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제성장률 아프리카 경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야기된 불황에서 회복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경제성장률 아프리카 경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야기된 불황에서 회복하"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개발센터는 일 아프리카개발은행 유엔개발계획

OECD 2011.6.6 (AfDB), (UNDP), 유엔아프리카경제위원회(UNECA)와 공동으로『『『『2011201120112011년년년년 아프리카아프리카아프리카아프리카 경제전망경제전망경제전망경제전망

을 발표을 발표 을 발표을 발표 (African Economic Outlook)

(African Economic Outlook)(African Economic Outlook)

(African Economic Outlook)』』』』 하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지속가능하고 포괄적인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전통 및 신흥 파트너 국가들과의 협력시 보다 긴밀히 아프리카 국가간 협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을 권고함.

* 2011

, ,

.

* , (www.africaneconomicoutlook.org)

아프리카 거시경제 및 구조적 개발 아프리카 거시경제 및 구조적 개발아프리카 거시경제 및 구조적 개발 아프리카 거시경제 및 구조적 개발

I. (structural development) I.I. (structural development)(structural development) I. (structural development)

거시경제 전망 거시경제 전망거시경제 전망 거시경제 전망 1.1.1.

1.

경제성장률 아프리카 경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야기된 불황에서 회복하

( )

여 평균 경제성장률이 2009년 3.1%에서 2010년 4.9%로 개선됨. 북아프리카 정치상황으로 2011년에는 3.7%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경제가 정상을 회복하면 아프리카 평균 경제성장률은 2012년 5.8% 수준에 이를 것 으로 전망

인플레이션 재정적자 재정정책은 식량 및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

( , )

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점차 긴축기조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하였으나 인플 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근원(core)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권고

아프리카의 평균 재정 적자규모는 년 의 수준 이하로 증가하

- 2011 GDP 4%

나, 2012년에는 3%를 다소 넘는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그러나. 선진국이 긴축재정으로 ODA 규모를 감소하거나 아프리카 국가들이 식량 및 연료 보조금을 지급할 경우 재정적자가 크게 증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올해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에서 총선이 있음을 감안, 유권자 의 지지를 획득하기 위해 지출을 늘리는 선거주기 정치 등으로 재정 건 전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음을 우려함.

실업 아프리카 경제 회복으로 실업의 경기 순환적 요소는 감소추세이나 ( )

구조적 실업은 여전히 대다수 국가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음 특히 북아프리. 카 시민혁명의 촉발원인이 되기도 한 실업률은 2011년 더욱 증가될 전망임.

(2)

노동시장이 증가하는 청년층 노동 공급을 흡수할 만큼 충분히 유연하지 -

못하며 아프리카 인구 증가 고려 실업문제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함, , . 실업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수요 및 공급 측면을 모두 개선하 -

는 포괄적 접근이 필요 기술수요에 부합할 수 있도록 노동 공급의 질을. 개선하는 한편, 경제성장, 특히 민간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통해 노동 수요를 창출해야 함.

외부 재원 흐름 외부 재원 흐름외부 재원 흐름 외부 재원 흐름 2.

2.2.

2.

년간 아프리카 해외직접투자 포트폴리오 투자 총합

2000~2010 (FDI), , ODA

은 약 배 증가하여5 270억불에서 1,220억불 수준으로 확대됨.

아프리카로의 는 년 억불로 최고조에 이르렀으나 년에

(FDI) FDI 2008 720 2009

는 금융위기 여파로 20% 하락한 590억불, 2010년에는 약 500~520억불 수준 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신흥 경제국 성장 원자재 가격 상승 아프리카 경제여건 개선 등은

- , , FDI

촉진 요인이나 리비아 사태 등 불안한 북아프리카 정세가 당분간 투자 확대를 저해할 것으로 평가 북아프리카 지역은 총( 아프리카 FDI 1/3 이상 차지)

아프리카 의 약 은 석유 산유국에 집중되어 있으며 보다 부가

- FDI 3/4 ,

가치가 높은 다양한 분야로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중요한 정책과제임.

