과정의 편성 ···110

6-4-2. 연계교육 모형안 ···114

제 7 장. 결 론 ···117

參 考 文 獻

ABSTRACT

부록 설문지

(8)

표 목 차

<표 1>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학과명 변천 ···19

<표 2> 디자인과 교육목표 변천 ···20

<표 3> 실업계와 기타계열 고등학교 교과 편성·운영 ···26

<표 4>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과내용(이론+실습)내용 ···27

<표 5> 디자인 교과서의 목표 ···32

<표 6> 지도상의 유의점 ···33

<표 7> 학교별 디자인과 교과단위 분석표 ···35

<표 8> 디자인 전공 영역별 학과분류 ···38

<표 9> 국내 2년제 대학 산업디자인학과 교과목 개설 현황 ···43

<표 10> 미국의 고등학교 체제 ···48

<표 11> Tech. Prep. 프로그램 모형 ···50

<표 12> 설문지 배포와 회수현황 ···58

<표 13> 입학동기 ···59

<표 14> 자신의 개성에 대한 견해 ···60

<표 15> 적성에 대한 견해 ···61

<표 16> 이론과 실기 선호도 ···62

<표 17> 실기 선호도 ···63

<표 18> 전공교과서 내용의 난이도 ···64

<표 19> 자격증 취득욕구 ···65

<표 20> 취득 자격증 종목 ···66

<표 21> 진로 희망 ···67

<표 22> 졸업 후 취업과 진학전망 ···68

<표 23> 연계교육 참여희망 ···69

<표 24> 응답자의 근무 경력 ···70

<표 25> 디자인과 근무 경력 ···71

(9)

<표 26> 교원 자격증 실태 ···72

<표 27> 기자재 확보 및 실습실 시설 ···73

<표 28> 실습재료의 보유와 활용 ···74

<표 29> 전공교과서 내용의 난이도 ···75

<표 30> 수업시 학생의 흥미도 ···76

<표 31> 실습지도시 가장 큰 문제점 ···77

<표 32> 이론과 실기 시간의 비율 ···78

<표 33> 디자인 교육의 중점 현황 ···79

<표 34> 제자들의 취업전망 ···80

<표 35> 학생들이 전문대학 진학 시 실기능력에 대한 견해 ···81

<표 36> 고등학교와 전문대와의 연계교육의 필요성 ···82

<표 37> 전문대와의 연계를 위한 협의 대상 ···83

<표 38> 소속학교의 연계교육 자세 ···84

<표 39>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 ···85

<표 40> 현재 교육과정이 연계교육하기에 적합성 ···86

<표 41>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형태 ···87

<표 42> 교재개발을 위한 인적자원 구성 ···88

<표 43> 응답자의 교직경력 ···89

<표 44> 현장실무 경험정도 ···90

<표 45> 현장실무 경험정도 ···91

<표 46> 교과과정과 취업의 연결성 ···92

<표 47> 실업계 학생들의 실기능력 ···93

<표 48> 교육과정과 취업의 연계의 필요성 ···94

<표 49> 교육과정의 연계 협의 인사 ···95

<표 50> 연계교육 운영 목적 ···96

<표 51> 소속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자세 ···97

<표 52> 현재 교육과정의 연계교육 적합성 ···98

(10)

<표 53> 연계교육에 적합한 고등학교 계열 ···99

<표 54>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형태 ···100

<표 55> 교재개발을 위한 인적자원 구성에 대한 견해 ···103

<표 57> 연계교육의 유형 ···109

<표 58> 연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모형 ···110

<표 59> 연계가능 교과목 ···111

<표 60> 2001학년도 목포실업고등학교 교육과정안 ···112

<표 61> 목포 전문대학 2001학년 신입생 교육과정 ···113

<표 62> 고등학교 디자인실습과 전문대학 디자인실기 연계교육안.Ⅰ ···115

<표 63> 실업고등학교의 컴퓨터그래픽과 전문대학의 컴퓨터그래픽Ⅰ연계교육안.Ⅱ 116

(11)

그 림 목 차

[그림 1]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률 ···3

[그림 2] 연구 프로세스 ···7

[그림 3] 디자인의 분류 ···13

[그림 4] Good Design ···14

[그림 5] 디자인 교육의 목적 ···15

[그림 6] 디자인과목의 연계형태 ···31

[그림 7} Tech Prep 프로그램의 3단계 능력 수준 ···49

[그림 8] 입학동기 ···59

[그림 9] 자신의 개성에 대한 견해 ···60

[그림 10] 적성에 대한 견해 ···61

[그림 11] 이론과 실기 선호도 ···62

[그림 12] 실기선호도 ···63

[그림 13] 전공교과서 내용의 난이도 ···64

[그림 14] 자격증 취득 욕구 ···65

[그림 15] 취득 자격증 종목 ···66

[그림 16] 진로희망 ···67

[그림 17] 졸업 후 취업과 진학전망 ···68

[그림 18] 연계교육의 참여희망 ···69

[그림 19] 응답자의 교직경력 ···70

[그림 20] 디자인과 근무경력 ···71

[그림 21] 교원자격증 실태 ···72

[그림 22] 기자재 확보 및 실습실 시설 ···73

[그림 23] 실습재료의 보유와 활용 ···74

[그림 24] 전공교과서 내용의 난이도 ···75

[그림 25] 수업시 학생의 흥미도 ···76

(12)

[그림 26] 실습지도시 가장 큰 문제점 ···77

[그림 27] 이론과 실기 시간의 비율 ···78

[그림 28] 디자인과 교육 중점 현황 ···79

[그림 29] 제자들의 취업전망 ···80

[그림 30] 학생들의 전문대 진학 시 실기능력에 대한 견해 ···81

[그림 31]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의 필요성 ···82

[그림 32] 전문대와의 연계를 위한 협의 대상 ···83

[그림 33] 소속학교의 연계교육 자세 ···84

[그림 34] 연계교육 운영의 목적 ···85

[그림 35] 현재 교과과정이 연계교육하기에 적합성 ···86

[그림 36]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형태 ···88

[그림 37] 교재개발을 위한 인적자원 구성 ···89

[그림 38] 응답자의 교직경력 ···90

[그림 39] 현장실무 경험정도 ···91

[그림 40] 제자들의 진출분야 ···92

[그림 41] 교과과정의 취업과 연결성 ···93

[그림 42] 실업계 학생들의 실기 능력 ···94

[그림 43]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95

[그림 44] 교육과정 연계의 협의 인사 ···96

[그림 45] 연계운영의 목적 ···97

[그림 46] 소속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자세 ···98

[그림 47] 현재 교육과정의 연계교육 적합성 ···99

[그림 48] 연계교육하기에 적합한 고등학교 계열 ···100

[그림 49] 연계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 형태 ···101

[그림 50] 교재개발을 위한 인적자원구성에 대한 견해 ···103

[그림 51] 교육과정 연계의 개념도 ···108

(13)

