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계농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세계농업"

Copied!
17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2 4 호2

2 0 2 1

세계농업

World Agriculture

● 7 월 호

03-2021-7

제242호 7월호

세계농업 전망 USDA 농업전망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농촌 유토피아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코로나19 이후 푸드시스템

2021

세계농업

World Agriculture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Tel. 1833-5500

Fax. 061-820-2211

E

9 7 7 2 2 8 8 5 5 8 0 0 9 07

ISSN 2288-5587

(2)
(3)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문 한 필 연 구 위 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손 학 기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 대 석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 학 균 연 구 위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어 명 근 시니어이코노미스트

전 남 대 학 교 김 윤 형

충 남 대 학 교 한 석 호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허 장 선임연구위원

∙ 편집위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허 덕 명예선임연구위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김 경 필 선임연구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마 상 진 선임연구위원 한 국 농 촌 경 제 연 구 원 이 명 기 선임연구위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구 자 춘 연 구 위 원

(4)

03-2021-7

2021

242

7

월호

(5)

세계농업」은 홈페이지(

https://www.krei.re.kr/wldagr/index.do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지에 수록된 원고는 집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우리 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확하게 표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

담 당

>

김수석 명예선임연구위원

soosuk@krei.re.kr (Tel. 061-820-2284)

김상현 부 연 구 위 원

sanghyun@krei.re.kr (Tel. 061-820-2280)

김령임 연 구 원

ryeongimkim@krei.re.kr (Tel. 061-820-2231)

(6)

이번 호에서는 USDA 농업전망 2030을 소개한다. USDA 농업전망의 총괄 부문과 농작물 부문을 다루었으며, 축산 등 다른 주요 부문들은 다음 호 세계농업에서 소개할 예정이다.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에서는 유럽의 농촌 유토피아에 대한 논의와 실천사례를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빌리지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 빌리지의 사례로 이탈리아의 페치올리 마을, 독일의 그라핑 마을, 프랑스의 무앙사르투 마을 등을 소개했는데, 이 마을들은 각각 쓰레기 매립지 활용, 승차 공유 벤치, 유기농 학교 급식 등을 모델로 하여 스마트 빌리지로 성공한 사례들이다. 다시 말해, 농촌 안팎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농촌사회 의 혁신을 이루어내고, 이를 통해 농촌 마을을 살고 싶은 생활공간으로 만들어 내는 사례에 대한 것이다.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에서는 코로나19 이후 푸드시스템에 나타난 변화를 진단하는 연구 를 소개한다. 기존 푸드시스템을 둘러싼 여건 변화를 진단하고 여기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어떠한 방안들을 강구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국가별 농업자료에서는 미국의 코로나19 대응 동향을 소개한다. 코로나19가 미국 농식품 부문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미국의 정책 프로그램들을 개관한다.

국제기구·연구 동향에서는 세계 농식품 체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FAO 42차 회의자료 의 주요 논지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도 부가되어 있다. 21세기의 가장 큰 도전 가운데 하나는 농업에 의한 환경 영향은 최소화하면서 증가하는 사회의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인데, 지금의 농식품 체제로는 수요 충족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농식품 체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 전환은 디지털 기술과 혁신에 기반한 농식품 체제로의 전환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7)
(8)

01

세계농업 전망

USDA

농업전망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 가정과 전망 ··· 김부영 ❙

3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김경호 ❙

17

02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농촌 유토피아

유럽의 농촌 유토피아 논의와 실천사례

– 스마트 빌리지를 중심으로···이정해 ❙

41

03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코로나

19

이후 푸드시스템

코로나19 이후 푸드시스템(food system)의 미래···신기석 ❙

65

04

국가별 농업자료

미국

미국 농식품 분야 코로나19 대응 동향···유찬희·김윤진 ❙

87

05

국제기구·연구 동향

세계 농식품 체제의 전환···임송수 ❙

109

06

국제 농업 정보

··· 135

07

세계 농업 브리핑

··· 153

(9)
(10)

Part 1

세계농업 전망

USDA 농업전망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 가정과 전망 | 김부영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 김경호

(11)
(12)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가정과 전망

세계농업 전망 ∙ 3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 가정과 전망

김 부 영 *

1)

1.

개요

2021

2

월 미국 농무부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는 향후

10

년에 대한 농업 부문의 전망을 발표하였다

.

미국의 국내 정책

,

국제 협약

,

거시경제 시나리오에 대한 가정을 기반으로 미국에서 생산하는 작물과 가축

,

농산물 무역

,

농가 소득 관련 지표에 대한

2030

년까지의 예측을 통해 비교의 기준

(baseline projections)

을 마련하고

,

이러한 전 망치를 농업 부문의 대안에 대한 논의의 시작점으로 삼는다

.

본 고에서는 미국 농무부가 장기 농업전망에서 전제한 기본가정을 정책 일반

,

바이오연료

,

거시경제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내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2030

년 농업전망 보고서에서는 미국 국내외 농업 및 무역 정책과 거시경제 조건에 대한 장기적인 가정을 도입하고 전망 기간 동안 세계 농산물 수요와 공급에 충격을 줄 만한 대내외적 사건은 없다고 가정한다

.

2.

정책 일반

2.1. 미국의 농업 정책

미국 농무부의

2030

년 농업전망은

2020

10

월을 기준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거나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농업 정책을 반영하고 있다

.

2018

년 농업법

(2018 Farm Act)

」으로 알려 진 「

2018

년 농업개선법

(Agricultural Improvement Act of 2018)

」은 전망 기간인

2030

년까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bkim73@krei.re.kr).

본 고는 미국 농무부가 2021년 2월에 발간한 「미국 농무부 2030년 농업전망(USDA Agricultural Projections to 2030)」

보고서를 바탕으로 번역 및 요약 작성함.

(13)

4 ∙ 세계농업 2021. 7월호

유효할 것으로 가정한다

.

농산물 무역에 대한 전망에서는

2020

10

월을 기준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무역 협정

,

위생 및 식물위생 규제

(sanitary and phytosanitary restrictions),

국내 정책이 전망 기간인

2030

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가정한다

.

2.1.1. 보전유보제도(CRP)

보전유보제도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CRP)

1)에 등록된 농지 면적은 「

2018

년 농업법」에서 허용하는 최대한도인

2,700

만 에이커까지 증가할 것으로 가정한다

. 2020

11

6

일 자료를 기준으로 보전유보제도 등록 면적은

2021

2,260

만 에이커에서

2030

2,690

만 에이커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림

1>.

