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1- 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11- 는"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ISSN 1229-7151. ‘. I- I•. -」‘i. 겸~. Nature Conservation I : 도시생태계의. 관리 방안. 사단법인. 한국자연보전협회. 2003.. 12.

(2) .表紙說明 .. 장 다리 물떼 새. (Himantopus himantopus. himantopus (Linnaeus)). 장다리물떼새과에 속하는 희귀한 나그네새로 알려져 왔으나 1998년 충남 서산 간척지에서 번식 하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된 종이다 주로 간척지 , 습 지, 갈대밭, 논, 호소, 해안의 얄은 물 등을 좋아하며 온대와 열대지방에 폭 넓게 서식하고 세 계적 으로는 총 13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뒷부리 장. 다리 물떼새와 함께 2종만이 도래 한다. 제주도 서 귀 포해안에 집 단으로 도래. 한광경.. 글 · 사진 : 강창완(새가 좋은 사람들). 編輯委員홈 委員 委員長. 田承勳뭘園大學校 敎授). 委 員 盧永大韓國 自然'1춤報鼎究院 院長). 委. 員. 朴東均(동북아산림포럼 事務處長). 委 員 金鎭漢Q행立環境冊究院林業대升究官). 委. 員. 孔子錫(慶熙大學校 敎授). 우리 모두 지원율 이핍시디 ※ 자연보존에 게재된 내용 가운데 필자의 견해는 본 협회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xf연보존 124: 1-6; 2003 년 12 월. 도시생태관리의 선진국 동향1). 송 인 주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샘태연구. 한 우연의 산물이라는 가정들이 잘못된 것임이 드러났다. 대도시에 대한 첫 번째 연구는 인간. 지난 백년동안 집중적인 도시화가 이루어졌. 에 의해 집약적으로 형성된 서식공간이 특징적. 다. 유엔의 예측에 의하면, 전 세계인구 중 도. 인 종조성을 보여준다는 것이었다. 보다 세부적. 시인구의 비율은 1950년 29%에서 2025년에는. 인 연구결과들은 서식지, 개체, 생물군집에서 상. 60%로 증가하게되며 2000년과 2010년 사이에. 당히 높은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지역에. 50%에 도달하게 된다. 현재 10여 개의 대도시. 서의 식물그룹 및 동물그룹의 종다양성은 도시. 는 2025년에는 207H 이상이 되며 , 이중 일부는. 외곽 주변지역의 종다양성보다 뚜렷하게 높다.. 인구 3천만이상의 도시가 된다. 이제 상당부분. 그렇다면 도시환경에 의해 새로운 종이 형성되. 의 대도시는 유럽과 북미 동 선진국보다는 아. 는지의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실제로 도시생. 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에서 찾아볼 수 있. 태계는 비도시생태계와는 상이하게 다른 속성. 을 것이다. 개발도%택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 을 보여주며 대부분의 환경요소들은 도시외곽. 로 도시지역의 비율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 에도 영향을 미치기는 한다. 그러나 이들의 종. 가할 것으로 보이며 지구상 인구의 대부분은 도. 합적인 영향은 도시에 아주 특별한 생태적인 시. 시 에 거 주하게 될 것 이 다(Sukopp 2002). 그러. 스템과 생물종조성을 가져왔다(Sukopp 1994).. 나 오랜 시간동안 인간은 도시를 생태연구에 적. 도시생태를 연구하는 도시생태학이라는 학문. 합하지 않은 공간으로 간주했다. 도시는 생물체. 은 첫째 정치학과 계획측면에서는 도시형성프. 에게 적합하지 않은 공간으로 취급되었으며 인. 로그램올 의미하며, 둘째 도시지역의 생태학을. 간은 도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식물과 통물의. 다루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Sukopp & Trepl. 수가 아주 적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도시. 의 생물군집을 우연의 산물이라 생각했기 때문. 1993). 따라서 도시생태학의 범주에서는 도시지 역의 생태학적 연구와 동시에 생태적인 도시관. 에 규칙성과 인과성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 리를 위한 접근을 함께 고려한다. 최근 도시지. 았다. 1970년대에 독일을 중심으로 한 중부유. 역의 고밀화와 함께 도시의 환경악화가 큰 이. 럽에서 생태연구의 전환이 시작되었으며 이때. 슈로 떠오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시를 생. 부터 집중적인 도시생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 태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 구결과 도시의 생물군집이 다양성이 낮고 단순. 다. 오랜 시간동안 한정된 공간에서 집약적으로. l)Present Condition of Ecological Urban Management in Develo야d Countries 2)SONG, In-Ju, Seoul Development Institute; E-mail: i띠usong@sdi.re.kr.

(4) 자연보폰. 토지이용이 이루어졌던 유럽에 비하여 북미에. 향을 받은 도시생태연구가 크게 부각된 것은 생. 서는 광활한 공간 위에서 토지이용이 이루어졌. 태적인 도시관리와의 연결고리를 간과할 수 없. 기 때문에 도시계획 및 관리 패턴에 차이를 보. 다. 학문적인 연구자체보다는 이의 활용에 더. 이고 있고 동시에 생태적인 도시관리의 필요성. 큰 관심을 가지고 있고 또한 도시생태연구에서. 이 대두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구증가와 함께. 는 이 양자의 내용을 모두 포함히는 것이 보편. 점차 집약적인 토지이용이 일어나고 보다 쾌적. 적이다. 다음에서는 기초연구와 활용이라는 측. 한 환경을 원하는 도시민의 욕구증대에 따라 북. 면에서 도시생태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독일을. 미지역에서도 1980년대부터 경관생태연구가 활. 중심으로 생태적인 도시관리 현황올 구체적으. 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경관생태연합(IALE,. 로 살펴보고자 한다.. Intemational Association for Landscape Ecology) 은 환경영향평가와 생태계 조사 동 다양한 경. 생태적인도시관리. 관생태학적 연구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 제네트워크기구로서 현재 40여 개국이 가입되. 유럽국가들을 비롯하여 여러 국가들에서 독. 어있다. 이 조직은 각 국가별, 지역별로 지부. 일에서의 방법이나 이에 상응하는 디론 틀을 가. (branch)를 두어서 관련된 모든 학회와 연구자. 지고 도시생태 및 농촌생태에 대한 연구가 진. 들이 함께 연대하여 경관생태학을 발전시키며. 행되고 있다. 자연보호 및 계획을 위한 도시생. 환경정책에 이론을 제공동}는 네트워러1제를 구. 태에 대한 분석 및 평가는 다음과 같은 국가들3). 축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학 연구소와 소규모. 에서 일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Schulte,. 의 연구모임 등을 통하여 경관생태학의 명맥을. et al. 2000)..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생태학회내에 국제. 경관생태연합 가입 추진위원회 (IALE- Korea Promoting Committee)가 구성되어 가동 중에. 크로아티아, 멕시코,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있다. 북미의 영향을 받은 연구자들은 경관생태. 폴란드, 스위스, 남아프리카, 체코, 터어키,. 학의 범주 안에 도시생태학을 포함하여 도시의. 헝가리, 미국. 브라질, 중국, 영국, 이태리, 일본, 한국,. 경관생태적 연구를 도시생태학으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독일 에서도 이와 비 슷한. 독일의 연방자연보호법 및 주자연보호법은 자.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 연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주지의 자연을 보. 구가 늘어남에 따라 경관생태연구 대상에서 도. 호, 관리, 개발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4) 그러나. 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고 도시. 이것은 구체적이 고 충분한 생태정보를 기초로. 생태연구는 생태적인 도시계획 및 개발과 밀접. 할 때만이 가능하며 도시와 농촌에서의 비오톱. 한 관련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도시생태 를 독립. 지도화는 이 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로 이용되고. 적으로 특별히 강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있다.. 으로 보인다.. 정주지에서의 비오톱지도화는 1978년에 시작. 최근 한국을 비롯하여 북미에서도 유럽의 영. 되었으며 이후로 독일의 연방자연보호청과 州. 3)열거한 국가들은 해당국가의 특정 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생태 관련한 연구논문이나 보고서가 영어 또는 독일 어로 발표된 경우를 종합하여 작성한 것이다. 연구내용의 양과 질적인 측면은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연구의 편차는 상당히 클수있다. 4)자연보호법이 자연공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정주지를 포함한 국토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자연보호법에서 제 시하는 규정들이 도시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된다.. -2-.