제 1 장. 서 론

오늘날 디자인은 우리의 생활을 합리화하고 질서 있고 보다 아름다운 삶 을 영위하게 해주는 동시에 현대 산업경제 사회에서는 상품의 생산과 판매, 유통에 이르기까지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을 만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디자인의 시대라고 할 만큼 우리들의 일상 생활에서부터 사회의 모든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디자인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디자인 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육기관인 기초 중등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 의 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창의성과 실전감각을 고루 갖추고 있는 인재 를 양성하는 교육제도가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내용에 있어 서 너무 광범위한 전문교과 영역을 다루므로 전공에 대한 세분화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직업교육을 주도했던 실업계 고등학교는 기능 인력 양성기관으로 주요한 역할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취업률이 떨어지는 반면, 진학 희망률과 실제 진학률[그림 1]참 고 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고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선호현상에 따른 결과이며, 실업계 고등학교 재학생의 대입준비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직업교육의 목표가 퇴색되고 있 음을 함께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 의 하나로 진학 요구를 수용하면서 직업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연 계교육의 도입이 검토되어야 한다.

21세기는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산업구조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수많은 직종이 창출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교육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연계교육의

(14)

운영은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에 따라 진로를 선택한 후 취업 및 대학단계 의 계속 교육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학욕구를 수용하고, 나아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직업인을 양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같은 연계교육이 의도하는 대로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기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이 마치 하나의 학교처럼 운영될 수 있어야 한 다. 즉, 학교 급이 다르고 학교체제가 다를지라도 상호 공통의 목적을 향해 학교의 모든 구성요소가 하나의 유기체처럼 작동할 수 있는 유기적인 통합 이 필요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시각 디자인, 또는 환경디자인, 제품디자인 등이 양적 팽창과 함께 놀라울 정도 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자인 산업은 멀티미디어 (Multimedia)1) 영상 통신 (Image Communication)또는 토털디자인 (Total Design)의 방향으로 나갈 것이며, 산업현장은 다양한 개성을 가지고 새로운 기술개발을 위한 고 도의 창조성을 지닌 인력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의 디자인 교육은 일정한 기능, 기술을 습득시키는 획일화된 교육이 아니라, 개성을 신장시키고, 다양한 경험을 통한 창의적인 디자이너를 양성 할 수 있어야 하며 미래의 디자이너를 책임질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 서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 또한 새롭게 모색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교육의 방법을 전문대학과 연계시킴으로써 한 분야에 더욱 세분화되고 전문화하여 새롭고 발전된 능력 있는 전문 디자이

1) 화상, 음성, 문자 등의 정보 전달 수단을 복합화 하여 컴퓨터 상에서 일원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을 가리킨다. 이용자는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를 수 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인터 액티브하게 가공 편집할 수 있는 환경 을 지향하고 있다.

월간 MIPS 편집부, 매킨토시 용어사전, 성안당. 1996, p.269.

(15)

너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 하고자 한다.

[그림 1]2)은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통계의 의한 실업계 학 교학생들의 진학률의 증가비율통계를 참고하여 그래프로 구성해 놓았다.

[그림 1]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률

진학률 = (당해연도 졸업자 중 진학자/당해연도 졸업자)×100

2)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통계로 본 한국교육의 발자취, 서울,1997, p,120.

(16)

1-1. 연구목적

21세기 미래 사회는 세계화 정보화를 기반으로 한 다양화, 특성화, 전문 화와 함께 세계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론적 실무를 겸비한 전문화된 인력 이 요구되는 사회로 정착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직업교육 은 본질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 양적 팽창을 거듭해 오면서 우수한 기능인력의 양성을 통해 국가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온 실업계 고등학교는 학생들의 대학 진학 욕구 증가와 중학생들의 실업고 의 입학 기피 현상 심화로 정체성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문대학 역시 4년제 대학 선호 현상, 2년제 단기과정의 한계 등으로 중추 적인 직업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 여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입학자원의 절대적 감소 등으로 학생모 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그로 인한 교육의 질을 저하 시켰으며, 전문교육 기관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학 입학자 원이 입학정원보다 줄어들게 되는 2003학년도부터는 지방의 중소 전문대학 은 지역적인 특성화를 꾀하지 않는다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21C는 세계화·정보화의 시대로,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의 당면과제로서 우수한 전문 인력의 양성이 매우 절실함을 누구나 인 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성상 직업에 대한 귀천의식과 자녀의 수 감소, 경제적 소득의 향상에 따른 진학위주의 고학력 주의가 사회 전반에 걸쳐 팽배해 있는 실정이다.

진학을 희망하는 대부분의 학생이 동일 계열로의 진학을 희망하고 있으므 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전반에 걸친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그 지역사회와 밀착된 주문 식 교육과정이나 산학연계 프로그램에 의한 프 로젝트를 진행하여 산업체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전문화되고 특

(17)

성화 된 교육과정을 배움으로써 졸업 후 전문인력으로서의 능력을 갖추도 록 하는 게 디자인 교육의 목적이며 이러한 연계교육을 통하여 실업계 고 등학교 학생들에게 진학의 가능성과 계속 교육의 기회를 열어주며 개개인 에게는 산업사회의 능력 있는 디자이너로서의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동일계열의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산업대학이 있지만 학교 급간의 유기적인 연계 체제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즉, 실업계고 등학교와 전문대학, 실업계고등학교와 산업대학, 전문대학과 산업대학의 편 입학 프로그램 등이 제대로 연계체제를 구축하지 못함으로써 직업교육체제 가 일관성 있게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국내외의 사회, 경제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 하며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디자인 양성 위한 체계적인 디자 인 교육을 하기 위해서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과 사회적 역할 등을 살펴보 았고 중등디자인 교육을 맡고 있는 실업계고등학교와 전문직업 교육기관인 전문대학의 디자인 교육개혁 방안으로서 전문대학과의 연계교육방안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연계교육의 유기적인 시스템을 위해서는 교유과정운영 공동교재개발 시설 및 기자재 활용방안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점이 많으나 본 연 구에서는 디자인교육에서 중요한 디자인실기부분과 또한 정보화 지식사회 가 도래하면서 중요한 부분인 컴퓨터 그래픽과목을 중점으로 교육과정 모 형안을 제시하였다.

(18)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 학의 연계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 고자 한다.

