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재생과정에서 우리가 잃은 것과 지키고자 하는 것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도시재생과정에서 우리가 잃은 것과 지키고자 하는 것"

Copied!
7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도시재생과정에서 우리가 잃은 것과 지키고자 하는 것

‘리 퉁 스트리트’에서 우리가 잃은 것은 무엇인가?

‘삼 수이 포’에서 우리가 지키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Community Museum Project 커뮤니티 뮤지엄 프로젝트 (Howard Chan, Siu King-chung & Tse Pak-chai 하워드 챈, 시우 킹 청, 체 팍 차이)

‘불도저로 밀어버리기 식’의 홍콩의 도시재개발 사업은 무형적 자산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파괴된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적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리 퉁 스트리트 (일명: 청첩장의 거리)’와 ‘삼 수이 포’, 두 지역 모두 그들의 고유한 역할을 지닌 박물관과 같다고 할 수 있다. 1970년대 자생적으로 조직화된 인쇄소 거리는 서로 다른 세대의 다양한 인쇄소가 나란히 공존하고 있어 마치 박물관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또 하나의 오래된 구역인 삼 수이 포는 수공업자들의 거리와 공업소가 밀집된 곳으로 토착적인 창조활동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두 지역 모두 수많은 상가들과 수공업자들을 몰아내는 방식의 거대한 재개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로 인해 이 지역의 비즈니스 생태계가 분해되었다. 서민적인 생산 방식과 수공예업자들의 소중한 기술들은 주택사업이라는 개발에 밀려 사라질 것이며, 중산층을 위한 고층 아파트와 왜곡된 소비형태를 부축이는 쇼핑몰로 대체될 것이다.

‘커뮤니티 뮤지엄 프로젝트’(Community Museum Project, www.hkcmp.org)는 두 지역의 사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며, 발표는 두 파트로 짂행된다.

• 재개발 과정에서 잃은 것은 무엇인가?

• 무형적 자산과 이웃들의 확립된 정체성을 기록하기 위해 어떠한 시각적 조사가 짂행되어야 할 것인가?

• 소상공인들의 발젂을 위해 시각적 자료에서 무엇이 개발되어야 할 것인가?

What We Have Lost and What to Keep through the Regeneration Process

What have we lost in Lee Tung Street?

What are we trying to keep in Sham Shui Po?

Community Museum Project (Howard Chan, Siu King-chung & Tse Pak-chai) The “bull-dozing” approach of urban redevelopment in Hong Kong has attracted much criticism concerning the destroy of intangible heritage and social network. Lee Tung Street (nicknamed “Wedding Card Street”) and Sham Shui Po are both “museums” in their own right. Established itself organically in 1970’s as a cluster of print shops, Lee Tung Street was practically a museum with parallel existence of different generations of printers. Sham Shui Po, another old district and home to thematic material shop clusters and street craftspeople, is a centre of vernacular creativity.

The massive redevelopment of both sites had drove out many of the original shops and craftspeople, and took apart the business ecology. Under the general trend of the gentrification, the grass-roots production environment, and with it the unsung technique of the craftspeople, will be gone, to be replaced by high-rise middle-class residential and shopping complex which skew towards consumption.

The two-part presentation will focus on the work of Community Museum Project (CMP,

www.hkcmp.org) in the two areas: What is being lost in the redevelopment process? How does visual research help to record the intangible heritage and affirm the identity of the neighborhood? What can be developed out of the visual data to further the grass-roots business?

(5)

Visualizing the Community

Howard CHAN, SIU King-chung, TSE Pak Chai

28 Aug 2010

Community Museum Project (CMP)

with Howard CHAN, Pak Chai TSE, Phoebe WONG

Not a Museum but

Museum Projects

Employ museum methods to explore and showcase indigenous creativity, visual culture, and public culture, and to encourage cross-disciplinary knowledge

articulations and participations…

Museum methods and roles

the “textbook approach”

Acquisition / Collection / Preservation Research / Interpretation / Dissemination

Exhibition / Communication / Education

Community Museum Project’s approach…

• collecting the un-collectables: cultural scavenging

• researching artifacts, people and stories

• visualizing social issues and our community

• showcasing local practices and knowledge

• affecting public affairs

Cultural Scavenging

(6)

Lee Tung Street, Wan Chai 2008

Building elevation The making of…

(7)

Studying the “visuals” and ecology of the

“Wedding Card Street”

(8)

Visual culture: Street structure Ecology: Types of shops

(9)

Ecology: Evolution of print shops Ecology: Kaifong relation

Ecology: Moving on the same street Ecology in visual signs: Lee Tung Street with

protest banners (phase 1)

(10)

Lee Tung Street inhabitants in self-organizing

mode: meeting notifications (phase 2) Signs of community disintegration: Lee Tung Street with removal notices (phase3)

Silent takeover: Lee Tung Street under

authoritative warning (phase 4) Exhibition in shopping mall

(11)

Guided tour by local residents Printing demonstration

LTS image as anchor LTS image as anchor

(12)

What have we learnt?

• Collecting & Research as visual-form-giving processes

• Residents as community informants and docents

• Exhibition as a social “magnet” and street index (for city tour)

• Street as an Icon and museum

• Publication as dissemination and fundraising tool

• Shopping mall became a place for “community exchanges”

• Museum methods as a community building tool

Street as Museum: Cultural Tour Series

The route: old district of Wanchai

(13)
(14)

Street as community

resources

(15)
(16)

Observation: recycle system (wooden cart) Focus: Process (wooden cart)

Focus: Space

A self-sustaining economic

and community model

(17)

Exhibition: Setting Craftspeople research

Craftspeople research Craftspeople research

(18)

Craftspeople research Focus: Materials & Components

Exhibition: Setting Guided tours

(19)

Guided tours Observation: versatility of technique (metal work)

Observation: modular design & production Observation: modular design (flower plaque)

+ +

=

basic configuration

(20)

Observation: modular design (flower plaque)

+ + +

=

extended configuration basic configuration

Observation: space and production transform (rattan furniture)

Observation: modular production (rattan couch) Observation: participatory consumption >> community

network (beading)

(21)

Observation: participatory consumption >> community network (bead weaving)

Focus: Community Network

Observation: possibility of cross-sector collaboration (seamstresses/NGO/designers)

Observation: possibility of cross-sector collaboration

(seamstresses/NGO/designers)

(22)

www.hkcmp.org/craftsman_book.pdf

Building a craftspeople &

designers community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Brian Lee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Brian Lee

(23)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Brian Lee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Brian Lee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Brian Lee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Brian Lee

(24)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Ho Chung Kee X Benny Lau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Ho Chung Kee X Albert Tsang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Victory Metal Work X Tony Lim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ADPL Social Service Centre Sewing Co-op X Hung

Hing Ho X Cheung Lik

(25)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Tat Shing Rattan Furniture X Chong Wai-yung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Paul Chu

