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주시·전주농협 전주푸드 상생협력방안 구축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전주시·전주농협 전주푸드 상생협력방안 구축 연구"

Copied!
16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 2017-19 | 2017. 8 |. 전주시·전주농협 전주푸드 상생협력방안 구축 연구. 정은미 연 구 위 원 최병옥 연 구 위 원.

(2) 연구 담당. 정은미︱연구위원︱연구 총괄, 제1∼7장 집필 최병옥︱연구위원︱제2장 집필. C2017-19. 전주시・전주농협 전주푸드 상생협력방안 구축 연구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7. 8.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프리비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3) i. 머 리 말. 우리 사회에서 먹거리 불안은 단일 사건이라기보다 시스템 전반에 걸친 문 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에 따라 농정의 축이 생산의 관점에서 점차 소비의 관 점으로 이동하고 ‘농업인의 농업’에서 ‘국민의 농업’으로 전환 중이다. 그 결정 판이 새 정부의 주요 농정으로 거론되는 푸드플랜이다. 2015년 전주시는 전국 최초로 ‘전주푸드 2025플랜’을 발표했다. ‘안전하고 건강한 밥상 제공, 지속가능한 농가 일자리와 소득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의 토 대를 굳건히’ 하는 방안으로 대도시 먹거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는 의도이 다. 그 이면에는 먹거리를 신뢰할 수 없다면 인간다운 생활은 불가능하다는 인 식이 깔려있고, 전주시는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를 통해 로컬푸드 직매장, 공공급식과 학교급식에 직접 관여한다. 한편, 전주농협도 중소농의 소득 증대 와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로 소비자의 편익을 높이는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 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전주 푸드플랜’을 실천하는데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 농협이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푸드플랜의 본래 목적인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지역농업을 연계하여 그동안 단절된 먹 거리의 지역 내 유통을 복원하고 생산 및 소비 관련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관계 를 회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전 주농협의 임직원과 설문조사에 응해주신 전주시 로컬푸드 직매장 출하 생산자 와 이용 소비자에게 감사드린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지역단위 푸드플랜 수립 과정을 올바로 이해하고 전주시 푸드플랜 추진 과정에서 이해 관계자의 공동 사업을 이끌어내는데 유익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2017. 8.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4)

