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통한 공공미술로서 확장된 표현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통한 공공미술로서 확장된 표현 연구"

Copied!
15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21년 8월 2021년 8월 2021년 8월 박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통한 공공미술로서 확장된 표현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왕 하 왕 하 왕 하

[UCI]I804:24011-200000504771 [UCI]I804:24011-200000504771 [UCI]I804:24011-200000504771 [UCI]I804:24011-200000504771 [UCI]I804:24011-200000504771

(2)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통한 공공미술로서 확장된 표현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anded Expressions of Public Art through the Dynamic Transformation of the Organic

Archetype Images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s’ Analysis -

2021년 8월 27일 2021년 8월 27일 2021년 8월 27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왕 하 왕 하

왕 하

(3)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통한 공공미술로서 확장된 표현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지도교수 趙 允 晟 지도교수 趙 允 晟 지도교수 趙 允 晟

이 논문을 미술학과 박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 .

2021년 4월 2021년 4월 2021년 4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왕 하 왕 하

왕 하

(4)
(5)

<목 차>

국문초록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

5

제2장 유기적 원형(organic archetype) 이미지의 개념과 양상

···

11

제1절 유기적 원형의 근원과 개념

···

11

1-1. 유기적 원형의 근원

···

11

1-2. 유기적 원형과 유기체의 개념

···

14

제2절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양상

··· 17

2-1. 생물형태성

···

17

2-2. 무의식적 자동기술성

···

24

2-3. 여성적 감수성

···

27

2-4. 환경친화성

···

30

(6)

제3장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

···

35

제1절 동적 변형 현상의 배경

···

35

1-1. 동적 변형의 비정형(inform)과 해체이론

···

35

1-2. 동적 변형의 생기는 원인

···

47

제2절 동적 변형의 방법론

···

56

2-1. 형체구조의 단순화를 통한 분해와 재조합

···

56

2-2. 시각적 과장을 통한 면적의 변화에 따른 대조 대비와 비대칭

···

59

2-3. 객관적 물상의 다시점 투시 관계의 강화

··· 61

2-4. 감정에 기초한 리듬과 율동에 의한 동적 변형

···

65

제4장 공공미술로서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과 연구자 작품에 관한 연구

···70

제1절 유기적 원형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통한 연구자 작품에 관한 분석

···70

1-1. 연구자 작품에 관한 시공간의 재구성을 위한 형식과 내 용구조의 이분적 변형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1-2. 유기적 감각을 통한 인간 이미지의 동적 변형 · · · · · · · · · · · · · 79

제2절 공공미술로서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

···

85

2 -1. 연구자 작품에 나타난 공공미술로서의 확장성 · · · · · · · · · · · · · · ·85

2-2. 다종 형식 언어로서의 공공미술

···

95

(7)

2-3.공공미술의 형식에 따른 유기적 원형이미지의 동적 변형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제5장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5

<연구자 도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9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4

(8)

국문초록

본 논문 연구의 중점은 '유기적 원형 이미지(organic archetype image)'로서 그것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유기적 원형 이미지'는 자 연생명의 속성과 표상을 담은 그림으로 '유기(organ)'나 '유기체(organism)'와 관계된다. 유기적(有機的)이란 사전적으로 '생물체적'과 같은 의미이며, 생물 체처럼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들이 떼어낼 수 없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 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부분과 전체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유기적 속성을 포함하면서도 생명 자체의 유기적 순서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술적 표현은 인간의 내적 체험에 대한 시각화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예 술품은 외적인 양식이 아니라 내적인 요소의 표현을 통한 이미지를 관객에게 전달한다.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은 생명과학에 기반을 둔 세계관 의 영향을 받으며, 이 세계관에서 모든 것은 하나의 생물형태로 간주된다.

연구자의 작품 주제는 '유기적인 원형'으로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문화, 인 간과 자연의 다양한 생명의 의미를 유기적 원형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나는 유기적 추상 이미지와 원 형적 추상화의 동적인 변화과정을 파악함으로써 연구자 작품의 예술적인 의미 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구자가 미학적 관점과 조형적 의식 에 기초하여 생각하는 '유기적 원형'의 의미를 통해 연구자 작품이 함유하고 있는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기적인 원형이미지와 그 시스템을 변형하여 재구성하는 기술적 인 방법의 연구보다는 생활환경에서의 생물학적 전환이론을 활용하여 공공미술 분야에서 적용되도록 유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나아가 공공예술과 복잡 한 창작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하고 오늘날의 환경 속에서 이른바 생태 공공미술의 모호한 영역을 구체화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왜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과 공공미술을 연계해 논의해야 하는가? 20세기 이후 현대미술은 공적인 영역에 진입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공 공미술에 시대적 의미를 부여했다. 시민의 예술, 비-엘리트적 예술개념이 오늘

(9)

날의 미술에 자리를 잡는다는 것은 미술의 영역확장뿐만 아니라 예술향유의 폭 이 넓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역동적 변형은 근대에서 현 대미술로의 가교의 역할을 함으로써 공공미술이 요구하는 특별한 현대성의 문 제를 해결한다. 작품과 미적 개념의 연결고리를 제거하는 것은 일반의 접근을 좁히고 창작자 및 공공예술 분야의 다양한 발전을 실현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전통적이고 사실적인 공공예술작품이 널리 보급된 것은 이미 도시에 조성된 공공예술 작품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사실적 공공미술 작품을 평가절하 할 수는 없지만, 같은 유형의 이미지만 반복되면 시각적인 피로도가 누적될 것 이다. 창작자의 입장에서 세심한 사실적 구상을 요구하지 않는 작품은 수용도 가 높으면서 동시에 범람할 가능성은 높다. 공공미술 작품이 단순한 복제에 머 물러 도시 곳곳을 가득 채운다면 일반화된 장식물로 전락할 수 있다. 이와 같 은 공공미술은 사람들의 생활환경을 바꾸고 미적 정취를 높이는 가치와 의의를 잃을 것이다.

연구자의 작품 스타일은 전통적인 사실적 회화 스타일이 아니라 개괄적이고 3 차원 공간 조형 요소가 강하다. 사실 평면 회화는 연구자의 창작 욕구를 충족 시키지 못하며 공공미술을 통해 한 걸음 더 나아가 3차원 공간으로 확대되기를 바란다. 한국에서 박사과정을 공부하는 동안 광주와 전남 지역의 공공예술작품 디자인 과정에 조윤성 교수의 제자로 참여했다. 연구자는 다년간 축적한 평면 회화의 색채 및 추상적인 조형의 경험을 공공 미술 분야에 충분히 활용하였다.

연구자의 회화 작품 중 대표적인 특징은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이 다. 이 연구 분야는 공공미술과 매우 좋은 접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공미술 분야에서 매우 성공한 예술가의 예술작품에서는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이라는 특징이 이미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본 연구는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대한 개념적 의미와 특징을 검토하고, 그 동적 변형이라는 표현 수단에 대하여 논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품의 예술적 특성과 구조를 분석하고 의미를 논할 것이다. 나아가 공공미술 분야의 창작 가능성을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공공미술 분야 별 분류와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식의 언어로 나뉘어 더 자세하게 논증한다.