Craftsman-designer collaboration:

Yau Kee X Paul Chu

2. Works from R&D workshops

(26)

2. Works from R&D workshops 2. Works from R&D workshops

2. Works from R&D workshops 4. Youth education workshop

(27)

4. Youth education workshop

4. Youth education workshop 4. Youth education workshop

(28)

4. Youth education workshop

4. Youth education workshop Five-way partnership

Cultural partners:

artists/designers, academics, researchers Community

partners:

local industries / craftspeople, NGOs, residents

Education partners:

institutes, students, apprentice

Business partners:

business strategies, marketing positioning, retailing

Government partners:

policy bureau, district council

Production

Support

(29)

Museum as a method to…

Curating social resources

A community building strategy:

Social Curating

Visualizing public affairs and

generating means for participations

(30)
(31)
(32)
(33)
(34)
(35)
(36)

• Community is a dynamic entity – always in its forming and disintegration

• “Community” exists when defined, themed, seen and worked on

• Museum should not only talk about the communities, it may become a tool to build communities

Museum as Method:

1. Themeing the sights . Collecting data . Classifying data

. Constructing the theme

. Interpreting/analyzing/producing knowledge

(Drawing on local knowledge of community partners) 2. Visualizing insights/knowledge;

3. Publicizing participations;

4. Effecting changes.

www.hkcmp.org

(37)

우리나라 도시재개발사업에서 잃어버린 것들

홍인옥

목 차

 우리나라 도시정비의 역사

 정비사업의 추진절차와 쟁점

 잃어버린 것들

(38)

1. 우리나라 도시정비의 역사

급격한 도시화와 불량주택지

단속과 철거에 의한 불량주택지 관리 : 신규 불량주택지의 형성

경제개발 2기 (1973년 이후)

일제시대 (1945년 이전)

경제개발 1기 (1962 ~ 1972)

해방이후 및 전후복구 시기

(1945 ~ 1960)

• 원읶 : 급격한 읶구증가 및 태평양젂쟁으로 읶한 건축억제 등 주택부족 - 주택부족율 : 1926년 5.75% → 1944년 40.25%

• 토막촌 형성 : 행랑살이, 집단의 무허가 임시거처

- 아현동, 싞당동, 홍제동, 돈암동, 용두동, 싞설동, 왕십리 등

• 원읶 : 해방 읶구 남하 및 젂쟁 직후 주택파괴에 따른 주택부족 - 주택부족율 : 1944년 40.25% → 1955년 50.20%

• 판자촌 형성 : 산비탈 및 하천변 판잣집 양생

• 정책 : 불량주택지 다른 곳으로 이젂 → 시외곽(예 : 미아리정착지사업)

• 원읶 : ’62년 이후 급격한 도시화로 읶구급증 → 유입읶구의 실업상태

• 정책 : 단속과 철거

- 8~12평의 대지 제공 → 또 다른 불량주택지 형성 - 62~70년대 정릉동, 상계동 등 20여개 43천가구 조성

• 원읶 : 73년 재개발사업 법제화 이후 무허가 및 불량주택지 발생감소 - 소득증가와 저소득층의 유입 감소

- 70~80년대 강남개발과 재개발사업으로 경기읷원 불량주택지 이동

• 불량주택지에 대한 정책 : 단속과 철거

(39)

전면철거 중심의 불량주택지 정비정책

83년 합동재개발방식의 도입 : 전면철거 재개발사업의 활성화 정책적 배경

단속과 철거

재정착지의 조성

지구수복(67년부터)

위탁방식(78년부터)

합동방식(83년부터)

• 불법 건축물의 불법성, 보건위생 및 재해위험의 사회문제 야기

• 도시경곾 중시 및 화재, 하천 침수 등으로 이재민 이주대책 대두

• 1964년 무허가건물정리 5개년계획으로 체계화

• 적발책임자제, 구역별책임자제, 2차책임자제 등 도입하였으나 실패

• 72년부터 항공촬영 기법 사용으로 한 해 평균700동 감소

• 정착지를 조성하여 이주시키는 방식

• 70.5.18 경기 광주굮 대단위개발계획 발표

-72년까지 300맊평, 55,000가구의 350,000명 위성도시 개발계획 -71년까지 24,000가구의 114,000명 영세민 강제 이주 집행

• 시민아파트 건립 : 시와 입주자가 공사분담을 통해 사업시행 - 70년 와우아파트 붕괴사고로 중단

• 현지개량(양성화사업의 발젂, 72년 도입)

- 공공시설 50∼100%, 시에서 지원, 주민스스로 주택개량

• 재개발 촉짂을 위해 철거재개발방식으로 홖원

• 대지규모를 대형화하여 공동주택 건립방식 도입 : 젂면철거를 통한 수직 입체화

• 민갂 건설업체 참여 추짂

• 주민의 거센 항의 직면 : 재개발사업의 극도 위축(82년 316세대 건립)

• 원주민 수용 이상의 주택 추가건설 : 건설업체 사업성 확보/주민비용 젃감

• 건설업체와 주민의 합동으로 자립재정 도모

• 제도적 지원 : 조합의 사업시행자 선정, 건폐율과 용적률 완화

• 89년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도시저소득주민의주거홖경개선임시조치법’ 제정

주거지역의 성격에 따른 사업방식 다양화

1987년 주택재건축사업 도입

아파트 노후화 문제

재건축사업의 법적 근거

1989년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입

임시조치법의 제정

재개발사업의 다양화

• 1989년 ‘도시저소득주민의주거홖경개선을위한임시조치법’ 제정

• 도시 저소득주민의 복지증짂과 도시주거홖경개선을 목적

• 주거홖경개선계획의 수립기준, 젃차, 주택의 규모, 공급조건 등에 대해 규정

• 철거중심의 재개발사업 읷변도에 따른 주민반발로 주민의사에 따른 사업추짂

• 현지개량과 공동주택 건립 등이 사업방식

• 지방도시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특례 읶정

• 1984년 ‘집합건물의 소유 및 곾리에 곾한 법률’ 제정

• 공동주택 문제를 다루나 재건축사업에 대한 내용을 직접 다루지는 않아 사업 으로 의 적용에 한계

• 1987년 주택건설촉짂법 개정

• 기반시설은 양호하나 주택이 노후 불량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기졲 주택 을 철거하고 그 대지 위에 싞규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민갂이 시행

(40)

불량주택지의 감소 및 노후불량주거지의 증가

주거지 정비체제의 정비 : 노후불량주거지의 계획관리 강화

•곾렦법 통합을 통한 기성시가지 곾리의 틀 마렦 : 도시및주거홖경정비기본계획 수립 등

•정비개념과 적용대상의 확대 : 구역지정 요건의 제한 및 지구단위계획 의무화 등

•정비방식과 정비수법의 다양화 시도 : 제도적 귺거마렦으로 주거홖경정비젂략의 다양화 모색

주택건설촉진법

도시재개발법

도시저소득주민의 주거환경개선임시조치법

주택재건축사업

주 택 법

주택재개발사업 (도심, 시장, 공장재개발)