(5) iii. 요. 약. 이 연구는 지역단위 푸드플랜의 주체로서 지자체와 지역농협이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주시는 전국 최초로, 전주 시민의 먹거리를 전주 시 농업에서 공급하는 비율을 현재 5%에서 2025년 20%로 높인다는 ‘전주푸드 2025플랜’을 수립하였다. 전주시와 전주농협은 경제행위의 목표가 서로 상이 하지만, 전주 푸드플랜이 추구하는 공공성에 동의하고 로컬푸드 직매장을 둘러 싼 비효율적 경쟁을 제거하기 위해 협력할 의향이 있다. 전주시는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을 설립하여 지역의 농산가공 및 물류 인프라와 농업의 6차산업, 지역개발사업을 결합하여 지역 상품을 발굴하고 로 컬푸드 직매장, 공공급식과 학교급식에 직접 관여한다. 한편, 전주농협도 중소 농의 소득 증대와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로 소비자의 편익을 높이는 로컬푸 드 직매장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지역단위 푸드플랜에서 각 운영주체는 경쟁보다는 협력체계가 바람직하다. 지역에서 발생한 부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해야 부의 지역 내 순환을 촉진하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준다. 공동사업을 추진을 통해 지역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 하며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지역경제의 순환성을 높여 이익을 공유한다. 그러므로 전주시와 전주농협은 지역 먹거리 유통망 재건 위해 농산물 시장 의 조정 기능을 의도적으로 재구성하는 상생협력 방안이 필요하다. 상생협력을 위한 통합 운영체계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안은 현재 사업 구조를 유지하며 협력이 필요한 부분을 최소한으로 협력하는 방안이다. 다만, 현재 각 운영주체가 당면한 비용 절감이나 적극적으 로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을 확장을 운영하고자 하는 입장에서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전주시는 새 정부가 추진하는 푸드플랜 선도 지역이지만 이 유형 으로는 선점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둘째, 제2안은 사업 성격에 따라 역할을 분리하여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6) iv. 는 학교급식 및 공공급식 등 공공성 사업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전주농협은 로 컬푸드 직매장 사업을 전담한다. 이 안은 먹거리의 생산~가공~유통~소비의 통 합적 관리가 불가능하여 사업의 연속성을 저해하고 공공성 사업에 지속적인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제3안은 (재)전주푸드 의사결정구조에 전주농협이 참여하는 방식이다. 전주농협이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에 출자하여 이사회의 일원되고 의사결 정 구조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 안은 두 주체가 푸드플랜의 목표 공유 및 협력 에 기초하여 공동사업 기획이나 폭넓게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전주농협이 전주시 푸드플랜이라는 지역사회 공헌의 범위와 사업 주체로 서 자기 역할에 균형을 찾는 과정의 어려움은 예상된다. 넷째, 제4안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의 로컬푸드 사업을 통 합하여 신규법인으로 출범하는 방안이다. 두 운영주체가 조직과 예산, 운영을 통합하여 주식회사형 공동법인을 신규 설립하고, 지역의 재원, 조직, 인력 등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지역단위 푸드플랜이 목적으 로 하는 조직 형태이다. 푸드플랜을 추진하는 조직형태는 지역 먹거리에 관여 하는 생산, 가공, 유통, 소비 등 관련 기관과 단체가 각자의 지분으로 참여 가능 한 개방적 운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통합운영조직 이외에도 전주시-전주농협은 1) 전주농협이 소유한 거 점 APC 부지에 전주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치하거나, 2) 앞으로 전주시 로 컬푸드 직매장을 추가 개설할 때, 복합형 매장으로 출점하고 개설 가능 지역을 공동으로 검토할 수 있다. 또한 3) 전주시는 푸드플랜 선도도시로서 생산 및 안정성 관리, 물류기반 등에서 유리한 조건을 활용하여 수도권 지자체에 로컬 푸드 직매장과 공공급식 모델사업, 지역 향토마트와 연계한 숍인숍(shop in shop) 방식의 직매장 운영이 가능하다..

(7) v. ABSTRACT. The way to Cooperate Partnership of Local government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for Regional Food-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cooperate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 the subject of the regional food plan. Jeonju-City announced 'Jeonju Food 2025 Plan', which is the first nationwide to raise the proportion of Jeonju citizen's food supply from Jeonju city farming to 5% from 20% in 2025. Jeonju-City and Jeonju-Nonghyup are willing to cooperate in order to agree on the publicity pursued by the Jeonju Food Plan and eliminate inefficient competition surrounding the local food direct market, although the objectives of the economic activity are different. Jeonju-City establishes the JFISC(Jeonju Food Integration Support Center) to combine local agricultural processing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with the 6th industry an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of agriculture to discover local products and directly participate in local food direct marketing, public food and school lunch. On the other hand, the Jeonju-Nonghyup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local food direct sales business, which increases the income of small-sized family farmers and improves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with fresh and safe agricultural products. In a regional food plan, each operator is preferred to a cooperative system rather than a competition. Minimizing the negative external outflows in the region will encourage circulation within the region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rough joint projects, we will utilize local resources efficiently, reduce social costs, and increase the circulation of the local economy to share profits. Therefore, Jeonju-City and Jeonju-Nonghyup need a win-win cooperation scheme to intentionally reconstruct the coordination func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in order to rebuild the local food distribution network. We examined four types of integrated operating system for win-win cooperation..