(5) 송, 도시생태관리의 선진국 동향. D ie Module Grundkarte. .. ‘ .""""야"'''''’‘.~I 빠‘얘., Hlnlltgn.ndlc~en . ...~IUUIψ ........ .bezllk......‘~F'"얘·‘.,“". ...... . z때’I&rnogIIdlktll ltJf..,~삐m 야,.. a‘eØnln ÞlZlrtclchlnALι。. SZSN. ‘I잉. ·아.... ‘_.""‘ι"""'"’‘、""'-‘“’. ‘ ... ιvcnF.c애.,"".,~. , Vorb...nete SIIChC“_"빼....... v‘.。여"""''''. ..... ·ι‘1‘.be<찌 ........애 von""""""씨X‘. ·이,,~-‘...“Ilitdl. 1lu’‘·“g., und. ‘o<< G K.. …"". F""' R~、 ~ .... .".“ ....애--‘·당"'"‘"""'~.‘Z., ‘. -. 얘."‘”’,.,.‘-"'" F......‘-‘...... . 9t_‘*“1얘 - ‘ ....‘.... 이._ _、g. Fig. 1. Basic map of GIS-System(Berlin). * GIS 시스템을 이용한경관계획 기본도면 .. l\ffnü찌 ruktur 1m WNFOS. 3.0. Fig. 3. Nature reserve ‘'Teufelsmauer'’(Sachsen-Anhalt) *자연보호구역 “토01펠스미우어”. 에서 정주지 자연의 보호, 관리 , 개 발을 규정 하 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 적 인 규정은 생태적 인 기초데이터 또는 시기 에 알맞은 비교분석자 료가 선 행되어 야 이행될 수 있다(Buchreiter­. Schultz & Kreitmayer 1991). 따라서 정주지 에. Fig. 2. Menu-structure of 니 NFOS 3.0 program for a user(Mecklenburg -Vorpommern) . *사용자를 위한 Ll NFOS 3.0 프로그램의 메뉴. 서의 비 오톱지 도화는 이러한 관점 에서 필수적. 인 도구이 며 자연보호, 경관계 획, 그리고 도시 계획 에 필요한 생태적인 기 초자료를 제공한다.. 구조. Table 1은 독일의 157~ 州 에서 지난 2002년 자 자연보호청 및 기관에 는 이 를 위한 연구자그룹. 연보호 및 경관관리 를 위 해 행했던 주요 활통. 이 있다. 1 986년과 1993년에 이 러 한 연구자그. 들을 정 리한 것 이다. 독일의 자연보호 및 경 관. 룹은 독일전 역에 동일한 방법 을 적 용하고자 정. 관리사업 들은 도시 계획 및 개 발사업 에 반영 되. 주지 에서의 비 오롭지도화를 위한 국가적인 지. 는 제도적 틀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이 러한 사. 침을 발표했으며 이 후로 독일의 222개 도시 에. 업들은 궁극적으로 생 태적인 도시 관리사업의 일. 서 비 오톱지 도화가 진행되었다(참조 Table 1).. 환이 된다.. 이 과정 에서 1978과 1 999년 사이에 약 1억 8천. 효박의 도시샘태관리. 만 마르크(한화 약 1천 80억원)가 투자되 었다. 연방자연보호법, 州자연보호법 , 그리 고 건설. 서울을 비 롯한 대도시의 환경질 악화로 1990. 법전 5)은 공간에 변화를 가져오는 계획과 사업 5).독일의 도시계 획관계법. - 3-.

(6) 자연보존. Table 1. Core activities in 2002 of the German regional state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nature conservation and landscape management. 주U‘1'1)이름 바댄뷔르템베르그. (Baden-Wuertemberg) 바이에른 (B ayem) 베를린 (Berlin) 브란덴부르그(Brandenburg). 브레멘 (B remen). 주요활동. 도시수. -장기과제인 생물종보호프로그램외에 생물종보호를 위한 특별프로젝트 추진 (조류 모니터링, 야생햄스터 보호, 비버 보호 및 관리). 16. -자연보호사업의 지속적인 확장-특정생물종보호를 위한 생물종보조프로그램 (조류 ; Circus pygargus). 32. -경관계획에 GIS 시스템의 이용 -경관계획에서 데이터 분석 및 GIS시스템을 도입한 경관계획의 수립 식물종 보호를 위한 재정 리. 6. -자연보호단체들과의 공동프로젝트 추진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의 개념에서 녹지연결망을 강조 - 인접한 니더작센주와 공동으로 10-15년 이내에 5000 ha 이상의 지역에 대한 포괄적인복원사업 실시 -자연관리를 위한 유럽의 규정에 적용하기 위한 브레 멘자연보호법의 개정 -공공 및 개인 투자체 인 haneg에서 자연보호와 보정 사업을 위한 자문 및 서. 2. 비 스를 제공. 함부르그 (Hambu땅). 니더작샌 (Niedersachsen). -유럽연합 및 연방정부에서 주도하는 프로젝트의 추진(예; 엘베강 유역관리, 동식물서식지 유형개발퉁). -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제공확대 - Neugraben-Fischbek 주거지역의 개발을 위한 경관 생태 계획의 공모 -토양훼손에 대한 자연침해규정의 적용작업을 ~+I환경 국에서 보조 - 니더작센의 검은가슴물떼새 (G이야genpfeifer)의 보호 프로그램 - 하천의 진주조개 (Flussperlmuschel)보호사업. -경관정보시스템 αINFOS , Landschaftsinformationssystem)의 확충 -LINFOS에서는 지형, 경관계획, 보호구역, 비오톱, 동물상, 식물상, 보상지대 (Meckler 없 뼈 n 삐 Ib burg 앙-、 Vor甲 pommem) 장 동의 주제들을 담고 있음. 2. 11. 멕클렌부르그포어포먼. 노드라인베스트팔렌. (Nordrhein-Westf머en). -주면적의 0.5%에 해당송}는 170 지점을 대상으로 이용 강도와 종풍부도와의 관계 분석(조류밀도 분석) - 인터넷을 통한 자연보호관련 정보 제공αOBF; htφ://\νww.loebf.nrw.de). -법 적으로 보호가치가 있는 비오톱 조사 및 평가: 보호 가치가 있는 비오톱면. 3. 75. 적은전체 주변적의 2% 라인란드팔츠 (Rhei띠 and-Pf외z). 자르란트(Saarland). 작센 (Sachsen). -경관보호를 위한 공간속성의 데이터베이스화 -경관보호 및 복원사업(예, 비오톱보호, 환경친화적인 경작추진) -생물권보전지역 Bliesgau 관리. -생물종 관리. - 양서류 관련 자료집 제작(도변포함). 9 2 4. -3년 동안 진행되었던 “작센안할트州의 환경관리를 위한 인공위성자료의 분 석 (OFULSA)"과 관련한 과제의 완성 -동식 물서식지유형관리라는 주제로 들판보호방안 제시. 작센안할트 (Sachsen-A띠1외t). 슐레 스비히흘슈타인 (Schleswig-Holstein) 뒤링엔. -독일의 조류모니터링에 대한 전망 -자연보호를 위해 가치가 있는 지역에 대한 도면을 새로이 작성(현재 주전체 면적의 85% 작성, 1:50 000) 세 번째로 오래된 자연보호구역 인 Teufelsmauer에 대한 자연보호구역지정 150주년 기념행사. -멸종위기종목록의 갱신 철새이동을 고려하여 풍력발전시설의 최고높이를 100 m로 제한. -Rhon 산맥의 종다양성과 경관특성의 보호를 위한 연방과 연계한 자연보호 프로젝트 시행 (3차 2003년 1월 시작 ηlUeringer Rhoenhutungen). (Thuering태)자연보호관련 도면 및 서적 발간 배호(예 ; 튀령엔의 식물분표) 류: 도시 수는 각 주에서 비오톱지도화가 이 루어진 도시의 수를 의미함. - 4-. 4. 19 13.

(7) 송, 도시생태관리의 선진국 통향. 년대 이후 생태적인 토지관리 및 도시계획은 도. 이 환경오염, 기후변화, 생태계 및 시민생활에. 시관리의 큰 이슈로 떠올랐으며 선진국의 도시.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한 원. 생태연구결과 및 이의 적용을 위한 도시관리시. 천적인 해소 또는 저감대책을 마련하여 환경적. 스탱은 국내의 연구자들에게 주요한 관심영역. 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 이 되었다. 생태적인 도시관리를 위해서는 도시. 해 시행되는 제도로 2002년 국토의계획및이용. 생태연구와 병행하여 이의 활용을 위한 제도적. 에관한법률 제정 (2002.2.4)으로 더욱 강화되었. 뒷받침이 필수적인데, 지난 10여년간 환경 및. 다. 환경성검토는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으로 구. 생태분야의 연구자들은 실질적인 데이터에 근. 분하여 시행하는데 전자는 자연, 경관, 주요 동. 거한 도시생태연구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식물과 비오톱의 보전 및 복원을 후자는 휴식,. 노력하였으며 이의 활용을 위한 법제적인 연구. 여기공간의 확보 및 물리적 생활환경의 개선이. 는 주로 환경생태 및 도시계획관련 연구자들에. 라는 관점에서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검토한다.. 의해 수행되었다. 아직 양자간의 조화가 이루어. 도시관리계획의 유형에 따라 환경성검토 항목. 진 이상적인 도시관리를 이끌어내고 있지는 못. 을 달리하여 시행할 수 있다. 국토의계획및이용. 하지만 향후 긍정적인 결과들을 얻어낼 수 있. 에관한법률 제 27조제 3항에 근거한 토지적성평. 을 것으로 보인다.. 가제도는 토지의 토양, 입지, 활용가능성 동에.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노력은 자연보호관계법. 따라 개발적성, 농업적성, 보전적성을 평가하고. 에서의 접근과 도시계획관계법에서의 접근으로. 그 결과에 따라 토지용도를 분류함으로써 국토. 크게 나눌 수 있는데 , 현재 개정 입법추진중인. 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개발과 보전의 조회를 유. 자연환경보전법에서도 상당부분 결실을 보았다.. 도하기 위해 실시한다. 개 정되는 주요내용은 첫째 환경정책기본법과의. 향후과제. 연계성을 유지하여 국가환경종합계획과 자연환 경보전계획의 계획기간, 종류 동의 연계, 둘째 기존의 멸종위기종 또는 보호종뿐만이 아니라. 생 태 적인 도시관리를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일반야생동식물 서식지 · 도래지 개념 도입 C 셋. 접 근이 필요하다. 첫째 는 도시생태에 대한 구체. 째 국토공간과 연계한 자연환경보전정책 추진. 적인 정보 및 활용방안이고, 둘째 는 이 러한 작. 체계 구축(전국의 생태네트워크 및 도시지역의. 업이 기능하도록 하는 법 제적인 뒷받침이 이루. 자연환경보전), 넷째 자연보전 관련 법령에 관. 어지는 것이다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는 짧. 한 기본법적 지위 및 권능 확보, 다섯째 자연. 은 시간동안 상당부분 성과를 가져왔다. 도시 라. 경관계획수립, 자연경관보호지역, 자연경관심의. 는 공간의 속성상 도시 계 획 및 개발을 간과할. 위원회 도입 동을 통한 자연경관 보호 강화, 여. 수 없으므로 도시 자연관리와 도시계획의 연계. 섯째 지 속가능하고 합리적인 자연경관보전 및. 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이용 · 관리체계 정립, 일곱째 자연용량제 도입,. 는 이미 1970년대부터 자연보호관계법과 도시. 비오톱지도 작성, 생태자연도 개선, 자연친화적. 계획관계법에서 이 양자를 연계시킬 수 있는 조. 인 개발계획 수립기준 마련 등 과학적이고 객. 항을 가지고 있고 이 것은 독일의 도시생 태 및. 관적 인 자연환경보전정책 수단 제시 등이다.. 생태적인 도시관리 가 발전할 수 있었던 근본적. 도시계획관계법에 근거한 제도로는 환경 성검. 인 계기가 되 었다. 한국의 경우에도 자연보호관. 토와 토지적성평가가 있다. 200α넌 도시 계 획법. 계법과 도시계획관계법에서는 각각 생태적인 도. 의 전면개정 (2000. 1.28)..Q_로 도입된 도시관리계. 시관리 를 위한 조항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가고. 획 환경성검토는 도시관리계획의 결정 및 시행. 있으므로 향후 양자의 연계 를 제 도적으로 보완. - 5-.

