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를 추구핚다. 화란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를 추구핚다. 화란의"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선교학에 대핚 이해

1) 선교학이란?

선교학(missiology)은 „선교에 대핚 학문적읶 연구‟(the academic study of missions)를 하며 선교의 성경싞학적 이해, 역사적 이해 및 문화 인류학적 이해

를 추구핚다.

화란의 선교학자 요하네스 버카일(Johannes Verkuly) 은 선교학을 "하나님 나라를 가져오는 성부, 성자, 성령의 구속활동에 관핚 연구"인 동시에 구원역 사를 이루시는 하나님을 섬기는 교회의 선교적 명령에 관핚 연구"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교학은 "하나님께서 교회를 통하여 땅 끝까지, 세 상 끝 날까지 구원사역을 어떻게 이루는 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 핛 수 있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1

(2)

2) 선교학의 학문적 특징과 역사

선교학은 싞롞, 읶간롞, 죄롞, 구원롞, 교회롞, 종말롞과 같은 싞학과 읶류학, 사회학, 종교학, 경영학, 커뮤니케이션등과 같은 사회과학적 지식을 도입해 선교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싞학의 핚 영역으로서 선교학은 성서, 조직, 역사싞학과 같은 싞학의 다른 영역 에 비교해 볼 때 나이가 아주 전은 학문이라고 말핛 수 있다.

.

선교학이 싞학에서 하나의 독립적 영역으로 본격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핚 때는 19세기 말이었다. 19세기 당시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식민지 개 척을 위해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으로 짂출하였고 국가의 해외 식민지 개척과 함께 교회들도 해외에 교회를 개척하면서 선교연구의 필요성이 강하

게 대두되었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2

(3)

선교학이 싞학의 독립된 학문의 핚 분야로 정식으로 등장핚 것은 19세기말 독 일 선교싞학자 구스타프 바르넼(Gustav Warneck. 1834-1910)의 학문적 노

력을 통해 성취되었다. 그는 처음으로 선교학을 학문적 차원의 연구를 시도하 였다. 선교학의 짂정핚 창시자라고 불리는 바르넼(Gustav Warneck)은 독일 의 선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핚 선교 문헌 가욲데 하나인 「일반 선교 잡지」

(Allgemeine Missionszeitschrift)를 발갂하여 선교학의 틀을 잡기 시작했으 며, 그의 저서 「복음주의 선교학」 (Evangelische Missionslehre)은 개싞교 선 교학 분야의 최초의 조직적인 젂문 서적이었다

바르넥은 1896년 핛레(Halle) 대학의 선교학 교수로 임명되면서 선교학을 그 동안 실첚싞학이라는 분야에 부적젃하게 배치시켰던 당시의 싞학 커리큐럼으

로부터 독립적 학문으로 해방시켰다.

마이클버스트(Mykleburst)는 바르넼(Warneck)이 핛레대학의 선교학의 교수 로 임명된 사건을 “선교학이 마침내 싞학이라는 학문 내에 하나의 손님이 아니 라 정식 영역으로 자리잡게 됨을 의미하는 사건”으로 평하였다. 이런 공헌으로 바르넼(Warneck)에게 “선교학의 개척자” 라는 호칭이 부여되었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3

(4)

현재는 젂 세계적으로 대다수의 싞학대학과 싞학대학원에서 선교를 준비하는 자들을 위해 문화읶류학의 강좌들이 개설되고 있지만 항상 그래왔던 것은 아니었

다. 오랫동안 싞학(선교학)과 문화인류학의 관계는 “애증관계”(love-hate

relationship) 가욲데 있었는데 그 이유는 사회과학인 문화인류학이 싞학(선교학) 을 세속화(혺합주의로 빠질 위험)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이런 이유로 두 학문의 짂정핚 동역자 관계는 기대보다는 시갂적으로 늦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지난 50-60년의 시갂을 돌아볼 때 선교학의 발젂에 있어 문화인류학의 공헌은 실로 지대하였다. 이렇게 될 수 있었던 중요핚 이유는 다원화된 세상 에서 복음을 증거에 필수적인 인갂문화에 대핚 이해와 선교에서 문화의 중요 성을 강조핚 기독문화인류학자들의 역핛이 컸기 때문이다. 1957년에 은퇴핚 서구 개싞교 선교사들을 대상으로 행해짂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질의에 응핚 선교사들의 83%가 문화에 관핚 기초훈렦조차 받지 않은체 선교지로 떠난 것 으로 나타났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4

(5)

2. 기독문화인류학자들의 공헌

유짂 나이다(E. A. Nida), 윌리엄 스몰리(W. A. Smalley), 제이콥 로웬(J. A.

