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Copied!
18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 구 책 임 자

: 이 남 철

(2)

머 리 말

직업교육훈련은 기술혁신에 따른 산업의 고도화 및 국제 경제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미래사회에 대비한 인간적 성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직업능력을 갖추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직업교육훈련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건들이 동시에 또는 상호 보완적으로 갖추어져 야 한다. 이러한 요건으로는 학생・교육과정・교원이라는 교육의 고전적 세가지 요소를 들 수 있고 직업교육훈련에 그대로 적용해 볼 수 있다. 이처럼 성공적인 직업교육훈련의 실시에는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역할이 반드시 한 부분을 차지한 다. 현직 교원의 질적관리를 위해서는 교원의 자율적인 능력개발을 포함하는 교 원에 대한 연수 및 연구 등의 관리활동 강화를 통하여 교원의 전문성을 제고하 고 이와 함께, 직업교육훈련 교원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 교원연수 활동 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원에서는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를 실시하여 담당자들의 다양한 연수 욕구를 수용하고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화 를 기하여 21세기 지식정보사회시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훈련 담당 교 원들이 평생학습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과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함 은 물론이고 교원들에게 현장적합성 증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프로그램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인적자원개발사업 을 지원함으로써 연수 참가국의 발전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도모하고, 개발도상국 국가발전의 기초가 되는 직업교육훈련 발전전략 등의 기본정책을 수립할 수 있 도록 이에 대한 정책 방안을 지원한다. 우리 나라의 개발경험을 전수하고 우리 나라의 협력파트너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의 이해를 증진시 켜 국가는 물론 본원의 위상강화 및 역할 증대를 기여할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방향을 아・태지역 개발도상국의 중점적인 연수 실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1)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정책의 동향 및 단기간의 직업교육 발전의 요인 소개 (2) 국가 경제발전 과정에서 직업교육훈련의 역할 소개 (3 )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과정개발, 자격제도, 진로지도 및 취업알선 소개 (4) 각급 직업교육훈련기관, 산

(3)

업체, 연구소 등 직업교육훈련 현장의 실태에 대한 정보제공 (5) 연수 참가국들 의 향후 직업교육훈련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공헌할 수 있는 시사점 도출 내용 을 포함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의견을 준 교육부 김환식사무관, 행정자치 부 김헌준사무관, 여주대학 조승제교수, 주성대학 이상오교수, 수도전기공업고등 학교 김영중교장, 서울경영정보고등학교 이남호교감 선생님, 본원의 정지선박사 에게 감사하고 있다. 또한, 본 보고서를 발간하기까지 분석, 원고정리 및 교정에 헌신적인 도움을 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생 김지은양에게도 감사하고 있다. 또한 국내연수 프로그램 모형(안) 개발에 참여한 김기홍박사, 김미숙박사, 김형 만박사, 이정표박사, 정태화박사, 오영훈책임원구원 그리고 장명희책임연구원께 깊은 감사를 표하고 있다. 끝으로 본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모두 연구자의 개 인적인 견해이며, 본 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혀둔다. 1999년 12월

(4)

요 약】

1. 사업 개요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하는 수요자 중심의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 그램은 국내・외의 다양한 연수 수요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직업 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은 국내 직업교육훈련 담당자들의 다양 한 연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화와 21세기 지식정보 사회시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훈련 담당 교원들에게 평생학습 기회 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교육훈련 교원들에게 현장적합성을 증 진하고, 전문성 확보와 자질 향상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IM F 이전 세계에서 가장 교훈적인 경제성장을 달성 한 우리 나라를 발전모델로 선정하고 우리 나라의 직업교육훈련이 경제발전 에 공헌해 온 경험을 배우고자 우리와의 협력강화를 원하고 있다. 특히 1999 년 4월 26일부터 30일까지, 교육부주최, UNE S CO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 관으로 서울에서 개최된 제2차 UNE S CO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의 성공적 인 개최에 따라 많은 국가들로부터 우리 나라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연수 요청이 예상된다. 또한 관련 부처들로부터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 교육훈련 국제연수 실시 요청이 증가하여 이러한 요구에 체계적이고 효율적 으로 부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 시 개발도상국의 정책입안자나 직업교육훈련 담당자를 초청하여 우리 나라 가 산업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개 발도상국의 발전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지원하고 우리 나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한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이 다양한 국・내외 직업교육훈련의 연수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통해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 부응하고, 현장적합성 증진과 자율연수 유인체제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5)