(8) 자연보존. 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현재의. 태도시조성지침수립 2차년도보고서.. 법제에서는 경관계획 및 생태계획을 통한 도시. 서울특별시 . 2003.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1차년.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의 보완작업. 도(미발표자료).. 도 중요한 과제로 남게된다.. 송인주 . 2003. 경관생태연구의 발전과 전망.Our. 그러나 제도적인 부분에서의 성과에 비해 기. Planet. UNEP, 18-19.. 초데이터에 근거한 도시생태연구 및 활용부분. 이상대 · 송인주 2002 우리나라 공간계획과 환. 은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경계획간 연계체제 및 실태분석. 대한국토·. 이는 자연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생태연구와 비. 도시계획학회지 . 제 37권, 제 7호(통권 125호),. 교적 소규모의 공간을 대상으로 했던 조경연구. 29-43.. 동 국내의 학문적 풍토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 지속가능발전위원회 . 2003 국토의 통합적 관리. 로 보인다. 동시에 이들 연구자들이 도시계획에. 를 위한 핵심개혁과제(미발료자료). 대 한 이해의 폭이 깊지 못하고 공간에 대한 계. 환경부. 2003. 자연환경보전법 개정방향. 미발표. 획마인드가 결여되어 있었던 점도 그 원인으로. 자료.. 지적할 수 있다. 도시라는 공간은 자연만이 존. Buchreiter-Schultz, M.. Kreitmayer, M . 199 1. Die Stadtbiotopkartierung. Natur und Recht 3: 107-115.. 재하는 것이 아니고 그 안에 필연적으로 인간 과 인간을 위한 건축물이 함께 들어 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의 연구경험과. and. 선진사례 퉁을 토대로 이러한 부분들은 향후 지. Schulte, W. and Sukopp, H. 2000. Stand- und Dorfbiotopkartierung-Erfassung und Analyse. 속적으로 보완을 해나가야 할 것이며, 생태적인. oekologischer Grundlagen im besiedelten. 도시관리를 위해서는 도시의 생 태 적인 연구와. Bereich der Bundesrepublik. 이의 이행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의 조화가 필. Naturschutz und Landschaftsplanung 32(5):. 수요소이다.. 140-147.. Deutsc비and .. Sukopp, H. 2002. 독일의 도시생태학. 환경과 조. 참고문헌. 경, 178-187.. Sukopp, H. 1994. Stadtoekologie und Stadtgesta1tung 건설교통부. 2002.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In: Urbane Zukunft zwischen Wachstum, Oekologie. 시행령.. und knapper Kasse. Landeszentrale f. polit Bildung Baden-Wuettemberg, 45-57.. 서울특별시. 2003. 서울특별시도시계획조례, 시. Sukopp, H. 뻐d Trepl, L. 1993. Stadtoekologie. In: Kuttler(Hrsg.). Handbuch zur Oekologie. Berlin,. 행규칙.. 서울특별시 .2000 서울시 비오톱현황조사 및 생. 391-396.. 태도시조성지침수립 1차년도보고서 . 서울특별시 . 200 1. 서울시 비오톱현황조사 및 생. - 6-.

(9) 자연보존. 124: 7-15; 2003 년 12 월. 도시샘태계 네트워크 구촉 방안1). 전 승 훈2) 경원대학교조경학과. 서. 하고 있으나, 인위적인 시설과 활동이 집중되는. 론. 도심의 환경은 인공적으로 조성한 녹지가 우세 네트워크의 개넙. 한 2단계 공간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인구집중. 오늘날 우리 생 활환경은 네 트워 크 만능시대. 과 도시화로 인해 도시생 태계 는 자연생태계에.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통수단을 통한 인. 비해 구조와 기능측면에서는 단순하나 배치와. 적, 물적자원의 일차원적 이동을 벗어나 시공간. 형태, 그리고 속성이 복잡하다 즉 도시 팽창으. 을 뛰어넘는 인터넷이라는 정보통신혁명이 가. 로 인한 자연생태계의 감소와 단절, 상이 한 환. 져온 결과이다. 네트워크란 인문사회학적으로. 경 유형간의 접목, 그리고 급진적인 변화(교란). 특정한 공간에 속하는 인간과 사물 둥 모든 구. 의 압력하에 놓이게 됨으로서 자연생태계가 갖. 성요소 사이의 상호간의 이통과 정보의 교류와. 는 순환성, 안정성 , 재생복원력, 그리고 생물부. 공유를 연결하는 그물망을 일컴는 용어이다.. 양능력이 거의 파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생물적 요인과 생물적 요인으. 도시의 팽창과 토지이용압력의 증대는 도시. 로 구성되어 있는 자연생태계도 구성 요소사이. 내 존재하는 생태계 혹은 녹지에 대한 과도한. 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와 물질 이 순환되게. 이 용과 개 발행위를 발생시 키며, 이 로 인해 도시. 된다. 즉 생산자인 녹색식물이 생산한 유기물을. 내 자연환경은 구조와 기능이 심각하게 훼손되. 1차 소비자인 초식동물, 그리고 2차, 3차 육식. 었고, 자연생태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동물로 먹이사슬이 이어지고, 결국에는 이들 동. 기능들을 잃어가고 있다.. 식물의 사체가 분해자인 미생물에 의해 환원되. 도시생태계는 형성과정에서 볼 때 크게 2가. 는데 , 이러한 먹이사슬은 섭식 및 포식관계에. 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인위 적인 형성과. 따라 다차원의 복합적 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정을 통해 이 루어진 것으로 흔히 공원녹지라고. 된다.. 불리우는 유형이다. 여기 에 는 공원, 각종 시설 녹지, 저수지 및 연못, 대지내 조경공간, 가로. 도시샘태계의 구분과 특성. 수 등이 해당한다. 또 하나는 자연적인 형성과. 도시생태계는 행정구역상 경계인 도시라는 특. 정을 통해 이 루어진 유형으로 주로 도시 외곽. 수한 공간을 대상으로 이 루어진 생태계 이다. 기. 에 대면적으로 존재히는 산림, 하천 및 지천 수. 본적으로는 자연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작용. 계, 그리고 습지 퉁이 포함된다.. l)Builωng of Eco & Green Network in Urban Areas 2)CHUN, Seu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won University; E-m없1: chunsh@ni없l.kyungwon.ac.kr. - 7-.