(8) vi. In addition to the integrated operating organization, the Jeonju-City and Nonghyup can also carry out the following projects jointly. First, Jeonju-City school lunch support center can be installed in the APC site of Jeonju-Nonghyup owned base. Second, when establishing a local food direct market in Jeonju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open a complex store and jointly review the openable areas. Third, Jeonju-City is the leading city of Food-Plan. Production and stability management,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local food direct market and the public food model business in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Fourth, it is possible to operate a direct shop in the shop-in-shop mode linked to local local Mart. Researchers: Jeong Eun-Mee, Choi Byung-Ok Research period: 2017. 3. ~ 2017. 8. E-mail address: jeongem@krei.re.kr.

(9) vi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 1 2. 연구 내용과 방법 ························································································· 3 3. 연구 기본구상 ······························································································· 6 제2장 전주시 농업생산과 소비, 소매유통 현황 1. 전주시 농업 및 소비 여건 ·········································································· 9 2. 전주시 먹거리 유통 현황 ·········································································· 16 제3장 로컬푸드와 ‘전주 푸드플랜’ 1. 로컬푸드와 지역농업 ·················································································· 19 2. ‘전주 푸드플랜’ ·························································································· 30 제4장 국내외 로컬푸드 및 푸드플랜 사례 1. 국내 사례 ···································································································· 39 2. 해외 사례 ···································································································· 47 3.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 65 제5장 전주시민의 로컬푸드 참여 실태 1. 출하 생산자 ································································································· 67 2. 이용 소비자 ································································································· 74 3. 운영주체 임직원 ························································································· 80 4. 전주 푸드플랜에 대한 인식 ······································································ 85 5. 실태조사 결과의 시사점 ············································································ 87.

(10) viii. 제6장 전주시-전주농협 상생협력 방안 1. 상생협력의 필요성 ····················································································· 89 2. 로컬푸드 운영주체의 사업 특징 ······························································· 91 3. 전주 푸드플랜과 운영주체의 사업 역량 ·················································· 96 4. 통합적 운영체계 구상 ·············································································· 102. 제7장 전주시-전주농협 공동사업 모델 1. 푸드플랜과 공동사업의 의미 ·································································· 113 2. ‘전주 푸드플랜’ 공동사업의 의의 ·························································· 116 3. 공동사업 모델 ··························································································· 118 4. 통합 부문별 소요재원 및 매출액 추산 ················································· 122 부록 1. 농가의 경영규모 산정 기준 ···································································· 125 2. 생산자, 소비자 및 운영주체 조사 결과 ················································ 126 참고문헌 ············································································································ 147.

(11) ix. 표 차례. 제1장 <표 1-1> ‘전주 푸드플랜’ 이해관계자의 목표 ··············································· 7 제2장 <표 2-1> 전주시 농업 생산규모 ····································································· 10 <표 2-2> 전주시 농가 및 농가인구 현황 ······················································ 11 <표 2-3> 경지규모별 농가 수 ········································································· 11 <표 2-4> 전주시민 가계지출 소비규모 ·························································· 12 <표 2-5> 전주시민 음식료품 및 생활용품 구입처 현황 ····························· 12 <표 2-6> 학교급식 대상자 ·············································································· 14 <표 2-7> 전주시 취약계층 현황 ····································································· 15 <표 2-8> 전주시 주요 관광지 방문객수 ························································ 15 <표 2-9> 전주시 관광사업체 현황 ································································· 15 <표 2-10> 전주시 산지 및 소비지유통 주체의 농축산물 취급액 ················ 16 <표 2-11> 전주시 소매업체의 업종변화 추이 ················································ 16 <표 2-12> 전주시 각 동별 인구와 소매점 분포 ············································ 18 제3장 <표 3-1> 로컬푸드 직매장 개설 현황 ··························································· 25 <표 3-2> 로컬푸드 출하 이전과 비교한 농업경영 변화 ····························· 27 <표 3-3> 생산자의 로컬푸드 효과 ································································· 29 <표 3-4> 소비자의 로컬푸드 효과 ································································· 29 <표 3-5> 전주 푸드플랜 주요 내용 ······························································· 31 <표 3-6> 공공급식 단체 및 기관 현황 ························································· 33.