개발도상국의 인적자원개발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연수 참가국의 발전에 필요 한 인재양성을 돕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이해를 증 진시켜 우리 나라는 물론 본원의 위상강화 및 역할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사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각 분야별 전문가에게 국 내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의뢰하였고, 본원의 짧은 연구 기간과 연구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며 관련 자료를 즉시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훈련 교원 연수 관련 전문가들과의 전문가 협의 및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국제연수프로그램의 개발은 제2차 UNE S CO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에 참가 한 국가 중 아・태지역 개발도상국 34개국가 99명에게 인터넷과 모사전송을 이용하여 1999년 8월18일부터 10월18일까지 3개월에 걸쳐 수요조사를 실시 하여 25개 국가 43명으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분석함과 아울러 본원을 방문 한 외국의 직업교육훈련 전문가들과의 면담 내용을 반영, 이를 토대로 본원 의 국내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수요조사지는 관련 문헌 및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1차 작성된 수요조사지는 본원의 전문가 및 한국국제협력단,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제연수담당자 등의 자문을 거쳐 작성되었다. 수요조사지에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연수 프로그램 주제, 연수대상자 특성, 주요 연수 희망분야, 연수기 간, 강의방법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전체적인 회수율은 43.4% (43명) 로, 공무원 67.4% (29명), 연구기관 18.6% (8명), 대학 9.3% (4명), 기타 4.7% (2 명)로 나타났다. 직업교육훈련연수 수요조사를 분석하기 위해서 SA S를 이용 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25개 국가 43명의 응답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공무원 69.8% , 연구기관 16.3% , 대학 9.3%이며 기타가 4.7%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응답자의 수요조 사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이래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의 분야별 참여회수에서 직 업교육훈련제도가 105회로 가장 높은 회수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교육과 경제개발이 91회로 나타났다. 향후 5년 내에 직업교육훈련 연수프로그램에 참가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역시 직업교육훈련제도가 57% , 교육과 경제개발이 43%를 차지하였다. 또한 본원이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 램을 운영할 경우 참가여부를 묻는 질문에 직업교육훈련제도가 39.5% , 교육 과 경제개발이 30.2%를 보였다.

(6)

이와 같은 사실을 비추어 볼 때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시급하게 요구되는 연수 프로그램은 직업교육훈련제도와 교육과 경제개발에 대한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둘째, 1990년이래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기회를 제공한 국가들 은 대부분 선진국(일본, 프랑스, 독일)들이며,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 램을 지원한 기관은 ILO (33% ), SIDA (27% )와 같은 국제기구이다. 또한 국제 연수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금은 주최국가 및 주최기관에서 지원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58.1%이며, 국제기구는 32.6%를 차지하고 있다. 중요한 사실은 해 당 참가자 국가에서 부담하는 것은 아주 낮은 비율인 9.3%이며, 참가자 개인 이 부담하는 경우는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셋째, 1990년 이래 참가한 훈련 프로그램의 훈련기간에서 단기연수인 1- 2 주가 차지하는 비율이 6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향후 5년 내에 국제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할 경우 희망하는 훈련기간은 1- 3개원 미만이 42%로 가 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해가 거듭될수록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율 (< 표Ⅴ- 5> 참조)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본원이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을 운영할 경우 참가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 응답자 가운데 65.1%를 나타냈지만, 참가하지 못하는 이유가 전적으로 예산상의 제약으로 응답했다. 이러한 사실에 견주어 볼 때 본원이 직업교육훈련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할 경 우 재원확보 방안이 무엇보다 강구되어야 하는 것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2 .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교원, 아・태지역 개발도상국가들의 정책 입 안자, 교원, 교수를 대상으로 제공하게 될 국내 및 국제연수 프로그램은 각 직업교육훈련분야의 목적, 연수기간, 핵심 주제별 연수내용, 현장 견학대상, 연수 일정, 연수평가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자원 인사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 .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직업교육훈련과 경제발전 직업교육훈련과 노동시장

(7)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직업교육 직업훈련 교사 및 기능대학 교원을 위한 직업훈련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자격제도 직업교육훈련 평가 분야 종사자를 위한 평가훈련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나 .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V ocation al E du cat ion an d T rain in g P olicies in a Ch an g in g E con om y Lab or M ark et A n aly sis for Dev elopm ent of T r ainin g P rogr am V ocation al E du cat ion in H ig h S ch ool an d Jun ior Colleg e Lev el

T r ain in g P r ogr am for V ocat ion al T r ain in g T each er s an d P oly t echn ic Colleg e P rofes sor s

T r ain in g P r ogr am t o En h an ce t h e D ev elopm en t an d M an ag em en t Com pet en ce of V ocat ion al E du cat ion Cu rriculum