(10) 자연보존. 전자의 경우, 비교적 시각적으로 단순하고 경. 향상시킴으로서 부수적으로 도시환경 에 대한 기. 관미나 차폐 또는 경계 둥 식재기능 중심의 목. 능을 강화할수 있다.. 적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가 갖는 생물 부양능력이나 물질의 순환기능은 떨어진다. 반. 도시생태계 네트위크 구촉의 필요성. 면, 후자의 경우는 도시구역내 남아있는 자연경.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고유한 자연경관은 숲. 관요소로써 도시환경의 골격을 형성할 뿐아니. 과 물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모습을 보여주고. 라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요소의 서식환경의. 있는데 , 숲과 물은 바로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기반역할을 한다.. 생물들이 살아가고 이동하는 공간이었다. 그러. 도시생태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도시림이 있. 나 도시화의 진전으로 도시의 바탕이었던 자연. 다. 도시림은 좁은 의미에서 도시구역내 산림,. 생태계는 감소되거나 훼손되고 또는 개 발의 유. 가로수, 주택지의 수목, 공원의 수목, 그리고 그. 보지로 남겨져 초라한 위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 린벨트내 수목을 망라하고 공 · 사용지의 수목,. 이 현실이다.. 운송망과 전기, 철도 둥과 같은 공익시설을 따. 도시생태계 네트워크란 단순히 물리 적인 공. 라 존재하는 수목까지 포함하여 정의되 고, 보다. 간들의 연결 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간의 관계 를. 넓은 의미에서는 시민휴양, 환경보전 및 자원생.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시켜 사람과 생물이 공. 산에 기여하고 있는 근교산림을 포함하여 사람. 존공생할 수 있는 생명부양시스댐을 구축동}는. 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공간을 구성하. 것이다. 도시생태계는 살아있는 공간, 즉 생물. 는 생태시스템으로 정의된다(산림청 , 1997).. 들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생태계로서 내. 따라서, 본 논고에서 는 인공적 녹지와 자연. 외부적 으로 생 물종과 물질의 이 동과 순환 분배. 생태계가 복합되어있고, 이들의 관계는 상보적. 가 이루어지며 생물상호간의 유전자와 정보의. 인 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도시생태계와 도시. 교류를 통해 발전되고 진화되는 생태계이다.. 렴을 통일한 개념으로 간주하그l자 한다.. 도시생태계 네트워크를 구현함으로서 도시에 다양하고 미미한 공간들의 가치 를 발견하고 의. 도시생태계의 기능과 가치. 미 를 부여하며, 기능을 부여 함무로서 궁극적으. 도시생태계가 갖는 기 능을 크게 자연생태계. 로 단편화된 구조와 단절 또는 훼 손된 기 능을. 적 기능과 도시환경적 기능을 고려해볼 때 다. 회복함으로서 도시환경을 재생복원시킬 수 있다.. 음과 같이 정리된다(Table 1). 도시생태계의 네. 한편, 도시계획측면에서도 도시생태계 네 트워. 트워크 구축은 자연생태적 기 능을 강화시키고. 크는 무질서한 도시의 팽창을 제어 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 궁극적으로 도시민에게 즐거움과. 정서 함양, 휴양 및 여가선용의 공간을 회 복시켜. Table 1. Function of Urban Ecosystem 자연생태계적 기능. 줄수 있다.. 도시환경 적 기능. 최근 선진국을 비롯한 수 많은 도시에서 접. 대기정화. 미기상의 조절. 수원함양 및 수자원공급 조절. 심미적 가치. 근하고 있는 생태도시, 자연형 하천조성, 입면. 토양침식방지. 대 기오염 물질의 정화. 녹화, 비오톱 조성, 생태 통로 및 녹도조성, 녹. 보건휴양 및 정서 함양. 보건 및 정서 함양. 지의 양적 질적 증대 등의 사업들은 도시와 인. 생물서 식환경의 제공. 완충공간의 확보. 간과 자연의 공생 공존의 필요성을 절실히 반영. 자연산물의 생산 및 공급. 부수적인 소생물서식 처제공. 하고 있는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업 은 궁극적으로 도시생태계 네트워 크 구축효과. k도시 생태 계 의 기 능. 를 낳게된다. n. x. u.

(11) 전, 도시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빙안. 본. 탕과 조각은 통로에 의해 피편화(fragmentation). 론. 가 되거나 고립됨으로써 바탕과 조각 모두 내 도시생태계. 부면적은 줄어 들고 가장자리는 늘어나게 된다.. 네트워크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이러한 경관바탕과 조각이 자연생태계의 구성. 원리 경관생태학은 조경과 토지관리 및 계획 그리. 요소인 서식처라면 생물종의 감소와 생태적 과. 고 사회학의 결합과 함께 인문지리와 생태학분. 정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경관조각. 야의 총체적 접근ξ로서 자연공간에 대한 인간. 의 크기와 수는 그 안에 서식할 생물종의 수,. 의 영향력이 커지고 그에 따라 토지에 대한 자. 생산성, 물질의 순환, 침식량, 수문과정 빛 하. 연과 인간의 다양한 요구들이 경쟁하고 있는 공. 천에 대한 영향 등 환경변수와 밀접한 연관을. 간의 특징과 함께 자연적 , 인위적 요소들의 흐. 갖는다. 작은 조각이 좋으냐 큰 조각이 좋으냐. 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이도원, 2001).. (LOS ; a large or a sma11 patch) 또는 전체 면. 모든 경관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하나의 공. 적이 같은 경우 작은 조각이 좋으냐 아니면 적. 간시스템이다. 경관의 구조는 이질적인 공간요. 은 수의 큰 조각이 좋으냐(SLOSS ; a single. 소들이 이 루는 유형을 말하며, 경관을 이 루는. large or several small paches)의 문제가 대두된·. 기본적인 단위는 경관요소이다 경관을 이루는. 다. 일반적으로 큰 조각에는 많은 먹이자원과. 요소들은 크게 바탕(matrix), 조각(patch), 통로. 잠자리, 포식자와 경쟁지를 피할 수 있는 장소. (corridor)로 구분된다. 바탕은 가장 넓은 면적. 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소서식처가 있기 때문에. 을 차지하고 연결성이 가장 좋은 경관요소를 말. 작은 조각보다 더 높은 종풍부성과 개체수를 유. 하며, 조각은 지표상에서 생태적, 시각적 특성. 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주변과 다르게 나타나는 비선형 적 지역인 경. 둘째, 경 관구성요소를 자르기도 하지만, 연결. 관요소이다. 통로는 바탕에 놓여있는 선형의 경. 하기도 하는 통로는 그 자체의 속성에 따라 생. 관요소를 말하며 , 형성되는 과정이 조각의 경우. 태학적으로 유리 할 수도 불리할 수도 있다. 일. 와 거의 비슷하지만 나타난 모양에서 차이 를 가. 반적으로 통로는 서식처 (habitats), 도관(conduit),. 진다(이도원, 2001; 홍선기와 김동엽, 2000).. 장벽 (b없rier), 여과대 (filter), 공급원 (source), 수. 따라서, 경관은 바탕과 조각, 통로가 이 루어. 용처 (sink)라는 6가지 의 기본기 능을 가지고 있. 내는 토지모자이크라 할 수 있으며, 경관의 구. 다. 통로의 효율적인 기능과 관련해서 가장 중. 조는 비생물적 , 생물적 과정과 인간의 간섭에. 요한 점은너비와 연결성의 문제이다 통로의. 의한 지피의 변화로 형성되며, 그 변화의 요인. 너비는 환경통로에서 생물의 서식 및 이동효율. 의 작용으로 시간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 뿐만 아니라 물과 물질 의 이 동, 침식과 퇴 적,. 난다. 즉 과거에 나타났던 변화들이 축적되 면서. 홍수방지와 같은 하천통로의 여과와 수용처 기. 이 루어지고 변화를 담은 충들이 마치 지리정보. 능의 크기 를 결정하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또. 체계의 각 정보요소들의 층처럼 포개짐으로서. 한 통로의 단위 길 이에 나타나는 틈의 수가 적. 경관은 형성된다.. 을수록 연결성은 높은데, 이 는 동물의 이 동이나 물질, 정보의 이 동에 보다 유리하다..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다음의 3가지 경관구 성요소의 특성은 경관생태학적 과정의 변화를. 셋째, 경계와 가장자리 의 문제이다. 경관요소. 이해 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이 도원, 2001).. 와 요소사이 에 일어 나는 사람의 이동, 에너지의. 첫째, 경관 구성요소중 바탕은 통로에 의해 잘. 흐름, 물질의 순환, 정 보유통에 의한 상호작용. 려지거나 조각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 며, 조각. 이 적은 곳에 경계가 설정된다. 이러 한 경 계 는. 역시 통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결국 경관바. 생태적 과정 을 서로 분리 시키 고 위치 를 지정함. - 9-.

