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

Copied!
1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연구보고 R617-2 | 2010. 10..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1/2차연도).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 마 상 진 김 창 호 권 인 혜. 부 연 구 위 원 연 구 원 연 구 원.

(2) 연구 담당 마상진 부연구위원 김창호 연구원 권인혜 연구원. 연구총괄 사례조사, 설문조사 설문조사.

(3) i. 머 리 말. 사회적기업은 경제조직으로서의 지속성이라는 경제적 목적, 공익적 목 적의 실현이라는 사회적 목적, 그리고 제도와 사회구조의 변화라는 사회정 치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기에 일반 영리기업이나 국가, 기존의 비영리기 구들과는 차별성 있는 역량이 요구된다. 더욱이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은 도시지역에 비해 취약한 기업 환경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인적 자원들 의 기본 역량도 떨어지기에 역량 강화를 위해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관련 이 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련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고, 현재의 제도 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외국의 관련 사례의 시사점을 토대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이 연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직까지 사회적기업과 관련한 정책 과 연구 역사가 일천한 국내 환경에서 사회적기업의 역량에 대하여 체계적 으로 접근한 최초의 시도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사회 적기업 연구자에게는 자신의 연구를 좀 더 정교화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 공하고, 사회적기업 관련 정책을 개발하는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 담당자, 현장에서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 및 컨설팅 업체 의 담당자에게 자신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 연구는 수행과정에서 많은 이의 도움을 받았다.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에 도움을 준 SE 파트너 센터의 모세종 대표와 채혜영 실장, 자활정책연구 소의 김정원 박사, 벨기에 리에쥬대학 사회적경제센터의 엄형식 연구원, 성공회대 사회적기업연구센터 김동언 연구원, 김용진 조교에게 특별히 감 사드린다. 그리고 바쁜 사업 활동에도 지역 사례조사에 도움을 준 횡성과 진안의 사회적기업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 2010.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4)

(5) iii. 요. 약. 이 연구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과 관련한 학문적, 정책적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관점에서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농촌 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사, 그리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과 사례 고찰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기본 과제가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도출 하고자 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관련 이론으로 사회적기업의 역량의 개념, 역량 의 구성요소, 역량 강화 활동 등을 고찰하였다. 이론 고찰을 통해 마련한 사회적기업의 역량분석틀을 기초로 전문가 협의를 거쳐 개발된 조사지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역량을 분석하였고, 사회적기업들이 역량 강화를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으며 관련 요구는 무엇인지도 조사하였다. 그리고 사 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을 통해 제공되는 교육, 컨설팅, 네트워크 지원 등과 더불어 중간지원조직, 소셜벤처 등을 고찰하 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유럽의 사회 적기업의 역사와 관련 지원 현황과 더불어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의 사례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주는 시사점 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 량 강화의 기본방향과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역량 자체에서 차이가 나지만 그러한 역량을 강화 하기 위한 활동의 측면에서도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에는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농촌지역은 각종 공공・민간의 사회적경제 관련 물적・인적 자원 의 규모가 도시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관련 주체들의 기본 자질도 일반 적으로 떨어진다. 특히 상업적 기업 환경과 관련한 경험이 일천하고, 역량 강화와 관련한 각종 교육이나 컨설팅 경험도 희박하다. 따라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농촌이 가지는 특수성이 충.

(6) iv 분히 반영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과제로 이 연구에서는 ① 사회적기업 역량 진단 및 역량 강화의 모형 개발, ② 잠 재적 농촌지역 사회적기업가 발굴 및 지원, ③ 농촌지역 지역자활센터의 활용 강화, ④ 지역 수준(중앙․광역․기초) 간 수직적 역할 분담 등을 제 시하였다..

(7) v ABSTRACT. How to Build Capacity of Rural Social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es to build capacity of rural social enterpris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lated theoretical researches, capacity building policies and efforts, and social economy in Europ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capacity and the capacity building need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based on a survey of 258 social enterprises including 107 accredited social enterprises, 59 pre-accredited social enterprises, and 71 self-reliance communities jahawlgongdongche, and case studie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As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basic direction for capacity building and several measures to facilitate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Capacity building policy and efforts should be oriented to consider relatively weaknes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for the shortage of social resources in rural area and capacity building opportunities such as education and consulting services compared to urban social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e study developed the following four measures to activate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 developing basic model for capacity assessment and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② fostering future rural social enterpreneurs and supporting them to develop; ③ promoting rural self-reliance center jiyokjahwalcenter as local capacity building supporting agency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and ④ setting up vertical cooperating system among central,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Researchers: Sang-Jin Ma, Chang-Ho Kim and In-Hey Kwon Research Period: 2010.1~2010.10 E-mail Address: msj@krei.re.kr.

(8)

(9) vi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주요 내용 ·········································································· 2 3. 연구 방법 ······················································································· 3 제2장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1. 사회적기업의 역량 개념 ······························································· 7 2. 사회적기업의 역량 구성요소 ······················································· 8 3.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 13 4. 중간지원조직 ················································································ 17 제3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요구 1. 역량 실태 ····················································································· 21 2. 역량 강화 요구 ············································································ 33 3. 분석 종합 ····················································································· 41 제4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제도 현황 1. 교육 ······························································································· 45 2. 컨설팅 ··························································································· 49 3. 네트워크 ······················································································· 51 4. 기타 지원 ····················································································· 52 5. 역량 강화 제도의 문제점 ··························································· 55.

(10) viii. 제5장 유럽의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 사례 1. 사회적기업 발달의 역사 ····························································· 59 2. 사회적기업 관련 제도 ································································· 61 3. 사회적기업에 대한 역량 강화 지원 ·········································· 67 4. 유럽 사례의 시사점 ···································································· 72 제6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과제 1. 기본방향 ······················································································· 75 2. 추진과제 ······················································································· 77 부록: 설문조사지(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사) ····································· 85 참고 문헌 ···································································································· 93.