T r ain in g P r ogr am for Qu alificat ion S y st em

T r ain in g P r ogr am for Ev alu ation M et h ods : A P r actition er ' s Gu ide for t h e T rain er s an d E du cat or s

T r ain in g P rogr am on Career E du cat ion for H ig h S ch ool T each er s an d Ju nior Colleg e P r ofes sor s

3 . 제 가. 본원이 실시하는 연수는 전문가 연수이어야 하고(재정확보차원에서 접 근하면 곤란함) 본원의 연구에 도움을 주는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실시하 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산업계, 학계, 연구소 관계 등과의 연계체제를 구축 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연수의 초점을 두어야 한다. 나. 본원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본원 은 조사, 연구, 사업 등을 모두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다른 기관보다 직업교육 훈련에 대한 정보를 다양하게 종합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므로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8)

다. 연수 프로그램 진행은 강의보다는 그룹토의, W ork shop , 세미나, 현장 방문, 소논문 작성 등 연수생이 직접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을 활 용하여야하며 연수 내용에 있어서 이론이나 기초교육에 벗어나 직업교육훈련 에 대한 실무중심 내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무중심의 효과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의 각 연수의 하위 분야에 대 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실업고등학교와 전문대학간의 연 계적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라. 연수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 의 확보이다. 본 프로그램에 자원인사를 명시하였지만 인력 P ool을 반드시 확보해야 하고, 이를 DB화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명시된 전문가들의 전공분 야, 관심분야, 일정 등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1순위, 2순위, 3순위 식으로 항시 P ool에 Redun dancy를 확보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마. 현장 방문 및 견학이 외부에서 방문하는 것에 대해 반드시 호의적이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방문 기관에 대한 M erit가 부여되 어야 하고 이들 기관들에 대해서도 List up과 DB화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들 기관의 선정을 위해서는 기관 평가의 결과를 활용할 수도 있고 해당 분 야 협회의 추천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연수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는 본원에서 보유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외국의 직업교육훈련의 사례에 대한 자료, 국내 주요 기관에 대한 Slide film , video, audio materials 등이 있다.

바. 연수 실시 경험 등과 자료들을 정리한 연수 지식 Base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연수라는 것이 일회적으로 끝나버려서는 안되고 지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그 경험이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원격교 육 또는 현장교육이 필요할 때도 있기 때문에 이를 영상으로 정리해 놓을 필 요가 있을 것이다. 사. 직업교육훈련 담당자들이 소속해 있는 국가 및 기관들의 유형에 따라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구성에 차별성을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심도 있는 사전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분석 및 외국의 직업교육훈련 전문 가들과의 면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국가 및 기관 유형에 따라 연수 프로그 램 유형이 매우 다르다. 국가의 경제, 사회, 정치적 환경이 다르면, 다른 내용의

(9)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이러한 부분이 수요조사 분석을 통해 환류 (feedb ack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아. 국제연수 프로그램을 본원이 주관할 경우 참가 의사 여부를 묻는 질문 에 대하여 전체 응답자 가운데 65.1%가 참가하고 싶다는 의견을 표명했지만 참가하지 못하는 가장 큰 장애 요인이 예산상의 문제라고 답변하였다. 따라 서 본원은 중앙정부(교육부, 노동부, 외무부 등), 한국국제협력단 등과 같은 공기관, 또는 민간기업 등을 통한 재원조달을 모색하여야 한다. 국제연수 프 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본재원은 국내재원을 통하여 충당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 하면 OE CD 정식 회원국 가입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우리 나라가 차지 하는 지위가 과거와는 크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즉 이제는 피원조국이 아닌 원조 제공 국가가 된 것이다. 이로 인해 정부의 국제협력분야 예산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때 직업교육훈련 부문 국제협력 사업의 일 환으로 본원의 국제연수 프로그램이 선정되어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국제재원을 통한 재원확보는 세계은행 (W orld B ank ), 아시아개발은행(A DB ),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U NE S CO ), 유엔개발계획(UNDP ) 등과 같은 국제기구의 지원금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 해야 한다. W orld Bank , A DB, UNE S CO, UNDP 와 같은 국제기구에서는 이 미 오래 전부터 개발도상국 정부 공무원이나 교장, 교사들의 해외 연수비용 을 제공하여 왔다. 본원 국제연수 프로그램의 목적 및 내용이 이들 기구의 연수사업 목적과 일치한다면 본원과 이들 기구와 국제협력 관계를 맺어 공동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재원조달이 가능할 것이다. 이 밖에 미미하나마 연수 희망 국가로부터 연수경비의 일부를 지급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자. 정규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 운영의 전문분야로서의 특성화와 연수대 상 집단의 명확한 설정이 필요하다. 차.개발도상국과의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 해서는 연수계획수립에서 실시단계는 물론 사후평가까지 일관성을 유지하도 록 해야하며 대 개도국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사업의 특화전략 수립, 민간기 관의 연계 구축 강화 등 긴밀한 국제협력망을 조성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에서도 일회성 연수가 아 닌 계속 연수의 필요성이 많이 제기된바 있다. 따라서 본 연수 프로그램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심화과정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망된다.