(10)

공공미술의 우수 사례를 통해 공공미술 분야의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인 변형된 표현방식의 의미와 전망을 논하고자 한다.

(11)

ABSTRACT

A Study on the Expanded Expressions of Public Art through the Dynamic Transformation of the Organic

Archetype Images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s’ Analysis -

Wang He

Advisor : Prof. Cho Yoonsung, ph. D.

Department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focus of this paper's work is on understanding it fundamentally as an 'organic archetype image'. Here, "organic circular image" is a picture of the properties and representations of natural life that is related to

"organism" or "organism". Organic means "biological" in a dictionary, and each part that makes up the whole thing, like living things, has an indivisible clos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it contains organic properties that represent the correlation between part and whole, but also

(12)

contains the organic order of life itself.

Artistic expression can be seen as a visualization of human inner experience. Therefore, the art conveys the image to the audience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inner elements, not external styles. Dynamic deformation of organic circular images is influenced by a bioscience-based worldview, in which everything is considered a living form. The subject of the researcher's work is "organic archetypes," which aims to grasp the meaning of human and human, human and cultural, human and nature's various lives in relation to organic archetyp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tistic meaning of the researcher's work by identifying the dynamic transformation process of organic abstract images and circular abstractions that appear in the researcher's work.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esent in more detail the contents of the researcher's work through the meaning of "organic prototype," which the researcher thinks based on aesthetic perspectives and formative rituals.

This work focuses on encouraging application in the public art field by utilizing biological transition theory in living conditions rather than on the study of organic circular images and technical methods for reconstructing their systems. Furthermore, we would like to develop in-depth discussions on public art and complex creation and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pecifying the ambiguous areas of so-called ecological public art in today's environment.

So why should we discuss public art in conjunction with dynamic deformation of organic circular images? After the 20th century, contemporary art began to enter the public domain, giving public art a significance of the times. The establishment of citizens' art and non-elite art concepts in today's art means not only expanding the realm of art but also expanding the scope of art enjoyment. The dynamic transformation of organic circular

(13)

images addresses the particular modernity required by public art by serving as a bridge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Removing the link between work and aesthetic concepts may narrow the general approach and encourage the realization of diverse developments in the fields of creators and public arts.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traditional and realistic public art works is largely due to public art works already created in the city. Realistic public art works cannot be devalued, but repeated images of the same type will accumulate visual fatigue. Works that do not require careful realistic ideas from the creator's point of view are highly acceptable and likely to flood at the same time. If public art works stay in simple reproduction and fill up all parts of the city, they can degenerate into generalized ornaments. Public art like this will lose value and significance in changing people's living conditions and raising aesthetic moods.

The researcher's work style is not a traditional realistic painting style, but is broad and has a strong three-dimensional spatial sculpture element.

In fact, planar painting does not meet the researcher's creative needs and hopes to expand to three-dimensional space by taking a step further through public art. While studying for the Ph.D. program in Korea, he participated in the design process of public art works in Gwangju and South Jeolla Province as a disciple of Professor Cho Yoon-sung. The researchers fully utilized the experience of color and abstract molding of flat paintings accumulated over many years in the field of public art. A typical feature of the researchers' paintings is the dynamic deformation of organic circular images. This field of research has a very good interface with public art. In addition, the dynamic variation of organic circular images is already evident in the works of highly successful artists in the field of public art.

(14)

This work reviews the conceptual implications and features for dynamic deformation of organic circular images, and seeks to discuss their representation means of dynamic deformation. It will analyz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researcher's work and discuss its meaning.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creation in the field of public art is reviewed, and finally, the researchers are divided into various types of languages used and categorized by the field of public art, and argue in more detail. Through the best examples of public art,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meaning and prospects of dynamic modified expressions of organic circular images in the field of public art.

(15)

제1장 서론(绪论)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 표현된 유기적 원형(archetype)의 의미와 개념을 중심 으로 연구자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유기적 현상의 시각적 표현의 진전을 검토 하기 위한 것이다. 유기적 원형이란 생활과 의식에 작용하는 정신 분야의 생명 현상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대한 해석과 정신성 을 부각시켜 동적 변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유기적 원형"은 생물학과 심리학의 맥락에서 유형의 생명현상의 본래적인 의미를 시각적 표현으로 재구성한 이미지이다. 오늘날의 예술은 이런 원형 개 념을 바탕으로 잠재된 인간 내면에서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생성과 소멸의 유 한성에 대한 관심을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생물학을 배경으 로 표현된 이 작품들은 창조와 멸종의 한계성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 추상미 술은 이러한 유기적 원형의 특성과 양식을 다루는 예로 사용할 수 있다. 그중 에서도 유기적 개념을 원형으로 하고 그 특징을 모티브로 하여 작품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재생성의 형태는 원시적인 원형의 표상과 관련하여 모더니즘 미술 다음에 나타나는 중요한 원형 개념을 정신적인 영역에서 기능하는 공공미술에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꿈의 해석』이나 『정신분석학 입 문』은 무의식적인 예술과 무의식 표현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이다. 이것은 초 현실주의의 무의식이 표현한 원시적 상징을 바탕으로 한 연구의 기초가 된다.

그는 인간이 가진 자기(Self)나 자아(Ego) 개념을 갖기 위해 두 개의 큰 축인 의식의 외부세계와 무의식에 기반한 내부세계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의식에 서는 표현할 수 없는 무의식을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프로이트는 꿈은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이며 창조적 이미지, 즉 예술의 원천이라고 생각한 다. 그리고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은 프로이트의 이론을 시작으로

(16)

내적 인격과 내적 인격의 기원, 그리고 원형 사이의 차이를 개체의 무의식과 집단의 내용으로 삼음으로써 무의식 연구에 대한 폭과 깊이를 넓혔다. 그의 연 구에 따르면 집단 무의식적 내용의 원형은 나락 속에 존재하는 신화의 주제이 며 개인의 경험이 아닌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고 원시적인 근원적 요소의 변주 로서 각 문화권에서 과거부터 이어져 왔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현대인의 꿈과 연결되는 성과를 거뒀지만 그 자체 로는 우리의 일상에 녹아들지 못한다. 정신분석학에서 꿈은 언제나 섹스나 본 능적 충동에 근거한 무의식적 동기로 현실과는 영원히 화해할 수 없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문화 예술 종교 현상 모두 본능의 승화나 이미지적 왜곡에 불과하다는 것을 미시적으로 보여준다. 그 결과 프로 이트의 정신분석학의 작업은 여전히 현대의 살아있는 정신의 산물이 아니었고, 더구나 20세기 초의 기대, 즉 현대인의 시대정신을 회복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점을 제시하지 못했다.

