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안전해야 하는 상품이고 한편, 생산자는 판매 활동을 통해 생활 수단을 확보하는 상품이다. 도시민이 안전한 먹거리를 얻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생산하는 생산자의 배려가 필요하고, 소비자는 생산자의 배려에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 따라서 푸드플랜은 지역단위 농식품 생산 및 유통 체계 재편, 지역 내 유통망 재건, 교류와 연대, 농업·농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강조한다.

○ 셋째, 먹거리 안전은 시민이 참여하는 실행계획에서 출발한다.

- 소비자인 시민 스스로 안전을 확보하는 방법은 가까운 지역농업과의 연 대이고 생산자와 지속적인 신뢰관계에서 비로소 안전한 먹거리에 접근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지자체가 푸드플랜을 계획하고 발표하지만 지역민이 정책 수요를 제시 하여 정책 목표를 구체화하고 세부실행 과제에 발굴하는데 참여한다.

- 푸드플랜은 지역민의 안전한 먹거리 접근성을 높이고 또한 안전한 먹거 리에 접근하는 방법을 교육·훈련하여 시민 스스로 먹거리 정의 실현을 위해 행동하도록 하는 실천계획이 포함된다.

전주시민의 로컬푸드 참여 실태

1. 출하 생산자

1.1. 조사 개요

○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주체의 2개 유형((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전주농 협)의 5개 직매장을 대상으로 각 직매장마다 생산자 30명 내외, 총 130명을 면접 조사하였다(표 5-1).

- 생산자는 (재)전주푸드 출하 46명, 전주농협 출하 41명, 두 곳 모두 출하 43명이다. 연령별로 50∼60대가 66.1%로 가장 많고, 70대 이상, 40대 이 하의 순이다. 경작규모는 소규모 생산자가 40%로 가장 많고 중소규모, 중규모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출하 생산자가 농약을 전혀 사용하는 않는 비율은 15.4%, 제초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비율은 28.5%이다. 일부 사용하는 비율까지 합하면 농약 은 87%, 제초제는 94%가 가급적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표 5-1> 생산자 조사 개요

1.2. 생산자의 출하 실태

○ 현재 생산자가 출하하는 로컬푸드 직매장 수는 2개가 40.8%, 3개 26.2%이 지만, 앞으로 출하 매장수를 늘리고 싶어한다(그림 5-1).

- 출하를 희망하는 매장 수는 5개 32.3%, 3개 26.2%로 3~5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5-1> 생산자의 로컬푸드 출하 매장수

단위: %

자료: 본 연구의 조사 결과임.

<그림 5-2> 생산자의 로컬푸드 출하 만족도

주: 10점 척도(매우 불만족 = 0, 보통 = 5, 매우 만족 =10)

○ 생산자의 출하 만족도는 (재)전주푸드 출하자가 전주농협이나 두 곳 모두

○ 로컬푸드 출하 이전과 비교하여 출하처는 도매시장과 중간상인, 직거래 모 두 낮아졌다(그림 5-3).

- (재)전주푸드 출하자의 로컬푸드 출하율이 14%인 반면, 전주농협이나 두 곳 모두 출하하는 경우는 각각 36%, 29.8%로 높게 조사되었다.

<그림 5-3> 로컬푸드 출하처 변화

단위: %

○ 생산자는 로컬푸드 출하 후, 소량이라도 출하해보고 싶은 상품을 찾는다거 나 안전성을 위해 로컬푸드 출하 포장을 별도로 관리, 생산자 기술 교류, 정 보 탐색이 증가하는 경영상의 변화가 있다는 응답이 70%이다(그림 5-4).

- (재)전주푸드 출하자는 경영상의 변화가 크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림 5-4> 로컬푸드 생산자의 경영 변화

주: 10점 척도(거의 변화 없다 = 0, 보통 = 5, 매우 그렇다 =10)

○ 생산자의 농외 소득활동 참여는 현재도 농산물 판매가 가장 많지만 앞으로 도 판매에 대한 의향이 높다. 또한 농산물 가공에 대한 의향도 (재)전주푸드 출하자 37%, 두곳 모두 출하자 39.5%로 높은 편이다(그림 5-5).

- 생산자에게 농산물 판매는 농업소득의 귀추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중요 성이 점점 더 커지고, 농업의 부가가치 측면에서 농산물 가공에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5-5> 농외 소득활동 현황과 의향

단위: %

1.3. 생산 및 소비에 대한 인식

○ 생산자가 농업 소득에 만족하는 정도는 50% 이상이지만 전주농협 출하자 나 두 곳 모두 출하자는 불만이 각각 73%, 46.5%로 조사되었다(그림 5-6).

- 농업 소득에 불만인 이유에는 노력만큼 정당한 댓가를 받지 못한다는 의 식이 잠재한다.

- 로컬푸드 운영자는 출하자의 농업소득 불만에 대한 원인 분석과 소득 만 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생산 기획과 출하 조정이 적 절히 이루어지고, 출하자에게 맞춤형 품목이나 기술 등의 생산 컨설팅이 필요하다.

<그림 5-6> 생산자의 소득 만족도 및 농업 고충 해결 정도

<농업소득 만족도> <로컬푸드 출하 후 농업 고충 해결 정도>

주: 농업소득 만족도는 %, 로컬푸드 출하 후 농업 고충 해결 정도는 10점 척도

○ 로컬푸드 출하 후 생산자는 농업소득의 안정성을 제외하면 판매처 확보, 노 동력 분산 이용, 소비자의 농업 이해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그림 5-6).

- 생산 후 출하까지 농업인이 당면한 다양한 고충은 시장에서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가격과 품질에 대한 평가 때문이다. 이를 로컬푸드 출하로 일 부 해결한 것이다.

- (재)전주푸드 출하자는 전주농협이나 두 곳 모두 출하자에 비해 농업 고 충 해결 정도가 크다고 느낀다. (재)전주푸드는 생산자 교육의 효과와 공 공급식으로 출하처를 확대한 효과라고 판단된다.

○ 로컬푸드 출하자는 소비자와 교류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의향이 비교적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5-4). 특히 (재)전주푸드 출하자의 의향이 크다. 분기 별 생산자 교육 효과가 소비자 교류에 적극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 소비자 교류 종류별로 살펴보면, 개인적인 손님맞이가 필요한 농장 견학 보다는 소비자와 농업 농촌에 대한 이야기를 하거나 여름방학 캠핑과 같 이 마을단위로 찾아오면 참여할 의향이 높다.

- 로컬푸드가 농업농촌의 6차 산업으로 연결되는 연결고리로서 역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라고 판단된다.

<표 5-4> 소비자와 교류 참여 의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