<그림 1> 미국의 보전유보제도(CRP) 등록 면적(2000~2030)

단위: 100만 에이커

주: 회색 영역은 전망 기간(2021~2030년)임.

자료: USDA(2021), p. 20.

2.1.2. 관세 정책

농업 정책과 유사하게

2020

10

월을 기준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향후

10

년간 유효할 것으로 가정한다

.

또한 미국 농무부의

2030

년 농업전망은

2020

10

월 이전에 시행된 무역 협정을 반영한다

.

이러한 무역 협정에는 향후

2

년간 중국이 미국산

1) 보전유보제도는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가장 큰 규모의 사유지 휴경 제도로 “침식의 우려가 높고 환경적으로 민감한 토지에 농작물 대신 피복작물을 (보통 10년 이상) 재배할 경우 이에 대한 보상금으로 연간 임대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토지 소유자에 게 지급함.”(임영아 외 2018) 「1985년 농업법(1985 Farm Act)」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회계연도 2007년에 등록 면적이 3,680만 에이커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에 계속 감소하고 있음.

(14)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가정과 전망

세계농업 전망 ∙ 5 농산물 수입을 늘리기로 약속한 미

·

1

단계 무역합의

(Phase One of Trade Deal),

2) 캐나다 가 미국산 유제품

,

계란

,

가금류에 대해 수량별 차등 관세

(tariff rate quotas)

할당량을 높이 기로 합의한 미국

·

멕시코

·

캐나다 협정

(The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3) 일본이 미국산 카놀라유

,

,

소고기

,

돼지고기

,

사료곡물

,

유지종자에 대해 향후

5~15

년 동안 단계적으로 관세를 인하하기로 합의한 미

·

일 자유무역협정4) 등이 포함된다

.

2.1.3. 농가 직불금

코로나

19

의 세계적 대유행과 계속되는 무역 갈등의 여파로 미국 정부가 농가에 지급하는 직불금이

2020

년에 크게 증가하였다

.

미국 정부의 농가 대상 직불금 지급액이

2020

년에 크게 증가한 원인에는 코로나

19

대응 식품지원제도

(Coronavirus Food Assistance Program)

에 의한 직불금 지급이 있으며

,

수입손실보상제도

(Agriculture Risk Coverage)

및 가격손실 보상제도

(Price Loss Coverage)

에 의한 직불금 증가

,

유통지원융자제도

(Marketing Assistance Loan),

시장활성화제도

(Market Facilitation Program)

에 포함된 일부 잔존지불금

(residual payments)

도 영향을 미쳤다

.

미국 정부의 농가 대상 직불금 지급액은

2021

년에 전년 대비

350

억 달러가 감소하여

115

억 달러로 감소한 후에 시장 가격이 상승하고 특별지원금 제도가 만료하면서

2022

년에 다시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

그다음에 미국 정부의 지불액은 증가하다가

2024

년부터

2030

년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2>.

전망 기간인

2021~2030

년에 미국 정부의 농업 부문 직불금에서 보전유보제도

,

수입손실보상제도

,

가격손실보상제도 지불액이 가장 큰 부 분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작물 가격이 상승하면 보전유보제도 내에 평균 토지 임대료도 상승하는데

,

보전유보제도 지불금은

2020

190

억 달러에서

2030

230

억 달러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마찬가지로 작물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입손실보상제도와 가격손 실보상제도 직불금은

2020

년 약

610

억 달러에서

2021

590

억 달러

, 2022

550

억 달러로 떨어진 후에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미국 정부의 농가 대상 직불금 지급액은

2021~2030

년 기간에 연평균

115

억 달러로 예상

2) 미국과 중국은 2020년 1월에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하고, 2020년 2월부터 1단계 무역합의를 시행함.

3) 1994년에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에 체결된 북미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 Tree Trade Agreement)의 후신으로 2020년 7월에 발효함.

4) 2019년 10월에 미국과 일본이 무역 협정에 서명하고, 2020년 1월부터 무역 협정이 발효함.

(15)

6 ∙ 세계농업 2021. 7월호

되어

2011~2020

년 기간의 연평균

160

억 달러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

. 2011~2020

년 기간 의 농가 대상 연평균 직불금 지급액

(160

억 달러

)

2001~2010

년 기간의 연평균

126

억 달러보 다 상당히 높은 수준인데

,

이는

2020

년에 관련 예산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

미국 농무부 의

2030

년 농업 전망에서는 그 밖에 「

2021

년 통합지출승인법

(Consolidated Appropriations

Act of 2021)

」에 따른 추가적인 특별지원금과 같이

2020

년 이후의 추가 특별지원금을 가정

하지 않는다

.

<그림 2> 미국의 농가 대상 직불금 지급액(2000~2030)

단위: 10억 달러

주: 회색 영역은 전망 기간(2021~2030년)임.

자료: USDA(2021), p. 53.

2.2. 국제사회의 대미 무역 정책

2014

3

월에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크림반도를 병합한 러시아는 이를 계기로 서구 국가들이 경제 제재를 가하자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2014

8

월부터 미국

,

유럽연합

,

캐나 다를 포함한 서구 국가들의 농산물 수입을 계속 금지하고 있다

.

러시아가 서구 국가들에 대한 농산물 금수 조치를 연장하는 한편

,

자국 내 돼지고기 및 가금류 생산을 촉진하고 농산물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정책을 계속 시행할 것으로 가정한다

.

무역 적자 문제와 강제 기술 이전

,

지식재산권 침해 등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주장하 며 미국이

2018

7

월에 중국산 수입품에

25%

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16)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가정과 전망

세계농업 전망 ∙ 7

25%

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였다

.

앞에서 살펴본 미

·

1

단계 무역합의 이후 중국은

2020

3

월에 대두

,

돼지고기

,

면화를 포함한 일부 미국산 농산물의 추가 관세를 면제하였다

.

미국 농무부의

2030

년 농업전망에서는

2020

10

월 현재로서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추가 관세를 철회하거나 변경할 기미가 없으므로 전망 기간인

2030

년까지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중국의 현행 관세 및 면세 정책이 유효하다고 가정한다

.

또한 미국 농무부의

2030

년 농업전망에서는 일부 농산물 품목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수출 세 인상을 반영한다

.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는 재정 수입을 확대하기 위해

2020

3

월에 대두

,

대두박

(soybean meal),

대두유

(soybean oil)

에 대한 수출세를

33%

,

옥수수 와 밀에 대한 수출세를

12%

로 인상하였다

.