주거환경개선사업

03.05.29제정/03.11.30시행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02.12.30제정/03.07.01시행 대지조성사업

민영주택사업

89.04.01제정 03.07.01폐지 76.12.31제정 03.07.01폐지

광역단위 정비 : 재정비촉진사업(뉴타운사업)

기성시가지의 생활권 단위의 광역적 정비

• 광역단위(생활권) 계획적 개발

• 공공부문 역할증대(계획수립주도, 기반시설지원)

• 다양한 사업방식 혼용, 주변연계개발

2002. 10. 서울시 뉴타운사업 도입: 은평, 길음, 왕십리 시범지구 지정 2003. 4. 법적 귺거로 지역균형발젂조례 제정

2003. 11. 2차 뉴타운 12개 지구지정 2005. 12. 3차 뉴타운 10개 지구지정 2005. 12. 도시재정비촉짂을위한특별법 제정 2006. 도시재정비촉짂사업 젂국 확대 2008. 4 18대 총선 공약으로 뉴타운사업 급부상 2009. 1 용산참사 발생

재정비 촉진사업의 전개과정

(41)

2. 정비사업 추진절차와 쟁점

노후불량주거지의 정비사업절차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수립

정비계획수립 및 정비구역지정 신청

정비계획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

(지구단위계획수립 간주)

시행자 지정

(시장, 군수, 구청장 또는 주택공사 등)

사업시행인가

(다른 법률 인·허가 의제처리)

토지 등 보상 착공 및 주택공급

특별시장, 광역시장, 시장 (시장은 도지사 승인)

시장, 군수, 구청장 → 시, 도지사

시, 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

시장, 군수, 구청장 주민공람(14일 이상)

지방의회 의견청취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주민공람(14일 이상) 지방의회 의견청취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토지등 소유자2/3이상 동의

주민공람(30일 이상) 건축심의 등 관계기관 협의

임시수용 또는 이주

지구지정, 정비계획, 사업추진 단계의 선계획·후개발

•기본계획수립 후 정비계획수립을 통한 구역지정 싞청 및 지정·고시되면 사업추짂

•현지개량방식의 경우는 국·공유지처분계획에 의한 기반시설 정비 후에 건축개량 개별 추짂

(42)

노후불량주거지의 정비기조 및 주요쟁점

계획수립의 측면 : 노후도 중심의 지구지정 및 사업방식 결정

•생홗권 : 동읷 커뮤니티의 소생홗권을 귺린생홗권단위에 입각해서 계획함

•주변지역 : 기반시설, 공공편익시설 등은 주변지역과 연계될 수 있도록 계획함

•커뮤니티 : 지역특성 및 주민여건에 맞는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을 제공함

•삶의 질 : 주거홖경, 자연홖경, 읶문홖경의 질을 향상하여 지속적읶 거주를 지원함

• 노후도와 동의율에 근거한 정비구역

• 아파트단지 생활권계획

• 단지생활권을 고려한 층수와 높이

• 단지 내 주민을 위한 부대복리시설

• 지형특성으로 인한 옹벽화

• 규정에 적합한 최소한의 복리시설

• 아파트단지 생활권과 주변 생활권

• 어린이 놀이터(50세대 이상)

• 노인정(100세대 이상)

• 주민공동시설(300세대 이상)

• 보육시설(300세대 이상)

• 동간 일조권 확보(1:1)

• 주변지역 일조권 확보(h≤2L)

• 건축물 층수(평균층수)

• 임대주택(건교부 지침)

생활권 주변지역 커뮤니티 삶의 질

자료 : 2010 도시및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참고(서울시, 인천시, 대구시)

노후불량주거지의 정비기조 및 주요쟁점

사업추진의 측면 : 권리자 중심의 주택공급 및 주거복지 분담

•사업주체 : 토지 등 건축물 소유자로 사업주체가 제한됨

•주민동의 : 정비계획수립을 통한 구역지정, 시행자지정, 사업시행읶가 등 사업주체의 동의 득함

•사업시행 : 사업시행자는 사업주체가 우선함(주거홖경개선사업의 경우는 정부출연기곾 시행)

•공공임대 : 곾렦지침에 귺거하여 계획세대수의 17% 이상을 공급함

사업명칭

주거환경개선사업

기반시설여건 노후불량건축물

주택재개발사업

주택재건축사업

• 지극히 열악 - 접도율 20% 이하 - 과소필지율 50%

이상

• 과도하게 밀집 - 호수밀도80호, - 노후불량건축물

60% 이상

• 열악 - 접도율 30% 이하 - 과소필지율 50%

이상

• 매우 밀집 - 호수밀도 60호, - 대지규모 1만㎡, - 노후불량건축물

60% 이상

• 양 호

• 밀 집

-300세대, 1만㎡이상 -200호, 1만㎡이상 (노후불량건축물2/3 이상, 15년 이상 다세 대·다가구 30%이상)

사업시행주체 및 동의율

• 지자체, 공법인

• 토지등소유자2/3+

세입자1/2이상 (세입자가 토지등소유 자의 절반이하의 경우 동의 불필요)

• 조합

• 공동(지자체, 주택공 사, 건설업자)

• 주택공사

• 지정개발자

• 조합

• 공동(지자체, 주택공 사)

• 주택공사

• 지정개발자 구역지정요건

• 기반시설 열악

• 노후·불량건축물 밀집

• 국·공유지 다량

• 기반시설 열악

• 노후·불량건축물 밀집

• 주거지기능 상실

• 20년 이상 노후공동주택지 물적 기준위주의 사업추진 및 시행

(43)

정비사업의 진단 및 평가

점진적 수복에 의한 개량방식의 진단 및 평가

•계획수립 : 도로 등 기반시설의 확충, 공동건축 유도

•사업추짂 : 공공의 기반시설 설치, 주민의 주택개량, 기반시설 편입부지의 보상

•추짂체제(국고지원 후) : 원홗한 기반시설 설치, 공공편익시설의 읷부 공급

도로공급중심의 정비계획

• 지역특성과 무관한 도로중심의 정비계획

• 기반시설 편입주민의 주거대책 미흡

• 무리한 공동건축 유도

기반시설정비(공공)와 주택개량(주민)의 이원화

• 기반시설은 국고지원으로 원활한 추진

• 주택개량 실적은 미흡

• 지역의 재슬럼화 초래

사회, 경제, 복지 인프라 정비의 미흡

• 물적 위주의 주택개량 및 도로정비

• 문화, 복지 등 기초 생활시설의 부재

• 원주민 재정착률의 저하 및 재슬럼화

정비사업의 진단 및 평가

전면철거에 의한 공동주택방식의 진단 및 평가

•계획수립 : 아파트 단지계획, 용도지역의 순화, 법상 부대복리시설의 설치

•사업추짂 : 토지의 젂체 매수, 주택공급 및 기반시설설치의 읷원화, 분양가의 조정

•추짂체제 : 계획수립 및 사업추짂젃차의 곾리, 도시 내 임대주택 공급

아파트 공급중심의 정비계획

• 지역여건과 무관한 아파트단지 정비계획

• 사업성 확보를 위한 과도한 용도상향

• 부대복리시설 등의 단지 내 사유화

낮은 보상비와 높은 분양가

• 주변시세와 비슷한 분양가 형성

• 저소득계층의 경제부담 가중

• 주변시세의 상향 등 부작용 발생

저소득계층의 주거안정 미흡

• 높은 분양가로 인한 주거 불안정

• 세입자 대비 임대주택의 과부족

• 분양세대와 임대세대의 갈등 발생

(44)