(11) ix. 표 차 례. 제1장 표 1-1.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지역별 참여 업체 ······································ 4 표 1-2. 연구내용별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5 제2장 표 2-1. 사회적기업 역량 모형별 역량 구성요소 ···································· 13 표 2-2. 일본의 NPO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기능 ································ 18 제3장 표 3-1. 사회적기업의 역량 진단 분석틀 ················································· 22 표 3-2.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비전과 전략 ······································· 24 표 3-3.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직기술 ············································ 26 표 3-4.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인적자원 ············································ 28 표 3-5.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직구조와 시스템 ···························· 31 표 3-6.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직 문화 ·········································· 32 표 3-7. 사회적기업 CEO의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현황과 요구 ········ 34 표 3-8. 사회적기업 직원의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현황 ····················· 35 표 3-9. 사회적기업의 컨설팅을 통한 역량 강화 현황과 요구 ·············· 37 표 3-10. 사회적기업의 파트너십을 통한 역량 강화 현황과 요구 ·········· 38 표 3-11.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요구 ·································· 39 표 3-12.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요구 ·································· 40 표 3-13. 사회적기업의 역량 진단 결과 종합 ··········································· 42 제4장 표 4-1. 노동부 지원 사회적기업가 아카데미 프로그램 ························· 46.

(12) x 표 4-2. 대학생을 위한 노동부 지원 사회적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 47 표 4-3. 사회적기업가 학교 프로그램 ······················································· 48 표 4-4. 노동부의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현황 ·········································· 50 표 4-5. 지역별 사회적기업 지원기관 현황 ············································· 54 제5장 표 5-1. 유럽 각국의 사회적기업 제도화 과정 ········································ 62.

(13) xi.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1. McKinsey(2001) 역량 모형의 구조 ········································· 10 그림 2-2. De Vita 등(2001)의 비영리기구 역량 모형 ··························· 10 그림 2-3. ECDPM(2007)의 역량 모형 ····················································· 12 제3장 그림 3-1. 민간 컨설팅 기관의 한계 ························································· 38 그림 3-2. 현 민간지원기구의 한계 ··························································· 40 제4장 그림 4-1. SK의 상생아카데미(on-line 사회적기업 경영교육) ··············· 49 그림 4-2. SESNET의 프로보노 체계 ······················································· 51 제6장 그림 6-1.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 기본 모형 ············································ 77 그림 6-2.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역 수준 간 역할 분담 ·························································· 83.

(14)

(15) 서. 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제공, 사회서비스 공급 등 공공의 목적과 함께 자체 수익사업을 통해 재정을 해결하는 영리적 목적을 함께 달성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공공부 문이나 민간부문의 조직과는 구별되는 역량이 요구된다. 사회적기업이라도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은 도시지역에 비해 취약한 지 역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농촌지역은 농촌주민이나 농촌기반 기업 활동을 위한 기본적인 관련 서비스를 거의 가지고 있지 못하다. 또한 농촌 의 서비스 수혜자들은 넓은 지역에 소규모로 흩어져 있어, 동일한 서비스 를 전달함에 있어서도 도시에 비해 더 많은 비용이 들어 규모의 경제가 적 용되기 힘들다. 그래서 민간 사업체에게는 상업적으로 매력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과 더불어 농촌 지역의 각종 공공・민간・자원봉사 기관 은 도시의 같은 기관들에 비해 직원이나 예산 규모가 작고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은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도시지역과는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 육, 컨설팅 지원, 그리고 중간조직 육성 등의 노력이 전개되고 있지만, 아 직 시작단계이다. 학계의 사회적기업 역량에 대한 논의는 아직 일천한 실 정인지라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에 대한 차별적 접근은 전무한 실정. 1장. 제.

(16) 2. 서 론. 이다. 이 연구에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과 관련한 학문적, 정책적 논의 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관점에서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사, 그리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과 국내외 사례 고찰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 성을 높이기 위해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과제가 추진되어야 하는지 를 도출하였다.. 2. 연구의 주요 내용. 제2장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관련 이론을 고찰하였다. 사회적기 업의 역량의 개념, 역량의 구성요소, 역량 강화와 관련한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적기업 실태 조사와 관련 제도에 대한 분석의 기본 관점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관련 요구를 분석하 였다. 이론 고찰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역량 분석틀을 개발하고, 전문가 협 의를 거쳐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요구 조사를 위한 조사지를 개발하고, 사회적기업 컨설팅 업체에 조사를 위탁하여 각 사회적기업에 대한 면접 조 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와 관련한 제도 현황을 고찰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을 통해 제 공되는 교육, 컨설팅, 네트워크 지원 등과 더불어 중간지원조직, 소셜벤처 등을 고찰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제5장에서는 유럽의 사회적기업을 고찰하였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 하는 유럽의 사회적기업의 역사와 관련 지원 현황과 더불어 사회적기업 역 량 강화의 사례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 안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7) 서 론. 3. 제6장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관련 이론 고찰, 역량실태 조사, 관련 제도 분석 등을 토대로 전문가 협의를 거 쳐 도출한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의 기본방향과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 였다.. 3. 연구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사회적기업에 대한 설 문 조사, 국내 사회적기업 및 외국 사례 조사, 전문가 협의회 등의 연구 방 법을 활용하였다.. 3.1. 문헌 연구 사회적기업의 역량과 관련한 이론과 선행연구, 그리고 역량 관련 제도 고찰을 위해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역량의 개 념과 구성요소, 그리고 역량 강화 활동과 관련한 연구의 관점을 정리하고, 현행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 관련 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3.2. 설문 조사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관련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 회적기업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 도시 및 농 촌지역의 인증사회적기업, 예비사회적기업, 자활공동체였다.1 전국 320개 1. 좁은 의미에 사회적기업은 인증 사회적기업만을 가리키지만, 이 연구에서는 광.