(10)

Ⅰ . 서 론

1 1.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1 2. 프로그램개발의 내용 4 3. 프로그램개발의 방법 및 절차 6 4. 프로그램개발 한계점 10

II . 직업교육훈련 교원 연수 현황 및 문제점

11 1. 국내 직업교육훈련 연수 11 2. 국제연수 프로그램 22

Ⅲ . 국제연수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 사례분석

25 1. 한국국제협력단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25 2.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27 3. 한국교육개발원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30

4. CP S C (Colom b o P lan S t aff Colleg e for T ech n ical E du cat ion )연수

프로그램 33 5. 국제연수 수요 조사지 분석 결과 38

Ⅳ .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47 1. 직업교육훈련과 경제발전 49 2. 직업훈련과 노동시장 53 3.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직업교육 61 4. 직업교육훈련 교사 및 기능대학 교원연수 프로그램 80 5.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87 6.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자격제도 97

(11)

7. 직업교육훈련 평가 분야 종사자를 위한 평가훈련 103

8.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교원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115

Ⅴ .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123

1. 국제연수 프로그램의 유형 및 구성 124

2. 국제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개발 128

A . V ocat ion al E du cat ion an d T r ain in g P olicie s in a Ch an g in g

E con om y 128

B . Lab or M ark et A n aly sis for Dev elopm en t of T r ainin g P r og r am 129 C. V ocation al E du cat ion in High S ch ool an d at Ju nior

Colleg e Lev el 132

D . T r ain in g P r ogr am for V ocat ion al T r ainin g T each er s

an d P oly t ech nic Colleg e P r ofes s or s 134 E . T r ain in g P r ogr am t o En h an ce th e Curricu lu m Dev elopm ent

an d M an ag em ent Com pet en ce of V ocat ion al E du cat ion 136 F . T r ainin g P rogr am for Qu alification S y st em 139 G. T r ain in g P r ogr am for Ev alu at ion : M eth odolog y A P r act it ion er ' s

Guide 141

H . T r ainin g P r og r am on Car eer E du cation for High S ch ool

T ea ch er s an d Ju nior Colleg e P r ofes sor s 143

Ⅵ . 제 언

147

참 고 문 헌

151

A b s trac t

153

별첨 1 : Hi s t ory & M is s ion

163

(12)

표 차 례

< 표Ⅰ- 1> 조사대상국가 및 수요조사지 회수 현황 9 < 표Ⅱ- 1>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연수기관 12 < 표Ⅱ- 2> 중등교원의 연수 참여 현황 ( 98. 3 - 99. 2) 13 < 표Ⅱ- 3>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목별 교원 재교육 현황 14 < 표Ⅱ- 4> 중등 자격연수 교육과정 교과 편성 지침 15 < 표Ⅱ- 5> 일반연수 교육과정 교과편성 (60시간 이상 기준) 지침 16 < 표Ⅱ- 6> 1999년도 전문대학교원 연수 프로그램 20 < 표Ⅲ- 1> 지역별 연수실적 26 < 표Ⅲ- 2> 직업교육훈련과 관련된 연수 프로그램 27 < 표Ⅲ- 3> 훈련과정 및 훈련직종 28 < 표Ⅲ- 4> 개발도상국 기술연수생 훈련 실적 29 < 표Ⅲ- 5> 국제연수 실적 30 < 표Ⅲ- 6> 한국교육개발원 국제연수 프로그램(1992- 1996년) 31 < 표Ⅲ- 7> CP S C 연수프로그램(1998 - 1999) 35 < 표Ⅲ- 8> 국가별 프로그램 37 < 표Ⅲ- 9>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분야별 참여 회수 38 < 표Ⅲ- 10> 1990년 이래 국제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한 프로그램 39 < 표Ⅲ- 11> 1990년 이래 국제 직업교육훈련을 제공한 기관 39 < 표Ⅲ- 12> 1990년 이래 국제직업교육훈련을 제공한 국가 40 < 표Ⅲ- 13> 1990년 이래 국제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한 연도 40 < 표Ⅲ- 14> 국제 직업교육훈련에 필요한 자금지원 41 < 표Ⅲ- 15> 향후 5년내 참가 예정인 국제직업교육훈련 41 < 표Ⅲ- 16> 주최 국가별 향후 5년내 국제 직업교육훈련 41 < 표Ⅲ- 17> 향후 5년내 국제 직업교육훈련 훈련기간 42 < 표Ⅲ- 18>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별 대상 그룹 42 < 표Ⅲ- 19> 훈련 프로그램별 훈련기간 43 < 표Ⅲ-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프로그램을 주최할 경우 프로그램 참가 우선 순위 44