3. 정비사업에서 잃어버린 것들

• 개별 지구단위 정비에서 생홗권 단위 광역정비

• 다양한 정비수법 적용

• 공공 부문 역할 증대

=> 기졲 정비사업의 문제점 개선

뉴타운사업(재정비촉진사업)에 따른 정비사업 개선

정비사업의 개선과 발전

• 서울시 2단계 뉴타운사업지구(2003.11)로 생홗권개념에 충실한 뉴타운 사례

• 지역특성과 주변지역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특히 여건이 양호한 지역과 정비지구 내 양호한 시설 및 건물 또한 졲치 내지는 이젂

아현뉴타운 사례

(45)

아현뉴타운:

마스터플랜

아현 뉴타운:

현황

(46)

아현뉴타운 : 토지이용계획

아현뉴타운:

존치 및 이전

시설계획

(47)

• 종합적이고 체계적읶 계획 수립을 통해 이젂에 비해 사업내용이 개선

• 특히 물리적 측면에서는 읷률적읶 젂면철거에서 탈피하여 보젂할 지역은 졲치지구로 지정하여 정비하고, 건물과 시설도 필요에 따라 졲치하는 등 공갂적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상당히 개선

• 그러나 지구 내 주민들의 읷상생홗과 여기에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홗력들, 그리고 주민들갂의 곾계, 공동체성은 여젂히 충분하게 고려되지 못하고 있고, 사업내용에 반영되지 못한 채 사라지고 있음

1.‘마스터플랜’에 빠져 있는 것들

정비사업에서 잃어버린 것들

“총회 반대조합원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정식으로 총회 무효소송과 임시총회 소집을 요청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는데, 소송진행과정에서 조합측이 비대위 요구사항을 받아 들이면서 소송을 취하하고 임시총회를 개최하였는데, 비대위가 서면결의서 사전개봉논란을 제기하면서 갈등이 다시 격화되었다”

(인천 S재개발구역)

“재건축 이후 한독주택의 공동체성은 사실상 완전히 와해되었다고 보는데, 여기에 재건축과정에서의 갈등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본다”

(K씨, 복음자리 공동체 한독주택 재건축 주민) 2. 주민간의 갈등과 공동체성의 상실

정비사업에서 잃어버린 것들

(48)

115. 추진위와 추진위간의 주도권싸움 116. 추진위와 추진위간의 지분문제 142. 추진위와 조합원간의 미동의문제 161. 추진위와 지방정부간의 법 규제관련

문제 121. 추진위와 비대위간의 불싞임문제 143. 추진위와 조합원간의 불싞임문제

234. 조합집행부와 비대위간의 주도권싸움 123. 추진위와 비대위간의 주도권싸움 231. 비대위와 조합집행부간의 불싞임문

331. 조합집행부와 조합집행부간의 내부갈

151. 추진위와 시공사간의 담합의혹 341. 조합집행부와 조합원간의 미동의문

342. 조합집행부와 조합원간의 미이주문제 191. 추진위와 설계회사간의 불싞임문

344. 조합집행부와 조합원간의 상가미동

의문제

343. 조합집행부와 조합원간의 불싞임문제 235. 비대위와 조합집행부간의 지분문

346. 조합집행부와 조합원간의 총회관련

문제 353. 조합집행부와 시공사간의 사업운영차

236. 비대위와 조합집행부간의 총회관

련문제 347. 조합집행부와 조합원간의 추가부담

금문제 354. 조합집행부와 시공사간의 시공조건이

332. 조합집행부와 조합집행부간의 단

지간지분이견 352. 조합집행부와 시공사간의 불싞임문

363. 조합집행부와 지방정부간의 법규제관

련문제 345. 조합집행부와 조합원간의 전세비

용문제 356. 조합집행부와 시공사간의 정산문제

445. 조합원과 조합원간의 상가미동의문제 371. 조합집행부와 시민단체간의 문화

재관련문제 359. 조합집행부와 시공사간의 추가부담

금문제

551. 시공사와 시공사간의 수주홍보전 444. 조합원과 조합원간의 불싞임문제 365. 조합집행부와 지방정부간의 용적률 관련문제

정비사업의 갈등유형과 갈등요인 1

3. 지역 활력 : 미등록 소형 업체

정비사업에서 잃어버린 것들

구 분 사례수 등록 미등록 무응답 계

전체 893 12.9 81.7 5.4 100.0

사업장 형태별

생계형 영세/중소형

무응답

567 316 10

8.4 20.7 25.1

86.2 74.6 55.5

5.4 4.7 19.4

100.0 100.0 100.0 사업장

면적별 (평)

1~10평 11~20평 21~30평 31평이상 무응답

256 314 144 100 79

3.7 13.2 16.4 36.5 5.7

88.7 84.7 79.7 59.9 78.6

7.6 2.2 3.9 3.6 15.7

100.0 100.0 100.0 100.0 100.0

• 공식통계로 확읶되지 않기 때문에 계획에 반영되지 못한 채 정비사업으로 사라지는 지역 내 소규모 미등록 경제홗동

 창신지구 사례 : 지구 내 봉제업체 현황

구 분 사례수 월세 전세 소유 무응답 계

전체 893 73.2 4.7 7.3 14.7 100.0 사업장형

태별

생계형 영세/중소형

무응답

567 316 10

73.1 74.9 27.5

5.6 2.8 18.3

7.1 7.8 -

14.2 14.5 54.2

100.0 100.0 100.0

(49)

새로운 도시정비사업의 발전과제

갈등 ⇒ 협의

거주자

쇠퇴 ⇒ 회복

경제

해체 ⇒ 재생

+ + 사회

새로운 사업비전 정비수법의 다양화

정비방식 -통합형 정비사업

정비전략 -계획수립의 측면 -사업추진의 측면 -추진체제의 측면

사업투명화와 공공역할의 강화

거버넌스 시스템의 구축

사회경제적 지원

제도적 지원

사업평가 및 관리

주민생활에 중점을 둔 정비

지역활력을 살리는 정비

지역공동체성의 유지 강화

3. 새로운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추진 전략

감 사 합 니 다

(50)

지역 사업체들을 위한 도시재생사업

- 안양에서 지키고자 하는 것 -

서 종 균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해야 할 가치

 부동산 개발을 통한 지가 상승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해야 할 것이 단지 부동산 개발을 통해 얻어질 경제적 가치만은 아니다. 도시재생사업은 훨씬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해야 마땅하다. 부동산 개발의 가치는 생활의 다른 가치들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 개발의 지향점은?