5)

반면에 브라질에서 최근에 단행된 관세 면제는

2030

년 농업전망에 반영되지 않았다

.

브라질은

2020

10

월에 남미공동시장인 메르코수르

(Mercosur)

회원국

(

아르헨티나

,

파라과 이

,

우루과이

)

이외의 국가들에 대한 옥수수

,

대두

,

대두박

,

대두유 수입세를 잠정 중단하기 로 발표하였다

.

6) 관세 면제 이전에 메르코수르 회원국 이외의 국가들에 대한 옥수수 및 대두 수입세는

8%,

대두박 수입세는

6%,

대두유 수입세는

10%

이었다

.

3.

바이오연료

3.1. 미국의 바이오연료

미국 환경보호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9

12

19

일에 바이오연료 혼합의무제도

(Renewable Fuel Standards)

7)를 발표하여 목질계 바이오연료

,

차세대 바이오 연료

,

재생가능 연료8)에 대한 회계연도

2020

년도 의무혼합 비율과 물량을 규정하였다

.

또한

5) 농산물 수출세 수입이 아르헨티나 정부 수입의 1/4가량을 차지함(최민정 2015).

6) 브라질의 관세 면제 조치는 기록적으로 높은 수준의 국내 농산물 가격을 제한하기 위한 것임(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7)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농업생산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연방 정부 차원에서 48개 주의 석유정제업체, 석유수입업 체, 석유혼합업체가 수송용 연료에 바이오연료를 일정 비율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임. 미국의 바이오연료 혼합 의무제도는 「2005년 에너지정책법(Energy Policy Act of 2005)」에 의해 휘발유와 옥수수 기반 에탄올을 대상으로 최초 도입되어 2007년 9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시행되었음. 이후 「2007년 에너지 독립 및 안정보장법(Energy Independence and Security Act of 2007)」에 의해 혼합 대상 연료와 바이오연료가 모든 수송용 연료와 온실가스 저감량 에 따른 4개 등급의 바이오연료(재생가능 연료, 차세대 바이오연료, 목질계 바이오연료,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로 확대되어 2010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연장 시행 중임(한국석유관리원 N.d.).

8) 미국 환경보호청 규정에 따르면 재생가능 연료(renewable fuel)는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에탄올이 원료이며 온실가스 감축

(17)

8 ∙ 세계농업 2021. 7월호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

(biomass-based diesel)

9)에 대한 회계연도

2020

년 및

2021

년도 기준 을

2019

12

월에 확정하였다

.

미국 농무부의

2030

년 농업전망은

2019

12

월에 확립된 미국 연방 정부 규정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

미국에서는 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에탄올 생산이

98%

이상을 차지할 만큼 옥수수가 에탄 올 생산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

에탄올 생산을 위한 옥수수 사용량이 전망 기간인

2030

년까지 향후

10

년간 매년

0.5%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변화가 없을 것으로 가정한다

.

에탄올 소비에서 에탄올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

점차 증가할 것으로 가정한다

.

에탄올 총소비는 자동차 휘발유 소비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체할 것으로 가정 한다

.

에탄올 수입은 현 상태를 거의 유지할 것으로 가정한다

.

에탄올 생산용 옥수수는 전망 기간인

2030

년까지 미국 내 전체 옥수수 사용량의 약

1/3

를 차지하며 옥수수 수요의 상당 부분을 담당할 것으로 가정한다

<

그림

3>.

<그림 3> 미국의 옥수수 사료 및 잔여 용도, 에탄올, 수출(2000~2030)

단위: 10억 부셀

주: 회색 영역은 전망 기간(2021~2030년)임.

자료: USDA(2021), p. 21.

미국 농무부의

2030

년 농업전망에서는 미국 내 휘발유 소비가 전체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가정한다

.

미국의 연간 휘발유 소비량은 사업연도

2019~2020

년 수준보다는 증가하더라도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수는 없을 것으로 가정한다

.

또한 향후

10

년 동안

에탄올

최소치가 20%임. 차세대 바이오연료(advanced biofuel)는 옥수수 전분을 제외한 수수, 밀 등의 전분으로 만든 에탄올이 원료이며 온실가스 감축 최소치가 50%임. 목질계 바이오연료(cellulosic biofuel)는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을 원료 로 만든 연료로 온실가스 감축 최소치가 60%임(한국석유관리원 N.d.; 세계법제정보센터 2018. 12. 21.).

9)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biomass-based diesel)는 재생가능 바이오매스로 만든 경유 대체 연료로 온실가스 감축 최소치가 50%임(한국석유관리원 N.d.; 세계법제정보센터 2018. 12. 21.).

(18)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가정과 전망

세계농업 전망 ∙ 9

10%

혼합유 장벽

(10% ethanol blend wall)”

10)이 존속하여 미국 내 에탄올 사용량 증가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가정한다

.

미국에서 소비되는 휘발유는 대부분

에탄올

10%

혼합유

(E10)’

일 것으로 예상된다

.

한편

,

전망 기간 초반에

에탄올

15%

혼합유

(E15)’

시장이 다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

기반 시설과 다른 제약 조건으로 인해 장기적인 성장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 ‘

에탄올

85%

혼합유

(E85)’

시장은 작은 규모로 유지될 것으로 가정한다

.

미국 환경보호청의 바이오연료 혼합의무제도에 따르면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의 의무사용 량은

2019

21

억 갤런에서

2020

년과

2021

년에

24

3,000

만 갤런으로 증가하였고

,

미국 농무부의

2030

년 농업전망에서는 이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가정한다

.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

1

갤런 생산당 주어지는

1

달러의 세액 공제가

2022

년 이후로 중단된다

.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의 의무사용량을 초과하여 생산된 바이오디젤과 재생가능 디젤은 계속해서 불특 정 차세대 바이오연료 의무사용량의 일부를 충족할 것으로 가정한다

.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쓰이는 대두유 생산량은 사업연도

2021~2022

81

5,000

만 파운 드에서 전망 기간의 말기에

86

억 파운드로 증가할 것으로 가정한다

.

바이오매스 기반 경유를 생산하는 데 사용하는 다른 원료로는 옥수수유

,

그 밖의 최초 사용 식물성 유지

(vegetable oils),

동물성 지방

(animal fats),

폐식용유를 포함할 것으로 가정한다

.