(12) x. <표 3-7> 전주시 학교급식 식재료 품목군별 비율 ······································· 35 제4장 <표 4-1> 전북 완주군 농업농촌발전 ‘약속’ 프로젝트 ································ 40 <표 4-2> 도곡농협 로컬푸드 출하자 및 품목 현황 ····································· 44 <표 4-3> 도곡농협 로컬푸드의 매출 규모 ···················································· 44 <표 4-4> 일본 현장 방문 지산지소 직매장 운영 개요 ······························· 50 <표 4-5> 캐나다 토론토시 먹거리 전략 ························································ 61 <표 4-6> 세계 도시의 푸드플랜 동향 ··························································· 64 제5장 <표 5-1> 생산자 조사 개요 ············································································ 68 <표 5-2> 주요 품목군 연간 매출액 및 로컬푸드 출하 비중 ······················ 68 <표 5-3> 로컬푸드 출하 후 소득 안정성과 소득 변화 ······························· 70 <표 5-4> 소비자와 교류 참여 의향 ······························································· 74 <표 5-5> 소비자 조사 개요 ············································································ 75 <표 5-6> 로컬푸드 직매장 접근 수단과 소요 시간 ····································· 75 <표 5-7> 로컬푸드 매장 이용 후 장보기 횟수와 식품 구매 변화 ············ 76 <표 5-8> 가구 식품 구매액 중 로컬푸드 비중 ············································ 77 <표 5-9> 로컬푸드 직매장에 추가로 필요한 사항 ······································· 78 <표 5-10> 로컬푸드 이용 후 먹거리 관련 대화 경험 ··································· 80 <표 5-11> 운영주체 임직원 조사 개요 ··························································· 81 <표 5-12> 로컬푸드 확대에 도움되는 활동 ···················································· 83 <표 5-13> 로컬푸드 사업 운영 어려움 ··························································· 84 <표 5-14> 로컬푸드 사업 운영 개선 과제 ······················································ 84 <표 5-15> 전주시에 추가로 필요한 로컬푸드 직매장 ··································· 87.

(13) xi. 제6장 <표 6-1> 운영주체의 역할과 전주 푸드플랜 관련 사업 ····························· 92 <표 6-2>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성과 및 입지 여건 ··································· 94 <표 6-3> 전주시 로컬푸드 직매장 주변 상권 평가지수 비교 ···················· 96 <표 6-4> 전주 푸드플랜 사업 성격 및 주체별 준비역량 ··························· 97 <표 6-5> 전주 푸드플랜의 통합적 운영체계 유형 ····································· 104 제7장 <표 7-1> 향후 5년간 부문별 소요재원과 매출액 추산 ····························· 123.

(14) xii.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1> 전주시와 전주농협의 사업 범위 ·················································· 7 <그림 1-2> 통합적 운영체계의 목표 ······························································· 8 제2장 <그림 2-1> 전주시민의 전통시장별 음식료품 생활용품 구입비중 ············ 13 <그림 2-2> 전주시민의 전통시장 구매물품 비중 ········································· 13 <그림 2-3> 전주시민의 전통시장 상품 비구매 이유 ··································· 14 <그림 2-4> 전주시 대형 소매점과 로컬푸드 직매장 분포 ························· 17 제3장 <그림 3-1> 농업환경과 농업을 주도하는 주체의 변화 ······························· 20 <그림 3-2> 지역농업에서 로컬푸드의 역할 ·················································· 26 <그림 3-3> 전주시 통합적 먹거리체계 시스템 ············································ 32 <그림 3-4> 전주시 학교급식지원센터 공급 과정 ········································· 36 제4장 <그림 4-1> 일산농협 로컬푸드 직매장 ·························································· 46 <그림 4-2> 해외 로컬푸드, 푸드플랜의 사례 ··············································· 47 <그림 4-3> 미찌노에끼(道の駅) 우키하 평면도 ··········································· 49 <그림 4-4> 미찌노에끼(道の駅)의 주요 기능 ··············································· 49 <그림 4-5> 일본 지산지소 직매장 복합시설 ················································ 51 <그림 4-6> 오야마 농협의 코노하나가르텐 직매장 ····································· 53 <그림 4-7> 살구꽃마을 직매장과 레스토랑 ·················································· 55.