(18) 서 론. 4. 인증사회적기업 중 107개(33.4%), 906개 예비사회적기업 중 59개(6.5%), 전국 1,046개 자활공동체 중 71개(6.8%) 등 총 258개의 사회적기업이 조사 되었고, 지역별로는 농촌지역(시군, 도농통합시) 68%, 도시지역 32%가 분 포되었다. 조사 내용은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관련하여 사회적기업의 역량 분석틀에 근거하여 비전과 전략, 조직기술, 인적자원, 조직구조와 시 스템, 조직문화 등의 내용을 조사하였고, 역량 강화 요구와 관련하여 교육, 컨설팅, 네트워크 및 중간지원조직 등과 역량 강화 활동 유형별 현재 활동 현황과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사회적기업 컨설팅업체인 SE파트너센터 의 위탁하여 조사가 이뤄졌다. SE파트너센터의 총괄하에 지역별로 조사업 체를 선정2하여 각 사회적기업에 대한 방문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9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표 1-1.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지역별 참여 업체 지역 강원. 사회적기업 강원도협의회. 경기. 경기도사회적기업협의회, 경기광역자활센터. 인천. 인천사회적기업협의회. 대구, 경북. 2. 기관명. 대구사회연구소. 충남. 충남지역자활센터협회. 경남. 경남사회적기업협의회. 전남. 전남사회적기업협의회, 전남사회적기업지원기관. 광주. 광주사회적기업지원기관. 대전. 한국사회적기업연구회. 충북. 충남사회적기업지원기관. 의의 의미의 사회적기업으로 인증사회적기업뿐 아니라 사회적기업의 잠재태인 자활공동체, 예비사회적기업 모두를 사회적기업으로 보았다. 전북, 부산, 울산 지역의 경우 개인 컨설턴트에 조사 위탁..

(19) 서 론. 5. 3.3. 사례조사 일부 사회적기업의 경우 대표자 또는 실무 책임자와의 면담을 통해 사 회적기업의 발전과정과 더불어 역량 실태 및 역량 강화 활동 현황에 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파악되지 않는 질적인 자료를 수 집하였다. 사례조사를 실시한 사회적기업은 강원도 횡성군(4개)과 전라북 도 진안군(2개)에 위치한 인증 사회적기업이었다. 표 1-2. 연구내용별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연구내용.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문제. 연구방법.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관련 이론. -사회적기업의 역량이란 무엇인가?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와 관련한 중간조직의 역할 은 무엇인가?. 문헌조사.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실태와 역량강화 요구. -사회적기업의 역량은 어느 정도인가? -도농 간, 기업유형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역량 차 이는 없는가? -사회적기업은 역량 강화를 위해 어떤 활동을 하 고 있는가?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와 관련한 요구는 무엇인가?. 설문조사 사례조사.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 관련제도.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에는 무 엇이 있는가?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 엇인가?. 문헌조사 사례조사. 유럽의 사회적 기업 역량 강화 사례. -선진 외국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문헌조사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우리가 벤치 외국사례조사 마킹할 만한 사항은 무엇인가?.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 방안.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는 기본적으로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전문가 간담회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 인 과제는 무엇이 있는가?.

(20) 6. 서 론. 외국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사례 조사는 외부 전문가(벨기에 리에쥬대학 사회적경제센터의 엄형식 연구원)에 위탁하여 수행하였다. 외국 사례조사 에서는 유럽의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사와 현황, 역량 강화 관련 제도 와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3.4.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사회적기업 실태조사를 위한 질문지 개발, 농촌지 역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 방안 개발 등과 관련한 타당성 검토와 연구 수행 에 필요한 자료 획득 및 자원 탐색에 있어 자문을 받았다. 농촌지역 지역 자활센터의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관련 전문가(지역자 활연구소 김정원 박사)에게 원고를 위탁하였고, 이를 관련 이론 탐색과 방안 개발에 참조하였다..

(21) 2장.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제. 1. 사회적기업의 역량 개념. 역량(力量)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을 뜻한 다.3 하지만 역량이란 용어는 매우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 된다. 전문용어로서 역량은 영단어로는 ‘capacity’와 ‘competency’4가 우 리말로 모두 ‘역량’이라고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5. 경영(management),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분야에서는 대체로 역량을 ‘competency’라는 영단 어를 사용하고 그 개념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준거에 따른 효과 적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인 특성(속성)’을 의미 (Spencer & Spencer 1993)로 사용한다. 이들 분야에서는 주로 개인과 개 인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현되는 개념으로 역량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반 면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비영리기구(NPO)에서는 각종 개발 행위 주체의. 능력과. 관련하여. ‘capacity’라는. 영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capacity’란 개인, 조직, 사회가 지속가능하게 발전의 목표를 설정하고 3 4. 5. 네이버 국어사전(2010. 3. 22.) competency이외에 competence라는 용어도 사용하고 엄밀하게는 이 둘의 의미도 다소 다르게 사용함. 역량을 의미하는 단어로는 이외에 capability라는 영단어도 사용되지만, 두 단어 보다 사용 빈도가 적음..