(13)

< 표Ⅲ-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주최할 경우 국제연수에

참가의사 여부 44

< 표Ⅲ- 22> 국제연수에 참가하지 못하는 이유 45

(14)

< 그림Ⅳ- 1> 연수 체계도 104

< 그림Ⅳ- 2> 평가의 대분류 105

< 그림Ⅴ-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제연수 프로그램 종류 125

(15)

Ⅰ . 서 론

1 .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가 .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

세계시장이 자유화(lib er alization )됨에 따라 상품・서비스는 물론 자본・기술 등 의 생산요소가 자유롭게 국경을 넘나들고 있다. 또한 정보 기술의 혁신적인 발달 은 기술・지식・정보의 축적과 이용이 핵심역량으로 등장하는 고도의 지식집약적 산업구조를 급격히 변화시키며, 전문화된 직능집단을 분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직업의 종류를 빠른 속도로 증가시키고 그 내용도 급격히 변천시켜 직업의 다원화와 전문화가 크게 진전될 전망이다. 따라서 직업교육훈련은 기술혁신에 따른 산업의 고도화 및 국제경제환경의 급격 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미래사회에 대비한 인간적 성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직업능력을 갖추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직업교육훈련은 기존의 단 순기능인력 양성체제에서 벗어나 다기능(m ultiskill)내지 상급기술(upper - skill)을 보 유한 고급기능인력 양성체제로 전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부응해야 하는 직 업교육훈련은 한 시대 및 그 시대의 주요 과제이자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직업교육훈련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건들이 동시에 또는 상호 보완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그 요건들로는 학생・교육과정・교사라는 교육 의 고전적 세 가지 요소를 들 수 있고 직업교육훈련에 그대로 적용해 볼 수 있다. 이들 요소 중에서 성공적인 직업교육훈련의 실시를 위해서는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역할이 반드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직 교원의 질적 관리를 위해서는 교원의 자율적인 능력개발을 포함하는 교원 에 대한 연수 및 연구 등의 관리활동 강화를 통하여 교원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이 와 함께, 직업교육훈련교원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는 교원연수 활동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직업교육훈련 교원연수의 현실은 여러 가지

(16)

측면에서 상당한 정도로 심각한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표면적인 문제점뿐만 아니 라 직업교육훈련의 구조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은 직업교육훈련의 발달을 더디 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연수는 교직 현장중심 재교육의 성격을 강조하기보다 상위 자격 취득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연수활동 내용도 교수현장 및 산업현장에 적합한 지식・기능 기술을 전수해 줄 수 있도록 요구되는 이른바 현장성에 부응하 지 못하고 있다. 결국 각종 연수가 교직의 수행 과정의 단순한 형식이나 절차로 전 락함에 따라 교원의 능력 발전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직업교육훈련교원 연 수의 내용, 연수의 시기, 연수 기관의 선정, 연수자의 참여 의식 등 제 영역에서 준 비의 부족과 연수에 대한 인식의 미흡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평생교육사회의 도래라는 시대적 요청은 직업교육훈련이 새롭 게 거듭나도록 하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직업교육훈련의 핵심 과제인 우수한 직업교육훈련의 연수는 단순한 절차의 개선이나 임시방편의 일시적인 체제, 운용으 로는 불가능하다. 위와 같은 문제 인식과 함께 직업교육훈련 관련정책 과제들에 대 한 해결 방안은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전문성 확보와 자질 향상을 최우선 목표로 연 수 개선 방안들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교육훈련 교원 정책이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교원연수과정의 개혁 을 바탕으로 한 교원의 전문성 제고라고 할 수 있다. 산업교육진흥법, 직업훈련기본법 및 기타 다른 법령에 의하여 실시되어온 학교의 직업교육과 산업현장의 직업훈련은 제2차 교육개혁 방안(1996년 2월 9일)의 일환으 로 제정된 직업훈련촉진법(1997. 3. 7, 법률 제5316호)에 의거, 학생 및 근로자들에 게 취업 또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기술 및 태도를 습득・향상을 목적으로 하 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우수한 직업교육훈련 교원을 양 성하고, 직업교육훈련원의 능력 발전을 위하여 산업체 현장 연수 등 다양한 연수기 회를 제공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특히, 직업교육훈련 기관을 설치. 운영하는 자는 산업체에 종사하는 자를 직업교육훈련 교원으로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직 업교육훈련 교원을 채용할 경우 산업체에 종사하는 자가 우선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법령은 산업체에 종사했던 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고자 하는 의도를 목적 으로 한다. 따라서 직업교육훈련 교원 연수는 현장성 및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 도록 새로운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직업교육훈련 분야 또한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국가간의 협력이 그 어느