융은 프로이트와 같은 출발점에서 시작했지만 인간과 인간 사회의 영적 본질 이라고 할 수 있는 신화 연구를 통해 잠재의식의 거시적 현실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신화는 인간의 산물이자 인간 정신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 다. 그는 프로이트와는 달리 무의식이 형성되는 방식은 우울증이 아니라 영적 자기 수양이라고 분석했다.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유기체에 나타나는 원형 이 미지는 단순히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이 얻은 산물이 아니라 원시시대의 조상부 터 현재까지 오랜 시간 동안의 진화 과정을 거쳐왔다. 오랜 역사에서 무의식의 층에 축적된 가장 근본적인 무의식 산물인 유기적 원형 이미지는 인간의 생각 을 통해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무의식을 바탕으로 유기체와 상징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 원형의 기초, 의식과 무의식의 공존을 분석하고 과거의 개인적 과정에서 벗어나 현재의 작업을 보완했다. 이것은 근원적인 자아를 표 현하는 방식이며, 세대를 초월해 예술 창작의 원형과 가치를 찾아내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구자의 작업은 무의식적인 우연의 이미지부터 언어화된 서사 문제까지 내 면에 있는 원형 이미지와 텍스트, 그리고 근원적 문제에 대한 탐구의 결과물을

(17)

찾아내고 자신의 개성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특히 스케치-그림-텍스트의 주 요 표현 형식을 통해 연구자의 작업을 모색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연구자 작품 에서 반복되는 이미지는 무의식적인 꿈과 다양한 욕망이 표출된 결과에 기인한 다. 본 연구는 스스로 투사한 '유기적 원형'과 '원형 이미지'에 해당하는 '상 징 표현'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융이 원형 연구에서 밝혔듯이 연구자의 작업 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집단적 '우리'의 가치관과 행동·규범 등을 담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 시리즈를 중심으로 각각의 작품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원형의 여러 측면과 단계별로 밝혀지는 차이점들을 분석하는 것은 원 형 이미지 연구의 폭을 넓히고 사례연구의 기회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가 '유기화'라고 부르는 것은 '원형'의 형성이 보존되고 전승되 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굳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유기적 원형은 과거에 만 생산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완전무결하다. 이 시대와 현대미술에서 보이는 소외되고 억압된 개인의 표현은 각각의 역사를 담고 있는 개인의 미술사를 말하는 것과 같다. 이처럼 무의식적인 원형을 찾으려는 연구 자의 내면에 담긴 의지와 외적인 작품의 분석은 개인의 이야기인 동시에 원형 을 추구하는 '우리(집단)'의 외양과 표현방식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현대 예술의 발전에서 유기적 원형에 대한 해석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 되고, 다양한 매체와 추상적인 주제로 다양한 작품으로 표현된다. 생명철학의 원초적 형태로 삼아 자연과 인간적 가치를 깊이 있게 반영하고 모더니즘과 포 스트모더니즘을 이어갔다. 유기적 원형과 인간실존에서 펼쳐지는 생명예술 (Vitalistiv Art)을 표현한다. 따라서 생명현상의 가치와 설명의 가능성을 표 현하기 위해 유기적 원형을 사용하는 것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다.

연구 배경은 주로 현대 예술의 급속한 발전과 공공미술에서 다양한 유기적 원형 이미지 요소의 광범위한 사용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특징을 보여주다.

본 논문은 공공미술에서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이 미지 표현 특성에 대한 연구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 목적은 실천을 안내하는 더 나은 이론적 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자 작품에 나타나는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변화과정을 파악함으로써 공

(18)

공미술 분야에서 연구자 작품의 가치를 논한다. 또한 한국의 미의식과 조형 의 식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유기적 원형'의 의미를 탐구해 작품의 내 용을 자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오늘날 공공예술은 사람들이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방문하는 대신 일상생활이 나 도시의 거리에서 예술을 보고 즐길 수 있도록 하다. 오늘날 예술작품은 우 리의 삶과 주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으며, 사람과 삶을 위한 새로운 생 활공간을 만드는 매개체로 활용되어 죽은 공간을 활기찬 공간으로 만들 수 있 다. 따라서 공공미술은 사람들의 생활환경보다 흥미롭고 매력적으로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예술 작품은 어떤 환경에 배치 될 것이며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고려해야 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공공미술 작품 공간의 형태, 조형 형태, 배경 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간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찾고 그에 상응하는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래서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미술 작품의 공간적 표현에 대한 분석지 표로 공공예술작품이 주변 공간 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 관객들이 어 떤 유형의 특징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공공미술 작품의 조형적 표현에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기본적 속성 특성을 바탕으로 동적 변형이라는 중요한 표현방식에 대해 연구자 자신의 작품을 연계해 분석하 였다. 나아가 공공미술 분야로까지 영역을 넓혀서 연구하게 된다. 연구의 목적 은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조형 및 표현 특징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동적으로 변형하는 것을 비롯하여 연구자 자신의 작품을 결합하여 공공미술의 조형적 표 현의 경계를 넓히는 것이다. 평면 회화와 공공 입체 조형 표현의 연결을 실현 하다. 공공미술의 조형적 표현에 대한 탐색도 활발하다. 당대 예술의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기본 속성의 특징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변형된 표현방법을 결합 하여 연구자 자신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또 공공예술 분야로 연구를 확대한다.

연구자 자신의 작품을 결합해 공공예술 표현 범위를 넓히는 것, 어떤 법칙과 방법에 따라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를 구현하는 동적 변형 특징을 포함하기 위 해서다. 평면 회화와 공공의 3차원 입체 표현 사이의 관계를 실현하다.

(19)

제2절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현대미술의 다양한 발전과정에서 인간의 잠재된 자아가 자연 질서 속에서 살아가는 근본목표를 통해 심미적 가치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 다고 보고 있다. 이것은 내재된 요소의 가시적 세계의 표현에서 추상적 세계의 무형 세계로 이동함으로써 주관적인 인간 내부의 심리학적 사상을 표현하는 방 법을 검토한다.

유기적 원형의 표현은 존재의 본질을 찾고, 삶의 긍정적인 비전에 접근하고, 삶의 존엄성을 실현하고, 삶과 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자연의 다양한 생태 현상에 대한 관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술사적 논의에서 연구의 방법과 계획을 구체화하고 원형의 형태와 개념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인간의 삶에서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은 다양한 방식과 방법을 통 해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개념을 보여준다. 또한 자연현상을 기반으로 한 다양 한 표현 형태는 유기적 힘의 특성, 생성된 에너지의 힘, 원형의 중심을 이루는 생명현상의 표현을 특징으로 하며, 비정형적이고 몽환적인 색채가 주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리얼리즘의 발전은 이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대미술에서 회화의 재현성과 확장성을 연구하고 생성과 소멸의 무한한 변화 과정을 유기적 원형에 담을 필요가 있다.