(22)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8. 이를 성취하는 능력6을 의미한다(Land 2000). ‘competency'가 개인의 속성 (property) 그리고 경제적 성장에 초점을 둔 개념이라고 한다면 ‘capacity'는 개인뿐아니라 개인이 속한 조직, 조직이 속한 지역사회의 능력(ability) 등 을 포괄하는 다차원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 성장 뿐아니라 사 회․정치․제도․환경적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 으로 사용된다(김정섭 등 2009). 비영리기구의 조직차원의 역량을 의미할 때 주로 ‘capacity'란 용어가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capacity' 개념에 기 반하여 사회적기업의 역량의 개념은 사회적기업이 자신들이 추구하는 사 회적 목표를 지속가능하게 달성하도록 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 사회적기업의 역량 구성요소. 사회적기업의. 역량과. 관련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형은. Mckinsey 모형이다(McKinsey & Company 2001). Mckinsey 모형은 비영 리기구를 위한 역량진단(capacity assessment) 모형으로 빈곤 퇴치 등 복잡 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형성된 비영리조직들이 사업 유지․발전 역 량을 개발하기 위해 2000년 6월 Raul Fernandez, Mark Warner, Mario Morino 등이 중심이 되어 비즈니스 리더와 재단 등 26명의 참여를 이끌어 내어 설립한 조직인 VPP(Venture Philanthropy Partners)가 McKinsey & Company에 의뢰하여 작성한 보고서에서 제시된 모형이다. 이 보고서에서 는 전 세계 비영리조직의 역량개발(capacity building) 사례를 분석하고 그 로부터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비영리조직들이 개발해야할 역량 분야를 7 가지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영역은 조직의 지향방향(aspiration) 이나 비전으로 조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사업 수행에 있어 우선 고려해. 6. the ability of individuals, organisations, or societies to set and implement development objectives on a sustainable basis.

(23)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9. 야할 사항에 대하여 조직이 어떻게 설정해 두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 는 이후 전략 개발, 조직 기술, 인적 자원, 시스템, 조직 구조 결정에 기준 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 영역은 전략(Strategies)으로 조직의 지향점을 달성 하는 수단들에 관한 것이다. 조직의 지향점과 비전에 기반한 일관되고 상 호 연계된 전략들을 얼마나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것으로, 전략은 조 직 활동들의 단순 합을 넘어, 조직이 다른 기관과 차별화할 수 있는 자원 배분의 원칙, 그리고 고유한 핵심역량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세 번째 영역 은 조직기술(Organizational Skills)로 구체적인 사업을 개발하고, 시행하고, 자원을 지원하고, 성과 측정하는 과정과 관련한 기술(역량)에 관한 것이다. 전략 계획에서 마케팅까지, 펀드 모금에서 사업 개발과 추진까지 사회적 영향을 증진하는 기술을 포괄한다. 네 번째 영역은 인적자원(Human Resources)으로 위원회 구성원, 전문 직원, 자원봉사자 등 조직의 인적자원 채용, 개발, 배치, 활용에 관한 것이다. 다섯 번째 영역은 조직의 시스템과 인프라(Systems & Infrastructure)로 조직의 공식화된 조직운영과정과 물리 적인 설비, 기자재 등의 구비와 관련된 것이다. 여섯 번째 영역는 조직의 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로 조직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 구조(명확 성), 새로운 작업 조직의 생성(구조 개편), 위원회와의 협력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 일곱 번째 영역은 조직문화(Culture)로 조직을 하나로 묶어, 이들이 낮은 보수, 높은 노동강도에도 불구하고 조직에 몰입하도록 해주는 것에 관한 것이다<그림 2-1>. McKinsey 모형 이 외의 사회적기업 역량과 관련하여 참고할 만한 것으 로는 De vita 등(2001)의 모형, Core Initiative(2005) 모형, ECDPM(2007) 모형 등이 있다. De Vita 모형(De vita & Fleming, 2001) 역시 비영리기구의 역량 개발과 관련하여 제시된 모형으로, 역량의 세부 영역을 비전(vision & mission), 리더십(leadership)(위원회, CEO, 직원, 자원봉사자), 자원(resource)(재정, 기술, 인적자원), 홍보․관계(outreach)(홍보/전파, 대중교육, 협력, 지원자), 상품과 서비스(products & services)(실적, 성과) 등의 다섯 개로 구성하여 제시하고 있다<그림 2-2>..

(24) 10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그림 2-1. McKinsey(2001) 역량 모형의 구조. 자료: McKinsey & Company. 2001. Effective Capacity Building in Nonprofit Organization.. 그림 2-2. De Vita 등(2001)의 비영리기구 역량 모형. 비전과 미션 리더십. 홍보․관계. 자원. 상품․서비스 자료: De Vita, Carol J. & Fleming, Cory. 2001. Building Capacity in Nonprofit Organization. The Urban Institute..

