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본 연구는 지자체 단위 푸드플랜을 실현하기 위해 전주시와 전주농협이 협 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며, 협력방안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첫째, 전주시 지역농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시민에게 안전한 먹거리 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일이다.

- 둘째, 농업 생산에서 소비까지 먹거리와 관련한 사업에 민간의 참여 확 대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해 살기 좋은 지역 사회를 만드는데 협력한다.

○ 전주시-전주농협은 지역농업에 대한 관심과 이해에서 발휘되는 지역의 정 체성을 도출하고 지역개발사업에 민간 참여 확대를 위해 지역농업을 지원 한다.

- 지역농업을 지원함으로써 농업인이 얻는 직접적인 효과는 1) 농업인 소 득 안정, 2) 지역사회 문화 및 농업농촌 경관 보존의 주체인 농업인에 대 한 직접 지불이다.

- 한편, 지역농업을 지원함으로써 소비자의 농업에 대한 능동적/적극적 이 해와 참여를 확보할 수 있다는 간접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는 관 주도의 지역개발사업에서 벗어나 민간 자율적인 참여폭을 넓히는데 유 용하다.

- ‘전주 푸드플랜’은 전주만의 독창성 있는 관광요소 창출에 도움이 된다.

관광의 4대 요소인 먹거리, 팔거리, 놀거리, 볼거리를 전통음식 문화, 식 품가공과 전통공예, 농업농촌 체험 관광, 경관 체류형 관광 등 농업의 6 차 산업이 제공할 수 있다.

○ 전주시에서 생산~가공~유통~소비에 관련된 이해 관계자는 다양하고 각각 경제행위의 목표도 상이하지만, ‘전주 푸드플랜’이 추구하는 공공성에 동의 하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협력할 의향이 있다.

-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의 직매장 사업은 사업대상, 사업 범위, 사업방식 등에서 중복된다. 이를 통합적 운영체계, 실행조직 공동 운영 모델로 해결하고자 한다.

<표 1-1> ‘전주 푸드플랜’ 이해관계자의 목표

지자체 농협(생산자단체)

▫전주시민 삶의 질 향상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설립

▫지역개발사업의 투자 계획 및 집행

▫조합원 소득 및 권익 향상  

▫산지 출하 조직화, 비용 절감 위한 시설 확충 

중소상공인 생산자

▫소득 안정화

▫상품성 제고 및부가가치 향상

▫농업 소득 안정화

▫농업 부가가치 향상 주: 필자 작성

<그림 1-1> 전주시와 전주농협의 사업 범위

전주시

주: 필자 작성

<그림 1-2> 통합적 운영체계의 목표

주: 필자 작성

○ 전주시와 전주농협의 통합적 운영은 비용 최소화로 전주시민 먹거리 만족 도 향상을 위해 효율적인 지역 먹거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주요 방법은 1) 수집과 분산의 물류사업은 집중하고, 2) 생산 및 소비 조 직화, 교육 및 홍보 등 사람과 관계된 내용은 역할 조정을 거친다.

- 지역농업 인프라와 이해관계자의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개발사업과 연 계한 상품개발 및 물류 총괄, 농업의 6차 산업 활성화, 지역 먹거리 전문 사업조직 육성, 생산 및 유통시설 가동률을 제고한다.

- 교육 및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사업의 동기부여, 도농교류, 일자리 창출 등을 기획하고 창조적 기획력이 요구되는 사업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와 협력한다.

전주시 농업생산과 소비, 소매유통 현황

1. 전주시 농업 및 소비 여건

1.1. 농업 생산

○ 전주시는 인구 65만명의 전라북도 도청 소재지인 도시지만, 전주시는 전라 북도의 다른 시군에 필적하는 농업 규모와 농가수를 보유한다.

- 전주시 경지면적은 6,269ha(전 1,857ha/ 답 3,420ha)로 전북 내 무주군.

장수군과 비슷하다.

