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꾀 〔힌

문서에서 -11- 는 (페이지 31-37)

Fig. 2. Model of species decrease(Finke, 1994).

*종감소모델.

도시생태계의 구조 및 특징

도시공원의 경관생태적 가치를 논하기에 앞 서 우선 도시생태계의 구조 및 특징들을 간략 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생태계 구조는 아래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생태계에 비해

생산자의 양이 매우 적은 반면, 3차 소비자 및 분해자에 의해 분해 되지 않는 쓰레기의 양이 절대적으로 높은 공간이다. 이는 결국 자연생태 계와는 달리 빛에너지만으로는 시스댐을 움직 일 수 없는 즉, 엄청난 양의 외부에너지를 끊 임없이 공급받아야만 움직이는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생태계를 종종 인 위 적 기술적 시스댐 (Urban-techno-ecosystem)으 로 부르기도 한다. 끊임없는 외부 에너지의 공 급은 결국 엔트로피가 매우 낮은 자연생태계와

도시공원의 경관셈태적 가치

---’

--’

---’

l l

<(

-<

f

g r -〈버

) ω * f F{

V

는 달리 도시공간에 못쓰는 열에너지의 양을 증 가시켜 엔트로피가 매우 높은 공간으로의 전환 을 촉진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아래 Fig.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시공간은 3 차 소비자(특히, 인간)가 지배하고 있는 공간으 로 지난 수 십 년간 각종 개발 및 외부 압력으 로 인해 생물서식공간의 축소 및 소멸현상은 가 속화되어 왔으며, 이로 인한 생물종의 감소는 현저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생태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심각 한 불균형 현상을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한 방안으로서 우선 도시공원녹지의 경관생태 적 가치를 파악해 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 다고 하겠다.

‘.;;;‘--‘----;;‘

도시공원의 경관생태적 가치

도시공원의 경관생태적 가치파악은 크게 생 물생태적 측면과 무생물생태적 측면으로 구분 Fig. 1. Structure of nature ecosystem(Ellenberg, 1973)

. *자연생태계구조.

자연보존

하여 기존에 연구된 자료를 중심으로 기술해 보 고자 한다. 우선, 생물생태적 측면에서는 도시 공원녹지의 자연성 정도와 희귀생물종 서식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해 보고자 한다. 일 례로 대구시 내에 분포하고 있는 l17H 도시근 린공원을 대상으로 녹지의 자연성 정도를 분석 한 결과에 의하면, 6등급 이상인 지역이 전체 면적 대비 약 30%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7등급 이상인 지역은 전체면적 대비 약 10% 정도로 나타났다. 이중 특히 자연형 근 린공원의 하나로 볼 수 있는 연암공원의 경우 6둥급 이상지역이 전체면적 대비 약 55%로 매 우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또한, 감산공원의 경 우 7퉁급 이상인 지역은 15% 정도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는 도시 공원녹 지가 생태적 가치를 충분히 입증해 주고 있음 을알수있다.

또한, 안심습지는 도시 내 자연학습 및 자연 생태공원으로 개발 계획이 이미 수립되어 있는 상태 이다. 변적은 약 70

,

000 m2에 달하며 자갈 이 혼재된 사질 및 사양질 토양의 특성을 보이

고 있는 공간이다. 생물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류의 경우 19과 50종이 서식하고 있었으며,

이 중에는 큰고니 (Cygnus cygnus), 가창오리

(Anas formos띠 등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종 및 원

앙(Aα galeηculata),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물총새 (Alcedo atthis), 청 딱다구리 (Picus canus) 등 환경부지정 특정종들이 많이 서식하는 것으 로 보고 되고 있다. 곤충의 경우 총 47과 119 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 중 물퉁구리, 애소금 쟁이, 지루측범잠자리 동 희귀종이 서식하고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종 자원의 경우에서 는 총 52과 198종으로 나타났으며 , 이 중에는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들이 다수 서식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1퉁급으로는 거미고사리, 노랑어리연꽃, 뚜껑덩굴, 핏대추, 까 치수영, 물쑥, 보풀, 나사말, 백선 퉁, 3동급으 로는 애기석위, 물옥잠, 4등급으로는 자라풀, 구 술갓냉이, 수염마름 등 희귀 생물자원이 상당히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한편, 기후생태적 측면에서 본 도시공원의 가 치를 살펴보면, 우선 온도저감효과 및 바람길

T'able 1. The present states of the main species in the An-Sim wetland

구분 출현종수 주요 출현종(희귀종 및 우점종) 큰고니, 고니, 가창오리

19과 。

조류 50종 원앙(전여기념를제 327호), 황조롱이(천연기념물제 323호), 물총새 , 발구지, 청딱다구리 퉁

포유류 16종 너구리, 족제비, 야생고양이, 시궁쥐, 고라니, 수달 양서·파충류 4과 아무르산개구리, 줄장지뱀, 청개구리,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9종 붉은뀌 거북퉁

13종 참붕어(우접종), 붕어, 긴몰개, 송사리 , 밀어, 가물치 동

비고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종 환경부지정 특정종

곤충 47과 애소금쟁이아세아실잠자리, 물퉁구리, 나비잠자리, 돼지풀잎 돼지풀잎벌레

119종 벌레, 자루측범잠자리 퉁 (신칭.한국 미기록종)