(25)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11. Core Initiative 모형(2005)은 USAID(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의 지원하여 추진된 에이즈(HIV/AIDS) 확산 예방 사업의 일 환으로 에이즈 확산 관련 지역사회 조직들의 역량 진단을 위한 도구이다. 이 모형에서는 조직의 역량을 조직 리더십과 전략 (leadership, governance, and strategy), 재정(finances), 조직관리와 인적자원(administration and human resources), 사업 설계와 경영(project design & management), 기술 역량(technical capacity), 네트워크와 후원자관리(networking & advocacy), 지역사회 관계와 책무성(community ownership & accountability) 등 7개 분야로 역량을 나누어 접근하고 있다. ECDPM(2007) 모형은 유럽의 개발정책관리센터(European Centre for Development Policy Management)가 역량개발과 관련하여 다년간 수행한 실증연구를 토대로 제시한 것으로 각종 개발관련 조직이나 시스템의 역량 구성요소를 다섯 가지로 구명하였다<그림 2-3>. 먼저 생존과 실행 역량 (capability to survive and act)에서는 ‘새로운 책임을 맡고, 이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잘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것으 로 여기에서는 리더십, 사업 계획 수립과 실행, 효과적인 인적자원․재정 자원의 동원, 효과적인 추후 관리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적응과 변화 역량 (capability to adapt and self-renew)은 ‘어떤 내외적 경향이나 요인이 조직 의 변화, 또는 관련 네트워크의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지는 않는가? 조직은 이에 적절한 응대를 해왔는가?’와 관련된 것으로 조직의 적응 관리 문화, 조직원들의 학습, 조직 변화에 대한 확신, 변화하는 맥락과 경향에 대한 적 절한 이해 등이 포함된다. 성과 도출 역량(capability to generate development results)은 ‘고객이나 기부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어떤 성과 를 어떻게 얻어내야 하는가?’와 관련된 것으로 조직 사업의 본질적인 성 과, 지배구조 개선과 다양한 사람의 의사결정 참여, 성과의 지속성 개선 등 이 포함된다. 관계 역량(capability to relate)은 ‘조직은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것으로 조직과 관련된 관계자의 적법한 관계, 이들과의 신뢰구성, 외적 인사들과의 연합 등이 포함된다. 일 관성 추구 역량(capability to achieve coherence)은 ‘조직의 일관성으로 무.

(26) 12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그림 2-3. ECDPM(2007)의 역량 모형. 자료: European Centre for Development Policy Management[ECDPM]. 2007. A balanced approach to monitoring and evaluating capacity and performance.. 엇을, 언제, 누구와 함께,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와 관련된 것으로 명확한 비전과 전략, 잘 정리된 운영 원칙(규칙), 일관성을 성취하고, 안정성과 변 화를 균형 맞추려는 리더십, 야망․비전․전략․운영의 일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상의 네 가지 주요 모형을 서로 비교해 보면 대체로 ① 조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사업 수행에 있어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를 정하 고, 그에 따라 일관되고 상호 연계된 전략들을 사용하는 ‘비전과 전략’ ② 관련 역량, 사업을 개발․시행하고, 그에 필요한 자원을 지원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사업수행의 일련의 과정과 관련한 ‘조직기술’ 관련 역량, ③ 조 직을 움직이는 구성원(CEO, 이사, 중간관리자, 현장직원)의 재능을 개발하 고 관리하는 ‘인적자원’ 관련 역량, ④ 조직 운영과 관련된 공식화된 시스 템을 보유하고 구성원들이 이를 준수하도록 하여 조직이 안정적으로 움직.

(27)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13. 이도록 하는 ‘조직의 구조와 시스템’ 관련 역량, ⑤ 조직을 하나로 묶고, 낮은 보수나 높은 노동강도에도 불구하고 조직원들을 자신의 업무에 몰입 하도록 해주는 분위기 조성과 관련한 ‘조직문화’ 관련 역량을 기본 구성요 소로 가지고 있다. 표 2-1. 사회적기업 역량 모형별 구성요소 역량 모형. 구성 요소 비전과 전략. 조직기술. 인적 자원. McKinsey 모형 (2001). 비전 전략. 조직기술. 인적 자원. De Vita 모형 (2001). 비전 리더 / 십 미션. Core Initiative 모형 (2005) ECDPM 모형 (2007). 리더십 과 전략. 일관성 추구. 홍보 / 관계. 상품/ 서비스. 지역 네트 관계 사업 워크 설계 / 기술 재정 / / 책무 역량 후원자 성 경영 관리 생존 / 실행. 관계. 성과. 조직구조 /시스템. 조직 문화. 시스템 조직 조직 / 구조 문화 인프라 자원. 조직관리/ 인적자원. 적응 / 변화. 3.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사회적기업의 역량을 강화 또는 개발(Capacity Building or Capacity Development)시키는 방법에는 조직원 개개인 또는 조직적 차원의 교육․ 훈련(training), 컨설팅(consulting), 전문가 자문(referral), 동료 네트워킹 (peer. networking),. 코칭(coaching),. 팀빌딩(team. building),. 진단.

(28) 14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assessment), 연구(research), 정보수집(publication/website) 등 다양한 방식 이 있다(Connolly & York, 2003; Dep. of Citizen Service, 2009). 이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교육․훈련, 컨설팅, 동료 네트워킹(학습 조직) 등의 바람직한 수행 조건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자료(Backer 2000; Blumenthal, 2001; Campobasso & Dan, 2001; De Vita & Flemming 2001; Gooding, 1996; Innovation Network 2001; Schafer 1997)에서는 다음의 사 항을 요구한다(Connolly & York, 2003). 우선 바람직한(promising) 교육․ 훈련은 ① 역량 개발의 경험이 많은 전문가에 의해 진행되어야 하고, ② 공식화된 교육과정과 관련 교육자료가 완비돼야 하고, ③ 동료 간의 상호 의견 교류와 네트워킹의 시간이 교육․훈련 기간 동안 부여돼야 하고, ④ 온라인 학습 자료와 같은 추가적인 학습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고, ⑤ 교 육․훈련 이후에도 컨설팅, 소집교육, 동료 간 네트워킹, 지속적인 코칭과 같은 사후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바람직한 컨설팅은 ① 경험 많은 컨설 턴트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고, ② 조직의 모든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역량개발(컨설팅)의 전략과 목적을 수립해야 하고, ③ 컨설팅의 세부 활동, 예산, 시간 등에 대한 책임과 범위를 분명히 계약해야 하고, ④ 무엇이 성 공인지, 성공을 진단하는 절차와 접근에 대한 분명한 상호 합의가 있어야 하고, ⑤ 수요자(고객)로부터 지속적으로 요구를 수렴하는 과정을 공식화 해야 하고, ⑥ 어떤 수준의 조직 정보(비밀)까지 공유할지에 대해 합의해야 하고, ⑦ 조직의 핵심 관계자에 대한 개별화된 훈련이나 기술개발을 제공해 야 한다. 바람직한 동료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① 라운드 테이블 토론, 사례 조사 그룹, 학습 동아리 등의 활동이 제공되어야 하고, ② 경험 많은 진행자 에 의해 진행되어야 하고, ③ 유사한 목적과 학습 동기를 가진 집단별로 동 일한 진행자에 의해 꾸준히 진행되어야 하고, ④ 참가자로 하여금 스스로 학습 과정을 평가하도록 해야 하고, ⑤ 비공식적인 의견 교환이나 네트워킹 의 시간이 부여되어야 하고, ⑥ 공유되어질 정보(비밀)의 수준 그리고 동료 학습의 과정에 대한 안내와 룰을 정한 후 학습이 시작되어야 한다. 교육․훈련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를 무엇으로 할 것에 대한 논의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Leadbeater(1997,.