(15) xiii. <그림 4-8> 미찌노에끼 우키하 직매장 전경과 내부 ····································· 57 <그림 4-9> 미찌노에끼 무나가타 직매장 ························································ 59 제5장 <그림 5-1> 생산자의 로컬푸드 출하 매장수 ················································ 69 <그림 5-2> 생산자의 로컬푸드 출하 만족도 ················································ 69 <그림 5-3> 로컬푸드 출하처 변화 ································································· 71 <그림 5-4> 로컬푸드 생산자의 경영 변화 ···················································· 71 <그림 5-5> 농외 소득활동 현황과 의향 ························································ 72 <그림 5-6> 생산자의 소득 만족도 및 농업 고충 해결 정도 ······················ 73 <그림 5-7> 소비자의 로컬푸드 이용 이유와 불편 사항 ····························· 77 <그림 5-8> 소비자의 로컬푸드 평가와 생산자 이미지 ······························· 79 <그림 5-9>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 목적과 경영 목표 ································· 81 <그림 5-10> 로컬푸드의 효과와 협력 필요 기관 및 단체 ························· 82 <그림 5-11> 전주 푸드플랜 인지도 ······························································· 85 <그림 5-12> 전주 푸드플랜 사업의 운영주체 선호도 ································· 86. 제6장 <그림 6-1> 통합운영의 유형별 물류 구조 ·················································· 108 <그림 6-2> 상생협력 원칙으로 본 유형별 통합 운영체계 비교 ·············· 110 제7장 <그림 7-1> 새 정부의 푸드플랜 개념 ························································· 114 <그림 7-2> 이상적인 ‘전주 푸드플랜’ 추진 체계 ······································ 116 <그림 7-3> 전주시 통합 물류 허브 ····························································· 118 <그림 7-4> 로컬푸드 직매장 출점 가능 지역 ············································ 120.

(16)

(17) 제. 1. 서. 장. 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1.1. 연구 배경 ○ 전주시는 인구 65만 명인 전북 도청 소재지이지만 2만 7천명의 농업인이 지역농업을 영위하는 곳이기도 하다. - 전주시는 시민 먹거리 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 ‘전주푸드 2025플랜’을 발표하고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이하 ‘(재)전주푸드’)를 설립하여 로 컬푸드 직매장과 공공급식지원센터, 학교급식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 한편, 전주농협도 중소농의 소득 증대와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로 소비자 의 편익을 높이는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 전주농협은 2017년 8월 현재 로컬푸드 직매장 3개소를 개설하여 중소농 의 판로확보, 전주시민의 먹거리 삶의 질 향상에 노력한다. ○ 2015년부터 추진한 (재)전주푸드와 전주농협 간 로컬푸드 직매장을 둘러싼 대립과 경쟁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18) 2. - 전주시의 생산자와 소비자를 공유하는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의 비효율 적인 경쟁을 제거하기 위해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재)전주푸드와 전주농협은 ‘전주푸드 2025플랜’(이하 ‘전주 푸드플랜’)의 공동 목표를 공유하므로 이에 기초한 상호 협력방안을 강구하거나 ‘전주 푸 드플랜’ 활성화를 위해 공동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 그러므로 ‘전주 푸드플랜’을 실천하는데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 주농협이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상생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나아가 푸드플랜의 본래 목적인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지역농업을 연계 하는데 지자체와 지역농협이 상생협력 함으로써 그동안 단절된 먹거리의 지역 내 유통을 복원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먹거리 유통은 대량 및 광역 유통을 지향하며 지역 내 유통은 거의 단절된 상황이다. - 지자체와 지역농협의 협력으로 전주시 먹거리 체계 구축, 지역 먹거리와 지역농업의 연계성을 높이고자 한다. - 궁극적으로 지자체와 지역농협의 협력은 지역 내 농산가공 및 물류 인프 라와 농업의 6차 산업, 지역개발사업 등에서 지역 상품 발굴을 독려하고 지역 유통망과 결합하게 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게 한다.. 1.2. 연구 목적 ○ 전국 최초로 ‘푸드플랜’을 발표하고 실천하는 ‘전주 푸드플랜’에 전주시민 (=생산자, 소비자) 참여를 독려하고 먹거리에 대한 전주시민의 신뢰도 제고 를 통해 ‘전주시 먹거리’ 브랜드를 확립하고자 한다. - 2015년 발표한 ‘전주 푸드플랜’은 지난 2년간 로컬푸드 직매장, 공공급 식지원센터를 설립한 전국 최초의 도시지역 ‘푸드플랜’이다. - 전주시민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푸드플랜은 전주시민의 참여나 만족도.