3.2. 국제 바이오연료 시장

코로나

19

대유행은 전 세계적으로 수송용 연료 시장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

특히

,

에탄 올 혼합 휘발유 시장은 각국 정부의 봉쇄 조치로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

에탄올 혼합 휘발유 에 대한

2021

년 세계 수요가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 다

.

에탄올 혼합유 비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2020

년 초반에 대체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

그 결과로 연료 에탄올 시장의 하락과 회복은 연료 에탄올을 혼합하는 휘발유 시장의 변화를 반영할 것으로 예측된다

.

한편

,

디젤 시장 및 혼합 재생 디젤 시장은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10) “에탄올 10% 혼합유 장벽” 또는 “혼합 장벽(blend wall)”은 에탄올 혼합 휘발유가 차량의 엔진과 연료 계통에 손상을 일으 키지 않을 정도의 최대 에탄올 함량으로 ‘E10 혼합유(에탄올 함유량이 10%인 휘발유)’보다 에탄올 함유량이 높은 휘발유- 에탄올 혼합유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인함. 따라서 E10 혼합유의 생산한계선은 휘발유 소비량에 의해 결정됨. 혼합 장벽에 다다르면 연료용 에탄올 소비량은 차량용 휘발유 소비량의 약 10%에 해당하게 됨(안규미 2016; 김용택 2012).

(19)

10 ∙ 세계농업 2021. 7월호

있지만

,

코로나

19

의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지는 못했다

.

장기적으로 세계 바이오연료 소비 및 생산은 최근 몇 년보다 느린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바이오연료 혼합 제도가 도입되었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그러한 제도가 새롭게 도입되는 사례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바이오연료 혼합을 의무화한 일부 국가들은 국내 공급 원료의 제약

,

수입 허용에 대한 거부

,

더 높은 함량의 혼합유에 대한 유인 부족으로 에탄올

10%

생산한계선에 이미 도달하거나 근접해 있는 상황이다

.

또한 바이오연료 시장이 느리게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은 원유 가격이 낮을 것이라는 예측과도 일치한다

<

그림

4>.

전기

,

천연가스 등 대체 연료와 기술

,

에너지 효율성 증가

,

소비자의 이동 습관 변화는 경유 시장의 성장을 둔화할 것으로 가정한다

.

중대형차량 연료 및 항공유에 대한 대체재 제한과 정유업체의 전략적인 신규 투자는 재생가능 드롭 인

(drop-in)

11) 디젤과 지속가능한 항공유

(Sustainable Aviation Fuel)

12)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

<그림 4> 원유 가격: 정유사의 원유 취득 비용(2000~2030)

단위: 배럴당 달러

주: 회색 영역은 전망 기간(2021~2030년)임.

자료: USDA(2021), p. 12.

11) 드롭 인(drop-in) 연료란 엔진과 기반 시설에 큰 변경 없이 기존의 액체 연료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료를 의미함 (BioEnergy Consult)(검색일: 2021. 7. 2.).

12) 지속가능한 항공유는 지속가능한 원료로 만들며 전통적인 화석연료 기반의 제트연료와 화학 구조가 유사함(Air bp)(검색일:

2021. 7. 2.).

(20)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가정과 전망

세계농업 전망 ∙ 11 브라질이 전 세계 연료 에탄올 생산 확대의 상당 부분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

브라질

,

인도네시아

,

유럽연합

,

미국은 바이오디젤과 재생가능 디젤의 생산 확대를 주도하고 있다

.

지속가능한 항공유 시장은 규모는 작지만

,

특히 유럽과 북미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미국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에탄올 수출국 지위를 유지하고

,

캐나다와 브라질은 주요 에탄올 수입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가정한다

.

인도네시아와 아르헨티나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바이오디젤 수출국 지위를 유지하고

,

유럽

,

미국

,

중국은 주요 바이오디젤 수입국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가정한다

.

중국이 발표한 에탄올 혼합 목표와 인도가 발표한 에탄올 및 바이 오디젤 혼합 목표는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가정한다

.

4.

거시경제

2020

년 초에 시작되어 한 해 동안 지속된 코로나

19

의 전 지구적 확산이 경제에 미친 결과를 거시경제 가정에 반영한다

.

미국과 대부분 국가들은 코로나

19

사태와 대대적인 봉쇄 명령

,

영업 중지

,

기타 통제 조치로

2020

년에 경제가 급격히 축소되었다

. 2021

년과 그 이후 에는 코로나

19

대유행 상황이 통제되고 경제 활동이 재개되면서 미국과 세계 경제가 크게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

그림

5>.

한편

,

이러한 경기 회복에 대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농산물과 다른 재화에 대한 총수요가

2020

년 미국 농무부 농업전망 보고서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 서 실질 국내총생산은 앞선 예측 수준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

코로나

19

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미국 농무부 농업전망의 거시경제 가정에 평상시보 다 더 큰 불확실성이 생겼다

.

세계 경제의 주기적인 쇠퇴가 드문 현상은 아니지만

,

코로나

19

대유행이 미친 영향의 범위와 심각성은 최근 역사에서 초유의 일이다

. 2030

년 농업전망의 거시경제 가정에서는

2021

년 초부터 광범위하게 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예측하지만 국가마 다 코로나

19

통제 조치의 성공 여부와 경기 회복 지원 정책에 따라서 경제 회복의 속도는 다를 수 있다

<

그림

6>.

거시경제 전망은

2020

8

월 당시의 예측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

어떠한 정책 변화 또는 정치적 위기

,

중대한 전쟁

,

질병 발발 등과 같은 추가적인 충격

,

경기 순환에 의한 변동은 없다고 가정한다

. <

1>

에 주요 거시경제 지표에 대한 가정을 정리하였다

.

(21)

12 ∙ 세계농업 2021. 7월호

<그림 5> 세계 및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2000~2030)

단위: 퍼센트 변화율

주: 회색 영역은 전망 기간(2021~2030년)임.

자료: USDA(2021), p. 7.

<그림 6> 세계 권역별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2000~2030)

단위: 퍼센트 변화율

주: 회색 영역은 전망 기간(2021~2030년)임.

자료: USDA(2021), p. 6.