개발이나 경제 성장을 통해서 우리가 지향하고 있는 미래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세계도시 뉴욕 같은 곳을 만드 는 것인가? 아니면 우리주변의 어르신,장애인,어린이, 가난 한 사람들에게 더 살기 좋은 여건을 만드는 것인가?

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도시재생은상대적으로 주목 받지 못했지만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에 주목하고, 그것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서 가능 하다.

(51)

소상공인의 가치  소상공인의 국민경제적 가치

-소상공인은 전체 사업자의 88.4%, 전체 종사자의 41.5%를 차지하는 국민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2006년 기준).

- 규모보다 더 중요한 것은 250만 명이 넘는 기업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가의 혁신적인 시도는 경제 성장의 기반이 다.

 재개발사업에서 소상공인에 대한 고려

- 재개발사업에서소상공인들에 대한 고려는 주로 보상에 국한 되었고, 그들의 정치적 힘이 강할 때에 한해 그 기능을 보존하 기 위한 방법이 고려되었다. 기본적으로 부동산 개발을 신속하 게 추진하기 위한 고려였다.

 소상공인의 지역경제적 가치

- 소상공인은재개발사업 등으로 상실되기 쉬운 지역경제의 잠 재력이다. 재개발사업의 영향을 받는 대부분의 소상공인은임 대료 상승 및 상권 변화에 따라 재이전하기 어렵고, 사업체를 이전하게 되어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래서 상당수의 사업체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 지역경제의 잠재력을 상실하지 않고 그 가능성을 충분히 발 휘할 수 있는 재생사업이 모색되어야 한다.

소상공인의 잠재력 실현을 위한 실천

 지역 소상공인의 실태 파악

-지역 소상공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재개발사업 등에 대한 태도 파악.

 지역경제 활성화 사례 검토

- 기존 재개발사업에서소상공인들에 대한 고려 현황 - 지역의 혁신적 기업문화를 촉진하기 위한 사업과 지원

프로그램

 혁신적인 기업문화를 위한 공모사업

- 소상공인의 기업혁신계획을 지원하는 공모사업

 지역경제 혁신을 위해서 학습하고 행동하는 조직

(52)

프로젝트 진행에 참가한 사람들

- 미국 (1인) : 릭 로우

- 한국도시연구소 (6인) : 서종균, 신효진, 김민수, 김윤이, 김현옥, 김준희 - 성공회대학교 유통정보학과 (6인) : 장승권, 이재준, 임지연, 장경숙,

주미현, 김재호 -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1인) : 탁영민

- 계원예술대학 (9인) : 이영준, 정은진, 이보라, 최희진, 김경미, 곽은지, 김구열, 윤은진, 이수아 - 국토연구원 (2인) : 이영아, 류태희

- 시정개발연구원 (2인) : 양재섭, 장남종 - 경기개발연구원 (1인) : 봉인식 - 나눔과미래 (1인) : 이주원 - 안양시청 (1인) : 문소운

- 한겨레경제연구소 (1인) : 서재교

- 기타 (2인) : 정일건(동영상), 김보슬(디자인) - APAP2010 코디네이터 (2인) : 심혜화, 도화진 - 기록 (2인) : 주형국(동영상), 김대남(사진)

공모사업 참가자

• “남대문순대곱창” 이장희

• “마녀공방” 이정희

• “봉봉식품” 봉필규

• “선화장품” 홍정민

• “열린슈퍼” 류영근

• “제일닭집” 박길숙

• “조은건강원” 조한석

• “즉석두부마을” 유진열

• “하나상사” 이혜옥

• “함현정미용실” 함향순

- 12개 업체 공모사업 워크샵 참여

- 10개 업체 사업혁신계획 발전 과정 참여

- 4개 업체 수상

(53)

추진과정

구분 시기 내용

연구자문팀

워크샵 2010.04.01

서울뉴타운 사례소개 영국 지원센터 사례소개

홍콩 예술+상업을 통한 소상공인 지원 사례소개 도심재생사업

뉴타운사업에서 상공인들의 요구

국내외

사례조사 2010.04~ 국내외 지역재생/소상공인 지원 사례 검토 도심재생사업에서 사업체 이전 방안 검토

소상공인 인터뷰

1차 : 2010.04.12 2차 : 2010.04.13 3차 : 2010.04.15 4차 : 2010.04.20 5차 : 2010.04.28

안양역 부근, 청원시장, 박달시장, 석수시장, 안양대로 중심으로 주 민인터뷰

- 상인조직 중심(박달시장)

- 자원발굴 중심(수제화, 양복점 등 제조기술업체)

6차 :

2010.06.09~06.17

주민인터뷰 및 소상공인 지원공모사업 홍보 - 만안뉴타운 지역 중심

7차 : 2010.07.02 소상공인 워크샵 참가자 추가 인터뷰(덕천재개발 지역)

추진과정

구분 시기 내용

소상공인 지원공모 사업

‘작은사업 큰변화’

2010.06.09~22 소상공인 대상 사업 홍보 참가대상 모집

2010.06.28

소상공인 사업혁신계획 공모전 ‘작은사업 큰변화’ 개최 - 기업혁신 아이디어 강연

- 참여업체 발표

- 조별 워크샵(소상공인에 대한 공공 지원 분야, 경영 분야, 디자인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참여한 워크샵 진행)

2010.06.29~

참여업체별 조사 및 사업혁신계획 지원

- 경영 및 디자인 분야의 인적 지원 통해 참여 소상공인 아이디어 정 리 및 발전

- 소액의 경영 컨설팅 및 디자인 지원

1차 : 2010.07.06 2차 : 2010.07.20 3차 : 2010.08.09 4차 : 2010.08.16 5차 : 2010.08.26

연구조사팀(지원팀) 워크샵 - 업체별 조사결과 발표 - 사업지원 원칙 마련 - 우승 업체 선정

- 우승 업체 지원계획 및 지원 현황 검토

(54)

연구자문팀 활동

2010.04.01 연구자문팀

워크샵

[사진출처 : 안양공공예술재단 http://www.flickr.com/photos/40740595@N05/sets/72157623988395560/]

연구자문팀 활동

2010.04.01 연구자문팀

워크샵

< 장승권_ BEST(Bristol East Side Traders) 등에 대한 발표자료 중>

(55)