현대 미술사를 이끄는 모더니즘과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예술 양식의 개성, 독립성,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원형의 본질적인 형태를 찾을 수 있다. 이는 추상미술의 경향을 바탕으로 예술 분야 전체에서 표현 형태의 다양 화와 기존 모델에서의 새로운 시도를 확대한 것이다. 또한, 현대 사회는 여러 가치의 발생으로 혼란스럽지만 시각예술을 통해 그와 같은 정신의 결핍과 근원 적인 힘을 두려워하는 인간의 기본 원형 정신을 표현한다. 이런 현상들을 통해 유기적으로 형상화한 과정과 개념을 모티브로 하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매개로

(20)

하여 유기적 생명체인 인간의 존엄성을 재발견하는 것은 가치있는 일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연구 방법은 무의식을 기초로 한 융의 원형에 대한 기본적 인 정신분석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첫째, 무의식적 표현을 통해 개인의 무의 식 속에서 집단적 무의식에 해당하는 원형 개념에서 원형을 상징으로 표현하는 원시물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원시물의 원시적 의미를 검증했다. 여기서 원시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 둘째, 무의식 분야를 탐구하는 주요 작가를 중심으로 하는 검토한다. 매 단계마다 더욱 상세한 이론과 구체적인 원형 이미지는 이 주제에 있어서 원형의 상징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이때 연구자 작품이 갖는 이 론적 기초와 작품 조형 방식의 선행 연구의 동질성 및 차별성에 대해 구체적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연구자 작품이 의도하는 미에 대한 논증적 근거를 제공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주요 논제였던 현대미술에 나타난 ' 원형'을 바탕으로 한 '유기적 창조의 근원'과 이에 따른 '유기적 원형'과 '원 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대한 논의의 범위를 정하고, 연구 작품의 주요 주제 와 성향에 따라 다음 5장의 연구를 통해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는 유기적인 원형개념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미 술사적 패러다임의 발생 배경과 주요 요인이 현대미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한편, 연구 작품의 내적인 의미를 정리할 것이다. 이 과정에 있어서 일부 이론적 요소를 들어 존재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또한, 유기적 형태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개인적 체험의 생성과 소멸의 유기 적 의미를 분석하여 원형에 대해 변형된 경외심과 동적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 을 규정하였다. 이 개념은 원형 공간과 생물에 포함되는 표현기법을 다루며, 창조와 소멸의 관점에서 예술에서 파생된 생물의 특징을 통해 이미지의 시간과 공간을 확장한다.

나아가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연구 자의 작품을 실제 공공미술 작품과 연결하여 사례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와 같 은 연구자의 작품 성향에 대해 비평가 조관용은 "연구자의 생성적 사고는 존재 론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생성과 존재 문제는 예술철학에서 근본적인 사고 문 제이며 연구자의 작품을 관통하는 문제이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

(21)

구자 작품의 유기적 사고에 중점을 두어 범위를 제한하고, 연구자 작품의 특성 을 비교하여 분석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유기적 원형이미지의 동적 변형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범 위와 방법을 명확하게 설명할 것이다. 특히 현대미술이 이성중심주의에서 벗어 나 시대적 배경 속에서 원형에 대한 연구와 탐구가 반복되면서 인간의 이성적 판단은 결국 이성을 이해하는 한계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 한 사고에서 다다이스트와 초현실주의자들은 불합리한 세계, 놀라운 세계, 유 기적인 원형의 세계로 눈을 돌렸다. 또 예술적 형식에서 원형의 표현 과정과 소멸-재생 과정은 유기적 이미지의 순환 속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는 현대미술 의 주요 방법중 하나를 고증해냈다.

2장에서는 유기적 원형(organic archetype)의 개념이 현대미술에 나타난 양 상을 생태 과학적 특성과 비정형성으로 나눠 고찰한다. 이에 따라 그것의 형성 배경에서 비춰 볼 때 유기적인 원형의 생성과 소멸은 상징적인 의미로 정의해 야 한다. 또, 본 논문이 다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추상적인 개념을 검토하고 그 안에서 유기적인 원형과 유기적인 개념을 사용한 작품들의 위치와 미술사에서의 원형 이미지의 구현을 파악할 것이다. 이와 함께 원형 세계를 중 심으로 초현실주의의 생명성1)과 상상력을 고찰하고, 공공미술의 공간에 유기적 원형을 보여주는 개념적 이론과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처럼 본 논문은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고 융의 원형 이론을 자세히 연구한다. 또한 방대한 융의 이론에서 원형과 원형의 상징적 이 미지를 갖고서 연구자의 원형 이미지 분석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다시 말 해서 원형을 분석하는 개념들은 융의 무의식에 관한 분석심리학의 기본 틀을 제공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핵심이 되는 유기적 원형 이미지에 대해서는 상세

1) 초현실주의는 원형과 재생성을 꿈의 세계에서 나타난 자연적 현상과 ‘생명성’으로 그 상징적인 표현으로 무의식 측면에서 주목한다. 무정형의 ‘생명성’이 재생성으로 표현되어지는 것은 존재하는 대상들을 원형 의 상징적 은유로 큰 의미를 포괄하고 있다. “기호의 자동기술”과 몽환적인 영 상의 흐름이 시각 예술 의 시초에 있어 독립적 영감의 근원이었다고 그들은 간주한다. 초현실주의 회화는 현대미술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법이며 잠재적 창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Smreker, Andrej, 「Surealism and Painting: Representations in theory and criticism in Paris, 1925-1928」, Harvard University, 1991, p. 521.

(22)

한 검토 과정을 거쳤다.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표현양상에 대한 다각적인 연 구, 예를 들어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생물형태성, 무의식적인 자동기술성, 여성적 감수성, 환경친화성 등을 연구 및 분석하고, 유기적 원형 이미지에서 형태가 나타나는 방식이 미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다룬다. 또한 연구자 작품연구의 기초가 되는 자기치유의 특성화 과정과 개인적인 원형이 궁극적으 로 집단 무의식의 상징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연구 등을 다룬다.

3장에서는 일정한 공간 내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 개념을 설명하 고 동적 변형에 따른 원인을 논한다. 그리고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 형에 대한 표현 형식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와 함께 유기적인 변형 과정에서 의 조형적 표현의 다양성을 분석하고 추상표현주의에 있어서 메타모르포시스 (Metamorphosis)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것은 자동기술법(Automatism)의 동적 변형 형태를 구성한다. 대상은 외면적 구조를 단순화하고 분해‧재구성하는 시각 적 과장과 다시점 기법을 토대로 리듬과 감정의 표현에 따라 동적으로 변형된 다.

미술사를 보면 초현실주의 미술가들은 기존 이성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동적 인 변형과 관련된 하나의 공통된 표현과 창작 방법을 보여준다. 또한, 예술가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내면의 집단 무의식에 속하는 다양한 기호체계와 기술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과 기술은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동적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 각각의 아티스트들의 주요 기본 동적 변형 이미 지를 바탕으로 융의 자기 원형을 개별화하는 과정과 분석방식을 통해 작품이 지향할 수밖에 없는 동적 변형 이미지에 나타난 의미를 고찰한다.