(22)

<표 1> 미국 농무부의 주요 거시경제 가정(2019~2030) 구분201920202021202220232024202520262027202820292030 국내총생산 명목(10억 달러)21,43320,33921,31722,30223,21324,21825,30126,44027,62228,80729,97031,181 실질 연쇄가중(10억 달러)19,97218,81519,56020,12820,55621,02021,50822,01422,52523,00823,44523,891 - 변화율(%)2.2-5.84.02.92.12.32.32.42.32.11.91.9 가처분소득 명목(10억 달러)16,34816,67416,62117,39918,12218,89719,71820,53521,38522,27123,19424,154 실질 연쇄가중(10억 달러)15,23415,42515,25115,70316,04816,40116,76217,09717,43917,78818,14418,507 - 변화율(%)1.91.3-1.13.02.22.22.22.02.02.02.02.0 명목, 1인당(달러)49,76350,12849,61651,57753,35355,26057,28159,26761,33063,47465,70368,021 실질 연쇄가중, 1인당(달러)46,37046,37145,52646,54847,24747,96248,69449,34550,01350,69751,39852,117 - 변화율(%)1.40.0-1.82.21.51.51.51.31.41.41.41.4 개인소비지출 실질 연쇄가중(10억 달러)13,68512,93213,31713,67714,04914,41414,78015,17315,58015,98316,33816,665 - 변화율(%)2.6-5.53.02.72.72.62.52.72.72.62.22.0 시간당 노동임금 비농업(2015=100)112.1117.4119.4122.2125.6129.2133.3137.8142.5147.2152.1157.1 - 변화율(%)3.84.81.72.42.72.93.23.43.43.33.33.3 노동인구 실업률(%)3.710.68.47.16.56.05.65.24.84.54.54.5 비농업 취업자(백만 명)150.9139.8142.9146.0147.8149.8151.6153.2154.9156.2157.2158.0 - 변화율(%)1.4-7.42.22.21.21.31.21.11.10.90.60.5 총인구(백만 명)328.5332.6335.0337.3339.7342.0344.2346.5348.7350.9353.0355.1 - 변화율(%)0.51.30.70.70.70.70.70.70.60.60.60.6 자료: USDA(2021), p. 15.

(23)

14 ∙ 세계농업 2021. 7월호

참고문헌

김용택. 2012. “세계 바이오연료산업 동향과 전망.” 「세계농업」 144: 101-1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정균·곽동철. 2019. 「미일 무역협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한국무역협회. pp. 5-6.

「농민신문」. 2016. 11. 30. “러시아, 농산물·식품 수입금지 서방 맞서 상당기간 지속할 듯.”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10. 20. “브라질, 2021년 초까지 옥수수, 대두 수입세 잠정 중단.”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 (https://www.emerics.org:446/newsBriefDetail.es?brdctsNo

=308384&mid=a10100000000&&search_option=&search_keyword=&search_year=

&search_month=&search_tagkeyword=&systemcode=06&search_region=&currentP age=1&pageCnt=10) (검색일: 2021. 7. 2.)

블라디보스토크지사. 2019. 7. 22. “러시아, 식량 금수조치 연장.” 농식품수출정보. (www.kati.

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88925&menu_dept2=35&menu_dept3=

71) (검색일: 2021. 7. 2.)

세계법제정보센터. 2018. 12. 21. “미국 환경청, 2019년 재생연료기준 발표.” 법제동향. (https://

world.moleg.go.kr/web/dta/lgslTrendReadPage.do?CTS_SEQ=47873&AST_SEQ=31 5&ETC=) (검색일: 2021. 7. 2.)

성상훈. 2020. NAFTA 재협상 과정 분석을 통한 USMCA 대응방안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p. 42.

안규미. 2016. “Global Agribusiness Annual 2016: 설탕 및 에탄올산업.” 「세계농업」 188: 23-3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정민. 2018. 7. 6. “미국-중국 상호보복관세 부과 개시.”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news.kotra.or.

kr/user/globalBbs/kotranews/5/globalBbsDataView.do?setIdx=244&dataIdx=167621) (검색일: 2021. 7. 2.)

임영아·조원주. 2017.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도입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 40-41.

임영아·정학균·김부영·이현정. 2018. 「지역 단위 농업환경 관리 정책 도입 방안 연구」.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p. 52.

임정빈. 2014. “2014년 미국 농업법의 품목별 농가 지원 정책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세계농업」

169: 3-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최민정. 2015. “아르헨티나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세계농업」 184: 173-19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래정책연구실. 2021. 4. 5. “미국 농업·농촌·식품 동향: 2021년 농가 직불

금 변화 예측.”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 13: 34-3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석유관리원. N.d. “미국 바이오연료 혼합의무제도(RFS) 개요 및 전망.”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2021.

USDA Agricultural Projections to 2030

.

(24)

USDA 농업전망 2030: 기본가정과 전망

세계농업 전망 ∙ 15 참고사이트

BioEnergy Consult(www.bioenergyconsult.com/drop-in-biofuels)

Air bp(www.bp.com/en/global/air-bp/news-and-views/views/what-is-sustainable-aviation -fuel-saf-and-why-is-it-important.html)

(25)
(26)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세계농업 전망 ∙ 17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김 경 호 *

13)

1.

미국의

8

대 농작물

1)

수급전망

식습관의 다양화와 단백질에 대한 세계수요의 증가로 인해 사료 곡물 및 대두에 대한 수입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

이러한 곡물들과 함께 밀

,

,

(cotton)

수요도 역시 증가하여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EU

와 흑해권 국가들 간의 곡물시장 경쟁 역시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또한

,

미국은 주요 교역국과의 지속적인 긴장상태와 달러화의 강세라는 어려운 여건이 직면해있다

.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

미국산 농산물은 국제 농업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 할 것으로 전망되며

,

미국산 옥수수

,

대두

,

그리고 면의 수출은

2030/2031

년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리고

,

,

,

쌀의 명목가격은

2021/22~2030/31

년 기간 안정적 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수수와 귀리를 제외한 주요

8

대 곡물의 에이커당 순수익은 향후

10

년간 전반적으로 상승 할 것으로 보인다

.

한편

,

미국

8

대 곡물 재배면적은 전망기간

2

5,120

~5,310

만 에이커 선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

옥수수와 대두의 재배면적은 현 수준이 유지되는 한편

,

밀 재배면적은 완만하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육지면의 재배면적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총생산량의 경우

,

단위 면적당 생산량

(

단수

)

증가와 재배면적의 유지 및 증가로 수수를 제외 한 모든 곡물의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

옥수수와 대두의 생산량은

2030/31

년에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

* University of Utah 경제학과 박사과정 입학예정(u1373333@utah.edu)

본 고는 미국 농무부에서 발간한 “USDA Agricultural Projections to 2030” 중 농작물에 대한 전망을 참고하여 작성됨.