(19) 3. 가 높을수록 ‘전주시 먹거리’의 브랜드를 높인다. ○ 로컬푸드 직매장 차원을 넘어 지역 먹거리 체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주시 와 전주농협의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 지역 먹거리 체계는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공공급식, 학교급식, 생산기 획 및 출하조정, 생산자 교육 등 다양한 분야가 결합해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전주시와 전주농협이 가진 자원(토지, 자본, 조직 등)의 효율적 결합을 통해 안정적이고 역동적인 전주시 푸드플랜의 추진체계를 확립하고자 한다.. 2. 연구 내용과 방법 2.1. 연구 내용 ○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1) 전주시 먹거리 체계 의 현주소와 ‘전주 푸드플랜’ 검토, 2) (재)전주푸드와 전주농협 간 통합적 운영 조직 검토 및 공동 사업 모델을 발굴 제시한다. ○ 전주시 먹거리 체계의 현주소와 ‘전주 푸드플랜’, 국내외 사례 검토 - 제2장에서는 전주시 농업 생산~유통~소비 실태를 통해 먹거리 현주소를 분석하고, 소매상권 분석을 통해 현재 상설 로컬푸드 직매장(시, 농협, 완 주) 외에 직매장 개설이 가능한 지역을 도출한다. - 제3장은 우리나라에서 로컬푸드가 도입된 배경과 ‘전주 푸드플랜’을 중 점 검토한다. 전주푸드의 주요 내용과 (재)전주푸드의 공공 및 학교급식 공급과 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방안을 살펴본다..

(20) 4. - 제4장은 국내외 로컬푸드 및 푸드플랜 선진지 사례 비교를 통해 시사점 을 도출한다. 특히 일본 사례는 전주시, (재)전주푸드, 전주농협의 임직원 과 직접 방문 조사하였다. ○ (재)전주푸드-전주농협 간 통합적 운영 조직 검토 및 공동사업 모델 발굴 - 제5장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전주농협의 로컬푸드 직매장을 이용 하는 생산자와 소비자에 대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주 푸드 플랜’ 사업과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에서 두 주체에 대한 현황과 기대를 파악한다.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에서 생산 조직화, 상품구색, 물류 효율 성 등 정량분석 평가, 로컬푸드 사업에 대한 기대, 역할과 만족도 평가, 임직원의 사업에 대한 기대, 생산자 및 소비자 만족도 등이다. - 제6장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 간 통합적 운영조직에 대 해 시나리오별로 역할과 관계, 통합 운영조직의 형태 등을 검토한다. - 제7장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 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제시한다.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 하여 ‘전주 푸드플랜’에 다양한 사업 모델을 발굴한다.. 2.2. 연구 범위 ○ 시간적 범위 : 기준년도 2017년 ○ 공간적 범위 : 전주시 및 영향권 지역 ○ 과업 기간 : 2017. 3. 2. ~ 2017. 8. 31.(6개월). 2.3.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문헌조사, 설문조사, 이해관계자 면접조사 등을 통해 전주시가 추 진하는 ‘전주 푸드플랜’ 실태 및 로컬푸드 직매장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 고, ‘전주 푸드플랜’에서 (재)전주푸드와 전주농협 간 통합운영의 방향을 도.