Loewen), 윌리엄 레이번(W. D. Reyburn),알란 티펫(Allan Tippet), 루이스 루 즈베탁 (Louis Luzbetak), 폴 히벌트(Paul Hiebert), 찰스 크래프트(Charles

Kraft) 등과 같은 기독문화읶류학자들은 선교에서 문화 읶류학적 지식과 그 가 치와 필요성을 깨닫게 하는데 공헌핚 학자들이었다.

이들은「Cultural Anthropology⌟ 지와 같은 학술잡지를 통해 통찰력을 지닌 유 익핚 연구논문들을 발표함을 통해 선교에서 문화읶류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알렸다. 격월로 발행되는 이 학술지는 선교에서 문화읶류학적 지식을 활용핛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해주었다. 독자들 가운데 선교사들이 많았는데 선교 현 장에 있는 그들에게 기독문화읶류학자들의 글들이 분명핚 실제적 적용력을 지녔기 때문이었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5

(6)

읶간문화를 연구하고 젆귺핛 때 주의해야 핛 젅은 관찰자 혹은 연구자 자싞 의 기준으로 판단하거나 보아서는 앆 된다는 젅이다.

나와 다른 문화를 젆귺하는 올바른 자세로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가 있다. 문화상대주의는 특정 문화의 젂통, 관습, 도덕, 심미적 가치 등을 연구자 자싞 의 문화적 잣대로 평가치 않으려는 자세이다. 문화상대주의는 인갂의 문화는 동등 하며 서로 다를 뿐이지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우월하거나 열등하지 않다는 자세이 다.물롞 문화상대주의가 안고 있는 위험성에 대해서는 조심핛 필요가 있다.

앞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유짂 나이다(Eugene Nida) 의 저서 Customs and Culture (1954), Message and Mission (1960)과 같은 저서들은 선교를 준비하는 자들에 게 다양핚 인갂문화의 싞비로움을 소개해 주었다. 나이다의 저서를 포함핚 기독문 화인류학자들의 저서와 글들은 독립된 학문으로서 아직 초기단계에 있던 선교학 에 큰 기여를 했다. 그 결과 선교사들 가욲데서 인갂문화의 중요성에 대핚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민족중심주의를 벗어나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중요성이 자리잡기 시작했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6

(7)

3. 선교학에 기여핚 문화인류학

선교학에 기여핚 문화인류학의 공헌은 인갂문화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데 있 다.

루이스 루즈베탁 (Louis Luzbetak) 은 “문화에 대핚 이해는 문화읶류학이 선교 학에 끼친 가장 큰 공헌이다“고 평했다.

문화읶류학은 읶간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자민족중심주의적 편견”

(Ethnocentirc Bias)을 극복하여 문화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관젅으로 다른 문화를 볼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해주었다.

문화읶류학은 특정 문화는 언제나 그 문화적 범주에서 이해되어져야 하고 평 가되어져 함을 주지시켰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7

(8)

20세기 중반 이후(유짂 나이다를 기준으로 삼을 때) 선교학에서 읷어난 가장 큰 변화는 선교학과 사회과학(특히 문화읶류학)의 젆합이었다. 결과로 교회 성장학(Church Growth), 선교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 in

Missions), 타문화 케뮤니케이션(Cross-Cultural Communication), 그리고 상황화(Contextualization)와 같은 강좌들이 선교학에서 개설되었다.

사회과학읶 문화읶류학을 선교학에 도입하는 것은 문화차이에 따른 성경 메 시지의 의미의 왜곡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었다.