1) 미국의 8대 농작물은 옥수수, 대두, 밀, 육지면(Upland cotton), 수수, 쌀, 보리, 귀리임.

(27)

18 ∙ 세계농업 2021. 7월호

<그림 1> 미국 8대 작물 총 재배면적

단위: 100만 에이커

자료: USDA(2021), p.18.

<표 1> 미국 8대 작물별 재배면적

단위: 100만 에이커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옥수수 89.7 91.0 90.0 90.0 90.0 90.0 90.0 89.0 89.0 89.0 89.0 89.0 수수 5.3 5.8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보리 2.8 2.6 2.6 2.6 2.6 2.6 2.6 2.6 2.6 2.6 2.6 2.6 귀리 2.8 3.0 2.9 2.8 2.8 2.8 2.8 2.8 2.8 2.8 2.7 2.745.5 44.3 46.0 46.0 46.0 45.5 45.0 45.0 45.0 44.5 44.5 44.52.5 3.0 2.6 2.7 2.7 2.7 2.7 2.7 2.7 2.7 2.7 2.7 육지면 13.5 11.9 11.2 11.8 12.0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대두 76.1 83.1 89.0 90.0 90.0 90.5 90.5 90.0 90.0 90.0 90.0 90.0 합계 238.2 244.8 251.3 252.9 253.1 253.3 252.9 251.5 251.6 251.2 251.2 251.3

자료: USDA(2021), p.29에서 재인용.

미국산 옥수수의 명목가격은

3.65

달러

/

부셀

(2021/22

)

에서

2024/25

년에는

3.55

달러

/

부 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며

,

이 가격 수준이

2030/31

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

육류 생산 확대에 따른 사료용 옥수수 소비증대가 미국 내 옥수수 수요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

에탄올 생산에 사용되는 옥수수의 수요는 비교적 저조하지만

,

안정적으로

(28)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세계농업 전망 ∙ 19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옥수수의 단위 면적당 순수익은 생산비용이 유지되는 가운데 수확량이 증가하여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2020

년대 초반 안정적인 수요가 옥수수의 가격과 재배면적의 유지에 기여하나

,

점차 생산량의 증가가 수요를 추월하여 이후 기간에는 옥수수의 명목가격이 유지 되는 가운데 재배면적이 천천히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미국산 대두의 명목가격은

2021/22

년의

10

달러

/

부셀에서

2025/26

년까지 하락한 후

,

이 후 전망기간 천천히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

브라질산 대두가 중국발 수입수요의 상당 부분을 충당할 것으로 보이나

,

중국의 수요증가는 미국산 대두의 수출량과 수출가격 호전에 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국만큼 빠른 수준은 아니지만

,

개발도상국들의 대두 수요 역시 육류 소비의 증가로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

비교적 높은 대두 가격은

2021/22

년 동안의 경지면적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

또한 대두박

(Soybean meal)

와 대두유

(Soybean oil)

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로 인해 향후 대두 의 경지면적은 증가할 것이다

.

단수의 증가와 안정적인 가격으로 인해 대두의 순수익은

2030/31

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미국산 밀의 수요는 전망기간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

코로나

19

관련 규제 로

2020

년 미국산 밀의 국내 소비는 잠시 진작되었다

.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1

인당 소비감 소의 영향이 인구증가의 효과보다 우세하여 소비증가 추세는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또한

,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밀 수입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EU

와의 가격경쟁으로 인해 미국산 밀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밀 재배면적은

2020

년대 초반에 일시적인 수요 회복에 의해 증가하였다가

,

이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이러한 밀 경지면적의 감소추세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익성에 따른 것으 로 판단된다

.

(29)

20 ∙ 세계농업 2021. 7월호

<그림 2> 미국의 옥수수, 대두, 밀 농가수취가격

단위: 달러/부셀

옥수수 대두 자료: USDA(2021), p.18.

본 고에서 제시되는 미국의 농작물 수급전망은

2018

년 「농업법」에 따른 농업지원프로그

(farm program)

이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 가운데 실시되었다

.

환경보존지원프로그램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CRP)

에 등록된 농지 면적은

2018

년 「농업법」의 최대한도 인

2,700

만 에이커

(2014

년 「농업법」의 승인 최대치

2,400

만 에이커보다 약

300

만 에이커 증가

)

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2020

11

6

일 자료를 기준으로 추정할 때

, CRP

에 등록된 총 경지면적은

2,260

만 에이커

(2021

)

에서

2,690

만 에이커

(2030

)

로 증가할 것으 로 전망된다

.

<그림 3> 환경보전프로그램(CRP) 등록면적

단위: 100만 에이커

자료: USDA(2021), p.20.

(30)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세계농업 전망 ∙ 21

2.

곡물별 주요 수급전망

2.1. 옥수수

향후

10

년간 미국의 옥수수 재배면적은 다소 감소하나

,

단수가 증가하여 생산량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특히

,

육류 소비의 증가로 인해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 확대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

옥수수 재배면적은

2021/22~2025/26

년 기간

9,000

만 에이커 선에서 유지되 나

, 2026/27

년 기간 이후에는

8,900

만 에이커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대부분의 전망기 간 단수 증가는 총생산량 증가에 기여하며

,

이는 재고율의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

이에 따라 옥수수의 가격은 부셀당

3.65

달러

(2021/22

)

에서 부셀당

3.55

달러

(2024/25

년 이후

)

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

전망기간 옥수수를 원료로 하는 에탄올의 생산량은

51

2,500

만 부셀에서

51

5,000

만 부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연료 효율화 추세에 따라 가솔린 소비량 감소가 예측되는 가운데

,

코로나

19

의 확산으로 가솔린의 최근 소비량은 급격하게 낮아졌다

.

2020

년대 중반에 식용

,

종자용

,

공업용

(

에탄올 생산 외 용도

)

옥수수 소비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

주원인은 고과당 옥수수 시럽

(HFCS)

의 생산량 감소로 판단된다

.