국가들 영국 프랑스 미국이 주요 투자국 은 남아공 이집트 나

- OECD ( , , ) , ,

이지리아를 중심으로 2000-2009년간 아프리카 FDI의 70% 이상을 차지 중국은 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약 억불 중국 총 의 수준

- 2008 55 ( FDI 10% )

을 투자하였으며, 2009년에는 11억불 수준으로 감소함. 그러나 중국 국 영기업이 FDI외 다양한 금융수단을 병행 활용하고 있음을 감안, 중국의 실질 투자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평가

- 여타 신흥경제국도 주로 자원추출 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관련 산업단지, 조성 인프라 구축과 연계하기도 하고 제조업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 . 인접 국가간 제조업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

- ,

간 FDI는 지역통합 촉진 산업 다변화, (diversification)에 기여하고 있음. 아프리카 국가간 투자의 가장 중요한 추동력은 남아공 및 북아프리카 국 가들이며, 최근 북아프카 정치상황으로 아프리카 역내 FDI 흐름에 단기 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음.

아프리카로의 규모는 지난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년

(ODA) ODA 10 2000

억불서 년 억불 기록하였으나 년 글레니글스

150 2009 480 , 2005 (Gleneagles) 공약을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

회원국들의 아프리카로의 순양자 는 년 억불로 이중

- DAC ODA 2009 280 250

(3)

억불이 사하라 이남 지역에 배정됨.

비회원국 중에는 중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가 가장 중요한 원조

- DAC , ,

공여국이며, 신흥 공요국들은 개발원조를 무역 이해관계와 연계시키는 경향이 있음.

무역 정책 및 지역통합 무역 정책 및 지역통합무역 정책 및 지역통합 무역 정책 및 지역통합 3.

3.3.

3.

아프리카 무역은 글로벌 무역 특히 신흥 시장에서의 수요 회복으로, 2010년 ㅇ

재반등하였으며, 도하개발라운드(DDR) 및 경제파트너쉽협정(EPA) 협상이 더 디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아프리카 경제발전 및 다변화를 위해 특혜무역 중국과의 무역 투자 등 남남협력의 중요성이 (trade preference schemes), ,

강화되고 있음.

지역통합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지역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경제공동

( )

체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RECs)의 합리화, 아프리카 동맹 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개의 인정 등 다양한 이니셔티 (African Union) 8 RECs

브를 취하고 있음.

서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중앙아 경제 공동체 동남

- (ECOWAS), (ECCAS),

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동아프 리카 공동체(EAC) 등은 자유무역지대를 수립하였으며, EAC, COMESA는

년 년에 각각 관세동맹을 발족함

2005 , 2009 .

지역 경제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과제는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

- ▲

만연된 정치적 불안정성 ▲경제적 다양성 부족 ▲ 멤버쉽 중복 ▲통합을 공고히 하기 위한 재원 부족 ▲합의된 협정 및 결정의 이행 미비 ▲역내 국가간 연결성(connectivity) 미약을 지적

특히 아프리카 경제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에너지 교통

- , , ,

통신 등 분야에서 지역 인프라 개발이 긴요함. 인프라 네트워크 미비와 비효율적이고 비싼 서비스로 높은 생산 및 거래 비용, 비즈니스 경쟁력 약화를 야기

인적 개발 인적 개발인적 개발 인적 개발 4.

4.4.

4.

아프리카 지역 빈곤 감소가 다른 지역에 비해 더딘 이유는 ㅇ

아프리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장은 년대 이후에나 시작하였

- 2000

으며, 2015년까지 MDG 달성을 위해서는 연평균 7%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 해야 하나 2000년대 평균 성장률은 5.3% 수준임.

아프리카 성장이 다른 경제분야에 대한 파급효과가 낮은 광물 및 석유 -

산업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빈곤 계층의 삶, 고용과 관계된 분 야에서는 발전이 미약하여 고용창출 빈곤감소 효과가 낮음, .

(4)

아프리카의 경제성장의 혜택이 불평등 구조개선 빈곤감소에 기여할 수

- ,

있도록 하는 한편 경제성장 기반의 다양화 추진 필요,

년 기준 아프리카는 인간 개발 지수 가

2010 (Human Development Index: HDI) ㅇ

가장 낮은 지역으로 평가되었으나 2000-2010년간 짐바브웨이를 제외한 모든 아프리카 국가들의 HDI가 개선되었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평, 균적으로 가장 빠른 HDI 개선(23%)을 보임.

지속적인 인적개발 발전을 위해서는 복합적인 정책 목표를 동시에 추진 -

하는 것이 필요하며, ( ,예 인적개발 향상을 위해 포괄적이고 빈곤 친화 적 경제성장 추진) 이러한 맥락에서 경제 정책의 질이 인적개발 촉진을 위한 재원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강조

정치 및 경제 거버넌스 정치 및 경제 거버넌스정치 및 경제 거버넌스 정치 및 경제 거버넌스 5.