(17)

때 보다도 중요하게 요구된다. 선진국들은 경쟁과 협력속에서 자국의 직업교육훈련 의 발전을 위해 정보 및 인력의 교류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직업교육훈련 의 프로그램 및 자료의 공동개발로 직업교육훈련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우리 나 라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선진국과 국제기구의 지원으로 경제개발에 필요한 산 업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그 결과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직업교육훈련발달에 박차를 가해 선진국과 대등한 수 준의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나라는 오래전부터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선진국과의 교류 못지 않 게 개발도상국가와 협력사업을 중요하게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OE CD 회원국으로 서 개발도상국에 협조 요청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현재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IM F 이전 세계에서 가장 교훈적인 경제성장을 달성한 우리 나라를 발전모델로 선정하 고 우리 나라의 직업교육훈련이 경제발전에 공헌해 온 경험을 배우고자 협력 강화 를 원하고 있다.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교류는 우리에게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게 함과 동시 에 직업교육훈련의 역할의 필요성을 한층 역설해 준다. 또한 새로운 세기에 직업교 육훈련 분야에서의 한국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국제적 위상정립 및 역할을 제시 하고, 국제환경의 변화에 민첩하게 반응하는 직업교육훈련의 국제협력 증진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1999년 4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교육부주최, UNE S CO와 한국직업능력개발 원이 공동 주관하여 서울에서 개최된 제2차 UNE S CO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의 성공적인 개최는 많은 국가들로부터 우리 나라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연수 요청 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관련 부처들로부터 개발도상국, 선진국 및 국제기 구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실시 요청의 증가를 가지고 올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정책입안자나 직 업교육훈련담당자에게 우리 나라가 산업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의 전수 및 필요한 인적자원의 양성을 지원하고 우리 나라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나 . 프로그램개발의 목적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하는 수요자 중심의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개 발은 국내・외의 다양한 연수 수요를 수용할 수 있다.

(18)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은 국내 직업교육훈련 담당자들의 다양 한 연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화와 21세기 지식정보사회시 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훈련 담당 교원들에게 평생학습 기회를 부여하여 삶의 질 향상과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이고 교원들에게 현장적합성 증진 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프로그램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인적자원개발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연수 참가국의 발전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도모하고, 개발도상국 국가 발전의 기초가 되는 직업교육훈련 발전전략 등의 기본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이 에 대한 정책 방안을 지원한다. 우리 나라의 개발경험을 전수하고 우리 나라의 협 력파트너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의 이해를 증진시켜 우리 나라 는 물론 본원의 위상강화 및 역할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직업교육훈 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방향을 아・태 지역의 개발도상국을 중점적으로 연수를 실시할 목적으로 국제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1)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정책의 동향 및 단기간의 직업교육 발전의 요인 소개 2) 국가 경제발전 과정에서 직업교육훈련의 역할 소개 3 )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과정개발, 자격제도, 진로지도 및 취업알선 소개 4 ) 각급 직업교육훈련기관, 산업체, 연구소 등 직업교육훈련 현장의 실태에 대한 정보제공 5 ) 연수 참가국들의 향후 직업교육훈련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공헌할 수 있는 시 사점 도출

2 . 프로그램개발의 내용

이러한 프로그램개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가 . 직업교육훈련교원 연수 현황 및 문제점

1)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교원 연수 현황 2)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교원 연수 문제점

(19)

나 . 국제 직업교육훈련 연수 현황

1)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의 형태 및 특징 2)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의 종류 및 운영 방안

다 . 국제연수 프로그램 및 운영 체제 사례분석

1) 한국국제협력단 2) 한국산업인력공단 3 ) 한국교육개발원 4 ) 필리핀 CP S C 연수 프로그램 5 ) 국제연수 프로그램 수요 조사 분석 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국제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사한 국제연 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한국 산업인력공단(KOM A )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한국교육개발원(KE DI)의 국제연수 프 로그램 및 필리핀의 CP S C (Colom bo Plan St aff ollege for T echnical E ducation ) 연수 프로그램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본원의 국제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 사점을 추출하였다.