글루코 스

,

덱스트로스

,

녹말의 생산이 정체된 가운데에도

,

식품과 음료 생산에 소비되는 옥수수 양은 인구증가로 인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1/22

년 미국의 옥수수 수출량은

5,910

만 톤

(23

억 부셀

)

이며

,

여타 주요 옥수수 수출국 의 수출량은 다음과 같다

;

브라질

(4,130

만 톤

),

아르헨티나

(3,360

만 톤

),

우크라이나

(3,290

만 톤

).

미국산 옥수수의 수출 여건은 달러화의 약세로 개선될 전망이나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우크라이나와의 가격경쟁 및 안정적인 국내 수요처

(

사료용

,

에탄올용

)

의 존재로 인해 미국의 옥수수 세계시장 점유율은

31%

선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31)

22 ∙ 세계농업 2021. 7월호

<그림 4> 미국 옥수수 소비(사료 및 기타용, 에탄올용, 수출용)

단위: 10억 부셀

사료 및 기타용 에탄올용 수출용 자료: USDA(2021), p.21.

<표 2> 미국 옥수수 수급전망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만 에이커)

재배면적 89.7 91.0 90.0 90.0 90.0 90.0 90.0 89.0 89.0 89.0 89.0 89.0 수확면적 81.3 82.5 82.5 82.5 82.5 82.5 82.5 81.5 81.5 81.5 81.5 81.5 단수(부셀/에이커) 167.5 178.4 180.5 182.5 184.5 186.5 188.5 190.5 192.5 194.5 196.5 198.5 공급량 및 사용량(100만 부셀)

공급량 15,883 16,742 17,082 17,337 17,612 17,852 18,137 18,222 18,402 18,617 18,852 19,052 기초 재고량 2,221 1,995 2,167 2,257 2,367 2,442 2,562 2,672 2,687 2,742 2,812 2,847 생산량 13,620 14,722 14,890 15,055 15,220 15,385 15,550 15,525 15,690 15,850 16,015 16,180

수입량 42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전체 소비량 13,887 14,575 14,825 14,970 15,170 15,290 15,465 15,535 15,660 15,805 16,005 16,175 국내 소비량 12,109 12,250 12,500 12,595 12,745 12,815 12,940 12,960 13,035 13,130 13,280 13,400 사료 및 기타 5,827 5,775 5,950 6,050 6,200 6,275 6,400 6,425 6,500 6,575 6,725 6,850 식품, 종자, 조제품 6,282 6,475 6,550 6,545 6,545 6,540 6,540 6,535 6,535 6,555 6,555 6,550 에탄올 4,852 5,050 5,125 5,125 5,125 5,125 5,125 5,125 5,125 5,150 5,150 5,150 수출량 1,778 2,325 2,325 2,375 2,425 2,475 2,525 2,575 2,625 2,675 2,725 2,775 기말 재고량 1,995 2,167 2,257 2,367 2,442 2,562 2,672 2,687 2,742 2,812 2,847 2,877 재고비율(%) 14.4 14.9 15.2 15.8 16.1 16.8 17.3 17.3 17.5 17.8 17.8 17.8 가격(달러/부셀)

농가수취가격 3.56 3.60 3.65 3.60 3.60 3.55 3.55 3.55 3.55 3.55 3.55 3.55 변동 생산비

(달러/에이커) 339 341 338 337 336 336 337 338 337 337 335 333

변동 생산비 대비 수익

(달러/에이커) 257 301 321 320 328 326 332 338 346 353 362 372

자료: USDA(2021), p.29에서 재인용.

(32)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세계농업 전망 ∙ 23 2.2. 밀

미국의 밀 재배면적은

4,600

만 에이커

(2021/22

)

에서

4,450

만 에이커

(2030/31

)

로 감 소할 것으로 보이며

,

이는 최근

5

년간 평균 재배면적인

4,670

만 에이커보다 낮은 수준이다

.

이러한 재배면적의 감소는 밀의 낮은 수익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전망기간 국내시장 과 수출시장 모두에서 밀의 수익성이나 가격조건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

미국 내 밀 소비량은 인구증가의 효과가

1

인당 소비량 감소 효과를 상쇄함에 따라 천천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러나

,

국제시장에서는 미국산 밀 수출량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경쟁국들의 생산량과 수출량이 증가하여

,

미국산 밀의 시장점유율은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코로나

19

관련 규제에 따른 미국산 밀가루

,

파스타의 소비증가로

2020

4

월부터 식용 밀의 월간 소비량이 단기적으로 증가하였다

.

그러나 추가 수요처를 찾기 어려운 시장 여건과

1

인당 소비량 하락으로 식용 밀 소비의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

옥수수 가격 비율은 전망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

옥수수의 풍부한 공급으로 인해 밀 사료가 선호되는 상황은 조성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사료용 및 기타용 밀 소비량은 밀 사료에 대한 제한된 수요로 인해

2030/31

년까지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의 밀 교역에 대한 전망은 다음과 같다

.

먼저

,

수입의 경우

,

미국의 밀 수입량은 소비 증가로 인해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

캐나다산 듀럼종 밀과 봄밀을 주로 수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의 경우

,

개발도상국의 국민소득 증가로 수입수요가 확대됨에도 불구 하고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EU

와의 가격경쟁으로 인해 미국의 밀 수출량은 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

(33)

24 ∙ 세계농업 2021. 7월호

<그림 5> 미국 밀의 국내 소비량 및 수출량

단위: 10억 부셀

국내 소비량 수출량 자료: USDA(2021), p.22.

<표 3> 미국 밀 수급전망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만 에이커)

재배면적 45.5 44.3 46.0 46.0 46.0 45.5 45.0 45.0 45.0 44.5 44.5 44.5 수확면적 37.4 36.7 38.5 38.5 38.5 38.1 37.7 37.7 37.7 37.3 37.3 37.3 단수(부셀/에이커) 51.7 49.7 49.1 49.5 49.9 50.3 50.7 51.1 51.6 52.0 52.4 52.8 공급 및 사용량(100만 부셀)

공급량 3,117 2,979 2,893 2,861 2,842 2,817 2,790 2,776 2,779 2,776 2,786 2,808 기초 재고량 1,080 1,028 883 830 796 776 749 720 704 706 701 709 생산량 1.932 1.826 1.890 1.906 1.921 1.916 1.911 1,926 1,945 1,940 1,955 1,969

수입량 105 125 120 125 125 125 130 130 130 130 130 130

전체 소비량 2,089 2,096 2,063 2,065 2,066 2,068 2,070 2,072 2,073 2,075 2,077 2,088 국내 소비량 1,123 1,121 1,113 1,115 1,116 1,118 1,120 1,122 1,123 1,125 1,127 1,138