4장에서는 주로 연구자 본인의 작업과 공공미술로서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분석한다. 먼저 연구자의 작품 형성의 배경과 의의를 서술하고 연 구자의 작품형식과 내용구조로 나누어 설명한다. 주요 내용은 시공간 변환에서 보이는 통시적(通時的) 해석을 설명하고 오행(五行)의 색채와 유기적(有機的) 메타모르포시스(Metamorphosis)을 통한 조형성을 해석하여 형식적인 구조로 설 명한다. 이것은 유기적 감각의 도형화를 통한 인간의 이미지를 재해석하는 것 과 같다. 4장에서는 3장의 연구 분석과정을 통해 고찰된 동적 변형과 관계된

(23)

현대미술의 대표 작가들의 작품의 주제와 형식에 관한 다양한 원형의 개념들을 토대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한다. 연구대상에 해당되는 작품들은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해당되는 작품들이다. 작품 속에는 다양한 기법과 형식 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공통적으로 원형과 동적 변형에 부합되는 작품 연작으로 이뤄져 있다. 주요 작품분석에서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의 표현에 대 한 확장을 위해 선택한 기법적인 측면과 의미적 표현방식이 융합되는 것에 주 목한다. 또한 각기 다른 작품의 요소들이 근원적인 결합을 이루고 결론적으로 생명 원형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거쳐야 하는 필연적인 단계인 그림자 영역에 해당되는 작품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공공미술에 관해서는 이론적 개념의 역할과 기능으로부터 공공미술의 가치와 조건에 이르기까지 공공미술작품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먼저 공 공미술의 여러 형식적 언어를 설명하고 연구자 작품과 공공미술의 연결성과 가 능성에 대한 논의코자 한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업 성향과 직‧간접적 관련성이 있는 대표 예술가를 선정하고,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 사례를 공공미 술로 분석코자 한다. 이처럼 작품을 분석하고 특징을 찾아냄으로써 비교‧분석의 기준을 세울 것이다. 우선, 우리는 허버트 리드 (Herbert Reed)와 로잘린드 크 라우스 (Rosaline Krauss)와 같은 비평가들에 의해 주장된 장 아프 (Jean Arp) 와 헨리 무어 (Henry Moore)의 것을 유럽의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인 변형 의 대표적인 예로 들어, 그 작품의 표현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해할 것이다. 이 러한 과정을 통하여 연구자 작품의 형식과 내용의 특징을 파악하고 연구자 작 품의 예술적인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공공미술의 형식에 따른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을 연구하고 세계 적인 공공미술 작가의 작품을 검토해볼 것이다. 그 결과 공공미술에서 원형 이 미지의 동적 변형에 대한 다양한 표현과 발전상이 개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공공미술의 원형 이미지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해 공공미술의 원형 이미지가 변형되는 독특한 법칙과 대중과의 연결고리가 도출될 것이다. 나아가 전통적인 공공미술이 갖고 있는 획일적인 사실적 또는 단순한 추상적 표현의 한계를 벗 어나 공공미술의 시각적인 조형물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24)

마지막으로 5장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연구자의 주요 작품에 대한 이론적 분석, 그리고 선행 작가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기적 원 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대한 해석과 그것의 조형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기적 원형에 기초한 다양한 공공미술의 경향 속에서 동적 변형에 해당되는 영역의 중요성 및 그 의미와 표현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 가와 전망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의 평면회화 작업과 공공 미술의 관련성이 어떤 것인지를 살피고 공공미술의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동적 변형에 관한 포괄적인 견해를 다루고자 한다. 공공미술 작품에서의 조형적 표 현의 지각적 특성이 여러 형식 언어로 나뉘어 살펴질 것이다. 유기적 원형 이 미지의 동적 변형 연구는 기존의 공공미술 분야의 고유하고 단순한 사실적 혹 은 추상적 조형형태를 넘어간다. 본 논문은 공공미술 분야의 조형연구를 활성 화하고 대중의 미적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자의 회화적 실천과 이론적 연구는 공공영역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대중의 수요에 초점을 맞추어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25)

제2장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개념과 양상

제1장 서론 부분의 논술을 통해 본 논문의 연구 배경과 목적 및 연구 범위와 방 법을 논술하였는데, 제2장부터는 본 논문의 중요 논제가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내용을 끌어냈다.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개념과 양상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은 본 연구의 논증을 위한 전제가 된다. 이것은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를 충분히 이해 하고 인식해야만 정확한 논증의 조건과 기초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본 연구를 설득력 있고 엄밀한 이론적인 토대를 갖추게 하는 것과도 관계 된다.

제1절 유기적 원형의 근원과 개념

1-1.유기적 원형의 근원

1-1-1. 자연과 유기적 원형 이미지

인간의 의지와 욕구가 무엇이든, 자연의 형태는 자아 형성을 통해 이성으로 만들어지지만 다른 모든 것들과 분리되어 고립된 것은 아니다. 자연의 현상과 물질은 항상 다른 사물과 상호작용하고 있다. 또한, 자연의 사물은 고정된 형 태를 유지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인다. 이것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자연의 일반적인 원리이기도 하다. 또한 자연은 모든 예술의 원천이며, 따라서 자연적인 형태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예술은 또 다른 자연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현상이나 자연계에서 생물의 생장으로 이루어진 형식을 유기형식이라고 한다. 자연계의 모든 생물은 모두 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자기 조절의 질서정연한 형식과 구조를 말한다. 각각의 생물은 이러한 형식을 나타 내고 있으며, 각각의 유기체가 나타내는 형태는 무한한 다양성(diversity)을 내포하고 있다. 나뭇잎, 꽃잎, 물고기의 몸체나 곤충의 모양은 자신의 존재적

(26)

필요성에 따라 만들어진 독특한 형태이다. 이처럼 모든 생물은 그와 같은 자연 법칙을 내포한 유기적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유기체에서 발견되는 모양과 구조의 미는 조형물의 대상 에 대한 무한한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동‧식물에 관계없이 생명체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세포는 물질대사능력, 비자극성, 운동성, 성장과 증 식능력을 갖고 다른 형태와 기능을 가진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이것은 또 생 물계 내에서 끊임없이 생성되고 사라지고, 공존하는 모든 유기체의 모체가 된 다.

모든 세포, 각종 세포로 구성된 조직, 이 조직이 속한 기관, 모든 방대한 체 계는 항상 일정한 질량으로 존재한다. 이 체계는 시시각각 그 실체를 바꾸고 있다. 만약 물질대사 등을 몇 초라도 중단한다면, 체계는 파괴되고 소멸될 것 이다. 즉, 자연은 부단히 동적인 과정을 유지하여 그 원시적 형태를 유지하려 한다. 이러한 동적인 이미지를 통해 자연적인 생명감이 나타나며, 그 나타남의 형태는 하나의 생명의 형식이 된다.

따라서 원형의 유기적 이미지는 과정의 결과이며 시간과 공간과의 관계 역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살아있는 체계의 시각적 표현물로서 유기적 이미지의 공간적 외관은 다양한 계층적 상호 작용의 결과물이다. 또 유기적 원형 이미지 의 형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형태이며 하나의 형태는 기호(Sign)로서 부호의 기능과 함께 주술적 의미를 갖는 원시적 문양, 태양의 기호 또는 상징적 기호 등 다양한 형태를 택하기도 한다.