라 .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실업계고등학교, 전문대학 교원 및 아・태지역 개발도상국가들의 정책 입안자, 교원, 교수를 대상으로 제공하게 될 연수 프로그램은 본원 해당분야 전문가들이 개 발한 연수 프로그램과 수요조사를 통하여 분석된 요구 내용을 근거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에는 각 분야의 목적, 연수기간, 핵심 주제별 연수 내용, 현장 견학 대상, 연수일정, 연수평가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자원 인사들이 포함되어 있다. 1 ) 직업교육훈련 국내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직업교육훈련과 경제발전

(20)

직업교육훈련과 노동시장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직업교육 직업훈련 교사 및 기능대학 교원을 위한 직업훈련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단계에 있어서 자격제도 직업교육훈련 평가 분야 종사자를 위한 평가훈련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2 )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 모형 (안 ) 개발

a ) V ocation al E du cat ion an d T r ainin g P olicies in a Ch an g in g E con om y b ) Lab or M ark et A n aly sis for Dev elopm ent of T r ain in g P r ogr am c ) V ocation al E du cat ion in High S ch ool an d Ju nior Colleg e Lev el

d ) T raining Program for V ocational T rainin g T eacher s and P olyt echnic College Profes sor s

e ) T rainin g P rogram t o Enh ance th e Dev elopm ent and M anagem ent Com pet ence of Vocation al Education Curriculum

f) T r ainin g P rogr am for Qu alification S y st em

g ) T rain in g P r og ram for E v alu at ion M et h od s : A P r act it ion er ' s Gu ide for t h e T rain er s an d E du cat or s

h ) T r ainin g Progr am on Car eer Education for High S chool T eacher s an d Junior Colleg e Profes sor s

3 . 프로그램개발의 방법 및 절차

직업교육훈련교원 정책에 대한 관심사는 두 가지의 커다란 정책적 방향을 지닌 다. 즉, 직업교육훈련 교원의 질적 수준의 제고와 이를 위한 관련 체제의 적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정책 방향은 궁극적으로는 효율적인 직업교육훈 련의 실시 즉, 산업기능・기술 인력의 양성으로 귀결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활용된 연구 방법은 본원 각 분야별 전 문가에게 국내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의뢰하는 연구의 방식을 택하였다. 또한 짧은

(21)

연구 기간과 연구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며 관련 자료를 즉시적으로 확보할 수 있 도록 직업교육훈련교원 연수 관련 전문가들과의 전문가 협의 및 면담 조사를 실시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국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제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은 제2차 UNE S CO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에 참가 한 국가 중 아・태지역 개발도상국 34개국 99명에게 실시한 수요조사 분석 결과 및 본원을 방문한 외국의 직업교육훈련 전문가들과의 면담 내용을 반영하여 개발 하였으며, 연구 방법별로 분석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 관련 문헌 및 자료의 검토・분석

직업교육훈련교원의 연수에 관한 현행 법령 및 각종 통계자료, 학술지, 연구보고 서 등을 검토하여 직업교육훈련교원 연수에 관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나 . 전문가 협의회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차례의 원내・외 전문가 협 의회와 관계부처 공무원과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여러 차례의 협의회를 통하여 연 수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방향과 프로그램들이 검토되었으며 다양한 의견들이 반영 되었다.

다 . 면담조사

면담조사는 본원 해당분야 전문가들이 집필한 프로그램을 실업계고등학교, 전문 대학 연수담당자 및 시・도교육청 실업교육 담당자들과 본원이 개발한 연수 프로 그램의 내용, 체제, 향후 과제 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면담・조를 실시하였다.