(29)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15. Chell 등(2007)에서 재인용)는 사회적기업가에게 필요한 개인 역량 (competences)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에는 자금모금(Raise Funds), 인력관리 (Recruit, Motivate and Manage People), 재정관리(Manage Budget & Finance), 네트워킹(Network and Work with Stakeholders), 홍보와 마케팅 (Carry out Marketing & Public Relations), 법률과 제도(Be Cognizant of legal and orgarnisational Issues), 자원의 효율적 이용(Identify and Utiliz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carce resource) 등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야 한 다고 하였다. 한편 Branco(2007)는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영국, 폴란드 등 4개국의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가정신 현황(제공되는 서비스 분야, 사 회․법률․경제․정치․기술 측면의 성숙도, 주요 관여자, 조직유형, SWOT)을 분석하면서 특히 이 분야의 교육요구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주요 관여자로 서비스 수혜자, 사회적 기업 가, 사회적 기업의 직원, 자원 봉사자, 정부(중앙, 지방), 공공기관, 은행, 기 업, NGO, 일반 시민, 정당, 연구소, 협동조합, 노동조합, 대중매체 등을 들 었다. 그리고 사회적 기업 주요 관계자들에게 사회적 기업과 관련하여 필 요한 핵심 기술(역량) 분야(총 24개 분야)를 조사하고, 교육을 통해 향상시 키고 싶은 영역을 도출하였는데, 다음의 12개 영역이 공통적으로 높은 교 육요구를 보였다. ․윤리적 마케팅(Ethical Marketing, Communication & Sales) ․재정 확보(Lobbying & Fund Raising)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거버넌스와 사회적 책임(Corporate Governance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재무적,. 사회적. 관리. 회계(Financial. &. Social. Accounting) ․생산 및 물류(Production & Logistic) ․사회적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이익을 위한 계획(Social Enterpreneurship & Planning For social benefits) ․창의성과 혁신성(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30) 16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개인 개발과 리더십(Personal Development & Leadership) ․질관리와 인증(Quality & Accrediatation) ․직원 역량개발(HR Development in Specific Environment) ․지역개발(Community Development) 한편 Branco는 사회적기업 교육을 실행하는 교육자(훈련가 또는 컨설턴 트)가 가져야 할 자질로 ① 인간 관계에 대한 긍정적 태도, ② 전문 분야에 대한 높은 전문성, ③ 능숙한 훈련/학습 방법, ④ 사회 지향성 가치관, ⑤ 자연스러운 리더십, ⑥ 학문적인/이론적 능력, ⑦ 대상 지향성 / 목적 지향 성을 꼽았다. 이상의 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과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은 조직 의 다음과 같은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조직의 자원(resource), 조직의 준비 도(readiness), 조직의 생애주기(life cycle), 역량개발 자원이나 도구에 대한 접근성(access to capacity builder and capacity building resources and tool) 에 따라 구체적인 역량 강화 활동의 양상이 달라진다(Connolly & York 2003). 즉 얼마나 조직이 시간과 돈, 전문성 등의 조직 자원을 가지고 있으 며, 얼마나 조직 스스로 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조직이 어떤 생애주기(창업 → 성장 →성숙 → 정체→ 쇠퇴)에 있으며, 조직 주변 에 역량 강화와 관련한 기회와 도구가 얼마나 있는가에 따라 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의 내용과 양은 달라진다.. 사회적기업의 역량 및 역량강화 관련 국내 연구 동향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적기업이 아직 도입 초기인지라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 화를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있지는 못하다. 이제 겨우 사회적기업의 경영 실태 조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연구에서 사회적기업의 경영 실태와 관련한 연 구를 하면서 부분적으로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었다. 장원봉(2008)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에서 사회 적 기업들이 경영상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는데, 이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 회적기업은 ‘자본력의 부족’(60.9%) 다음으로 경영능력의 미흡(15.2%), 인적자 원의 취약(10.9%), 차별화된 사업 전략의 부재(10.9%) 등 주로 인적자원의 역.