(21) 5. 출한다. - 전주시 먹거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주시 통계연보와 소상공인시장 진흥공단의 상권분석시스템, 상권 및 입지평가 보고서를 활용하였다. - 푸드플랜과 로컬푸드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논문, 보고서 등 각종 자료를 검토하고, 로컬푸드 직매장 사례를 수집하였다. ○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의 로컬푸드 직매장 5개소에 출하하 는 생산자와 이용 소비자, 운영주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전주푸드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 조사대상 : 1) 출하 생산자(전주푸드 46명, 전주농협 41명, 둘 다 출하 43명, 총 130명), 2) 이용 소비자(전주푸드 155명, 전주농협 96명, 총 251 명), 3) 운영주체 임직원(전주푸드 36명, 전주농협 34명, 총 70명) - 조사기간 : 2017년 4월 10일~21일(생산자 소비자), 5월 8일~12일(임직원) - 조사방법 : 출하 생산자와 이용 소비자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원이 직접 직매장을 방문하여 1:1 면접 조사하였다. 운영주체 임직원은 각각 의 작업장에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을 요청하였다. ○ 해외 선진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일본 지산지소 직매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 방문지역 : 일본 오야마 농협, 히비키노사토(오이타 현), 살구꽃마을 시 장이용조합, 미찌노에끼 무나가타와 우키하(후쿠오카 현) - 방문기간 : 2017년 6월 18일 ~ 21일(3박4일) - 방문목적 : 지산지소 직매장 운영 4개 주체의 구성 및 사업 방식 등, 지 자체와 농협 또는 생산자단체의 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22) 6. 3. 연구 기본구상 ○ 본 연구는 지자체 단위 푸드플랜을 실현하기 위해 전주시와 전주농협이 협 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며, 협력방안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첫째, 전주시 지역농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시민에게 안전한 먹거리 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일이다. - 둘째, 농업 생산에서 소비까지 먹거리와 관련한 사업에 민간의 참여 확 대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해 살기 좋은 지역 사회를 만드는데 협력한다. ○ 전주시-전주농협은 지역농업에 대한 관심과 이해에서 발휘되는 지역의 정 체성을 도출하고 지역개발사업에 민간 참여 확대를 위해 지역농업을 지원 한다. - 지역농업을 지원함으로써 농업인이 얻는 직접적인 효과는 1) 농업인 소 득 안정, 2) 지역사회 문화 및 농업농촌 경관 보존의 주체인 농업인에 대 한 직접 지불이다. - 한편, 지역농업을 지원함으로써 소비자의 농업에 대한 능동적/적극적 이 해와 참여를 확보할 수 있다는 간접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는 관 주도의 지역개발사업에서 벗어나 민간 자율적인 참여폭을 넓히는데 유 용하다. - ‘전주 푸드플랜’은 전주만의 독창성 있는 관광요소 창출에 도움이 된다. 관광의 4대 요소인 먹거리, 팔거리, 놀거리, 볼거리를 전통음식 문화, 식 품가공과 전통공예, 농업농촌 체험 관광, 경관 체류형 관광 등 농업의 6 차 산업이 제공할 수 있다. ○ 전주시에서 생산~가공~유통~소비에 관련된 이해 관계자는 다양하고 각각 경제행위의 목표도 상이하지만, ‘전주 푸드플랜’이 추구하는 공공성에 동의 하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협력할 의향이 있다..