연구자문팀 활동

2010.04.01 연구자문팀

워크샵

< 이영아_ 브리스톨 이스턴 비즈니스 센터 소개 발표자료 중>

사례조사

구분 내용

국내

도시재생사업 서울 뉴타운사업 현황

청계천 상인 이주정책 사례(가든파이브) 소상공인 활성화 인사동 열두가게 살리기 운동 사례

지원센터 서울 하자센터

국외

지역산업활성화 일본 중심시가지 활성화 제도 및 TMO(Town Management Organization)의 역할

지원센터 영국 지역재생 지원센터 사례 도심재생사업

* 예술+상업

홍콩 Sham Shui Po 도심재생 프로젝트

Community Museum Project [하자센터-사회적기업]

[the Lee couple of Yau Kee Wooden Cart Maker]

(56)

사례조사

< 신효진_일본의 중심시가지 활성화 시책 자료 중>

사례조사

< 김현옥_청계천 복원과 상가 활성화 사업 자료 중>

(57)

소상공인 인터뷰

2010.04~06 만안뉴타운

소상공인 인터뷰조사

[사진출처 : 안양공공예술재단]

[인터뷰 조사를 위한 설문 내용]

[석수시장]

[박달시장]

[청원시장]

[안양역 앞]

소상공인 인터뷰

2010.04~06 만안뉴타운

소상공인 인터뷰조사

박달동 19%

석수동 23%

안양동 58%

<인터뷰 참가자 지역분포>

도로변 상가 28%

주택가 상가 30%

재래시장 40%

기타 2%

<상가위치>

30대 12%

40대 19%

50대 43%

60대 26%

<연령대>

소매업 40%

요식업 16%

서비스 28%

기타 16%

<업종>

안양시 (뉴타운 구역 내) 72%

안양시 (뉴타운 구역 외) 19%

기타 9%

<거주지역>

(58)

소상공인 인터뷰

1명 42%

2명 47%

3명 9%

10명 2%

<종업원수_본인포함>

2010.04~06 만안뉴타운

소상공인

인터뷰조사 회사원35%

전업주부 7%

학생 2%

동종업종 종사 26%

기타 30%

<창업이전 직업>

생계유지 70%

가계소득 증가

4%

자기계발 5%

사회생활 경험

5%

기타 16%

<창업 계기>

저렴한 임대료 26%

출퇴근이 쉬워서(집과

가까워서) 주변 상권이 12%

좋아서 14%

기타 48%

<현재 위치로 이전한 이유>

자가소유 9%

월세 86%

전세 5%

<상가점유형태>

10대 3% 20대

6%

30~40대 40%

50~60대 51%

<주요고객 연령층>

소상공인 인터뷰

2010.04~06 만안뉴타운

소상공인 인터뷰조사

없음 29%

있음 71%

<매출액변화여부>

없음 14%

있음 86%

<단골손님여부>

인근 주거지역 57%

안양시내 12%

기타 31%

<단골손님 거주지역>

없음 83%

있음 17%

<업종변화여부>

(59)

안함 38%

하고 있음 62%

<사업장 이전 계획>

행정을 통해 11%

인근 주민을 통해 공인중개사를 42%

통해 5%

기타 42%

<보상에 관한 정보 경로>

소상공인 인터뷰

모름 51%

알고 있음 49%

<사업체 이전에 관한 보상인지 여부>

필요함 62%

필요없음 38%

<도시재생사업의 필요성>

알고있음 100%

<뉴타운계획 인지여부>

2010.04~06 만안뉴타운

소상공인 인터뷰조사

소상공인 인터뷰

대체상점가 마련 19%

적절한 보상금액

58%

정확한 정보제공

10%

기타 13%

<뉴타운 사업에 따른 상점가대책>

없음 62%

있음 38%

<뉴타운 사업 이후 재이전 영업 계획>

안양구도심 37%

안양신도심 경기도 8%

22%

기타 33%

<사업장 이전 예상 지역>

2010.04~06 만안뉴타운

소상공인 인터뷰조사

없음 79%

있음 21%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 이용여부>

어떤 프로그램이 있는지 몰라서

21%

참여할 시간이 없어서 기타 12%

67%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이유>

(60)

소상공인 인터뷰

구분 인터뷰 대상 내용 뉴타운 관련 의견

안양역 근처

자동차부품

가게 - 안양지역 자동차 수리점, 공장에 부품 납품

-뉴타운에 찬성하지만, 재이주하지 않을 예정.

임대료가 낮은 안양 인근지역으로 이주하여 영업 예정,

옷수선가게 - 안양역 롯데백화점 의류매장과 계약하여 운영

-뉴타운에 반대하며, 현재 안양역 롯데백화점이 주 요 고객이기 때문에 현재 지역을 벗어나면

사업체 운영이 어려움

박달 시장

채소가게 - 박달시장 내 노점에서 채소 판매 -뉴타운에 반대하며, 임대료 문제 및 노령으로 영업은 중단 두부가게 - 박달시장 내 상가에서 손두부 제조, 판매 - 뉴타운에 반대하며, 임대료 문제 등으로 영업 중

단, 업종 변경 구두가게 - 수제화 1차 봉제품 납품 및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완제품 판매 및 수선

- 뉴타운에 반대하며, 경기도 인근지역으로 이주하 여 영업 예정

양복가게 -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양복제작판매 및 수선 - 뉴타운에 찬성하며, 노령으로 영업은 중단 중국식품점 - 조선족, 중국인을 대상으로 중국식품 판매 -

식당 - 그릇가게를 운영하다 경영이 어려워 식당으로 업종변경

-뉴타운에 찬성하지만, 기존 거주자가 재정착하기 어려운 기존 방식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추진하기를 희망 안양

대로 꽃가게 - 인근 병원, 은행 및 주민을 대상으로 꽃판매 및 관리

- 뉴타운에 찬성하며, 경기도 인근으로 이주하여 영업을 계속하다가 사업 이후 재이주하여 영업 예 정

소상공인 인터뷰

구분 인터뷰 대상 내용 뉴타운 관련 의견

안양 월드 근처

옷가게 - 박달동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여성의류 판매

- 뉴타운에 찬성하지만, 임대료 문제로 재입주는 어려움, 기존 단골 관계 등이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사업 지속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

세탁소/의류 수선가게

- 봉제관련 회사에 근무하다가 직장생활이 힘들어 세탁소와 함께 의류수선을 시작

- 개업 후 6개월이 지나 겨우 단골을 형성, 어려운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뉴타운 사업의 필 요성이 없다고 생각함

안양3동

미용실 - 21년 동안 미용실을 운영

- 뉴타운 사업에 찬성하며, 상가세입자를 위한 영업 지속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 뉴타운 사업 이후 화장품가게로 업종 변경 예정

제과점 - 동종업계 근무하다가 창업

-지역활성화 및 환경개선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만 뉴타운 사업으로 인해 서민들의 거주지역이 사라질 것이 우려됨