5.5.

5.

년 분기는 아프리카 역사에서 가장 역동적인 기간 중 하나였으며

2011 1/4 ,

리비아 정세 및 이웃 국가들에 미칠 파급효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임.

년 아프리카는 개 국가에서 개 총선이 예정되어 있으며 남수단

- 2011 20 28 ,

분리가 2011.7월 예정되어 있음.

년 아프리카 정치 경제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물은 2010

ㅇ ㆍ

년은 시민 저항이 강화된 해 - 2010

년 봉기를 경험한 모든 국가들은 시민의 자유와 정치적 권리에 낮은 - 2011

가치를 부과하는 국가들로 평가됨.

부패는 여전히 아프리카의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개 아프리

- , 47

카 국가중 보츠와나, 모리셔스, Cape Verde만이 부패문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

아프리카 및 신흥 파트너국가 아프리카 및 신흥 파트너국가아프리카 및 신흥 파트너국가 아프리카 및 신흥 파트너국가 II.

II.II.

II.

지난 10년간 신흥 파트너 국가들은 아프리카의 주요 파트너로 급부상 하고 ㅇ

있으며 현재 아프리카 전체 무역의, 37%를 차지하고 있음.

년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아프리카의 최대 무역 파트너가 되었으며

- 2009 ,

아프리카의 상위 대 신흥 무역 파트너 국가들은 중국5 (38%), 인도(14%), 한국(7.2%), 브라질(7.1%), 터키(6.5%) 순임. (아프리카와 신흥 파트너 국가간 무역 전체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

미국 등 전통 파트너 국가들은 여전히 아프리카 무역 투자

- , EU (62%),

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신흥 파트너 국

(80%), ODA(90%) ,

가들은 FDI, ODA외 대안적인 방법을 통해 재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수출, 촉진, 직접투자 지원 및 ODA 제공에 있어 보다 통합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음.

(5)

아프리카의 신흥 파트너 국가들 및 전통 파트너 국가들과의 비즈니스 관계 ㅇ

는 상호 보완적임.

신흥 파트너 국가들은 상품 기술 개발 모델 등 관련 새로운 기회를 제

- , ,

공하고 있으며, 새롭게 생성되고 있는 아프리카 중산층이 소비할 수 있 는 수준의 소비재 및 개도국 생산 환경에 부합하는 생산 설비를 제공하 고 있음. 또한 아프리카 제조업분야 수출은 주로 신흥 파트너 국가들의 수요에 힘입어 지난 10년간 배 상승2

전통 파트너 국가들이 원조를 통한 빈곤감소 보건 교육 거버넌스 분

- , , ,

야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 신흥 파트너 국가들은 인프라 개선을 집중 지, 원하고 있음.

실질적으로 상호 호혜적인 파트너쉽이 되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고 ㅇ

유의 국가 개발전략 특히 장기 산업 및 농업 정책 관련 을 수립하고( ) , 이에 기반하여 신흥 파트너 국가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아프리카 국가들 의 협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함.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간 원조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경쟁을 방지

- , FDI,

하고 아프리카 협상력 강화를 위해 지역통합 촉진이 필수적임, .

지역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아프리카 국가들은 파트너 국가들간의 상호 -

보완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함 전통 파트너 국가들은 지역경제. 공동체(RECs)를 지원할 메카니즘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신흥 파트너 국, 가들은 국경간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수 있음.

참조

관련 문서

전력화는 산업과 깨끗한 물(위생), 농업(식량)을 위한 첫 번째 사다리 남 아프리카 전략시장: 남아공. 남아공의

일본국제협력단(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은 WB, 국제미작연구소(IRRI), 아프리카미작센터(ARC), USAID, IFAD 등과 공동으로 ‘아프리카 쌀

핫산탑은 미완성인 채로 남겨진 첨탑으로 알모하드 왕조의 죽음으로 사원건 립이 1199 년에 중단되었으며 지금은 스페인 무어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 하나로 남아있다...

- 아쿠포아도 가나 대통령은 개회 연설에서 가나의 대외원조 극복정책 (Ghana Beyond Aid)을 설명하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기존의 대외원 조 의존 및 원자재

• 외교국제협력부 장관 (Ministre des Affaires Etrang ères et de la Coopération Internationale). • 아프리카

아프리카 정부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과 투자 환경 개선을 추진하고 있음.. 자원기반 경제에서 소비재, 섬유 등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 기반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ICT 스타트업 창업생태계 주요 구성요소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북부 아프리카 지역 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