(12) 자연보존. 으로써 실체의 행위와 사건이 제한된 곳에 일. 능선, 동산로, 도로, 생울타리 등은 통로의 예. 어나도록 한다. 경계선의 주위에는 일정한 너비. 이다(이도원, 2001). 를 두고 양쪽에 가장자리가 있다. 가장자리는. 도시생태계 네트워크는 경관생태학에서 이르. 이웃한 두 공간요소 사이에 위치하나 그들의 중. 는 경관요소들 가운데, 생물서식환경을 중심으. 심부와 구별된다 생물다양성 증진측면에서 가. 로 기능과 구조를 강화하여 도시가 하나의 통. 장자리 효과에 대해서는 찬반논란이 있다. 긍정. 합된 시스댐을 갖추게 하는 것이다. 적인 측면에서는 가장자리가 늘어날수록 가장. 환경부에서 추진한 ‘전국 그린네트워크화 구. 자리에만 서식하거나 두 개 이상의 서식처를 선. 상’이나 서울시에서 제시하는 도시녹지네트워크. 호하는 생물종이 증가한디는 점이다. 특히 하천. 구축방안에서 녹지를 녹지핵, 녹지거점, 점 ·선. 변이나 호수변의 수제선이 늘어날 수록 다양한. 적 녹지로 구분하고 이들이 핵→거점→선 · 점. 서식처를 제공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적 녹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생태통로로 연결.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내부종의 감소와 이질적. 함으로써 도시녹지의 체계화와 연결망을 형성. 인 요소의 도입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하는 것도 도시생태계 네트워크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환경부, 1995; 서울시, 2001) , 여기서 도시샘태계 네트워크의 구축. 녹지 핵은 생물종의 저장 및 공급원인 도시내. 1) 기본구상. 부나 외곽의 산림지대를 말하며 거점은 도시내. 도시생태계는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보면 하. 소규모 공원 또는 녹지대, 선 • 점적 녹지는 시. 나의 경관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숲과 하천과. 가지내 고립이나 소규모 녹지, 정원 , 주차장을. 같은 여러 생태계와 다양한 토지 이용패턴이 경. 말하며 이 들 요소들은 가로수 등의 생태통로로. 관구성요소가 된다. 즉 도시경관은 경관 요소로. 연결된다.. 구성된 토지모자이크로서 숲이나 농경지, 도로. Table 2는 도시생태계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와. 와 포장된 지면, 조밀한 상가와 주택가가 우세. 도시내 생태계 유형과의 관계를 정리한 것으로. 한 지역이 바탕의 예가 되며, 숲으로 이루어진. 써, 자연적인 구조와 기능을 비교적 많이 지니. 바탕에 벌채나 개발활동으로 만들어진 파편화. 고 있는 산림(숲)이나 생태공원과 같은 핵지역. 된 공간들이 조각을 이 룬다 또한 하천이나 산. 이 면적적으로 거점과 점으로 확산해나가는 모. T'able 2. Properties of Components for NetWorking of Urban Ecosystem 요소. 핵. 기능 생물다양성 부양 물질 및 에너지의 순환 생 물종의 저장 및 공급원 생물종의 휴식처. 거점. 소형생물종의 서식지. 선통로. 생물종휴식처 미세서식처 구성요소의 연결 생물종의 이동통로. 도시내 생 태계. 생물종(대형) 유전자물질. 생태공원. 중,소규모넓이와 높이. 생물종(중형) 유전자. 저수지/연못. 모. 점. 대규모 넓이와. 이동요소. 높이. 규적 소 면. 도시민보건휴양. 구조. 선형폭과너비. 생물서식처 *도시생태계 네 트워크의 구성요소. - 10 -. 생 물종(소형) 생물종 유전자 물질(하천). 산림(숲). 도시공원. 옥상,대지안 녹지 가로수. 하천.

(13) 전, 도시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방안. 형이 가장 바람직하며, 차선책으로 통로를 통해. 셋째는 경관생태계 유형을 복원(재 생, 창출). 핵과 거점, 점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 을 통해 도시화를 통해 잃어버린 자연의 요소. 하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적인 네트워크와 더불. 를 회복시켜야 한다. 지금도 매년 약 8,000 ha. 어 핵이 가지고 있는 생태계 기능이 부분적으. 이상의 도시산림이 타용도로 전용되고 있는 실. 로 거점과 점, 통로에 확보될 수 있도록 네트. 정이며, 도심을 관통하고 있는 하천의 자연성은. 워크의 질적인 수준을 제고하는 것도 매우 중. 빠른 시간내에 회복되기 어려운 상태이다. 복원. 요하다. 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잠재 자연경 관생태도를 구축하는 것 이 필요하다. 생태계의 핵이 되는. 2) 추진전략. 공간이나 도시화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훼손. 도시생태계 네트워크의 추진전략은 크게 3가. 된 지역을 다시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의식 과 노. 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는 경관생태계 구성. 력이 필요하다. 또한, 매 년 감소되고 있는 공원. 요소의 보존(보호)이다. 도시환경에서 잔존하고. 녹지는 생태계의 거점으로써 새로이 조성되거. 있는 바탕(핵), 조각(거점), 통로(선)는 쾌적한. 나 창출되어야 한다. 특히 생 물의 서식처를 형. 도시환경이나 생 물다양성의 유지 측면에서 충분. 성할 수 있는 자연의 재 생 공간 또는 비오톱 형. 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두를 보존하고 보호하는. 태가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능한. 일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사유재산권의 침. 불투수충을 걷어내고, 녹지피복도를 조사하여. 해문제가 발생하거나 시급한 공공적 성격의 토. 녹지조성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지이용과의 경합이 있을 시에는 절 대 및 상대. 아울러, 기존의 공원녹지 기능이 복합적이 면. 보존지구의 개념 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서 보다 신속히 발휘될 수/ 있도록 식재계획 시. 핵과 핵 사이 를 연결할 수 있는 통로를 대체. 큰나무의 도입, 다층의 군집 식재, 자연식생형 의. 요소로 확보히는 것이 필요하다.. 식재패턴이 적용되어야 한다 특히 큰나무의 도. 둘째는 앞서 언급한 보존(보호)요소의 기능을. 입은 녹지의 양적(부피 , volume) , 질적 기능(수. 강화하는 일이다. 도시생태계 구성요소의 기능. 목자체의 생리적 기능)을 동시에 해 결해줄 수. 은 매우 다양한데, 이미 언급한데로 생물서식공. 있을 뿐아니라 시 각적인 효과도 크다.. 간의 제공과 자연산물의 공급, 수원함양과 토양 주요 도시생태계 유형별 네트워크 구촉농반. 환경의 보호 등 자연생태적 기능과 도시 미 기상. 의 조절, 시각적 경관미의 제공 동 도시환경적. 1) 산림(숲).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은 도시생태계 유형별. 도시지역의 산림(숲)은 도시발달의 모태이 자. 로 주기 능과 부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 를. 도시 환경유지의 보호막이 되어왔다. 숲이 우세. 들어 , 가로변 녹지 대의 경우 주기능은 도로시 설. 한 우리나라의 경우 주거공간의 배 치는 배산임. 과 건물지역의 완충공간 확보이나 가로경관미. 수(背山臨水)라는 풍수지 리학설을 따랐고, 현재. 형성과 소생물서식공간 제공이라는 부기능을 수. 도 고밀도 주거환경(아파트 퉁)의 경관적인 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숲이나 하천 등과 같이. 팀목이 되어 주고 있다. 또한 열악한 도시환경 에. 자연에 가까운 식 생이 기반하고 있는 공간유형. 서 살고있는 야생 동물의 핵심적인 보금자리였. 의 경우 생태적 시 업 (조림학적 기술적용)을 통. 을 뿐아니라 수 많은 도시 민의 진정한 자연의. 해 관리목표로 하는 주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바. 고향으로써 보건 · 휴양기능을 묵묵히 수행해왔다.. 람직하며, 인공적으로 도입한 녹지의 경우, 육. 1970년대 연료문제의 해 결과 산지녹화 및 자. 성을 통해 주기능과 부기능이 증대되도록 하는. 원조성 이라는 사회 적 목표아래 국민적 관심을. 것 이 필요하다.. 받아 조림 되 었던 도시인공림은 오늘날 변변한. -11-.

(14) 자연보 존. 역할을 부여받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리기다소. 있다는 점에서 그 효용이 높게 평가되어 녹지. 나무림 , 아까시 나무림 , 낙엽송림, 포플라렴 , 밤. 체계의 중심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더욱이. 나무림, 잣나무림 등으로 대표되는 이 들 인공림. 도시집중화에 따라 시민의 녹지공간에 대한 수. 은 그동안 방치되다 시피하면서 숲이 주는 다. 요가급증하고 있다.. 양한 무형, 유형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 서울시의 사례를 통해 당면한 공원녹지 의 문. 지 못하고 있다 다만, 도시민의 보건휴양 및. 제를 살펴보면 , 편중된 분포 및 낮은 이용가능. 자연회귀공간으로의 수요가 폭발적이어서 새로. 성, 도시공원의 미 시설화 및 공원용지 개발의. 운 사회적 가치 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약, 낮은 공원이용률과 공원의 질 저하, 다양. 따라서, 앞서 도시생태계 유형구분과 경관생. 한 형태의 도시공원의 부족, 공원녹지의 연계성. 태학적 원리를 적용한 네트워크 구축에서 언급. 부족과 비효율성, 도시개발로 인한 육경축 훼손. 한 대로 도시산림(숲)은 도시경관의 지배적인. 및 녹지축의 단절 , 공원 및 녹지총량의 감소 및. 요소로써 도시생태계의 핵이라 할 수 있고, 그. 질적 수준의 저항 등을 들고 있다(서울시 , 2001).. 에 따른 구조와 기능이 분류평가되고, 또한 합. 도시생태계 네트워크 차원에서 공원녹지는 거. 리적 이용과 관리가 이 루어져야만 한다. 이러 한. 점 의 공간자원이라 할 수 있다. 앞서 추진전략. 관점에서 볼 때,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도시. 에서 언급한 공원녹지 보존(보호)방안은 도시공. 산림의 유형을 분류하고, 기능을 부여하는 일이. 원시설율 제고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근 미. 다. 산림청 (1997)보고서에서는 도시림의 기능,. 시설 공원용지에 대해 사유재산권 보호측면에. 관리단위 , 외 국의 사례 등을 종합적 으로 검토하. 서 공원시설에서 해 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 여 도시림 의 목적적, 자원적 특성 에 따라 환경. 서, 미시 설 공원용지 의 수용 및 재정기법 에 대. 보전림, 보건휴양림, 교육문화림, 자원생산림 등. 한개발이 필요하다.. 으로 구분한 바 있다.. 또한 공원녹지 육성방안으로는 도시환경 유지. 환경보전림의 경우 대기정화, 수원함양, 기후.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식재기반환경 의 개. 조절, 토사붕괴방지, 녹음, 경관, 소음, 생태계. 선과 대기오염 영향이나 병충해 등에 대한 철. 보전기능의 목적에 활용되는 산림으로 정의하. 저한 관리노력이 필요하다. 수목이 나 수림의 생. 면서, 녹지보전지역, 보안림, 공해 방지림 등 다. 육이 강건하고 왕성하여 활력도가 높을수록 도. 양한 법제도적인 숲의 유형을 제시한 바 있는. 시환경조절능력은 증대된다고 할 수 있다 . .. 데, 너무 막연한 구분과 기능부여이다. 숲의 구. 공원녹지의 복원(재생, 창출)은 공원녹지 네트. 조는 매우 이질적인 입지환경과 다양한 식생유. 워 크화의 핵심 전략으로써 공원녹지정비체계를. 형으로 이 루어져 있다. 따라서, 숲의 임상유형. 통해서 실현되며, 도심 녹지축의 복원, 이전적 지. 에 따라 여러 가지의 기 능에 차이가 있을 수. 의 공원녹지화, 찌투리땅을 활용한 소공원의 확. 있으며, 필요로 하는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서. 충, 생태 공원 및 친수공원의 확충방안이 있다.. 요구되는 기능도 있을 수 있다 좀더 구체적이. 한편으로 기존의 공원녹지 공간은 도시민의 보. 고 세분화된 구분과 기능(주, 부 또는 디목적 ). 건 및 휴양에 맞춰져왔으나 생태 계 거점 차원에. 을 부여하고, 특히, 시범 적인 관리행 위 를 함으. 서 비오톱(소생물서식공간)의 창출이 추가적 으. 로써 도시 민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시 책 이 추. 로 요구된다 하겠다. 공원녹지공간의 일부분에. 진되어야 할 것 이다.. 의무적으로 생 물서식 을 위한 공간자원이 마련. 된다변, 이동성 동물을 위한 거점의 역할이 크. 2) 공원녹지. 게 확대 될 뿐만아니라 도시민에 게 훌륭한 자연. 도시 공간에서 공원녹지 는 공개성 과 존속성이. 학습공간을 제공해주는 효과도 낳을 것 이다.. - 12 -.