식당 -큰 규모의 식당을 운영하다가 힘이 들어서 배달 위주의 소규모 식당으로 전환

- 뉴타운 사업에 반대하며 기존 가옥주들의 반대가 커서 뉴타운 사업은 추진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 인테리어 -뉴타운 지구 지정 이후 집수리 의뢰가

줄어들어 영업에 어려움

- 뉴타운 사업에 반대하며 부분적으로 노화된 건축 물을 개선하는 방법을 희망

자전거판매 - 자전거 판매 및 수리, 3대째 이어오고 있음 - 노후화된 환경 개선은 필요하지만 뉴타운 사업은 현실의 여건과 맞지 않는 사업임

화장품가게 -화장품 도매를 하는 가족의 영향으로 자영업을 시작

- 노후화된 환경 개선을 위해 뉴타운 사업이 필요 하다고 생각

(61)

소상공인 인터뷰

구분 인터뷰 대상 내용 뉴타운 관련 의견

석수 시장

카페 - 커피판매 및 지역주민 사랑방의 역할 -거주민의 삶을 유지하고 동네 커뮤니티가 지속되는 형태의 개발 방식을 선호

식당 - 남편의 사업 실패로 생계 유지를 위해 식당 을 시작

-뉴타운 사업에 찬성하며, 적절한 보상금액을 지원받기 원하고 재입주하여 영업을 지속할 예정

공방 - 동종업계 종사하다가 결혼 후 자기개발을

위해 공방(도자기 액세서리 제작 판매) 시작 - 도시 발전을 위해 뉴타운 사업이 필요하다 생각

열쇠가게 -공장 운영을 하다가 부도 이후

생계 유지를 위해 시작

-뉴타운 사업계획 이후 매출이 절반으로 감소, 뉴타운 사업이 진행되면 열쇠구매 계층이 없어질 것을 우려하여 사업에 반대

전파사 - 회사를 근무하다가 아이들 교육비 문제로

자영업을 시작 - 노후화된 환경 개선을 위해 뉴타운 사업에 찬성 시화가게 - 문인협의회를 대상으로 시화제작 판매 - 뉴타운 사업에 반대하며, 적극적으로 반대 예정

방앗간 -회사원으로 일하다 건강 문제로 일을 중단했다가 자영업을 시작

- 뉴타운 사업을 하면 좋을 것 같지만 환경이 양 호해서 사업이 불필요할 것 같은 생각

만안 초교 근처

문구점 -공무원 퇴직 후 서비스업에 종사하다 문구점을 시작

-뉴타운 사업에 찬성하며

만안구 일대 도로 확장을 희 망

슈퍼 - 사업을 하다가 나이가 들어 슈퍼를 시작 - 노후화된 환경 개선을 위해 뉴타운 사업에 찬성

소상공인 인터뷰

구분 인터뷰 대상 내용 뉴타운 관련 의견

안양2동

미용실 - 남편의 사업 실패로 미용실을 시작

- 뉴타운 사업에 대해 특별히 반대하거나 찬성하는 입장은 아니며 임대료 문제로 이전하여 영업을 지 속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

식당 - 배달 위주 식당 - 뉴타운 사업이 진행되어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기 때문에 현재는 별다른 생각 없음 건강원 -당구장을 하다가

경영이 어려워져 업종 전환

- 임대수익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노인들의 거주비 율이 높아 뉴타운 사업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

청원 시장 (안양 2동)

과일가게 - 인근 거주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운영 -뉴타운 사업에 찬성하지만,

임대료 문제 및 노령으로 영업은 중단 인쇄소 -동종 업계 종사하다가

경제적 문제로 자영업 시작

-리모델링 등 뉴타운 사업 이외 방법으로 환경 개선을 희망 탁구교실 - 스포츠에 관심이 있어 당구장을 운영하다

가 경제적 문제로 탁구교실로 전환

- 구시가지에 맞는 환경 개선 사업이 필요하다고 생각

피부관리실 -동종 업계 종사하다가 남편 부도 이후 자영업 시작

- 상가세입자라 특별한 의견은 없고 뉴타운 사업 이후 이전해서 영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

세탁소 - 이혼 이후 아버지가 하시는 일을 도와드리 면서 자영업 시작

-뉴타운 사업은 필요하지만 서민에게 보상액이 적어 경제적 어려움이 걱정됨

(62)

작은사업/큰변화

2010.06.28 소상공인 워크샵

[사진출처 : 안양공공예술재단 http://www.flickr.com/photos/40740595@N05/sets/72157623988395560/]

[기조강연 : 윤송자(씨엘테크 대표이사)] [참가자 발표(12명)]

[조별 워크샵1 : 문소운(안양시청 경제산업과)] [조별워크샵2 : 이영준(계원대)] [조별워크샵3 : 서재교(한겨레경제연구소)]

작은사업/큰변화

2010.06.28 소상공인 워크샵

< 공모사업 참가 업체 소개 판넬>

[판넬: 김보슬]

(63)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남부시장 봉봉식품_식재료 도소매점]

구분 내용

현황 (자원/문제점)

- 매장 동선이 혼란 : 제품 수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매장 동선이 혼란스러움

- 고객들을 내부로 끌어당기기 위한 외부적인 요소 가 부족

개선아이디어 - 직원 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컨설팅을 요구 : 사장 님 본인에 대한 컨설팅 보단 매장의 직원들이 받을 수 있는 교육의 전문적인 컨설팅을 얻고 싶어 하심

[사진출처: 탁영민 / 정은진]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덕천시장 선화장품_화장품 소매]

구분 내용

(자원/문제점)현황

입지의 취약성으로 인해서 고객층이 크게 변하고 있 지 않으며, 현재는 화장품 판매 보다는 주요고객층 이 할머니들이 많으셔서 염색을 해주는 것으로 수입 을 올리고 있음, 다양한 계층의 소비층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며, 화장품 판매가 아니라 염색위주의 판 매가 되고 있음

개선아이디어 - 홍보, 마케팅분야의 전문 컨설팅 : 전문적, 체계적 으로 제 품을 알리기 위한 컨설팅이 필요 - 온라인 판매 분야의 전문 컨설팅

(64)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석수시장 조은건강원_건강식품 제조판매]

구분 내용

현황 (자원/문제점)

- 외부 인테리어(디자인)가 혼란 - 홍보 방안이 부족 - 외부 환경이 혼란

- 작업 공간과 웨이팅 공간의 분리가 필요

개선아이디어 -자재 유통 직거래를 할 수 있는 루트와 제품 및 업 체를 홍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전문적 컨설팅을 요구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석수동 제일닭집_생닭, 치킨 판매]

구분 내용

(자원/문제점)현황

- 브랜드의 노후화 : 제일닭집이라는 상호를 사용하 고 있으나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아파트 인구인 젊은 세대에게 어필하고 있지 못함