첫째, 디자인 교육에 있어 조기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과 사회적 역할 등을 살펴보고 디자인 교육의 목표 및 내용 살펴본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한 연계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양한 방법으로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외국의 연계교육 제도를 살펴보았다.

넷째, 중등교육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발전을 위해 연계교육 모형을 제시하 였다.

설문지 조사연구로는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에 재학중인 남. 여 학생 432명과 교사 70명 전문대학 전임 강사 이상의 교수 65명을 조사하였다.

통계 처리는 각 문항별로 빈도(frequence)와 백분율(percentage)기법을 적용 하여 조사의 정확성을 기하려 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과 전문 디자이너로서의 능력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9)

연구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그림 2]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의 연계 방안 연구 목적

·디자인 교육현황과 실태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디자인 교육의 개념

·디자인 교육과정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실업계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의 의의

전문대학

현 디자인 교육의 실태 및 요구분석 연계교육의

필요성 및 배경탐색

외국의 연계교육실태분석

교사 학생 교수

[그림 2] 연구 과정

(20)

제 2 장.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고찰

사람들은 살아가며 스스로의 뜻을 펼치는 여러 방법을 만들어 왔다. 그것 은 문학과 철학, 정치, 사상, 또는 음악과 같은 정신적인 것도 있고, 미술과 건축, 공예와 디자인과 같은 물질 문명으로 표현되는 것들도 있다. 이처럼 인간의 정신적인 표현과 물질적인 표현은 생활 환경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발전시켜 오늘날의 눈부신 물질과 문명을 이루었다. 산업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로 여러 가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여 현대 산업경제 사회에서는 상품 의 생산과 판매, 유통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영역을 거치지 않는 분야가 없을 만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각 나라는 자기 나라의 부의 수단 으로 디자인을 진흥시키고 발전시켰다.

인간 가치의 다원화가 요구되는 미래사회에 적합한 생활환경을 창조하는 것이 오늘날 디자인 분야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생활문화의 질적인 발전은 디자인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인의 개념이 확대되면 서 디자인은 인간의 물질적, 정신적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키는 인공적 환경 을 도모하는 창조적인 활동이며 또한 인간 삶을 위하여 상호작용을 통한 변화 발전하는 과정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매우 다양 해지고 그와 함께 그 영역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과학의 발달은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인간의 생활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디자인의 영역도 세분화 전문화 되어가고 있다. 인간의 안락 하고 편안한 생활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로 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에서 조기 디자인 교육은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디자인 교육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조형생활과 관련하여 그 생산과 유통, 그것을 함유하는 올바른 방향과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창의

(21)

력 함양, 감성의 순화 내지 잠재력 향상이라는 예술 교육적 성격을 넘어서 인간을 둘러싼 모든 조형 환경의 창조와 개선 그리고 수용 과정에 직접 참 여케 하는 실용적이며 적극적인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 교육은 다 양한 표현의 기회를 줄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급속하게 발전하는 미래 사 회 속에서 지적·감성적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교육과정이며 전문인의 양성뿐 아니라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교육은 미래사회의 요구 등을 고려했을 때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 다.

우리 현실에서 디자인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필요성을 정확히 인식하며 디자인의 조기 교육을 통한 개개인의 창의력발휘를 유도하며 미래 인류 생 활의 발전과 산업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기르는데 조기 교육의 중 요성이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 교육은 창의력과 종합적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절실히 요구되는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디자인 교육은 전환기에 와 있다. 경제적 여건은 산업체들 간의 경쟁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어 교육환경은 변화하지 않으며 안되는 절대절명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자인 교육의 폭을 확대하고 발전시 키기 위한 현명한 행동이 필요하다. 디자인의 역할이 극히 중요해지고 있는 이때 실무측면에서 디자인은 마땅히 수행해야 할 작업을 질적으로든 양적 으로든 감당치 못하고 있다. 새로운 역량의 장점을 살리고, 하나의 성숙된 학문으로 디자인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려면 본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2)

2-1. 중등디자인 교육의 의의

학생들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조형활동이 디자인 교육의 밑바탕이 되어 학생들 스스로가 일상 생활 속에서 새로운 미적 사실을 발견하며 하나의 체험에서 다음 경험으로 활용하여 항상 새롭고 신선한 교육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디자인 교육의 본질이다. 디자인 교육에서 얻은 실제적인 능력 은 그 과정과 결과가 현대산업 경제사회와 직결되어 상품의 판매, 유통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주므로 디자인 교육을 통한 역할 이 매우 강조되고있다.

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해결해야할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적절하게 정보를 수집하고 기능과 용도에 적합한 구조와 재료(material), 내용(content), 형태(form)를 재조명하여 새로운 창조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다. 헤이스트와 슈미트가 제안한 문제해결의 방법을 살펴보면 ‘아름다움’과

‘쓸모’의 만족스러운 조화를 찾는 디자인 문제해결의 방법은 단 하나만의 해답을 구하는 수렴적(convergent)방식이 아니고 다양한 해결을 찾는 확산 적(divergent)방식에 특성이 있다.3)고 하고 하였다. 이러한 확산적 연구에 의해 찾아낸 형태는 무엇보다 독창적(original)이어야 한다는데 대 전제가 있는 것이다. 모방이나 자연현상의 재현이 될 수 있다는 이 독창적 창출에 디자인 문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디자인은 이러한 미적 수단을 통하여 하나의 ‘내용’을 표현하는 것인데 그 내용은 “실용에 적용되는 내용”이어야 한다. 즉, ‘쓸모(用)'에 적절한 형태를 미적 수단을 동원하여 구안해 내는 것이 디자인이며 또한 이러한 내용으로 써 ‘쓸모’를 질서의 미로 구현하고 조화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문제해결

3) Hastie.R.& Schmit.C .Encounter with Art,(N.Y:Mc Grow Hill Book Co, 1969).

p.212∼221.

(23)

의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디자인에 있어서의 문제 해결이라고 하는 것은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특성 을 지니고 있다. 다양하고, 복잡하고, 분해되고,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자료 와 조건에서 한 단위의 구조적인 통합을 이루어 하나의 유기적인 생명 형 태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 즉, 다양하고 분해적인 것을 통합하여 하나의 유 기적이고 통일된 형태를 낳는 통합성에 디자인의 특성이 있는 것이다. 디자 인은 이러한 본연적 특성에 디자인 교육의 의의가 있는 것이며 그것이 곧 디자인 교육의 목적이다.