- 전주시 농가 수는 7,216호(17,901명)로 완주군 농가 수 7,247호(16,847 명)와 비슷하며, 경지면적 1ha미만 농가는 5,080호(전체 농가 중 71%)에 해당한다. 특히 도시지역 농업의 특징인 전업농가(3,066호)보다 겸업농 가(4,577호) 비율이 높다.

○ 전라북도에서 전주시의 농업 생산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은 2.12%이다.

- 농업의 생산규모가 줄어들고 있으며, 두류와 같은 특수작물의 경작지는 늘어나고 있다.

- 전주시 과일류 생산은 전북 생산량의 6%, 과채류는 4%를 차지하는 전형 적인 근교농업의 형태이다.

<표 2-1> 전주시 농업 생산규모

단위: ha, %

2005 2010 2015

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전주시 전라북도 전주시 비중

총생산 240,003 5,999 212,719 5,334 188,487 4,003 2.12

식량부문 166,503 3,950 155,431 3,940 141,818 2,770 1.95

미 곡 144,091 3,420 134,355 2,961 121,765 2,131 1.75

<표 2-2> 전주시 농가 및 농가인구 현황

<표 2-4> 전주시민 가계지출 소비규모

단위: 억 원, %

구분 2012년 2014년 2016년

전주시 소비지출액(a) 5,441 5,566 5,404

외식소비_음식점(f/c) 48.6 50.0 51.9

자료: 전주시통계연보 사회조사, 통계청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각 년도

2014년 42.9 59.6 67.1 23.1 0.6

2015년 41.4 53.9 74.9 26.9 1.0

2016년 33.3 57.5 74.8 25.8 0.9

자료: 전주시통계연보, 사회조사, 각 년도, 복수응답

나 편리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낮아 소비자의 이용이 점차 줄고 있다. 전 주시민이 전통시장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거리가 멀어서(접근성) 66%, 교통주차 불편 35%, 많은 짐 불편 21%의 순이다(그림 2-3).

<그림 2-1> 전주시민의 전통시장별 음식료품・생활용품 구입비중

자료: 전주시통계연보, 사회조사, 각 년도

<그림 2-2> 전주시민의 전통시장 구매물품 비중

자료: 전주시통계연보, 사회조사, 각 년도

<그림 2-3> 전주시민의 전통시장 상품 비구매 이유

자료: 전주시통계연보, 사회조사, 각 년도

○ 인구 65만 8천명의 전주시는 유치원 123개를 비롯하여 초중고교 135개교 및 대학(전문대학 포함) 4개교 등 학교 275개소가 있다.

- 학교급식 대상자는 어린이집부터 고교생까지 12만 760명이다.

<표 2-6> 학교급식 대상자

구분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교수(개소) 717 123 69 38 28

인원(명) 21,704 11,056 38,399 23,144 26,457

주: 어린이집은 2014년 통계임.

자료: 전주시통계연보. 2016년.

○ 전주시의 취약계층은 국민기초생활 수급자와 한부모 수급자, 독거노인을 포 함하면 약 4만 2천명으로 전주시 인구의 6.4%에 해당한다.

-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가 약 3만명이고 한부모가족이 약 3천명, 독거노인 8천 6백명으로, 기초생활 수급자가 약 71.5%에 해당한다.

- 이들 취약계층에게 기본적인 인권에 해당하는 먹거리를 전달하기 위해 시민으로 조직된 각종 사회봉사단체가 활동한다.

<표 2-7> 전주시 취약계층 현황

단위: 명

구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한부모가족지원법수급자 독거노인 합계

2012 24,259 4,835 12,307 41,401

2013 23,078 5,501 9,227 37,806

2014 22,695 5,964 8,887 37,546

2015 29,303 5,053 8,012 42,368

2016 29,729 3,234 8,602 41,565

자료: 전라북도통계연보, 전라북도통계시스템, 각 년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