(15) 전, 도시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벙안. 3) 가로녹지. 다 입체적인 완충 및 식재공간을 확보하여 다. 가로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살아있는 소재는. 층의 식재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가로수의 식재와 관련하여 교목류의 경. 가로수와 화단, 생울타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 다. 가로경관은 공간구조상 선적인 통로역할을. 우 식재간격. 6-8 m이상으로 획일적으로 적용하. 하게된다.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도시환경은. 고 비교적 어린나무를 도입하는 사례가 많다.. 인공적인 요소가 지배적이고, 이들에 의해 자연. 하지만, 생육여건의 미흡 등으로 성숙한 가로경. 적인 경관요소는 고립 · 단절되어 있다. 특히,. 관을 창출하기에는 예상기간을 훨씬 넘 기게 된. 가로경관은 도시경관자원의 흐름을 조절 · 지배. 다. 따라서, 식재여건이 충족될 경 우 보다 큰. 함으로써 가장 영향력있는 경관요소라 할 수 있. 니무위주로 규격을 강화하고, 식재간격도 신축. 다 따라서,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이 양적으. 적으로 해야되며, 아울러 토양 등 수목생육환경. 로 자연의 요소를 구축한다면, 도로의 건설은. 의 개선노력이 요구된다. 간선도로를 지나서 외곽도로의 경우 경작지. 기능적인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질적인 훼손을. 나 산림과 같은 도심 부와는 다른 토지 이용과의. 가져온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부정적인 요소로 평가되었. 경계부에는 차폐 및 방풍림 형태의 가로녹지가. 던 가로경관에 생태통로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조성된다. 여기에는 주변의 식생이나 자생식생. 도시생태계 네트워크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을 적용하고 가능한 자연식생군집처럼 생태적. 너비와 연결성에 따라 생태통로는 생태적 기능. 식재방법을 도입하여 심미적 가치 및 방풍, 차. 을 수행할 수도 있고, 단지 시각적으로 풍부하. 폐 뿐만 아니라 생물서 식공간 및 피난처와 같. 거나 도시 환경 을 유지하는 기 능만 발휘할 수도. 은 복합적 기 능을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 있다.. 이울러 모든 유형의 가로변에 도입된 인공재. 가로녹지의 보존(보호)방안으로는 신규 도로. 료로 이루어진 울타리나 담장의 경우(특히, 소. 건설이나 확포장시 기존 가로수의 재활용과 도. 음방지 시설) 가능한 수목을 활용한 생울타리. 로건설시 녹지 또는 생태축이 단절 되지 않도록. 로 대체하거나 멍굴성 식물을 활용한 입 면녹화. 터 널화 등이 있다. 또한 가로녹지의 육성방안으. 하도록유도해야 한다.. 로는 도로시 설물과의 배치관계 개선, 생육환경 에 적합한 보호시설물 설치, 가로수 마스타플랜. 4). 하천변 녹화. 도시하천은 그동안 경관생태학적 잠재성에도. 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 등이 있다. 가로녹지의 복원(창출)은 가로녹지의 증진 및. 불구하고, 치수상의 안정성 때문에 제방이 축조. 확대로써 식재계획의 개선을 통해 양적, 질적수. 되 면서 제내지와 제 외지 로 철저하게 격리 되었. 준이 제 고될 수 있다. 도로의 여 건 (통행 량, 안. 으며, 사행히는 하천의 선형 통로는 가능한 직강. 전성 , 시설물, 식재 공간 동)에 따라 1열; 2열, 3. 화되었다 또한, 고수부지 가 형성 되 어 다양한 시. 열의 수목 식재방법을 신축적으로 적용하거나. 설부지로 활용되고 있고, 저수로 호안부는 인공. 가로수사이에 관목류 등으로 생울타리 를 조성. 재료를 도입하였으며 , 하상의 지형은 평탄화됨. 하는 방안도 도입 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중. 으로써 생태학적 기능이 거의 고려되지 못하였. 앙분리대를 확보하여 공간의 크기 에 맞는 녹지. 다. 특히, 제방의 보호와 홍수시 물의 소통 때. 대 를 설치하여 녹지 율을 증가시 킴으로써 녹지. 문에 하천공간에 자생하는 수목의 경우 주기 적. 축의 연결성을 강화하도록 한다. 신설되는 도로. 으로 제거되었고, 도입수목도 1m 이하로 제한. 나 확포장되는 도로의 경우 분당신도시의 가로. 하기도 하였다(김은식 , 전승훈,. 변 녹지대처 럼 지면의 마운드처리 를 통하여 보. 재 는 1999년 개 정된 하천법의 적용으로 수리안. - 13 -. 1997).. 물론 현.

(16) 자연보존. 정성을 거쳐 교목류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바뀌. 형성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후자와 관련. 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국내하천에 도입. 하여 우리나라 도시하천의 경우 인간위주의 토. 된 자연형하천 및 친수공간조성사업으로 하천. 지이용이 이루어지기전까지는 산림지역에서부. 의 생태적 기능이 부분적으로나마 복원되기에. 터 하천까지 점진적인 환경구배에 따라 생태통. 이르렀다.. 로가 연결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차량도로나 자. 전거도로로 단절된 경계부의 동물이동통로 복. 하천은 물의 흐름이 지배적인 거 대한 통로」자. 원이 매우 필요하다.. 체이다. 하천은 하천의 연속성 (continuum concept,. 상류에서 하류로 이어지 는 점진적인 하천환경. 최근 서울시 한강관리사업소(2000년)에서는. 의 경사)과 홍수맥박개념 (flooding-pulse concept,. 한강고수부지 식재계획 수립 및 식재시공을 실. 홍수시 수위변동으로 범람원 등 하천의 횡단상. 행한 사례가 있다. 모니터링을 통해 본 결과 수. 연결)으로 특징되어지는 공간이다. 따라서, 하. 종의 선정이 미흡하였고, 시공과정상의 수목의. 천의 생태적 구조와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유지관리 미비로 높은 하자율을 보였다. 또한. 이들 2찌 개념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단순한 식재형식의 도입으로 생물서식처, 하변. 하천변 식생의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제방의. 경관형성, 녹음 휴식공간 동 적절한 식재기능과. 안정성 강화, 하천경관의 향상, 녹음 및 친수공. 효과가 창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의 제공, 하천생태계 보전 및 생물이동통로. 따라서 , 중앙부서 (산림청 p}원의 대안개발에 따. 조성, 수질 및 대기정화 퉁이 알려져 있다. 일. 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의 경우 제방을 포함한 제내지 녹지대 조성. 한편, 여의도 씻강생태공원과 주변의 고수부. 효과에서 녹지대 제방의 훼손방지와 홍수저항. 지와 고덕동 생태공원적지의 경우 능수버들중. 기능 둥 치수적 효과와 환경적 효과를 강조하. 심의 하반림이 잘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치수. 고 있으며, 절차적으로 녹지대 정비구간의 결. 상의 문제를 들어 일시에 제거하는 사례가 빈. 정, 현황분석 및 식재플랜(수림대의 밀도와 폭,. 번하다. 이에 대한 효과도 철저히 분석하여 보. 수종 및 배치), 수리수문검토를 거쳐 시공 및. 존(보호)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자연적으로 형. 유지관리하도록 하고 있다(서울시, 2001).. 성된 가치가 가장 크고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천변의 녹화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감안할 때 당면한 과제이기도 하다. 하. 5) 인공지반의 녹화. 천의 녹화는 생물서식과 재해방지 공간으로서. 도시공간은 집약적인 개발로 항상 공간부족. 의 하천기능에 부합된 생태통로 형성에 주안점. 상태에 있다 선진국의 신도시나 재개발도심의. 을 둠으로써 제한적인 수목의 식재(능수버들과. 답사를 통해 확인하는 일은 도시공간의 활용이. 같은 자생 하반식생)와 동식물 서식처조성을 위. 평면적인 접근이 아니라 다차원의 입체적인 접. 한 자생 초화류의 식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 근을 하고 있다는 사실 이다. 지하부의 개발과. 야 한다. 하천제방의 녹화에서는 물과 동식물의. 지상부의 다층화된 평면이 확보됨으로써 공간. 영역인 하천(하도)과 인간의 영역인 제내지 사. 부족을 해결할 뿐 아니라 공간의 경관적 가치. 이에 형성된 완충공간으로서 두 개체의 관점에. 를 높이고, 또한 공간사이의 유기적인 연결을. 따라 내재된 상층성을 고려해야 한다. 즉 경관. 통해 접근성을 "ðJ:상시키고 있다. 따라서, 입체. (조망자)측면에서는 조망자의 시점변화에 따른. 화된 공간의 건설로 공중도로나 보도 퉁 인공. 다양성과 쾌적성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조성해. 지반이 형성되고 이들의 녹화요구도도 높아지. 야 하며, 생태(식생대츰면에서는 하천생태계와. 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인공지반의 녹화와. 주변 녹지축을 연결하는 종적 /횡적 생태통로의. 관련하여 대형수목의 활용이 보편화되어 있는. - 14 -.