디자인 교육의 목적은 디자인 경험을 부과함으로써 첫째,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기능을 높이고 생활에서의 활용을 높인다. 둘째, 디자인 활동에 포 함된 지적감각과 질(요소, 원리)을 체험함으로써 미적 정신적 수준을 향상 시킨다. 셋째, 미와 용의 조화를 요구하는 활동과정을 통하여 합리적인 해 결의 힘을 기른다. 넷째, 잡다하고 복잡한 재료와 조건에 질서를 주고, 선택 하며 통합 조화시켜 유기적 형태를 찾는 디자인 표현활동을 통하여 여기에 서 우러나는 질서 있고 통일되고 온전한 통합적 인격을 형성한다. 다섯째, 확산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표현경험을 통하여 창의성을 이룬다.4) 이러한 디자인경험 활동에서 얻는 통합적이고 창의적인 인성은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청소년들이 미래사회에 유연하게 또 의연하게 적응, 개척하는 힘이 될 것이며 바로 여기에 디자인 교육의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잠재력 가능성 은 무안함으로 다양한 디자인 경험 활동을 통하여 미와 용의 조화를 통한 새로운 창조물을 만드는 능력을 기르는데 조기 디자인 교육이 필요한 것이 다.

디자인 교육은 인간을 둘러싼 모든 조형환경의 개선과 그리고 수용과정 에 직접 참여케 하는 실용적이며 적극적인 교육을 하는 것으로 디자인의

4) 이종환, 중학교 디자인 교육,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6, p.22..

(24)

중요성을 제시하였듯이 오늘날 디자인 교육의 사회적 역할 또한 대단히 중 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디자인 교육은 창조 능력을 기르기 위한 사회적, 또 는 문화적으로 디자인의 기능을 강조하고 역할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디자인 교육의 중요성은 인간의 성장과정과 함께 한다. 단순한 모방 이나 답습이 아닌 변화가 가속화되는 고도의 정보산업사회에서 그 시대를 살아가는 세대들에게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표현력을 길러주고 장래의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책임 있는 디자이너가 되게 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디자인 을 기초로 한 교육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능동적인 태도로 표현하고 커뮤 니케이션 하는데 도움을 주는 예술적 측면과, 이를 반전시키는 기술적 측면, 그리고 결과물이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과학적 측면을 총 체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혜를 습득 할 수 있으며 또한, 창의성 을 위한 다양한 지식과 방법의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사용자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 능력을 함양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디자인 교육의 내용은 과거의 단순한 미와 기술적 문제에서 최근 들어 인간, 감성, 사회, 전략의 문제 등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해결 하기 위해 미래의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인 디자인지식과 창의 성 향상을 교육을 통해 익히고, 디자인개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 으므로 디자인 교육의 보다 효과적인 교육환경과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 성이 있다. 디자인 교육은 사물, 인간, 사회, 자연 등 모든 분야에서 아름다 움을 지향하는 작업이며 디자인 교육은 이러한 것을 종합하여 새로운 창조 물을 만드는 능력을 만든다. 인간, 자연, 사회의 삼각 구도 속에서 디자인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존재 할 수 있으며 그 영역을 규정하는 내용에 따라 구분되어질 수 있다. 인간과 자연을 매개로 하는 도구적 장비디자인을 제품 디자인으로, 인간과 사회를 매개로 하는 정신적 장비디자인을 전달디자인으

(25)

로, 그리고 사회와 자연에서 인간의 생활공간을 환경적 장비디자인으로 분 류하여 서로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위의 여러 가지 디자인의 영역을 아직까지 정확하게 분류하기에는 어렵지 만 그랙 베르야만(Gregg Beryman)5)이 분류법을 보면 각각의 디자인은 서 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인간 Human (시각)

전달디자인 VCD

제품디자인

PD

자연 Nature 환경·공간

디자인 기초 디자인 사회 디자인

Society

출처 : 佐口七朗編, 「デザイン 槪論」 P.50 [그림 3] 디자인의 분류

디자인은 하나의 정의된 상황이라기 보다는 인간·사회·자연은 모든 분 야에서 아름다움을 창조해내는 것이다.

디자인 교육의 역할은 학생에게 디자인 경험을 부과하여 소정의 교육적 성과를 얻기 위해 취해지는 의도적인 노력이며, 디자인을 통한 1차적인 교 육적 성과는 직접적인 행동의 변화 즉, 디자인할 수 있는 기능 디자인에 대

5) Gregg Beryman, Notes On Eraphic Design And Visual Communication. 1980.

유한태(역). 그래픽 디자인과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요점. 서울:도서출판 창미, 1983, p.2.

(26)

한 이해, 굿 디자인(good design)에 대한 감각. 굿 디자인을 생활에 활용하 는 태도 등을 습득할 수 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는 통합성과 창의성이라 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교육은 개인 진보의 중요한 수단이며, 교육으로부터 획득된 개인능력은 개인이 생산하는 결과물에 대해 영향을 미치기 되므로 궁극적으로 국가사회와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실용성 현대성

창의성

인간공학성

경제성

전달성 심미성 통합성

[그림 4] Good Design6)

6) 굿 디자인(Good design)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선진 산업국가에서 제품디자인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벌인 공공적 차원에서의 운동 또는 그러 한 제도. 특히 미국 뉴욕의 현대미술관이 주최한 일련의 ‘굿 디자인’ 전시회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굿 디자인 운동의 근본적인 배경은 전통적인 합리 주의 생활규범과 대중소비사회의 현실간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것인데, 이를 ‘제 품의 선택이 곧 생활 양식의 선택(그레고르 파울손)’이라는 관점에서 정당화 하 고자 한다. 그에 따라 국가마다 굿 디자인이 갖추어야할 기준들을 기능성, 경제 성, 심미성, 사회성 등으로 요소 화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그에 부합하는 제품을 선정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 제도는 우리나라에도 도입되어 매 년 굿 디자인 선정. G마크 부여, 전시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영제외 3명, 「디자인 사전」, 서울:안그라픽스, 1994. p.96.

(27)

디자인 교육의 목적을 도식화하였다.

미래 사회의 힘

다양성과 창의성 형성 이해와

기능

미적 감각

지적 수준 향상 美·用의 조화

통합적 인격 형성 경험

활동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인성

디자인 교육의 의의

[그림 5] 디자인 교육의 목적

(28)

2-2.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배경

오늘날 디자인 교육은 인간의 조형생활과 관련하여 주입식 지식교육만이 아니라 다양하고 창조적 사고와 정의적(正義的)인 사람을 위한 교육으로 디 자인 교육의 중요함이 강조되고 있다. 디자인 교육의 배경을 본 장에서는 살펴보고자 한다.