(23) 7. -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의 직매장 사업은 사업대상, 사업 범위, 사업방식 등에서 중복된다. 이를 통합적 운영체계, 실행조직 공동 운영 모델로 해결하고자 한다. <표 1-1> ‘전주 푸드플랜’ 이해관계자의 목표 지자체. 농협(생산자단체). ▫전주시민 삶의 질 향상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설립 ▫지역개발사업의 투자 계획 및 집행. ▫조합원 소득 및 권익 향상   ▫산지 출하 조직화, 비용 절감 위한 시설 확충 . 중소상공인 ▫소득 안정화 ▫상품성 제고 및부가가치 향상. 생산자 ▫농업 소득 안정화 ▫농업 부가가치 향상. 주: 필자 작성. <그림 1-1> 전주시와 전주농협의 사업 범위. 전주시. 주: 필자 작성.

(24) 8. <그림 1-2> 통합적 운영체계의 목표. 주: 필자 작성. ○ 전주시와 전주농협의 통합적 운영은 비용 최소화로 전주시민 먹거리 만족 도 향상을 위해 효율적인 지역 먹거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주요 방법은 1) 수집과 분산의 물류사업은 집중하고, 2) 생산 및 소비 조 직화, 교육 및 홍보 등 사람과 관계된 내용은 역할 조정을 거친다. - 지역농업 인프라와 이해관계자의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개발사업과 연 계한 상품개발 및 물류 총괄, 농업의 6차 산업 활성화, 지역 먹거리 전문 사업조직 육성, 생산 및 유통시설 가동률을 제고한다. - 교육 및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사업의 동기부여, 도농교류, 일자리 창출 등을 기획하고 창조적 기획력이 요구되는 사업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와 협력한다..

(25) 제. 2. 장. 전주시 농업생산과 소비, 소매유통 현황. 1. 전주시 농업 및 소비 여건 1.1. 농업 생산 ○ 전주시는 인구 65만명의 전라북도 도청 소재지인 도시지만, 전주시는 전라 북도의 다른 시군에 필적하는 농업 규모와 농가수를 보유한다. - 전주시 경지면적은 6,269ha(전 1,857ha/ 답 3,420ha)로 전북 내 무주군. 장수군과 비슷하다. - 전주시 농가 수는 7,216호(17,901명)로 완주군 농가 수 7,247호(16,847 명)와 비슷하며, 경지면적 1ha미만 농가는 5,080호(전체 농가 중 71%)에 해당한다. 특히 도시지역 농업의 특징인 전업농가(3,066호)보다 겸업농 가(4,577호) 비율이 높다. ○ 전라북도에서 전주시의 농업 생산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은 2.12%이다. - 농업의 생산규모가 줄어들고 있으며, 두류와 같은 특수작물의 경작지는 늘어나고 있다. - 전주시 과일류 생산은 전북 생산량의 6%, 과채류는 4%를 차지하는 전형 적인 근교농업의 형태이다..

참조

관련 문서

농업 부문의 지원은 농업경제 번영과 농촌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일련의 정부조치로서, 이 러한 조치들은 기본적인 농업생산여건 개선에서부터 시작되며 농업기술,

농촌 생산 방식의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농촌 금융기관의 보다 적절한 자원 배분을 유도하고, 서비스의 효과를 높이고, 농업 규모화 생산 및 집약화 경영에

예를 들어 , 마을 단위 체험관광 등 커뮤니티 비즈니스 (community business) 나 , 농촌 주부들의 농가식당 공동운영 , 농가와 관광객들이 함께하는 전통식품 ·

− “지방 농촌 금융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새로운 농촌 합작금융에 대한 지방정부 의 감독관리 책임을 명확히 하고, 지방정부 자체적으로 리스크 보상기금을

자문기관은 전통 건축 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건축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로 이루어져있고 , 농촌 지역 내의 무분별한 건축 활동을 제한하여

∙ 축산업의 환경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저탄소 사양관리로의 전환이 매우 중요하다. 저탄 소 사양관리를 통해 환경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사육기간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농촌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 한 일자리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율을

금융서비스 제공 부문의 경우 소농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금융상품과 서비스의 개발, 농촌 지역의 금융서비스 제공 확대를 위한 위 험 공유, 영세 및 중소기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