(17) 전, 도시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방안. 점이 특정적이었다. 미국 서부지역 도시의 사례. 현하는 수단으로서의 법제도적 지위가 각종 개. 에서는 옥상녹화와 벽면녹화가 매우 특징적이. 발 관렵법의 하위에 위치함으로서 적극적인 실. 었다. 도시의 녹지가 입체적으로 증가함으로써. 행수단을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녹. 도시생태계의 네트워크는 더욱 유기적으로 연. 지는 개발의 유보지로서 법적 지위가 확보되지. 결되어 그 기능은 더욱 확대될 것이고, 나아가. 못하며, 언제나 개발가능한 여분의 토지로서 인. 도시민의 선진의식을 제고하는데도 크게 기여. 식되어 있다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할것이다.. 법과 관련한 다양한 관계부서가 얽혀 있고 따 라서 도시생태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핵심부. 결론및제언. 서가 없음으로 인해 각종 이권에 좌우되고 있 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의 마련이 신. 도시화에 대한 상대적인 반응으로 도시생태. 속히 요구된다.. · 계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중대. 마지막으로 도시생태계 관련 연구와 정책 개. 되고 있다. 도시 생태계 네트워크는 그동안 생. 발의 강화이다 모든 정책의 실효성은 과학적인. 태계 유형마다 개별적인 기능과 가치화로 중복. 지식과 정보의 토대위에서 형성되며, 이를 바탕. 되거나 종합적이지 못한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으로 논리적 홍보를 통해 시민의 관심과 여론.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식인 동시에 궁극적으로. 을 환기시키면서 법, 제도의 정비와 재원의 확. 도시와 인간, 그리고 자연이 공생 · 공존할 수. 보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연구와 정책개발시 에.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미래지향적인 개념이라. 는 반드시 학제간, 전문분야간, 또한 이해관계. 할수있다.. 가 상충되는 집단간 협력 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천과 목표가 있음에도 현실. 참고문헌. 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면 그 실효를 거두 기 어렵다. 따라서 다음의 몇 가지 전제조건의. 김은식 · 전승훈. 1997, 하천내 자생수목의 특성. 해결을 위해 관련 당사자가 모두가 노력해야 할. 및 분포도 작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용역보. 것이다.. 고서. 첫째, 사전협의제의 도입이다. 환경부의 사정. 삼손(주) 중앙개발연구소. 2000. 인공지반 녹화. 환경성 검토제도와 마찬가지로 도시계획수립시. 기술에 관한 가이드북(1).. 다양한 도시생태계 유형의 보존과 복원을 위해. 서울시 한강관리사업소.2000. 한강고수부지(여. 관련 부서사이의 사전적인 충분한 협의가 요구. 의도지구) 식재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 된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과 지자체의 담당부서. 서울특별시 .200 1. 중량천 안양천변 녹지대 조. 에서 도시생태 계 네트워크 기본계획 또는 도시. 성 기본 및 실시설계. 림 마스타플랜 등을 히루속히 작성하여 실행하. 박용진 • 이기의 공역 . 1992. 최신 환경녹화. 강. 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개발가치에 상응. 원대학교출판부.. 하는 도시생태계의 중요성을 사전에 인식하도. 서울특별시. 록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는 도시생태계 유형별. 2000. 서울시 가로수 보호수 둥 수. 목센서스조사연구.. 기능과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나 기준 동.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1997. 친환경적 하. 평가체계의 개발이 요구된다 하겠다.. 천 복원을 위한 국제 심포지움.. 둘째, 관리 법제 및 조직의 네트워크화이다 .. 서울특별시 .. 도시생태계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이론적 실행. 1995 서울시 가로수 식재체계 정. 립과관리 개선 방안.. 적 방안들이 도출되고 합의되어 있으나 이를 실. - 15 -.

(18) 자연보폰 124: 16-27 2003 년 12 월 ,". 도시샘태현황도 작성과 활용1). 조 용 현 2) 서 울시 정개발연구원 도시환경연구부. 서. 론. 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여건변화 속에서 생활환 경 개선과 함께 자연환경의 보전 , 복원, 창출. 국내의 도시는 급격한 도시성장과 난개발로. 정책의 중요성 이 대두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인하여 도시녹지 및 농경지가 줄어들어, 남아있. 것이다. 즉, 생태계보전지역 지정 동 국지적으. 는 것은 산지형 녹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처. 로 점의 형태로 남아있는 우수한 자연지역의 보. 럼 도시에서 생물서식환경이 축소 또는 파괴되. 전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이들의 선적 연결(생. 면서 곤충, 양서 ·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의 종 과 개체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개. 태축 또는 녹지축의 연결)과 도시 전역에 걸친 생물 서식환경 개선으로 이어지 는 자연환경 관. 발로 인한 생 물서식환경의 축소와 함께 환경오. 리 대상의 공간적 범위의 확산이 진행되고 있. 염 등에 의한 훼손으로 자연생태계의 질이 저. 다. 아울러 자연환경의 관리의 적극성 측면에서. 하되었다. 대표적인 예로서 대기오염으로 산림. 도 도시에 남아있는 자연의 소극적인 보존에 그. 지역 토양이 산성화되어 토양미생물이 사라지. 치지 않고, 훼손된 자연을 복원하고, 더 나아가. 는 동 산림생태계가 황폐화되고, 기온상승과 대. 도시에서 제거되어 부족해진 자연환경을 창출. 기오염 등으로 삼림군집 구조의 변화 및 활력. 히는 퉁 적극적인 보전정책의 채 택 이 도시관리. 저하가 나타나고 있으며, 서 울의 예를 구체적으. 정책으로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 고 있다.. 로 살펴보면 자생식물들이 줄어들고 돼지풀, 서. 학문적으로도 여 건 이 변화하고 있다 도시생. 양민들레, 서양동골나물, 미국자리공, 가중나무. 태계에 대한 제한적 연구를 통해 자연생태계와. 퉁 외래식 물종이 빠르게 확산 중이다. 또한 불. 구별되는 도시생태계 에 독특한 특성을 인식하. 투수포장의 확대 및 무분별한 지하개발로 지하. 게 되었다. 초기에 도시 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수위 저하 및 물 순환체 계 가 교란되고 있다.. 생태 학 연구들은 인간에 의해 창출된 환경 들이. 그러나 이에 반해서 사회적 여건은 크게 변. 특정 생 물종의 서식지 를 제공한다는 것과 이러. 화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 한 생물종들이 유사한 조건 하에서 재 발생한. 졌으며 ,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더 높아질 전망이. 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내었다. 또한 분석에. 고, 특히 서 울의 경우 시민의 요청에 의해 둔. 의하면 도시 지역은 다양한 서 식지와 생물군집. 촌동 생태계보전지역이 지정된 사례에서 보듯. 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종들이 도시지 역. 이 시민의 자연환경보존 요구는 더욱 증대될 것. 에서 발견되 는데, 종종 도시의 배후지역 에서 보. I)Urban Biot<φe Mapping and Application 2)CHO, Yong-Hyeon, Seoul Development Institute, Department of Urban Environment;. - 16 -. E-m잉1:. ecoinfo@sdi.re.kr.