디자인 교육은 독일 공작연맹(Deutsche Westbound, D·W·B)의 태동에 서 그 출발점을 찾을 수 있지만 이렇다 할 만한 최초의 디자인 교육은 1919년 그로피우스(Gropius)가 중심이 되어 설립한 1919년 바이마르에서 독 일의 디자인 학교이자 근대 디자인의 절정을 이룬 바우하우스(Bauhaus)7) 에서 찾을 수 있다. 디자인 교육의 중심이 된 바우하우스는 (Bauhaus)는 월터·그로피우스 (Walter Gropius)를 학장으로 설립된 종합 조형 예술학교 이며, 그로피우스의 근본적인 지도목표는 학교의 교과 과정의 조직에 걸쳐 모든 디자인 분야의 기저(基底)에 흐르는 기초적 통일성이란 개념을 성립하 고 표현하는 전인적(全人的) 교육에 있었다.8) 즉, “바우하우스”는 새로운 건 축과 미술과 디자인에 있어서의 훈련의 통합을 이룩할 수 있도록 모든 창

7) 바우하우스(BAUHAUS): 1919년 월터 그로피우스에 의하여 독일에 창립된 조형 (造形)학교. 그로피우스는 정신적인 문화와 물질적인 문명의 대립, 정신과 물질 의 분리가 19세기후반 이후의 예술 및 건축에 반영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물질 과 정신의 전 영역을 통일하는 키 포인트(key point)의 하나가 건축에 있다고 하여 이것을 그의 작품에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그 이상을 실현하는 데는 우수한 건축가를 새로 육성하는 길 외에는 없다고 생각하였다. 제 1차 세 계대전 후 앙티 반 데 밸데(Henri Van de velde)의 제안으로 바이마르 공화국 의 초청을 받아 반 데 밸데가 교장이었던 대공립공예학교(大公立工藝學校)와 대 공립조형예술전문학교의 지도자가 될 것을 승낙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Staatliches Bauhaus in Weimar(바이마르의 국립 바우하우스)라고 개칭하고 그 가 하고자 하는 이상실현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바우하우스의 근본 목표는 ‘모든 조형예술적 교의(敎義)와 기술적 교의를 하나의 건축예술에다 종합하는 것, 따 라서 현실생활에 봉사하고 종합하는 것이었다.’ --- 권명광, 방승수 공저,

「근대디자인사」, 서울:미진사, 1987, p.142∼175.

8) 정시화 「현대 디자인 연구」, 서울 ; 미전사, 1988, p.177∼178.

(29)

조적인 노력을 협동시킬 것이라는 독창성 있는 교육이념으로 예술분야 뿐 만 아니라 문화사회에 영향을 끼친 가장 혁신적인 예술운동으로 새로운 조 형예술을 실현하고자 하였던 교육기관이다.

바우하우스가 디자인 교육에 미친 특성은 예비교육(preparatory instruction)에 있다. 기초교육으로서의 예비교육과 전문교육으로서의 기술 교육(실습교육:work training)은 바우하우스의 역사가 진행되는 동안 많은 이념적인 논쟁이 있었지만 이와 같이 특수한 교육체계가 오늘날까지 디자 인 교육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바우하우스 영향에 의한 오늘날의 디자인은 예술과 기술의 통합으 로써 새로운 창조의 근원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현대 디자인 교육의 방향 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의 디자인 개념은 개화기를 거치면서 유입되었는데, 처음에 는 도안(圖案)이란 이름으로 일본과 중국을 거쳐 들어왔다.

1930년 일본을 통하여 바우하우스의 교육이념과 방법이 구성 교육의 형태 로 도입되면서 디자인 교육은 현대 디자인에 근접한 사고가 싹트기 시작했 다. 1946년 서울대학교에 도안과(圖案科)가 설치된 것을 그 시초로 볼 수 있고, 1960년대 들어 시작된 경제개발계획은 수출의 장려를 가져왔고 제품 의 미적 가치와 조형적인 구조에도 관심을 갖게 했다. 즉,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런 분위기를 통해 1966년 ‘한 국 디자인 센터’가 설립되면서 디자인의 본격적인 장이 마련되었다. 1960년 대 사회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함께 산업현장에 디자인의 수요가 늘어났 으며 이에 발 맞춰 각 대학들이 구미 방식의 교과과정을 도입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교과목을 선정, 교양과정과 전공과정의 안배, 배정학점의 고정 등 제도화를 통해 교육과정을 정비해 나갔다. 동시에 50년대에 2개교에만 존재 하던 디자인 관련학과가 60년대 들어 10년 동안 18개 대학에 신설되었으며

(30)

신설 학과들은 전공별로 세분화되어 전문디자이너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본격적인 디자인 교육의 장을 열게 되었다.9) 그러나 디자인 교육은 변화의 외곽에 위치한 모습으로 비추어 질뿐만 아니라 방향과 내용 설정에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디자인 교육이 미술 교육 또는 기타 일반 교육 분야 와 달리 그 본질이나 이를 체계화하기가 어려운 특수성을 지니고 있어 그 동안 디자인 교육 담당자들이 새로운 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최소한의 공 유된 관점을 제시하지 못해 왔을 뿐만 아니라, 대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 기보다는 단기적인고 임기응변적인 정책적 분위기에 의해 영향을 받아 왔 다는데 있다. 새로운 교육목표와 방향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디자인 교육 의 발전방향을 찾기 위한 선결과제로 디자인 교육의 현황과 교과의 구성,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9) 윤태호, 한국의 디자인 진흥 정책 방향 선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 사 학위 논문 1933, p.82.

(31)

제 3 장. 디자인 교육의 현황

3-1.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 3-1-1. 디자인과 교육과정의 변천

처음 디자인 관련 분야 교육은 금속공예과와 목재공예과에서 시작되었고 문교부령 제35호(1954. 4. 20)에서 제정되었다.

1963년 금속공예과 와 목재공예과를 통합하여 공예과로 과명 변경하여 3 차 교육과정까지 유지되어 오다가 4차 교육과정인 1981년 시대흐름과 교육 현장 및 산업현장의 요구에 따라 공예과에서 디자인과로 변경되었다.

이후 기능 인력의 심각한 부족과 산업 구조의 다양화, 첨단 산업 분야의 인력수요에 따른 학과의 세분화, 전문화가 요구되면서 학과의 세분화 현상 이 나타나고 있다. 1958년부터 1998년까지의 디자인 계열학과 명칭의 변천 은 < 표 1 >과 같다.10)

<표 1>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학과명 변천

연도 학 과 명

1954 금속공예과, 목재공예과

1963 공예과

1976 디자인과

1981 디자인과

1988 디자인과

2001 현재

상업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인쇄과, 광고사진과, 도예디자인과, 상업미술과, 광고디자인과, 의상디자인과, 컴퓨터 그래픽과, 인쇄디자인과, 인테리어과, 전자출판 디자인계

10) 신동식, 우리나라 공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과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청주 대, 1997, p.13.