- 시설 노후화 : 시설이 건설된 지 20년이 되었지만 변한 것이 없음

개선아이디어

- 브랜드 작업 : 업체와 이름 사이에 연관성이 있고 세련된 이름을 원하고 있음

- 시설 구입처에 대한 문의 : 노후화된 시설을 변경 할 때 싸게 시설을 변경할 수 있는 곳을 조사

(65)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안양2동 함현정미용실]

구분 내용

현황 (자원/문제점)

- 가장 큰 문제점은 고객에 대해 적극적이지 못한 사장님의 태도

- 기본적으로 갖추어 져야 할 기계나 용품들의 부족 - 미용실과 어울리지 않는 실내 공간과 오래되고 정 리되지 않은 내부와 디자인

- 새로운 기술 습득 부족

개선아이디어

- 미용기술 습득 등의 지원이 가능한 단체나 기관 조사

- 대청소 및 정리를 할 필요가 있음 - 내부 시설 재배치를 통한 변화 필요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호계동 하나상사_양말제조판매]

구분 내용

(자원/문제점)현황

- 다양한 사회활동과 봉사로 인해 사업에 집중이 어 려움

- 제품홍보부족

- 하청 생산 시 제품의 품질저하우려

개선아이디어

- 제품의 판로 : 관공서, 지자체의 특산품(한지섬유 를 이용한 제품)생산 제안, 제품의 지속적 공급을 위 한 판로 확보를 위해 어떤 곳에 어떠한 방법으로 거 래를 할지 등에 대해 자세한 컨설팅 필요 - 제품디자인 개선 : 디자인 향상을 위해서 디자인 대학과의 연계작업제안

(66)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

[박달시장 남대문순대곱창_식당]

구분 내용

현황 (자원/문제점)

- 입지 문제(시장 바로 아래- 거리 500m정도에 먹 자골목형성 다른 순대국 집 존재)

-주 메뉴 약화에 따른 손님들 취향에 따른 조리

개선아이디어

- 메뉴 및 주 메뉴 맛 개발 : 메뉴의 집중화와 순대 와 관련된 특별한 메뉴 개발 필요

- 홍보 개선 : 먹자골목으로 내려가는 손님을 유도 할 수 있는 홍보가 필요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박달시장 즉석두부마을__두부제조판매]

구분 내용

(자원/문제점)현황

-제품 질의 우수, 사장님의 지속적 개선 의지 -다른 업체와의 가격 경쟁하기 어려움, 가게가 영세 해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움, 제품 차별화가 미흡해서 지속적 고객 창출과 신규 고객 창출 어려움

개선아이디어

- 유기농 두부 제조, 새로운 고정 고객 확보, 연관성 있는 제품 취급 확대

- 청결상태 개선, 연두색 (녹색+노란색)과 흰색을 함께 디자인한 간판 이나 앞치마 제작, 창고의 효율 적인 활용

(67)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석수동 열린슈퍼_복권판매]

구분 내용

현황 (자원/문제점)

주변 상권에 복권방(근방 500m, 관악역 앞)이 생기 고, 바로 옆에 편의점(50m이내)이 생기면서 급격히 판매량이 줄어들고, 마진율이 적은 교통카드 충전이 많이 되고 있음

개선아이디어

- 상품 개발 : 현재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일반 상품의 상품 축소 및 새로운 상품의 개발이 필

- 편의점 상품과 슈퍼마켓 상품 사이에서 마진율이 높은 상품과 판매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품 군 확인

작은사업/큰변화

2010.07~ 사업체 조사 / 사업계획

[석수동 마녀공방_도자기관련소품 제작판매]

구분 내용

현황, 문제점

- 수공예 제품이라는 특성상 생산성 부족 - 단가문제

- 제품의 다양성 부족 - 온라인 판매상의 문제

개선아이디어 - 홍보, 마케팅분야의 전문 컨설팅 - 온라인 판매 분야의 전문 컨설팅

(68)

작은사업/큰변화

[입간판, 전단지 등 업체별 디자인 지원,

경영 지원, 컨설팅 연결 지원]

2010.07~ 30만원 컨설팅

작은사업/큰변화

지원팀 워크샵 2010.07.06 1차 2010.07.20 2차 2010.08.09 3차 2010.08.16 4차 2010.08.26 5차

[사진출처 : 싞효진]

[1차 워크샵]

[2차 워크샵]

(69)

작은사업/큰변화

지원팀 활동

 지원팀 활동의 특징

- 소상공인과 전문적 능력의 협력을 통한 사업 혁신 도모 - 예술, 경영 분야 학생들에게 소상공인의 사업 현장 체험

 지원팀 활동 원칙

- 참가자가 제안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킨다.

: 지원팀보다는 참가자가 스스로 제안한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고려하면서 사업계획을 발전시킨다.

- 참가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참가자 대신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업 여건에 대한 분석에서 발견된 사실을 기초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참가자가 보다 여러 가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질 수 있게 돕는다.

- 참가자의 사업 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지원을 제안한다.

: 참가자나 지원팀이 생각하기에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작은사업/큰변화

우승자 선정 기준

설득력 있는 혁신적 아이디어

참가자의 혁신적 아이디어는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그런 아이디어는 혁신성 뿐만 아니라 실현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고 설득력도 있어야 한다.

참가자의 태도

참가자가 적극적으로 사업혁신계획을 발전시키기 위한 적극적으로 노력하는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면서 지속적 으로 혁신을 추진할 것인지를 고려한다.

지원의 영향력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지원할 경우 사업의 성장, 지역사회의 기업문화, 소상공인 혁신을 위한 사업의 지속과 관련해서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고려한다.

참조

관련 문서

→ 자석을 고정되었다고 한다면, 원반의 속도가 느리므로 원반은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같고,. →

③ 제1항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하는 행위로서 정비구역의 지정 및 고시 당시 이미 관계 법령에 따라 행위허가를 받았거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는 행위에 관하여 그

사업장별로 그 사업에 관한 모든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시키는 경우

이와 반대 로 SBS는 작년 하반기에는 ‘배가본드’를, 올해 상반기에는 ‘더킹:영원의 군주’(예정) 등 텐트 폴 작품을 소싱하면서 차별화된 컨텐츠 경쟁력을 위해 투자하고

큐슈 각현이 농업의 생산규모 확대나 기업의 농업참가를 촉진하는 사업에 큐슈 각현이 농업의 생산규모 확대나 기업의 농업참가를 촉진하는 사업에 큐슈

스마트 러닝 지원 성과 보고회 중 시각장애,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러닝을 보며,스마트 기기를 통해 적극적으로 자기 스스로 학습을 실현하는 것 을

⑪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되지 아니한 사업에 대해서는 제 37조에 따른 투자심사나 지방채 발행의 대상으로 해서는

가 시 도는 다음 대상기관의 사업에 대하여 의무적으로 계약심사를 해야 한다... 판단하는 경우 심사대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