(31)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17. 량과 관련한 것을 장애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한겨레 경제연구 소(2008)가 사회적기업가들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에 의하면 사회적기업가들이 대다수가 경영 컨설팅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93.8%), 각종 교육이나 연수 가 필요하다(88.9%)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극히 소수가(18.5%) 각종 교육이나 연수를 통해 그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었다. 곽선화(2009)는 사 회적기업에 대한 성과분석 보고서에서 사회적기업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갖 추기 위해 대다수(89.9%) 사회적기업가가 전문성 개선을 위한 컨설팅이 필요하 며, 가장 필요한 분야는 마케팅 홍보, 회계 재정관리, 비즈니스 모델 발굴, 노무 교육훈련 등의 분야라고 보고하고 있다. 아직까지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와 관련한 국내에서의 논의는 대부분 사회적기업가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 고 사회적 기업에 대한 조직 차원의 접근은 부족하다.. 4. 중간지원조직7. 중간지원조직은 비영리기구(NPO)의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NPO와 NPO, NPO와 행정기관, 기업 그리고 주민 사이에 중개자 역할도 하는 조직을 지칭하며,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8. 하지만 중간지 원조직으로서 규정할 수 있는 조직은 일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캐나다 비도시 지역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지원조직으로 설립되어 있는 Community Futures Development Corporation9 역시 이에 해당하는 조직으로 이 외에. 7. 8. 9. 이 장은 자활정책연구소의 김정원 책임연구원에 위탁하여 수행된 ‘농촌지역 사 회적 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자활센터의 중간지원조직 역할 연구’ 원고를 바 탕으로 재정리한 것임. 일본에는 2007년 현재 288개의 중간지원조직이 활동함(강내영, 2008). 설립형태 는 관립(관립 관영・관립 민영), 민간 설립 2가지 유형이 있으며, 운영형태별로는 관립이 33%, 민간 설립이 55%, 기타 12%임.. 캐나다 내 268개가 설립되었음(박용규․주영민․최홍, 2009)..

(32) 18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도 각 국에서는 NPO, 커뮤니티비즈니스, 사회적 기업 등의 활동을 지원하 는 조직들이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즉 중간지원조직이라는 용어가 일본에서 들어왔지만 넓게는 중개자(broker)로서의 역할을 하는 조직을 지 칭할 수 있으며 좁게는 NPO, 커뮤니티비즈니스, 사회적 기업 등의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노동부 가 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해 광역단위 민간지원기관를 지정하면서 이 기관 들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다. 표 2-2. 일본의 NPO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기능 기능. 내용. 단체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밀접하게 하기 위해서 부담 없이 네트워킹 및 교류 참가할 수 있는 교류회나 견학회, 그룹 통의 등 의사소통 나 촉진 눔의 자리를 만든다. 여기부터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NPO나 행정 기관 등으로부터 NPO의 활동실태나 이벤트 정보수집․제공기 정보 등을 요청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홍보지, 인터넷 등 능 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기적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상담 및 컨설팅 기 워크숍․그룹 토론의 방법에 관한 상담, 조직화, 매니지먼트, 능 신규사업을 설립하는 것에 대한 전반적인 컨설팅을 한다.. 조사연구기능. 마을만들기 제도 등 함의형성 방법의 연구, NPO와 네트워크 로써 실시하는 위탁조사 등 중간지원조직만이 가능한 능력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NPO와 중간지원조직도 활동이 성숙해 지면 서로가 연계해서 지역사회의 시점으로부터 지역의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제안 기능의 기초작업단계에 필요한 기능이다.. 인재육성 및 연수 NPO가 전문연수 등을 통해 NPO와 시민의 스킬을 높이는 기능 것을 도모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활동지원 및 조성 NPO의 설립이나 스태프를 지원하기 위해 정보제공이나 상담 기능 업무 외에 전문가 파견, 자금 조성, 사무국 대행 등을 한다. 정책제안기능. 지역문제해결에 임하는 데 있어 새로운 사회시스템이나 방법 을 구축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으며, 관계하는 NPO와 제휴 하고 니즈를 근거로 정책제안기능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자료: 고베시(2000), 「시민활동모델 조사보고서-고베시에 있어서 중간지원조직에 관한 모 델 조사」, 고베 마을만들기 연구소. 강내영(2008)에서 재인용..

(33)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 19. 중간지원조직은 네트워킹 및 교류촉진, 정보수집․제공, 상담 및 컨설팅, 조사 연구, 인재 육성 및 연수 그리고 기타 각종 현장 조직의 활동 지원 그 리고 정책제안 기능을 한다. 중간지원조직이 지역 내 각급 조직들과의 네트워크를 촉진하고 자원을 중개하는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면, 지역 내 각급 조직들은 자신들이 직접 소유하지 못한 각종 자원과 정보 등을 공유하게 된다. 이는 중간지원조직 을 통해 형성된 지역 내부의 연결망이 각급 조직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업 수행 과정에서 도움을 얻은 각급 조직은 이 연결망을 적극 활용하게 될 것이다. 이는 연결망 내부의 신뢰가 강화되 는 것을 의미하는데 바로 지역 내 통합성의 강화이다. 사회적 기업을 지향 하는 조직들이나 사회적 기업들은 중간지원조직의 이러한 활동에 힘입어 보다 효과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역 내에서 동원 할 수 있는 자원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은 곧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지원조직은 자체의 정보력 및 제도적으로 부여된 역 할을 활용해 외부의 유용한 자원을 지역 내 조직들에게 연계시켜주는 활동 을 할 수 있다. 이는 연계성을 강화시켜는 활동이다. 지역 내 각급 조직들은 재정 규모, 회원 규모, 정보 수집 능력과 범위, 실무자들의 숫자와 역량 등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중간지원조직의 활 발한 활동은 이러한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지역에서 사회적 기업을 비롯한 각종 NPO를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이 존 재하고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면, 산재해 있는 각종 지역의 자 원들을 지역 내 각급 조직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 업 활성화의 기회를 제공해주므로 지역 내 사회적 자본의 함양에 기여해 지역 전체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34)

(35) 3.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요구 제 장. 이 장에서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이 현재 어떤 수준의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역량 강화와 관련해서는 어떤 요구를 하는지를 분석하 였다.. 1. 역량 실태. 관련 이론 검토를 토대로 개발한 사회적기업 역량 실태 분석틀을 기술 하고,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파악된 역량 실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1.1. 분석틀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 역량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농 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분석을 위한 기본 틀을 <표 3-1>과 같이 잡았다. 사회적기업 역량의 영역을 비전과 전략, 조직기술, 인적자원, 조직 구조와 시스템, 조직문화 등 5개로 나누었다. ‘비전과 전략’ 영역에서는 조 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사업 수행에 있어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 엇인지가 명확한지, 비전에 기반한 상호 연계된 전략들을 사용하는지를 분.