생물은 생명을 동적 구조로 표현하고 비대칭적이고 가시적인 질서를 갖고 있 다. 이 형식에서 유기가능성 법칙은 자신의 생명력과 함께 수축하고 확산되며, 창조, 변화, 분산, 리듬감과 같은 생명의 이미지를 수반하거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든 부분이 서로의 소속감을 유지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작용해 예술작품의 구성요소가 특정되기 때문에 모양과 크기, 색채 모두 다른 것에 잘 적응한다는 것이다. 또 심미적 효과에 대한 상호 의존도 중 일부는 독 립적 존재이지만 서로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는 자연의 본질적 특징과 일치하는 특징을 가지

(27)

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의도나 욕구와 관계없이 자아 형성을 통해 만들어진, 독자적인 존재로서 불변하는 생명현상의 원천이 된다. 원시적 생명력을 간직하 고 있는 자연은 복잡하고 무형적이며, 무한하고 신비하며, 그 깊이와 근원을 알 수 없다. 자연계에서 이러한 생명감을 표현하는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는 생 물형태의 미완성된 이미지와도 관계가 된다.

1-1-2. 유기적 원형의 존재론적‧상징적 의미

생명현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생명의 원리"를 포함한 존재론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재생적 창작에 내포된 근원적 양상에 대해 탐 구하고자 한다. 또한, 생명체가 지닌 신비와 철학적 배경에 따라 조형적으로 표 현된 생명의 근원인 이미지의 원형개념을 강조하고자 한다. 원형에 대한 원리와 존재에 대한 철학적 조형 차원에서 생명의 이미지가 생명체의 근본 현상이 된다 는 이론을 중심으로 유기적 원형(orgnic archetype)이라는 개념을 전개시킬 것 이다.

원형 세계에 대한 정신적이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원형의 구현의 요소를 살펴 보자. 이런 정신성을 배경으로 생명 원리의 철학적 해석부터 조형을 탐구해보 자. 모더니즘 전후의 미술에서 주요 개념인 원형의 생명성과 존재론의 탐색적 의미는 여러 측면에서 분석해 정의할 수 있다. 예술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다 양한 변화를 왔다. 자연적 귀환 현상에 내재된 "생명"에 대한 논의는 제도권에 안착한 분야가 되었으며, 이는 전체 예술 분야의 범위를 벗어난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여기서 원형의 표현은 실상과 가상의 세계, 그리고 실생활에 기초한 내적 본질에 속하는 생명력을 끊임없이 표현한다. 따라서 그림의 경향에 대해 재해석할 경우 존재론의 의미를 확립할 수 있다.

존재론적 관점은 삶의 현상을 분석하는 작업에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본 연 구의 중심 주제인 '유기적 원형'의 의미와 개념의 기준점이 되기 때문이다. 의 식의 밑바닥이 인식하는 존재2)의 추상성은 조형적 표현에서 탐구할 수 있다.

또한, 존재론의 본질적인 원리와 특성을 관찰하는 것은 철학적 가치를 지닌다.

(28)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예술적 표현형식에 적용된 부분만을 제시함으로써 그 범 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 존재의 주관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연구자의 존재3)에 대한 하나의 해석이다. 한스 요나스(Hans Jonas)의 이론에 기초한 생명성에 대 한 논의는 유기적 원형의 개념과 시각예술에 있어서 원형의 근원을 생각하고 그 원인을 탐구하는 것이다. 한스 요나스는 생명의 원리를 영혼이 있는 존재의 모색으로 상정하고, 재생성의 개념화를 정신적으로 함축하고 있다고 말한다.

요나스는 생명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불안이라는 엄청난 개체가 더욱 상승하는 불안에 대한 두려움을 인간은 생명의 원리에서 필연적으로 갖고 있다. 유한성 에 따른 두려움은 그 의미에 대한 의문을 부정하지 못한다.

1-2. 유기적 원형과 유기체의 개념

유기적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자연과 관련된 용어로 간주된다. 유기물은 마치 유기체처럼 많은 부분이 모여 하나의 대상을 이루고, 부분이 촘촘하게 뭉 쳐 있고, 부분과 전체가 불가피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명 력이나 활력이 있는 형태는 무기체의 반대의미를 말한다.4) 생명의 형태나 생명 력의 관점에서 보면 각 요소가 모여 상호 보완, 의존, 성장의 관계에서 하나의 전체를 이루고 여러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유기적 형태 는 인공적인 형태가 아닌 자연물 (식물, 동물)의 형태로 나타나는 흐르는 형태 또는 입체적인 형태를 의미한다.

유기 (有機, organ)는 도구(instrument) 또는 수단(tool)를 의미하는 라틴

2) 아리스토 텔레스는 “존재로서의 존재(being as being)와 본성상 이것에 속하는 속성들을 탐구 하는 학 문”으로 존재론을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생물학에서 생명을, 존재의 어떤 특정한 방식 들을 다루는데 이것은 생명으로서의 존재를 뜻하고 있다.

E. 질송, 『존재란 무엇인가』, 정은해 역, 서광사, 2003. p. 17.

3) 존재란 인간 인식의 원리에서 인간의 마음에 의해 파악되는 최초의 대상이 된다고 한다. 존재 란 실존 하는 어떤 것의 본체, 본성 및 본질을 뜻하고 있는데, 존재라는 말은 “있다”라는 해석으로써 “존재 (being)”로 파악된다. 따라서 하나의 존재는 실존한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E. 질송, op. cit., p. 29.

4) 이희승, 『구어대사전』, 민중서림, 2004, p. 2900.

(29)

오가눔(organum)과 그리스어 οργόνιο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생명과 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정의된다.5) 유기체(有機體,organism)라는 용어는 생 물과 같은 방식으로 유기체의 구조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즉, "유기"는 살아있 는 유기체의 여러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생물학적 이론에 있어서도 유기체는 무기물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는 개념으로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유기적으로 형성되는 동식물을 말한다.6)

그런 의미에서 "유기체"는 "살아 있는" 생명성과 부분 사물이 조직적으로 성 장하고 발전하는 지역 사물이므로 오늘날 생명과학 분야는 자연계와의 연결을 포함한다.7)

유기적인 원형은 시각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정신적인 부분에 어떤 의미를 두 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이후 시대적 배경에 따라 전개되는 원형을 미술사로 정리하고 원형의 개념과 재생성의 형태에서 나타나 는 생명성에 대한 관심을 통해 그 고유의 정신과 본질을 설명할 수 있다. 미술 사적으로 보면 유기적인 원형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그 관심과 표현이 다양 해진다. 이에 원형의 양식과 근원적 이미지에 대한 개념적 질문을 던지고 시대 별 미술양식에 표현된 원형의 특징을 중심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원형의 또 다른 설명은 융이 말한 "원형(原型, Archetypen)은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던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고 원시적인 행동 패턴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5) 신기철·신용철, 『새 우리말 큰 사전(하)』, 삼성출판사, 1990, p. 2577

6) “생물체는 무생물과 달리, 형태적으로도 기능적으로도 분화된 여러 부분으로 되어 있고, 부분 상호 사 이 및 부분과 전체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체로서 하나로 정비된 통일체를 이루고 있다. 유기 체라는 것은 그러한 구성(유기적 구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협의로는 생물을 의미한다. 생물의 개체 는 분할되면 통일체로 될 수 없고, 존립할 수도 없다. 다만 식물이나 하등동물 및 개체 발생의 초기 단 계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고도의 개체성은 진화의 소산이다. 더구나 유기체란 말은 광의로는 사회에도 적용되며, 또 우주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사회와 개인 사이의 관계와, 생물 개체와 그 부분 사이의 관계는 동일하지 않으므로, 양자를 동일한 원리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이 해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임석진, 「유기체(有機體,organism)」,『철학사전』, 중원문화사, 1989, p. 511.