거미고사리, 왕버들, 시무나무, 개구리갓, 윗대추, 백선, 물쑥,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 노랑어리연꽃, 뚜껑덩굴, 개사철쑥, 보풀, 나사말, 까치수영 등 (1퉁급)

식생 52과 애기석위,물옥잠, 탱자나무 198종

자라풀, 구슬갓냉이, 수염마름

*자연생태공원 안심습지내 주요 생물상현황 자료: 대구광역시 (2001)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 (3퉁급)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 (4퉁급)

조성의 중심공간만으로도 그 가치를 충분히 뒷

자연보존

점진적으로 확대 조정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는 결국 도시공원을 생태씨앗으로서 핵심보 전지역, 전이지역 및 이용활용공간으로 구분하 여 특정 도시공원 내에서도 공간 활용의 차별 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3)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식재

식재 수종을 선정할 경우 해당 지역의 토양 및 환경조건에 부합히는 수종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식재 후 수목 고사율의 최소화하는 측면에서도 이미 잘 알려진 내용이다. 특히 현 재 각 도시공원 내에서 생육하고 있는 식물종 가운데는 외래 및 귀화 식물의 분포율이 향토 자생수종의 분포율을 훨씬 상회하는 곳도 많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현지 생육환경에 적 합한 향토자생수종의 비율을 점차적으로 높여 나갈 수 있는 적절한 대응방안의 마련이 요망 된다.

무엇보다 핵심보전지역을 중심으로 한 공간 에서는 가능한 한 자연천이에 의한 식생 발달 을 촉진시켜 나갈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임분계 층의 다양도가 생물종 다양도에 직접적인 비레 관계가 있다는 사실에서 산림구조를 다충구조 로 점진적으로 발달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 겠다.

추가적으로 각종 공원시설물 배치 및 동선계 획 수립시 과도한 불투수성 포장재료의 사용을 지양하고, 가능한한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식재 및 재료의 사용(예· 주차공간에서 식물생육이 가능한 투수성 바닥재료의 사용)이 필요할 것 으로판단된다.

4) 공간구조적 특성 반영

지금까지 많은 도시공원을 조성함에 있어서 또하나 간과되어 왔던 내용 중의 하나로는 경 관생태적 측면에서 본 공간구조적 특성반영의 미흡으로 볼 수 있다. 즉, 도시공원의 크기, 형 태, 가장자리, 주변인접기질 특성 및 그물망 둥 과 같은 도시공원의 생태적 건전성을 질적인 측

나 , 도시공원녹지의 경관생태적 가치 및 개선 빙안

변에서 판단할 수 있는 주요 특성들의 반영 정 도가 미흡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공간구조 적 특성들의 생태적 가치에 대해서는 이미 많 이 제시되었지만(Forman,

1995)

실제로 시가화 지역 내 분포하고 있는 많은 근린공원들은 인 위적 조성형 공원으로서 원형 또는 정형적 형 태에 가깝고, 가장자리가 매우 빈약하며, 특히 주변 녹지와의 관계에서는 녹지섬으로서 고립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물론 이미 조성되어 있는 많은 공원들을 다시 공간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여 재조성 시켜나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 러나 장기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방향으로의 점 진적 유도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새로 조성 될 공원들에 대해서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상기 의 공간구조적 특성들이 효과적으로 반영되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료응

‘-본고에서는 도시생태계 관리방안의 일환으호 도시공원녹지가 기여할 수 있는 한 측면을 기 술해 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도시공원녹지의 경관생태적 가치를 국내외 실 증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도시공원녹지들의 생태적 개선방안을 양적 및 질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언해 보았으며, 양 적인 측면에서는 도시공원법상 규정된 유치거 리의 확보 및 생태적 토대 위에서 미조성공원 의 조기활성화를 언급해 보았다. 또한 질적인 개선방안으로는 생태적 수용능력 고려, 보전 공 간의 설정,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식재, 공간구 조적 특성 반영 퉁 4가지로 한정하여 대응전략 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도시공원녹 지를 협의의 개념에서 법정도시공원으로 한정 하여 대웅방안을 제시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원녹지의 개념을 법정도시공원 뿐만 아니라 인공구조물이나 포장지역을 제외한 식 물이 생육할 수 있거나 생육하고 있는 모든 공

자연보존

간이란 광의의 의미로 해석해서 도시생태계 관 리를 위한 보다 더 실효성 있는 공원녹지의 양 적 · 질적 개선방안을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말해 도시공간 내에서 크고 적은 모든 가능한 1차 생산자(녹색식물)의 점유공간을 확대 · 개선하여 현재의 인위적 기

간이란 광의의 의미로 해석해서 도시생태계 관 리를 위한 보다 더 실효성 있는 공원녹지의 양 적 · 질적 개선방안을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말해 도시공간 내에서 크고 적은 모든 가능한 1차 생산자(녹색식물)의 점유공간을 확대 · 개선하여 현재의 인위적 기

문서에서 -11- 는 (페이지 31-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