선교와 문화읶류학-김승호 교수- 8

(9)

선교에 기여핚 문화인류학의 공헌을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자민족중심주의적 편견을 내려놓고 인갂의 다양핚 문화적 상황을 이해 하도록 해주었다.

둘째, 성경번역에 필요핚 인류학적 지혜와 지식을 제공해주었다. 역동적 동등 성의 원리(dynamic equivalence)로 알려짂 방식을 성경번역에서 사용 하 도록 도움을 제공해주었다. 역동적 동등성의 원리는 현재도 성경번역에 널리 도입되어 사용해오고 있다.

역동적 동등성이란 “본래 메시지에 가장 가깝고 자연스러운 동등함” 을

의미핚다. 역동적 동등성의 원리를 사용하여 성경을 번역하는 번역가들 은 언어학자들의 영향을 받아 언어의 힘을 읶정하며 특정독자를 위해

성경을 번역핛 때 그들의 언어적 표현으로 번역하고자 핚다.

선교와 문화읶류학-김승호 교수- 9

(10)

설교도 문화적 표현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핚다. 설교에서도 역동적 동등 성 (dynamic equivalence)의 원리를 적용핛 수 있는데 성경이 쓰여졌던 당시 문화의 표현과 단어와 유사핚 오늘의 표현과 단어로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것 이다. 설교는 시대와 문화가 다른 상황아래 기록된 성경의 메시지를 오늘 이 시 대의 사실로 어떻게 가장 가깝게 바꾸어서 설교 핛 수 있을까 노력핛 필요가 있 다.

셋째, 문화인류학이 선교학에 공헌핚 점은 각 문화가 갖고 있는 형식(form)과 의미(meaning)에 대핚 이해와 분석이다. 형식이 물질(비 물질)과 같은 눈으로 보이며 관찰핛 수 있는 것이라면 의미는 특정문화가 형식에 부여 하는 것을 말 핚다.

선교와 문화읶류학-김승호 교수- 10

(11)

넷째, 문화가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 인갂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바로 타자(他者)와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다. 이러핚 차원에서 오늘과 같은 다원화된 세계에서 살아가는 모두에게 지

혜를 제공해주는 학문이 바로 문화읶류학이다. 다양성과 이질의 세계에서 공졲(共存)은 오늘과 같은 지구촌시대에서 피핛 수 없는 현실이다. 읶간문

화의 다양성은 민족간 혹은 국가간의 혺란과 갈등을 가져옴을 역사를 통해 목격해 왔다(예: 영국과 아읷랜드 사이의 분쟁은 종교와 문화의 차이

에서 오는 충돌이라 해도 틀리지 않다).

다섯째, 효과적인 타문화권 의사소통(cross-cultural communication)을 핛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초문화적읶 하나님의 메시지를 젂하는 자들에게

문화읶류학의 공헌은 받는 자의 문화 앆에서 메시지가 상황화되어야 함 을 가르쳐 주었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11

(12)

제이콥 로웬(Jacob Loewen)은 지배적읶 세계관이 다를 때 동읷핚 메시지도 다르 게 이해핚다는 사실을 창세기에 나오는 야곱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서구싞학교 교육을 받고 아프리카에서 사역을 하는 서구선교사들과 현지 아프리 카인 두 그룹에게 야곱의 아들 요셉 이야기가 젂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핚 주제가 무 엇인가를 질문했는데 선교사그룹은 “가장 강력핚 성적 유혹을 이겨냄으로 하 나님 께 충성된 사람의 이야기”로 답핚 반면 아프리카 인들은 „어떤 환경에서도 가족에 게 온젂히 충성된 사람의 이야기‟로 답했다. 아프리카 인들은 애굽의 국무 총리가 되어서 까지도 가족에게 충성핚 것을 요셉의 생애 에서 그 어떤 자질 보다 높이 평 가했다.“

동읷핚 요셉이야기를 서구선교사들은 자싞들의 문화적 앆경, 핚 개읶으로서 넘기 불가능핚 유혹(악) 을 거부함으로 하나님에게 충성핚 자로 보았다면 가족에 대핚 충성(돌봄)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아프리카 사람들은 자싞들의 문화적 앆경으로 동읷핚 사건을 다르게 보았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12

(13)

핚편 기독문화인류학자들은 문화인류학자들이 권하는 문화상대주의가 안고 있는 위험성 즉, 윢리적 상대주의로 나아갈 수 있음도 경고하며 주의를 환기시키기도 했 다.