7) organicism은 유기체론(有機體論) 또는 생체론(生體論)으로 번역되는 이 용어는 생명현상의 기본은 부분 과정이 편제(organize)되어 그 계 고유의 평형 또는 발전적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생명론적 또는 생 명학 방법론적 입장이다. 또한 유기체론은 생명현상은 유기체(organism)의 물질과 과정이 있는 특정한 결합상테, 질서 속에 있을 때에만 가능한 것이며, 그 계가 갖춘 특성임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생물과학협회, 「유기체론(organism), 유기체(organism)」 『생물학 사전』, 아카데미 서적, 1998, p.995 .

(30)

원시시대부터 인류가 거듭해 온 모든 경험의 침전, 인종과 문화적 차이, 지리 적 차이, 시대적 차이 등을 넘어 인류가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가장 보편적인 선험적 틀(型, Type)이라는 것이다."8)

유기체(Organism)는 생물과 같은 의미로, 유기체의 고유한 현상이 살아 있 다. 생물의 특징은 생명이 지닌 원초적 속성으로 쓰인다. 즉, 생명은 어떤 상 태가 아니라 과정을 의미하며, 유기적인 운동 과정을 포함한다. 자연물은 살아 있는 생명체로 정적이 아니라 동적인 존재이며 유기체는 생명 자체와 연계된 형태로 지구 표면에 존재하는 생물 특유의 정상적인 형태라는 것이다.

작은 관점에서 볼 때, 끊임없이 변화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기체, 동물 형태 및 식물 성장형태, 특히 지구 표면에 형성된 물 소용돌이에 이르기 까지 모두 유기체 관찰 대상이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의 그 변화와 행동이 너무 느려 그 과정을 쉽게 볼 수 없지만, 작지만 성장과 변화의 패턴을 가진 모든 자연물을 유기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기체의 외형은 그 구성요소의 변화로 인해 유동체(Fluid)를 형성하는데, 그 전체적 주요 구성요소는 물이기 때문에 그 형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속 적으로 변화하는 원형의 유동의 형태이다. 가장 작은 표면을 차지하기 위해 유 기체의 세포가 모여 구형을 형성한다. 이처럼 자연계의 모든 유기체는 완전히 평평한 표면을 가지게 마련이고 부드러운 곡선을 형성하게 되는 이유는 내부의 복잡한 구성요소 때문에 형성되는 필연적인 자연의 모습 때문이다.9)

유기적 형태의 시공간적 형상은 다양한 외부의 다른 부분들과의 사이에서 존 재하는 상호 연관적인 성장의 결과이다.10) 따라서 유기적 형태는 부분적인 요 소들의 무작위적 관계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존재 전체의 관계에서 인식이 가능한 것이다.11)

유기체의 모양은 변화하는 리듬, 속도 및 시간에 따라 무한히 회전하여 사람

8) 이부영, 『아니마와 아니무스』, 도서출판 한길사, 2001, p. 32

9) Edmund W. Sinnott. 「The Problem of Organic From,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63, p.3

10) 김만식, 『현대생물학』, 서울: 고려원 미디어, 1985. pp. 2~3.

11) 김민수, 「자연유기 시스템을 통한 디자인 전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pp.

68~69.

(31)

들에게 역동적으로 느끼게 한다12). 하나의 관점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이미 지는 급증하는 삶의 활력을 강조한다. 즉, 이 형태는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조 하고 사람들이 지속적인 행동과 성장의 힘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선사시대부터 유기체의 원형 이미지는 예술적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호기심 과 신비의 대상으로 표현되어왔다. 이와 같은 형태는 세월의 흐름, 다산, 지식 의 확장, 그리고 시작과 끝이 없고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추상적인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렇게 자연 사물의 본래적인 유기적 이미지가 자연의 법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형태는 대부분의 작품에서 다산을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동시에 삶의 이미지로서 표현된다.

제2절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양상

유기적 원형 이미지의 작품은 조형 이념과 창작 방법의 관점에서 생물형태성, 무의식적 자동기술성, 여성적 감수성, 환경 친화성 네 가지 양식으로 나눌 수 있다.

2-1.생물형태성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는 자연 형태로 나타나는 생태계의 대비, 균형, 조화, 비율, 리듬, 연속성, 통일성, 비정형성 등 다양한 형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자연 속의 생물의 형태는 생물의 여러 부분이 상호 성장의 과정을 통해 형 성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작가는 자연의 본질을 넘어 아름다움을 창조하기 위해 자연의 형성 원리를 대표하거나 이상화한다.

예술은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형상화하는 방식으로 빈번히 나 타나는 아름다움을 표현함으로써 새롭게 재현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자연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복잡하고도 질서정연한 자연법칙은 예술창작에 대한 무한한

12) 최병상(1978), 『조형』, 서울: 창미서관, p. 160.

(32)

생각을 제공한다.

생성은 생명체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이기 때문에 모든 생물은 유기적인 과정 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동양적 자연관에서 유기체는 탄생과 소멸을 거 쳐 변화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주는 성장 변화의 동적 과정, 구성요소 간의 상호 연결된 하나의 연속체이다. 즉, 생명은 자연 안에서 사물의 생성, 죽음의 원인을 찾는다고 할 수 있으며 인간을 포함한 만물의 존재와 상호 작용의 원리 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변화하며 자연을 이해한다.

미술에서 유기적인 용어는 르네상스 시대 조르조 바자리(Giogrio Vasari)가 발다사레 페루지(Baldassare Peruzzi)의 조각품을 보고 "자연적으로 태어난 것 같다"고 말한 데서 유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적 맥락에서 보면, 19세 기 말 생물 드로잉에 관심이 많았던 아르누보(L`artnouveau) 양식에서 '유기' 라는 단어를 연상할 수 있다. 또 19세기 후반 유기주의(Organism)라고 불리는 운동이 벌어져 유기적 개념의 근본적인 문제가 일부 제안됐다. 이어 1940년대 형태학적 미술과 식물을 소재로 한 바이오 모르픽 아트(Bio morphic art)13)에 서도 유기적인 성향을 추구했다. 생물형태에 대한 미술적 사상은 유기체에서 주제를 찾으려 시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유기적인 원형 이미지의 첫 번째 유형은 생물학적 형 태이다. 앞에서 보듯이 생물형태성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자유로운 형상을 말하 거나 비정형적이고 불완전한 형상을 유기적인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 장에서는 식물과 동물(인간의 구체적 이미지 포함) 등 생물의 형태 이미지 를 추구하는 작품들을 살펴볼 것이다. 이들 예술가 중에는 엘리자베스 머레이 (Elizabeth Murray)14)의 작품 <그녀의 이야기(Her Story)>(그림2-1)와 <향해하

13) 바이오 모르픽 아트 (bio morphic art)는 생물 형태가 비구체적이고, 극히 추상적이며, 모호한 형태나 그 형태가 주는 상징적 감각이나 형태 자체가 생명에 주는 암시를 주제로 한다. 따라서 추상미술의 추상 성과 상징성, 초현실주의의 우연성과 불합리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바이오 모픽 아트는 이 두 경향을 모두 겸용한다는 차원에서 특별한 양식 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현실주의의 한 형태라고 간주되는 바이오 모픽 아트는 1940년대를 전후해서 나타나기 시작하 였다.