(32)

교육과정이 변천되면서 디자인과의 교육목표 변하였다. 1차에서부터 7차까지의 디자인과 교육목표를 조사하여 표로 구성하였다.

<표 2> 디자인과 교육목표 변천

교육과정 구분 교 육 목 표

제1차 (1954∼1963) 학과 목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제2차 (1963∼1974) 교과과정(공예과) 교육목표와 동일하다.

공예과의 목표는 공예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기능을 길러, 생활 미화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가진 기능·기술자를 기른다.

제3차 (1974∼1981)

제4차 (1981∼1987)

교과과정(디자인과)의 목표는 디자인에 관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미적인 구성력과 표현 능력을 습득하게 하여 각종디자인 분야의 실무에 종사할 기술인 을 양성한다.

제5차 (1988∼1987)

학과별로 목표를 제시하지 않고 농업, 공업, 상업,

수산·해업,가사,실업,과학,체육,예술,외국어등 9개 계열의 총괄 목표만 제시되어있다.

제6차 (1996∼2001)

디자인에 분야에 관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미적인 구성력과 표현 능력을 습득하게 하며, 각종 디자인 분야의 실무에 종사할 기술인 을 양성한다.

제7차 (2002∼ ) 디자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표현 활동을 통하여 전문성을 기르는 교과이다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찾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관련 교육부분의 변천과정을 조사하였다.

① 제1차 교육과정(1954-1963)

문교부령 제35호(1954. 4. 20)로 제정·공포된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에 근거를 두고 지도 목표, 지도 내용, 지도상의 유의점 등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학교 운영에 여러 가지로 미흡한 점이 있어 공업고등학교의 성격을 착실한 직업 교육과 책임 있는 직업을 알선해 야 할 필요성에 두고 교육과정의 일부를 개정하였다. 문교부령 제76호(1958.

(33)

6. 5)에 의해 ‘실업고등학교 및 기타 전문 과정을 주로 하는 고등학교의 교 과 시간 배당 기순’을 제시하여, 제 1학년에서는 연간 315시간, 2학년에서는 385시간이상이 되도록 시간을 배정하였으며, 전문 교과목은 모두 127과목으 로 구성하였다.

디자인 관련 학과는 금속 공예과, 목재 공예과로 전문 필수과목인 금속공 예 실습, 금속공예 도안, 재도, 공예 금속, 금속 재료, 목공 실습, 목재 공예 제도, 공작 설계, 목재 및 공작, 공예사 등 필수·선택 구분없이 교과를 구 성하여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필수 시간과 선택 시간의 합계는 교과시간의 30%이상이 되어야 한다.

전의 도안과의 범위를 보다 넓은 ‘산업과 미술’의 영역으로 확대시켰고 또 한 그것을 감당할 능력과 새로운 것들에 대한 진취적인 디자인 감각에 미 작인 것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응용하려던 문자 그대로의 응용미술의 시기 였다.

② 제2차 교육과정(1963-1974)

문교부령 제122호(1963. 2)의 제2차 교육과정은 공업 교육의 목표를 “공 업계 고등학교 교육은 장차 공업 부문에 종사할 실제적 기술 능력을 길러 주어, 유능한 중견 공업 기술 인으로서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다”로 제시하였다.

2차 교육과정의 제정 방침은 실과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수업 량의 50%이 상을 실험·실습 중심으로 하며 실용성을 중시하고, 지역성 강조, 단위제 채택과 시간계획의 융통성이 주어졌다.

현 디자인과의 전신인 공예과에서는 공업계 전문 과목 수 총 141과목으로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이 각 학과별로 단위와 함께 제시되었고, 필요한 경 우 다른 학과의 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34)

이수 단위는 보통 교과가 공통 필수로 52단위, 선택에서 36∼48단위를 이 수할 수 있게 하였으며, 전문 교과는 112∼122단위를 이수하도록 하여, 공 업계 고등학교 총 이수 단위 합계가 204∼221단위가 되도록 하였다.

③ 제3차 교육과정(1974-1981)

문교부령 제286호(1971. 8)의 3차 교육과정은 장차 공업 부문에 종사할 실제적 기술 능력을 길러 주어 유능한 중견 기능, 기술 인으로서 국가 발전 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업의 각 부문에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기능, 기술인이 될 능력을 기르고, 실험·실습과 병행하여 필요한 지 식 습득시키며, 공업 기술을 개선, 발전시킬 태도를 기르게 하며, 또한 공업 과 국가 산업 경제와의 관계를 이해시키고, 공업 인으로서 올바른 자질을 기를 수 있도록 하여 부강한 민주 국가 발전에 전력하는 태도를 기르게 하 는데 공업 교육의 목표를 두었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교육 과정이 일부 개정되어 공포되었으며, 공업계 고등학교 이수 단위 합계는 변동이 없었으나, 보통 교과 66-90 단위, 전문 교과 114∼156단위를 이수하도록 하여 보통 교과 중 전문 교과의 이수 단 위 폭이 각각 2단위씩 증가하였다.

공예과에서는 전문 필수과목은 총 66∼108단위로써 조형에 대한 바른 관 찰력과 구성력 및 생활을 미화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공예 기초실습 30∼54단위, 공예제도·도안 12∼18단위, 공예개론 4∼12단위, 공 예재료 4∼12단위, 도장재료·도장 4∼12단위로 이수하도록 하였으며 전문 선택과목으로 공예품의 생산에 대한 계획, 운영, 관리능력을 기르기 위한 공예 선택실습 30∼60단위, 의장이론 4∼12단위, 색채학 2∼8단위, 공예 재 료역학 4∼12단위, 무기화학 2∼8단위, 유기화학 4∼8단위, 미술. 도학 2∼

12단위, 전기 기계일반 4∼8단위 등으로 전문선택 이수합계가 48∼90단위로

(35)

과목의 수가 많았다.

④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제4차 교육과정(문교부 고시 제442호, 1981. 12)은 공업의 각 분야에서 중 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공업 기술인을 양성하여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 도록 하며, 공업 각 분야의 업무를 합리적으로 수행 할 수 있게 하고, 관련 공업의 생산 활동과 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데 공업 교육과 목표를 두었다.

