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연구 내용

○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1) 전주시 먹거리 체계 의 현주소와 ‘전주 푸드플랜’ 검토, 2) (재)전주푸드와 전주농협 간 통합적 운영 조직 검토 및 공동 사업 모델을 발굴 제시한다.

○ 전주시 먹거리 체계의 현주소와 ‘전주 푸드플랜’, 국내외 사례 검토

- 제2장에서는 전주시 농업 생산~유통~소비 실태를 통해 먹거리 현주소를 분석하고, 소매상권 분석을 통해 현재 상설 로컬푸드 직매장(시, 농협, 완 주) 외에 직매장 개설이 가능한 지역을 도출한다.

- 제3장은 우리나라에서 로컬푸드가 도입된 배경과 ‘전주 푸드플랜’을 중 점 검토한다. 전주푸드의 주요 내용과 (재)전주푸드의 공공 및 학교급식 공급과 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방안을 살펴본다.

- 제4장은 국내외 로컬푸드 및 푸드플랜 선진지 사례 비교를 통해 시사점 을 도출한다. 특히 일본 사례는 전주시, (재)전주푸드, 전주농협의 임직원 과 직접 방문 조사하였다.

○ (재)전주푸드-전주농협 간 통합적 운영 조직 검토 및 공동사업 모델 발굴 - 제5장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전주농협의 로컬푸드 직매장을 이용 하는 생산자와 소비자에 대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주 푸드 플랜’ 사업과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에서 두 주체에 대한 현황과 기대를 파악한다. 로컬푸드 직매장 사업에서 생산 조직화, 상품구색, 물류 효율 성 등 정량분석 평가, 로컬푸드 사업에 대한 기대, 역할과 만족도 평가, 임직원의 사업에 대한 기대, 생산자 및 소비자 만족도 등이다.

- 제6장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 간 통합적 운영조직에 대 해 시나리오별로 역할과 관계, 통합 운영조직의 형태 등을 검토한다.

- 제7장은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 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제시한다.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 하여 ‘전주 푸드플랜’에 다양한 사업 모델을 발굴한다.

2.2. 연구 범위

○ 시간적 범위 : 기준년도 2017년

○ 공간적 범위 : 전주시 및 영향권 지역

○ 과업 기간 : 2017. 3. 2. ~ 2017. 8. 31.(6개월)

2.3.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문헌조사, 설문조사, 이해관계자 면접조사 등을 통해 전주시가 추 진하는 ‘전주 푸드플랜’ 실태 및 로컬푸드 직매장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 고, ‘전주 푸드플랜’에서 (재)전주푸드와 전주농협 간 통합운영의 방향을 도

출한다.

- 전주시 먹거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주시 통계연보와 소상공인시장 진흥공단의 상권분석시스템, 상권 및 입지평가 보고서를 활용하였다.

- 푸드플랜과 로컬푸드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논문, 보고서 등 각종 자료를 검토하고, 로컬푸드 직매장 사례를 수집하였다.

○ (재)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와 전주농협의 로컬푸드 직매장 5개소에 출하하 는 생산자와 이용 소비자, 운영주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전주푸드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 조사대상 : 1) 출하 생산자(전주푸드 46명, 전주농협 41명, 둘 다 출하 43명, 총 130명), 2) 이용 소비자(전주푸드 155명, 전주농협 96명, 총 251 명), 3) 운영주체 임직원(전주푸드 36명, 전주농협 34명, 총 70명) - 조사기간 : 2017년 4월 10일~21일(생산자 소비자), 5월 8일~12일(임직원) - 조사방법 : 출하 생산자와 이용 소비자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원이

직접 직매장을 방문하여 1:1 면접 조사하였다. 운영주체 임직원은 각각 의 작업장에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을 요청하였다.

○ 해외 선진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일본 지산지소 직매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 방문지역 : 일본 오야마 농협, 히비키노사토(오이타 현), 살구꽃마을 시 장이용조합, 미찌노에끼 무나가타와 우키하(후쿠오카 현)

- 방문기간 : 2017년 6월 18일 ~ 21일(3박4일)

- 방문목적 : 지산지소 직매장 운영 4개 주체의 구성 및 사업 방식 등, 지 자체와 농협 또는 생산자단체의 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