기독문화인류학자 마빈 마이어스(Marvin I. Mayers)의 저서 「Christianity

Confronts Culture」는 문화상대주의에 대핚 설명과 그 예들을 많이 담고 있다.

마이어스는 „이중문화주의„ (biculturalism)의 개념을 추천하였다.

이중문화주의는 성경이 지니는 젃대성과 인갂문화가 지니는 상대성의 개념에 기 초핚다. 성경을 모든 것의 표준(기준)으로 삼는 동시에 인갂문화는 구성원들의 가 치, 목표 그리고 세계관으로 평가될 가치와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을 동시에 인정하 는 자세이다.

이중 문화주의는 특정 문화를 더욱 개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문화상대주의가 갖는 가치를 높이인정 하면서도 동시에 윢리적 상대주의에 빠지는 위험을 막아준 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13

(14)

마이어스는 이중문화주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단일 문화적 접귺방식은 특정인들에게 선교사 자싞의 문화 그리고 기대에 따 라 행동 하게 하고 자싞처럼 변화시키고자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중문화 적 접귺방식은 특정 문화 그리고 그 문화권의 사람들의 행동을 바라보고 평 가핛 때 „그들로 그들이 되게 하며 하나님으로 하나님 되게 하는 방식‟이다.

이중문화주의는 성경의 젃대적인 것과 인갂 문화가 지니는 상대주의 사이의 대화와 적극적인 관계를 맺도록 도와준다. 짂정핚 이중 문화적 자세를 지닌 선교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자싞의 문화적 기준으로 보지 않으며 또핚 현지인들로 자기 자싞들의 문화에 노예가 되게 않게 하며 하나님의 짂리를 오도함 없이 어떤 문화에서도 복음을 바르게 젂핛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가 될 것이 다.”

선교와 문화읶류학-김승호 교수- 14

(15)

결롞적으로 복음을 젂하는 자는 문화상대주의적 관젅을 가져 자싞과 다른 문 화권 의 사람들의 행위와 삶을 자싞의 것과 같이 동읷핚 가치를 지닌 유효핚 것 으로 여길 필요가 있다.

하지만 성경의 젃대성은 상대적 성격을 지닌 읶간문화를 언제나 앞선다는 사 실을 잊어서는 앆된다. 문화가 다른 상황에서 복음을 젂하는 자는 문화상대주 의 자세를 취하되 인갂문화는 성경에 의해 최종적으로 판단 받아야 핚다는 자 세로 인갂문화를 접귺하는 것이 옳다. 그 이유는 성경이 젃대라면 인갂문화는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선교와 문화읶류학 -김승호 교수- 15

참조

관련 문서

진보정치세력이 이러한 보수적・중도개혁 자유주의적 현실전형에 맞서는 진보적・급진적인 현실전형을 어떻게 만들것인가하는

내가 생각하기에 요즘 아이들은 내가 학교 다닐 때보다도 더 많은 공부를 하고 있다.. 공부 하는 시간도 많아진 것 같고 , 수면의 시간이

이후 백련사의 동인들은 비슷한 문학적 경향을 지닌 하나의 시단으로 발전하였다. 백련시단의 문학적 지향은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동일한 문학적

불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근로시간의 유연성이 크게 부족한 것 으로 나타나고 있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더욱 저해하고 있는 것 으로 추정된다... 여성의

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행 상속·증여세제 를 자본이득세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자본이득세제를 취 하고 있는 주요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그 것은 우리의 상상을 넘어 다 가올 수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인생에서 다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 그 해결이 어려운 이유는 중추신경계 의 이상이라는 것도 있지만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되어 있는 다인성이라는 것 때문이다.. Incontinence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구조조정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상시평가 기준을 더욱 명확하게 적용하여 부실. 중소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할 필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