디자인과에서는 전문 필수 과목으로 공업 입문, 기초실습, 기초제도, 디자 인 일반, 표현기법이 있었으며 전문 선택 과목으로 디자인 실제, 디자인 재 료, 색채학, 도장, 선택실습1, 선택실습2, 선택실습3으로 구성하여 기초과목 은 가급적 저학년에 이수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이 실제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⑤ 제5차 교육과정(1988-1995)

문교부 고시 제88-7호(1988. 3)의 5차 교육과정은 공업 교육의 목표를 4 차 교육과정과 같이 총괄 목표를 제시하였다. 즉 ‘공업의 각 분야에서 중추 적인 역할을 담당할 공업 기술 인으로서 자질과 능력을 길러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로 제시하였다.

설치 학과는 4차와 변함 없이 디자인과로 유지하였으며 전문 교과 이수에 는 공업 이분, 기초제도, 기초 실습을 포함하여 디자인 일반, 디자인 재료 등 5개 과목을 필수 과목(교육부 지정)으로 제시하였고, 전문선택 과목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공업계열 127개 전문 과목 중에서 학교실정에 맞게 선 택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디자인과 교과내용으로는 색채학, 도장, 기초실습, 기초제도, 디자인 제도, 디자인실습1, 디자인실습2, 공예실습1, 공예실습2 과

(36)

목 중 학과별 특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전문교과 이수 단위는 82∼94단위를 이수하게 하였으며 기초제도 4∼8단 위 선택실습은 28∼52단위 내에서 이수하게 하였다. 전문교과의 지도에 있 어서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수업이 진행 되도록 배려했다. 전문과목 중 실험·실습의 단위 배당은 전문과목 전체 단위수의 50%이상을 이수하게 하였다.

⑥ 제6차 교육과정((1996-2001)

제6차 교육과정의 교과편제를 보면 교육부 지정인 전문 필수과목으로 공 업입문, 디자인 제도, 전자계산 일반 과목과 과정별 필수 과목은 시·도 교 육청이 지정한 선택과목의 9개 계열 378전문 교과 중에서 학교 실정에 맞 게 선택이 가능하며 교과 내용으로는 디자인 일반, 디자인 재료, 색채 관리, 광고·사진(신설과목) 전문 이론교과 4과목 조형 실습, 디자인 실습, 공예 실습 디자인 제도의 실습교과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위 배당으로는 전문 교과 배당이 82∼122단위이며 전문 실습교과 이수 단위는 전문교과의 50%이상 단위 배정(제도과목도 실습교과에 포함)하게 되어 있으며 전문 교과별 이수 단위 결정은 시·도별, 학교별로 전문교과가 계열필수, 학과필수, 학과선택으로 나누어 96∼100단위 선에서 운영 중이다

내용이 유사하거나 관련되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는 상호 교체하여 편성 운영할 수 있으며 전문 교과는 필수과목 및 학과별 필수과목(시·도교육청) 을 포함하여 편성할 수 있다.

보통교과의 이수 단위는 총 이수단위의 40∼60%가 되어야 하고 전문교과 를 총 이수 단위의 10%범위 내에서 시·도교육감의 승인을 얻어 증배 운 영할 수 있으며 실습교과 이수 단위를 시·도교육청에 위임 하였다. (5차 에서는 전문교과 이수 단위의 50%이상 이수하도록 함)

(37)

⑦ 제 7차 교육과정(2001∼ )

제7차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제1차부터 제6차 교육과정까지는 학교 급별 개념에 의한 교육과정 체제로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 었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체제를 도입하여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 간을 하나로 묶어 ‘국민공 통 기본교육 기간’으로 설정하였다. 10개 기본 교과를 중심으로 초·중·고 를 단일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이 기간 중에는 학교 급별 개념이 아니라 학년제 개념에 기초하여 일관성 있게 교육과정 체제를 갖추었다. 교육과정 으로 통합하게 된 이유는 학교 급별에 따른 교과별 학습 내용의 중복 제시 를 방지하고 일관성 있는 교육을 하기 위해서이다.

선택 중심 교육과정 체제는 고등학교 2, 3 학년에서 학생의 능력, 흥미 및 장래 진로를 반영하는 선택 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고, 학생이 자신의 적성 과 진로에 따라 자유롭게 과목을 선택하여 학습하게 하는 교육과정 체제이 다. 이러한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도입은 학생의 선택 폭을 넓혀주기 위한 것이며, 원칙적으로 과정이나 계열의 구분 없이 운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 고 있다.

3-1-2.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현황

교육부 교육과정해설 에서 살펴본 공업계열 고등학교는 세계화·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창의적인 기능 ·기술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공업에 관한 기 초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는 3년 동안 디자인 일반, 디자인 재료, 색채관 리, 광고·사진, 조형 실습, 공예실습, 디자인제도 등의 이론과 실기를 익힌 후 디자인 산업 분야에 종사하게 된다. 상업계에서는 상업디자인과, 가사

(38)

실업계에서는 자수과, 의상과, 예술계에서는 미술과에서 디자인에 관련돼 교육과정이 제정·고시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의 전공실습과목의 편성·운영11)의 실제이다.

<표 3> 실업 계와 기타 계열 고등 학교 교 과 편 성· 운영

전공교과 편성·운영기준

과목수 6과목(2, 3학년기준)

1회수업시간 약 3교시 (1교시50분×3교시=150시간) 연간수업시수 34주 ×3교시=102시간 (학기별 17주)

전문필수과목 공업입문, 기초제도, 정보기술기초

전문 선택 과목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일반, 시각디자인 실무,

조형, 그래픽디자인, 디자인일반, 색채관리, 컴퓨터 그래픽, 멀티미디어, 사진, 사진기술, 공예

㉠ 내용이 유사하거나 관련되는 보통교과의 선택 과목과 전문교과는 교체 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 전문교과는 필요한 경우 다른 계열의 전문 과목을 선택하여 편성·운영 할 수 있다.

㉢ 특성화 고등학교 등과 같이 전문 교육의 강화가 요구되는 학교는 시 · 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보통교과 및 전문교과의 총 이수 단위를 조정, 운 영할 수 있다.

㉣ 학교는 필요에 따라 시·도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총 교과 이수단위를 10% 범위 내에서 증배 운영할 수 있다.

11) 교육부, 공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과정[별책 20], 1997, p. 14.