(19) 조, 도시생태현황도 작성과 활용. 다 더 다양하게 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여건 속에서 생태적인 도시 공간을 만들기 위한 접근 방법은 여러 가. 서 식 지로 구분하여 살펴본 도시생태 계의 특성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kopp, 1998; 조용 현, 2000에서 재인용).. 지가 있겠으나, 가장 기본적인 것은 도시 공간. 도시는 특정적인 기후를 나타낸다. 도시의 열. 에 대한 생태적인 이해일 것이다 도시는 다른. 균형은 토양표면 또는 토양 기질의 변화를 통. 자연 공간과는 달리 인간의 토지이용이 집중적. 해, 건물난방과 같은 추가 열원을 통해 그리 고. 이며 이를 위한 계획이 적용된 공간이다. 따라. 대기 중에 미세 물질의 축적을 통해 지속적 으. 서 도시 공간에 대한 생태적인 고려와 이 를 기. 로 변화하고 있다 방사관리, 토양과 대기에 서. 존의 도시계획 에 반영하여 생태적인 계획이 수. 의 열 이동, 증발은 도시 주변과는 상당히 다. 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모든 과정. 르다. 온실 효과는 건축물과 토양의 열용량 증. 은 도시생태계에 대한 공간적 정보수집이 선행. 0 가와 함께 연평균 0.5-1.5 C의 대기 온도 증가. 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를 가져온다 열이 증가함에 따라 도시 지역은. 도시생태현황도는 도시생태계의 동 식물과 자. 주변 환경보다 평균적으로 더 건조하다. 평균. 연환경 현황을 체계적으로 나타낸 지도이다. 일. 풍속은 건축물 구조에 따라 10-20% 감소하여. 반적으로 지도에는 수많은 종류가 있으며, 기준. 안정된 기상 조건에서는 대기 순환에 문제를 야. 을 정하는 방법에 따라 분류법도 달라지겠지만. 기할수 있다.. 사용목적, 축척, 기능, 내 용, 제작방법, 형태 등. 물질수지와 관련해서 도시생태계의 특성을 살. 에 따라 구분해 볼 때, 도시생태현황도는 도시. 펴보면, 수백년 또는 수천년 동안 도시에서 물. 전체 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도시계획 및 관리. 질의 유입 은 유출을 초과하였기 때 문에 도시 의. 에 사용될 목적으로 제작되므로 대축적지도여. 토양표면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지하 수위는. 야 하며, 표현내용이 일반적인 사항보다는 도시.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지하 수위는 지표면의 토. 생태계 현황의 실측 결과를 위주로 세부주제별. 양 포장과 이로 인해 야기되는 강우 침투 감소. 로 제작되므로 주제도이자 실측도이다. 형태는. 와 지히수 이용으로 상당히 감소했다. 이를 통. 평면지도이되, 종이지도 또는 수치지도로 제작. 해 도시 토양은 도시 형성 이전의 상태보다 더. 지리정보시스템. 건조하게 되었다. 그러 나 도시의 토양이 모두.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의 보급. 건조해 진 것은 아니며, 예 를 들어 녹지의 토양. 으로 대부분 수치지도로 제작되고 있다.. 은 추가적인 물 공급으로 비교적 덜 건조하다.. 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도시생태현황도에는 어떤 정보가 담겨야 하. 또한 대부분의 토양은 대개 심하게 부영양화 되. 는가? 이 질문은 바꾸어 생각하면, 도시생태계. 었으며 토양 답압이 심 한 상태이고 공업지역 ,. 의 공간적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속. 매립지, 관개수로, 길가의 주변부는 오염 물질의. 성 은 무엇 인지에 대한 질문으로 귀 결된다 하겠. 영향을 받고 있다. 도시의 건축물들은 표면 구조상 자연 암석과. 다. 따라서 여기서 도시생태계의 특성을 살펴보. 비교할 수 있다. 미기 후는 생태적으로 아주 중. 는 것은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도시생태계는 일련의 속성 을 통해 비 도시생. 요한데, 건물의 외벽은 경사에 따라 높은 온도. 태계와 구분이 된다. 도시 안에서 영향력이 있. 가 지 속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에서 대부분의. 는 대부분의 환경 인지들을 도시 외곽에서도 발. 공간은 불연속적인데 일부는 지 속적으로 난방. 견할 수 있으나, 이들의 조합은 도시지역에 특. 이 되기도 한다.. 화된 아주 특별한 생태계와 종조성을 이루었다. 생물서식지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도시는 생물. (Sukopp, 1998) 기후, 물질수지, 건축물, 생 물. 학적으로 볼 때 균질한 서식지라 할 수 없다. 토. - 17 -.

(20) 자연보존. 지이용에 따라 공간이 분리되고, 모자이크 형태. 년 시작되었다. 그 후 연방자연보호청과 까|자연. 의 소생물권(이하 비오톱으로 칭함)들이 존재하. 보호기관에 연구자 그릅이 결성되고, 상이한 비. 고, 비오톱들은 대개 서로 뚜렷하게 구분이 되. 오톱 지도화 경험을 가진 다양한 연구자 그룹. 며 동일한 비오톱유형은 비교적 동질적이다. 토. 간 모임의 공동노력을 통해 1986년과 1993년. 지이용은 자연적 요소들에 비하여 아주 중요한. 에는 비오톱 지도화 국가 지침이 발표된 바 있. 데 이러한 이유로 토지이용은 생태적인 지도의. 으며, 1999년 말 현재 총 222개의 도시에서 비. 출발점이 된다. 도시의 서식지는 무엇보다도 환. 오톱 지도화가 이루어졌다(서울시 , 2003a).. 경요소의 시간에 따른 변이가 크다는 점에서 다. 독일의 비오톱 지도화의 방법은 크게 포괄적. 른 비 도시 서식지와는 상당히 다르다. 다양한. 지 도화(Comprehensive biotope mapping)와 선. 종류의 영향이 계속 가해지므로 역동성은 큰 편. 택적 지도화(Selective biotope mapping)으로 대. 이나 그 변화는 다른 역동성이 큰 자연생태계. 별되며, 포괄적 지도화는 대상지역 전체에 대해. 와 비교하면 리듬성이 적다(Sukopp, 1998). 모든 생태계 유형을 지도화 하는 방법이며. (Berlin, Stuttgart, Hamburg 동), 선택적 지도화. 독일의 도시샘태현황도 제작과 활용. 는 자연보전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일부지역 둥 특정 생태계 유형에 국한빼 지도화하는 방법. 본 장에서는 도시생태현황도 제작이 가장 활. 이 다M디nich, Düsseldorf 퉁)(Sukopp & Weiler,. 발하게 이루어진 독일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1988).. 국내 도시생태현황도 제작에 시사점을 찾고자. 베 를린의 경우 포괄적 지도화의 선구적 사례. 하였다. 독일의 연방자연보호법과 주끼‘1)자연보. 이며, 시 전역에 대하여 도시에 서식하는 모든. 호법은 자연지역은 물론이고, 도시와 농촌에서. 잔존 종을 대상으로 유형화된 식생군집구조의. 의 자연을 보호, 관리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지도화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생태적으로. 이 규정을 지키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실용적. 동질성을 가지되 , 최소규모가 4ha 이상인 공간. 인 생태정보가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와 농촌찌. 을. 역에서 생태현황도로서 비오톱 지E커1작이 1978. 베를린의 도시 내 잔존 서식처는 토지이용의 유. 현징조사. 주제계획. 114,000 지도 위에 지도화 하였다 그 결과. 전략적 주제계획. 종합적 계획. 계획적 수준 지방. 지구/지역. ~~=. 생태적 과정 레크레이션. }. 도시/베 를 린. Ih. ---7카. 다른 전략적 주제계획. |_ ..__._... Fig. 1. Pla nning system for nature conservation and landscape manageme nt in Berlin. *베를린 자연보전 및 경관표믿|를위한계획 체계.. 출처:. Sukopp and Weiler, 1988; 김윤종, 조용현. 1999. 서울시. p .28뻐l서재인용. - 18 -. 환경정보시스멈 구축농반. 서울시정개빌변구원.

수치

Fig.  1.  Basic  map  of  GIS-System(Berlin).
Fig.  1.  Pl a nning  sys te m  for  nature  conservation  and  landscape  manageme nt  in  Berlin
Fig.  2.  Urban  biotope  mapping  process  in  Seoul.
Fig.  2.  Model  of  species  decrease(Finke ,  1994).
+6

참조

관련 문서

• 미국 스미소니언과의 협업을 통해 AR 기술을 바탕으로 한 3D 전시 컨텐츠 개발 중, 그리고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5G 기술을 바탕으로 디지털 갤러리 서비스

I have

2 0 0 3 년도에 추진이 시작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인 나이스( NEI S,Na t i ona lEducat i on I nf or mat i onSyst e m) 에 포함된 I T환경 하에서의 학교재정운용과

I affirm that I will submit the document related to language qualifica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dmission to Kangwon National University by February 12

q 매크로 바이러스는 MS 워드, 엑셀과 같이 매크로 언어를 지원하는 문서파일에 기생 q 감염된 문서 파일을 여는 순간 바이러스가 동작 à 감염 대상이

전자석이 되어 스위치가 b접점에서 a접점에 붙음 a 접점에 붙을 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I P.. I’=I P 이 되는 순간

- 체포와 구속을 나눠 각 단계에서 인간의 자유 박탈 기간 최소화 - 그러나 체포제도의 도입은 신병확보를 통한 수사를 더욱 정착시 켜 물증중심의 수사를 소홀히 하고,

인구 집단에서의 질병의 발생과 관계되는 모든 현상을 기술하여, 질병 발생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얻기 위하여 시행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