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식품 체제의 배경과 정의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18-121)

2021

6

14~18

일에

UN

식량농업기구

(FAO)

의 제

42

차 전체 회의가 열렸다

.

전체 회의 는

2

년마다 개최되어

FAO

의 임원과 위원을 구성하며 기존 프로그램의 평가와 계획 및 예산 관련 사항을 논의하고 결정한다

.

또한

,

지역회의

(regional conferences)

와 기술위원회

(technical committees)

및 다른 위원회의 활동 보고서를 제출받아 논의한다

.

1) 이 글은 이번 의제 중 농식품 체제의 전환을 위한

FAO

전략과 대응에 관한 보고서를 중심으로 관련 내용과 정보를 요약

,

제시하고자 한다

.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인

농식품 체제의 전환

(agriculture food systems transformation)”

2021

5

30~31

일에 개최된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2021 P4G Seoul Summit:

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 중

지속가능한 농업과 푸드시 스템 구축

세션의 주제와 맞닿는다

.

2) 여기서 말하는 농식품 체제

(Food System)

는 식량의 생산

,

가공

,

운송

,

소비 등과 관련한 모든 활동의 집합체로서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

그림

1>.

곧 건강한 농식품 체제는 사람의 몸뿐만 아니라 환경

,

경제

,

문화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

제대로 작동하는 농식품 체제는 가족과 지역 및 국가를 든든히 세우는 초석이기 때문이다

.

*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songsoo@korea.ac.kr).

이 글은 FAO의 제42차 회의(2021년 6월 14~18일) 의제 자료인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Agriculture Food Systems Transformation: from Strategy to Action”(FAO, 2021a)의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이와 관련한 정보를 보완하여 작성한 것임.

1) 농업위원회(Committee on Agriculture), 상품문제위원회(Committee on Commodity Problems), 수산위원회(Committee on Fisheries), 삼림위원회(Committee on Forestry) 등이 기술위원회에 속함.

2) P4G는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환경 분야 다자 정상회의를 말함(2021p4g-seoulsummit.kr)(검색일: 2021.06.14).

110 ∙ 세계농업 2021. 7월호

<그림 1> 농식품 체제의 틀

자료: FAO(2021a, p.3).

그러나

2019

년 말부터 세계 전체로 확산한 코로나

19

감염병을 통해 수많은 사람이 직접 겪는 어려움과 기후위기는 세계의 농식품 체제가 중요한 것임에도 취약하고 붕괴하기 쉬운 것임을 각인시켰다

. P4G

정상회의의 주제인 녹색성장

,

지속가능한 발전

,

기후변화 대응 가운데 식량과 농업부문 세션은 빈곤층과 취약계층 등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하고 영양을 개선하며

,

농업인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등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푸드시스템

(Food Systems)

구축과 환경에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서는 민관파트너십에 기반한 국제사회의 협력모델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또한

,

소농의 식량 손실을 줄여 회복력을 갖춘 식량 공급 비즈니스 모형 파트너십 구축 방안을 논의하였다

(

농식품부

, 2021).

3)

이 주제와 관련해서

UN

은 또 다른 정상회의를 준비하고 있다

.

, 2030

년 지속가능개발목 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를 달성하기 위한

“10

년의 실천

(Decade of Action)”

의 하나로

2021

9

월에

UN

푸드시스템 정상회의

(UN Food Systems Summit 2021)

가 예정되어 있다

.

이 정상회의가 추구하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3) 논의 내용은 농식품부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watch?v=Q4cGl66m_EU)(검색일: 2021.06.11.) 참조.

세계 농식품 체제의 전환

국제기구·연구 동향∙ 111

2030 SDG

의제에 관한 중요한 조치와 측정 가능한 진전을 만들어 낸다

.

정상회의는

해결책과 지도자를 밝히고 국가와 지방정부

,

기업과 시민을 포함한 모든 수준의 농식 품 체제에서 대응을 촉구한다

.

② 사람과 지구에 유익한 개혁을 실행함으로써

SDG

를 달성하는 데 농식품 체제 개혁이 도움이 된다는 점을 공공이 인식하도록 돕고 관련 토론을 고양한다

.

SDG

를 지원하기 위해 농식품 체제를 활용하려는 정부와 기타 이해관계자를 안내하는 원칙을 개발한다

.

이러한 원칙은 농식품 체제가 더욱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낙관적이고 고무적인 비전을 설정한다

.

④ 후속 조치와 검토체제를 만들어 정상회의 결과가 계속해서 새로운 조치와 진전을 주도하는지 확인한다

.

이 체제를 통해 경험과 교훈 및 지식을 공유하고 정상회의의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하도록 한다

.

한마디로

UN

정상회의는 세계의 농식품 체제가 더욱 안전하고

(safe),

공정하며

(equitable),

지속가능한

(sustainable)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

그 실천 분야는 다음과 같다

.

4)

① 모든 사람을 위한 안전하고 영양 있는 식량 접근 보장

② 지속 가능한 소비 형태로 전환

③ 자연에 이로운 생산 촉진

④ 공정한 삶의 증진

⑤ 취약함과 충격 및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복원력 구축

이를 준비하기 위해 각 회원국과 단체 및 개인이 다양한 형태로 소통과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

.

한국의 경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

과 농식품부 주관으로

2021

3

30

일부터

6

1

일까지 총

5

회에 걸쳐 논의를 진행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

5)

4) UN 정상회의에 관한 국내 논의 누리집(food-systems-summit.krei.re.kr)(검색일: 2021.06.24.) 참조.

5) 제1차(www.youtube.com/watch?v=pFqANrGmafY&t=5s)(검색일:2021.06.21)와 제5차(www.youtube.com/watch?v

=wqwMOrjt7Mc&t=5233s; 검색일: 2021년 6월 21일) 논의 내용은 농식품부 유튜브 채널 참조

112 ∙ 세계농업 2021. 7월호

이 밖에도 생물다양성 협약은 지속가능한 농업 전환과 지속가능한 농식품 체제 전환을 다음처럼 정의하였다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20).

① 지속가능한 농업 전환

토지와 물 및 기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생산적이고 탄력적인 농업을 위해 수분 매개자

(pollinator),

해충 및 질병 제어 유기체

,

토양 생물 다양성과 유전적 다양성뿐만 아니라 경관의 다양성을 포함한 생물다양성의 역할을 인식하는 것

② 지속가능한 농식품 체제 전환

다양한 식량과 농식품 체제의 잠재적 영양 혜택과 모든 측면에서 식량안보를 보장하면 서 세계적으로 수요 중심의 압력을 줄이는 게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

이처럼

UN

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기구와 개별 국가 및 여러 단체는 코로나

19

를 겪으면서 이전보다 더욱 절실하게

SDG

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

또한

, SDG

를 달성하면서도 기후변 화 등 지구 전체를 위협하는 요인에 대응하려면 무엇보다 세계의 농식품 체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18-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