(39)

1)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내용 분석12)

다음은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교과목의 주요 영역별 내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표 4>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 교과내용(이론+실습)내용

구분 교과명 교과내용

전문 필수

공업입문 ·산업 사회와 공업 ·생산과 경영 ·안전과 환경직업·사회와 윤리

기초제도 ·제도의 개요 ·제도의 규격과 통칙 ·기본도법·스케치

·제도의 실제 ·컴퓨터를 이용한 제도 ·검도 및 도면관리

정보 기술 제도 ·컴퓨터의 개요 ·컴퓨터의 원리 ·컴퓨터의 하드웨어 ·컴퓨터의 소프 트웨어 ·정보통신 ·컴퓨터의 응용 ·응요소프트웨어의 활용

전문 선택

디자인 일반 ·디자인의 개요 ·디자인의 역사 ·디자인분야 ·디자인의 요소 및 원리 ·디자인의 방법 및 전개과정

조 형 ·조형과 표현 ·표현연습 ·평면디자인 ·입체디자인·공간디자인

·환경디자인 ·연출디자인

색채관리 ·색의 기초 ·색의 표시 ·색의 효과 ·색의 조화와 배색

·생활과 색채·도장

제품디자인 ·제품디자인의 개요 ·제품디자인의 표현 ·제품디자인의 제작

·제품디자인의 평가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의 이해 ·멀티미디어의 구성 ·멀티미디어 제작 공 예 ·목공예 ·금속공예 ·도자공예 ·염직공예 ·플라스틱공예 사진기술 ·카메라 촬영 ·기초 촬영 방법 ·사진제작

시각디자인 일반 ·시각디자인의 개요 ·시각디자인의 역사 ·시각디자인이 확장과 영향

·시각디자인의 구성 요소와 원리 ·시각디자인의 과정과 관리 사진 ·사진의 이해 ·도구와 장비 ·촬영 ·현상과 인화

·포트폴리오 제작 ·사진의 활용 ·디지털 사진

시각디자인 실무 ·편집디자인 ·광고디자인 ·포장디자인 ·영상디자인 ·인터렉티브

·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평면 조형입체 조형 ·관찰과 표현 ·일러스트레이션 ·타이포그래피

·디자인과 ·전달그래픽 디자인의 실제

컴퓨터 그래픽 ·컴퓨터 그래픽의 이해 ·컴퓨터 그래픽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컴퓨터그래픽과 시각언어 ·컴퓨터그래픽디자인의 실제

12) 교육부, 공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과정[별책20], 1997, p.30∼33, p.107, p12 9∼134.

(40)

실업계 고등학교 전공과목은 공통전문교과, 기초 전문교과, 응용전문교과 목으로 나뉜다. 공통전문교과는 공업계 학생이 공통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다. 전문 선택과목에서는 기초 전문교과와 응용전문교과로 나뉘며 학 교의 특성상 내용이 유사하거나 관련되는 보통교과의 선택 과목과 전문교 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문교과는 필요한 경우 다른 계열의 전 문 과목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① 공통 전문교과

공통전문교과는 공업분야의 기능·기술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적 역할과 태도, 전문기능·기술을 계속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초 기능·기술을 다루 는 교과목으로서 공업계열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이수 할 수 있다.

공업입문은 전공 과목을 이수하기 전에 공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기술 을 습득하여 공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 됐으며 산업사회에서 공업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며 공업 기술인으 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르고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기초제도 과목은 제도에 대한 기초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약속된 제도 통칙과 규칙, 기호에 따라 기본적인 도면을 정확하게 제도하고, 도면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도록 구성된 공통필수 과목이며 컴퓨터에 의한 제도는 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와 CAD을 이용한다. 정보기술 기초과목은 7차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과목으로 정보화 산업사회에 대비하여 공업계열 고등학교 학생이 컴퓨터의 원리, 구성 및 운용 등에 관한 폭넓은 지식과 기 술을 습득하고, 현대 산업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현대 산업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초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여 일상 생활 및 관련 실무에 활용할 수 있다.

(41)

② 기초 전문교과

해당학과의 핵심기술과 관련된 기초 전문 이론과 요소 작업을 학습하는 교과목으로서 학과별 필수 교과목의 성격을 가지며 디자인 분야를 전공하 는 학생이 이수해야 할 기초전문 과목으로 멀티미디어, 디자인 일반, 색채 관리, 시각디자인 일반, 조형, 과목들이 있다. 멀티미디어 과목은 기초지식 에 관한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과목이며 학생들의 많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과목이다. 디자인 일반은 디자이너에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선 정하였고, 디자인 산업과 기업디자인 분야에서 자동화, 정보화 등 급속한 디자인 기술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기본적인 내용과 디자인 의 역사, 디자인의 방법, 전개 과정 등을 습득하며 산업디자인 분야의 관련 과목과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과 관련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내용을 쉽고 다양하게 제시하여, 세부전공을 선택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을 가지도록 한다. 시각 디자인 일반은 전문 교과 중 기초 이론 교과에 속 하는 과목으로서, 시각 디자인 과목군의 전문 교과목 이수에 필요한 기본개 념, 원리, 법칙을 이론중심을 습득하여 시각 문화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 도록 구성됐으며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방법을 습득하여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전문인으로서의 디자인 관리 능력을 기른다. 조형과목은 디 자인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력 개발과 재료 구성을 체험하는데 중점을 두고 평면, 입체, 공간의 다양한 조형기법을 익힐 수 있는 내용으로 자연물, 인공물, 환경 물에서 조형의 본질을 파악하고 표현실습을 통하여 디자인 분 야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적이 조형능력을 기른다.

③ 응용 전문교과목

공업의 관련 직무에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전문 기능·기술을 다루는 교과목으로 학과별 선택교과목의 성격을 가지며 기초 전문과목의 지식을

참조

관련 문서

[r]

채용시 특정 성에게만 합리적인 이유없이 별도의 구비서류 등을 요구하는 경우.. 모집 · 채용에 있어 특정 성만을 가르키는

두 개의 배기 시스템은 배기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엔진의 흡입 능을 향상 시키고, 엔진 동력을 더욱 증가 시킨다.. 배기파이프

증상개선, 폐기능 향상, 입원율 감소, 악화 예방, 호흡기 합병증 발생률 감소, 삶의 질 향상, 사망률 감소진료실 환자교육성인천식 환자환자교육

- 삶의 질 업무에 대한 조정 기능 강화와 더불어 정책 모니터링, 평가, 자 문 등 삶의 질 향상정책 지원 기능을 제고. - 현행 사무국 역할의 확대를 위해 삶의 질 향상

셋째, Y세대와 베이비붐세대가 차세대디지털도서관에 요구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 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구글글래스,

프로그램을 통하여 배운 내용을 통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통하여 지역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결과물에 반영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최적의 지역을 선정하는

• 디자인 의뢰가 들어오면 시장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 , 유행흐름 을 분석하고 디자인 동향을 파악하여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기술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