식품 962 960 961 963 965 967 969 971 973 975 977 979

종자 60 61 62 62 61 61 61 61 60 60 60 59

사료 및 기타 102 100 90 90 90 90 90 90 90 90 90 100

수출량 965 975 950 950 950 950 950 950 950 950 950 950

기말 재고량 1,028 883 830 796 776 749 720 704 706 701 709 720 재고비율(%) 49.2 42.1 40.2 38.5 37.6 36.2 34.8 34.0 34.0 33.8 34.1 34.5 가격(달러/부셀)

농가수취가격 4.58 4.70 4.90 4.95 5.00 5.10 5.10 5.10 5.10 5.10 5.10 5.10 변동 생산비

(달러/에이커) 132 132 131 131 131 132 133 134 134 135 135 134

변동 생산비 대비 수익

(달러/에이커) 105 101 109 114 118 125 126 127 129 130 133 135

자료: USDA(2021), p.32에서 재인용.

(34)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세계농업 전망 ∙ 25 2.3. 대두

미국의 대두 재배면적은

2019/20

년 이후 반등하였으며

,

대두의 높은 가격과 수익성으로 인해 전망기간

9,000

만 에이커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미국산 대두의 가격은 많은 생산량에도 불구하고 재고량의 감소로 인해

2019/20

년 이후 상승하고 있다

.

전망기간 대두 의 명목가격은

2020

년대 초반에는 높으나

,

이에 따른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2020

년대 중반 까지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며

,

이후 기간에는 다시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 내 대두박과 대두유 시장의 성장세는 안정적일 것으로 보이며

,

이에 따라 전망기간 분쇄된 대두 생산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이러한 증가는 낮은 사료가격과 동물성 생산품의 생산증가

,

바이오디젤용 대두유 수요의 기록적인 증가

,

그리고 수입수요의 꾸준한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

미국의 대두 수출량은

2019/20

년의 침체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

중국을 중심으로 대두 소비수준이 회복됨에 따라 예상 수출량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

미국산 대두의 시장점유율은

34.2%(2021/22

)

에서

29.5%(2030/31

)

로 하락할 전망이다

.

대두박 수출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

남미 국가들과의 시장경쟁으로 인해 미국산 대두박 의 시장점유율은

18%

에서

17%

로 근소하게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

전망기간 아르헨티나산 대두박의 시장점유율은

45%(2030/31

)

까지 커질 것으로 예측되며

,

브라질산의 시장점유율 또한

25%

로 상승할 전망이다

.

바이오디젤 생산에 사용되는 대두유의 생산량은

81

5,000

만 파운드

(2021/22

)

에서

86

억 파운드

(2030/31

)

로 증가할 전망이다

.

이에 따라

,

연간

11

억 갤런의 바이오디젤을 대두유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35)

26 ∙ 세계농업 2021. 7월호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만 에이커)

재배면적 76.1 83.1 89.0 90.0 90.0 90.5 90.5 90.0 90.0 90.0 90.0 90.0 수확면적 74.9 82.3 88.2 89.2 89.2 89.7 89.7 89.2 89.2 89.2 89.2 89.2 단수(부셀/에이커) 47.4 51.9 50.6 51.2 51.7 52.3 52.8 53.4 53.9 54.5 55.0 55.6 공급 및 사용량(100만 부셀)

공급량 4,476 4,806 4,770 4,835 4,896 4,985 5,049 5,078 5,122 5,170 5,214 5,261 기초 재고량(9/1) 909 523 290 255 271 285 299 303 297 300 294 291 생산량 3,552 4,268 4,465 4,565 4,610 4,685 4,735 4,760 4,810 4,855 4,905 4,955

수입량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전체 소비량 3,953 4,516 4,515 4,565 4,611 4,686 4,746 4,781 4,822 4,877 4,922 4,978 국내 소비량 2,277 2,316 2,340 2,370 2,401 2,431 2,456 2,486 2,517 2,547 2,577 2,603 분쇄 2,165 2,180 2,200 2,230 2,260 2,290 2,315 2,345 2,375 2,405 2,435 2,460 종자 및 기타 112 136 140 140 141 141 141 141 142 142 142 143 수출량 1,676 2,200 2,175 2,195 2,210 2,255 2,290 2,295 2,305 2,330 2,345 2,375 기말 재고량(8/31) 523 290 255 271 285 299 303 297 300 294 291 284 재고비율(%) 13.2 6.4 5.7 5.9 6.2 6.4 6.4 6.2 6.2 6.0 5.9 5.7 가격(달러/부셀)

농가수취가격 8.57 9.80 10.00 9.90 9.80 9.65 9.65 9.70 9.70 9.75 9.80 9.90 변동 생산비

(달러/에이커) 162 164 161 161 161 161 162 162 162 162 162 162

변동 생산비 대비 수익

(달러/에이커) 244 345 345 345 346 343 348 356 361 369 377 388

<그림 6> 미국 대두의 국내 소비량 및 수출량

단위: 10억 부셀

국내 소비량 수출량 자료: USDA(2021), p.23.

<표 4> 미국 대두 수급전망

참조

관련 문서

각 가격에서 시장의 공급량은 모든 기업들에 의해 공급되는 수량을

 판매자 수의 증가는 각 가격에서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함.. 공급곡선의 이동 요인:

도서출판 시장의 가치사슬 구조변화와 주요 사업자 전략 및 전망... 전자책 등장에 따른 도서출판

 따라서 현재소득과 미래소득의 현재가치의 합계와 현재소비와 미래소비의 현재가치의 합계는 일치함... 

연료분사 시기에 연료분사펌프에서 연료를 송출하면 그 연료의 압력으로 체크밸브가 열려 노즐에서 연료가 분사되고, 연료분사 가 끝나면 체크밸브가 노즐을 막아서

디젤기관에서 압축비가 낮거나 또는 실린더 내의 온도 가 낮고 분사 초기에 연료의 분사량이 많으면 분사 초 기에 분사된 연료가 연소되지 않고, 피스톤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 는 것을 직류법(straight-run fractional distilation)이라 한다... 2) 전환법. 직류법에서 연료를 제조하면 필요한 성분, 즉

내부적으로 자사의 강점과 약점을, 외부적으로 시장의 기회와 위협요인을 분석하여 보기 쉽게 도표화한 SWOT Matrix를 바탕으로 시장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