14) 엘리자베스 머리 (Elizabeth Murray, 1940-2007)는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나 chicago art institute와 mills college에서 회화를 공부했으며, 세잔, 라우젠버그, 얀센버그, 얀센의 영향을 받았다. 또 입체파의 영향을 받아 초현실주의와 팝아트의 춤사위로 찌그러지고 비틀리고 다양한 변형캔버스를 통해 자신의 이

(33)

는 아기(Sail Baby)>(그림2-2)가 상세히 표현돼 있다.

(그림 2-1), <그녀의 이야기>,엘리자베스 머레이.

(그림 2-2), <향해하는 아기>, 엘리자베스 머레이.

<그녀의 이야기>의 주제는 1983년 세상을 떠난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 화법으 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책을 언급하면 ​​어머니가 떠오른다. 실제로 한 어머니 가 의자에 앉아 컵을 손에 들고 책을 보고 있는 초상화다."15)고 말한다. 각기 다른 사각형 구성으로 응집력 있고 편이한 여성의 초상화이다. 작품 속에는 간 단하고 평범한 것, 즉 의자, 책, 종이컵이 그려져 있다. 구조적으로는 복잡하 게 여러 층으로 이뤄져 있어 암시적이다. 글자 그대로 상징성으로 모든 부분을 어떻게 묶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빠져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화가 어 머니의 초상화로서 동시에 화가 자신의 초상화로 화면의 형태구성을 통해 움직 임(motion)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유기적 이미지의 '생물형태성'을 보여준다.

<향해하는 아기>는 아이처럼 인물을 싸고 있어 공간의 각 요소에 있어서 형 태와 크기가 다르다. 이 작품은 생명의 태동과 탄생 이후 지속되는 관계를 형

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자신의 내심성과 외향성을 독창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 그는 위트니 미술관에서 1971년 성공적인 전시를 시작으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해 오다 66세에 폐암으로 세상 을 떠났다. 그녀의 작품은 구겐하임 미술관(Guggenheim Museum)과 뉴욕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등에 컬렉션되어 있다. MoMA에서 명예상을 수여하였다.

15) The Dallas Museum of Art, Elizabeth Murray: Painting and Drawing, 1987, p. 74.

(34)

상화하고 있으며 형태와 색채가 단순하면서도 명확히 구성되어 대립구조가 반 복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세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각 부분들이 평등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부분은 모두 단일 형 식이며 각 부분 자체는 불확실한 형식이다. 둥근 모양은 아직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생명체처럼 보이지만 다른 부분에 비해 곡선의 요소를 강조하여 작품의 유기적인 이미지를 더욱 선명하게 한다.16)아이들이 상징하는 세 가지 이미지의 크기 변화나 원형의 형태는 완전한 유기적 효과를 갖는다. 이는 탯줄의 선이 두께의 변화에 ​​따라 물결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글래스베이스도 구부러진 모양으로 묘사되어 흔들림과 같은 역 동성을 표현했다. 세 가지 형태는 서로 결합되어 전체 형태를 형성한다. 부분적으로는 여전히 틈이 있지만 가로선은 전체적인 모양을 방해하지 않다. 여기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물체의 대결이 강조된다. 이 두 개의 대립되는 물체의 형태와 색상은 전체를 형성한다. 포괄 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것은 모양과 배경의 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숫자는 어 머니의 자궁에서 자라는 새로운 독립 개체이다. 이러한 형태를 자궁 속의 생명 체로, 그 주변의 어두운 부분을 태반과 자궁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이 미지가 반복적으로 유사한 모양으로 통일되고 배경도 밝기와 색상이 비슷하기 때문이다.17) 여기서 탯줄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의 작업 노트에서 화가는 "'항해하는 아이'는 내 가족과 아들, 딸, 태어나 진 않았지만 내 몸속에 있는 셋째에 대한 이야기다. 노란색은 어린 시절에 대 한 암시"라고 말하고 있다. 이 작품을 구성하는 면과 보형물과의 관계를 살펴 보면 둘러싸인 범주, 빛과 어둠, 신체 내부와 몸 전체의 복합적인 구조를 알 수 있다. 강렬한 색채와 유기적인 형태로 구성된 그의 작품들은 스크린에 흐르 는 듯한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 작품의 각 단위 구조는 각각 독립적이면서도 필연적으로 연계된 유기적 이미지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 작품은 근본적으로 독립된 생명체가 아니라 창조의 과정에 있는 유기체를 주제로 한다. 이 작품의

16) 여가애 댜해서는 부록의 <수형도>와 <괄호기술>로 작품의 구성을 도식화됐다. pp.9-10.

17) 부록의<의미부 분석기술> 결과를 보면, 색채의 자극 값에 있어서 형상들은 높게 나타나는 반면, 배경은 매우 낮게 나타난다. 여기에서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바탕의 명도가 8이며, 요소들의 명도 차가 7이 므로 색채계획은 Hm(Hingh Major Key)이다. 부록 pp. 16-17.

참조

관련 문서

빈센트가 아를에서 머무른 기간동안 남긴 작품들은 오늘날 그의 예술세계를 대표하는 가장 뛰어난 역작들로 평가받고 있다.. 아를에서 완성되는

셋째, 동일 패널을 대상으로 연속적 조사·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 다. 시계열로 농산어촌 마을 변화 상황에 대한 유의미한 고찰을 할 수 있도록 연속

그 리고 세계사 학습을 통해 오늘날 여러 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갈등을 역사적 맥 락에서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역사적 사고력과 세계사적 안목을 기를

멀리서 바라본 겨울궁전 겨울궁전 은 오늘날 총 6 개의 건물로 연결되어 있는 에르미타쥐 국립 박물관 건물중의

-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에너지를 절약하여 온 실가스와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생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 오늘날

다른 친구들이 만든 상표를 보고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찾아내 비교할 수 있도록 합니다. 먼저, 비슷한 이미지의 상표를 찾아 이름과 비슷한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바이러스가 발견된 초기 에는 바이러스를 가장 단순한 형태의 생물체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생명

American Museum)'과 같은 다른 박물관과 연계하여 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고 , 전체 박물관 관람객의 33%가 이와 같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