(36) 22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요구 석하고자 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종사자가 공유하는 비전과 발전목표, 중 장기 사업전략과 추진 계획, 기업의 성과목표와 지표 등을 구체적으로 조 사하였다. ‘조직기술’ 영역에서는 사업을 개발․시행하고, 자원을 지원하 고, 성과를 측정하는 일련의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연간 사업계획, 재정 전략과 조달(사용) 계획, 재무관리, 사 업 모니터링과 성과 평가등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다양한 관련 주체들과의 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인적자원’ 영역에서는 인적자원의 채용, 개발, 배 치, 활용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임원, CEO, 중간실무자, 현장직원의 각각의 역량을 조사하였다. ‘조직의 구조와 시스템’ 영역에서는 조직 운영의 기본 체제가 갖추어져 있는가와 표 3-1. 사회적기업의 역량 진단 분석틀 영역 비전과 전략. 핵심질문 무엇을 해야 하는지, 사업 수행에 있어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 엇인지가 명확한가? 비전에 기반한 상호 연계된 전략 들을 사용하는가?. 사업을 개발․시행하고, 자원을 지 조직기술 원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일련의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인적자원. 인적자원의 채용, 개발, 배치, 활 용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진단 항목 종사자가 공유하는 비전과 발전 목표 중장기 사업전략과 추진 계획 기업의 성과목표/지표 연간 사업계획 재정 전략과 조달(사용) 계획 재무관리 사업 모니터링 다양한 관련 주체들과의 관계 임원 역량 CEO의 역량 임원들의 역량 중간실무자의 역량 현장직원의 역량 규정 설치 여부 의사결정 기구 여부. 조직 운영의 기본 체제가 갖추어 조직구조와 져 있는가? 시스템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 구조는 직원 업무 매뉴얼 활성화 명확한가? 조직원 동기부여 조직원을 단결시키고, 조직에 몰입 조직문화 권한 위임 하도록 해주는가? 종사자 전체모임(활성화 정도).

(37)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요구. 23.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 구조는 명확한가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와 관련 하여 규정 설치 여부, 의사결정 기구 여부, 직원 업무매뉴얼 활성화 등을 조사하였다. ‘조직문화’ 영역에서는 조직원을 단결시키고, 조직에 몰입하도 록 해주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조직원 동기부여 및 권한 위임 정도와 종사자 전체모임의 활성화 정도를 조사하였다.. 1.2. 비전과 전략 좋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사명, 비전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한두 문장으 로 정리되어 있고, 조직 목표는 측정 가능한 용어로 표현되어 있다. 사회적 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조직이 추구하는 사명과 비전, 그리고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고, 조직원들이 이를 공유하 도록 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여할 필요가 있다. 사명, 비전과 발전 목표는 사회적기업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기업이 추후 수행하는 모든 사업과 활동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해주고, 조직을 어떻게 운영할 것 인지, 인력은 어떻게 양성하고 활용할 것인지, 조직의 구조와 시스템은 어 떻게 설계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좋은 사회적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조직의 사명, 비전과 발전목표와 더불어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경쟁상대와 차별화하고 앞서가기 위해서는 자원을 어떻게 배분해 야 하는지에 대한 전략을 가져야 한다. 비전과 전략 영역에서는 종사자 간의 회사 비전이나 발전목표 공유, 사 회적기업의 비전과 발전 목표 아래 중장기 사업전략 추진, 성과 목표의 설 정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사회적기업 대다수가 비전이나 발전목 표, 중장기전략은 가지고 있지만, 성과지표는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조직 원내의 공유 정도를 보면, 비전과 발전목표는 대표자나 실무자 공유가 40.7%, 기관의 모든 종사자 공유가 54.1%, 대다수 기관에서 어느 정도 공 유하고 있었다. 중장기 전략은 대표자나 실무자 공유가 58.5%, 기관의 모 든 종사자 공유가 28.4% 비전과 발전목표 정도는 아니지만 역시 많은 구.

참조

관련 문서

농촌지역, 특히 농촌재생과 관련된 전국적 단위의 통계자료 구축이 미흡한 상황에서 일반적인 논 의의 시도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은 현시점의

청소년지도자 역량 강화. 

이 프로그램은 전통시장(상점가) 상인의 기본 역량 강화 및 상인들이 지역의 주체로서 지역문제를 파악하고 변화와 혁신의 필요성을 공감, 대응방안을 함께

결과를 분석하여 공통기본 역량과 핵심역량, 세부 역량을 규명하여 잠정 역량 모델 을 개발하었고, 교수법(teaching)의 전문가인 교육공학자와 측정분야의

3) 현재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관련 기본계획의 현황을 보면 교육인적자원부와 노동 부가 공동으로 수립한

과학적 문제해결과 과학적 의사소통 등 과학과 교과 역량 강화 교육으 로 미래를 개척하다... 어려워도 지겨워도 성실하게

RIA/RIR 추진 관련 KINS 조직, 역량 강화 (전담 PM제 도입, 관련 전문실 인력 대폭 충원) RIA 분야별 표준 방법론 개발 후 전 원전에 확대 적용하여 효과 극대화

프로젝트 과제 해결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 고자 하는 핵심역량은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신 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