(22)

라 . 국제연수 프로그램 수요 조사

1 ) 수요조사 수요조사는 1999년 4월26일부터 4월30일까지 교육부 주최, UNE S CO와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주관으로 서울에서 개최된 제2차 UNE S CO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에 참석한 국가들 중 아・태지역 개발도상국가 34개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전문 가들과 본원을 방문한 외국 인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인터넷과 모사전송을 이용하였다. 수요조사 기간은 1999년 8월18일부터 10월18일까지 3개월이 소요되었 다. 2 ) 수요조사지 개발 및 조사 내용 수요조사지는 관련 문헌 및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 로그램개발을 위한 수요조사지를 작성하였다. 1차 작성된 수요조사 내용은 한국직 업능력개발원 내의 전문가 및 한국국제협력단,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제연수담당자 들의 자문을 거쳐 수정, 보완한 후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원 국제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국제연수 프로 그램의 주대상국이 될 아・태 지역 개발도상국들의 국제연수 수요조사가 필수적이 다. 이를 위해 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들에게 직업교육훈련분야의 연수 프로그램 주제, 연수대상자 특성, 연수프로그램, 주요 연수 희망분야, 연수기간, 강의방법 등 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3 ) 조사대상 국가 및 조사회수 현황 수요조사를 아・태지역 개발도상국가 34개국가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인사들과 본원을 방문한 99명의 인사들에게 인터넷과 모사전송을 통하여 수요조사지를 1999 년 8월18일에 발송하여 1999년 10월18일까지 3개월에 걸쳐 수집된 수요조사지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회수율은 43.4% (43명)이며, 공무원 67.4% (29명), 연구기관 18.6% (8명), 대학 9.3% % (4명), 기타 2명 (4.7% )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국가 및 수 요조사지 회수 현황은 < 표I- 1> 과 같다.

(23)

< 표Ⅰ- 1> 조사대상국가 및 수요조사지 회수 현황 순서 공무원 연구 기관 대학 기타 공 무원 연구 기관 대학 기타 1 Bahr ain 7 1 1 0 9 3 1 0 0 4 2 Bang ladesh 2 1 0 0 3 1 1 0 0 2 3 Bhut an 1 0 0 0 1 1 0 0 0 1 4 Br unei 2 0 0 0 2 0 0 0 0 0 5 Camb odia 2 1 0 0 3 1 1 0 0 2 6 China 1 1 1 0 3 1 1 0 0 2 7 Eg ypt 2 1 0 0 3 1 1 0 0 2 8 F iji 0 1 0 0 1 0 1 0 0 1 9 India 1 0 0 0 1 1 0 0 0 1 10 Indoesia 4 0 0 0 4 2 0 0 0 2 11 Ir an 1 0 1 0 2 0 0 1 0 1 12 Isr ael 1 0 1 0 2 0 0 0 0 0 13 J apan 3 0 2 3 8 0 0 0 0 0 14 J ord an 1 0 0 0 1 1 0 0 0 1 15 Kazakh st an 1 0 0 0 1 1 0 0 0 1 16 Kuw ait 0 0 1 0 1 0 0 0 1 1 17 Lao people ' s Dem ocr at ic 3 0 1 0 4 2 0 0 0 2 18 Republic M alay sia 3 0 1 0 4 1 0 1 0 2 19 M ong olia 0 0 1 0 1 0 0 1 0 1 20 M y anm ar 3 0 0 0 3 2 0 0 0 2 21 Nepal 2 0 0 0 2 1 0 0 0 1 22 P akis t an 1 0 0 0 1 1 0 0 0 1 23 P apua New Guinea 1 0 0 0 1 0 0 0 0 0 24 Philippines 3 1 1 0 5 2 1 0 0 3 25 Qat ar 1 0 0 0 1 1 0 0 0 1 26 Ru s sian F eder at ion 1 1 0 0 2 0 0 0 0 0 27 Saudi A r abia 6 0 0 0 6 3 0 0 0 3 28 Sing apor e 2 0 0 0 2 0 0 0 0 0 29 Sr i Lank a 2 2 0 0 4 1 1 0 0 2 30 T hailand 5 0 1 0 6 1 0 1 0 2 31 T ur key 5 0 2 0 7 0 0 0 0 0 32 United A r ab Em ir ates 0 0 1 0 1 0 0 0 0 0 33 Viet nam 2 0 0 1 3 1 0 0 1 2 34 Yem en 1 0 0 0 1 0 0 0 0 0 계 70 10 15 4 99 29 8 4 2 43

(24)

4 ) 수요조사 분석 직업교육훈련연수 수요조사를 분석하기 위해서 SA 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4 . 프로그램개발의 한계점

본 프로그램개발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 개발이란 프로 그램을 개발 한 후 진행, 평가의 과정을 거친 후 발생하는 제 문제점을 수정, 보완 하는 과정까지 포괄하는 사항인데, 본 연구에서는 이 진행과 평가과정을 거치지 못 하고 개발된 프로그램 내용을 제시하는 것으로 그친 한계점이 있다. 이 한계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직업교육훈련 현장에서 많은 경험이 있는 실업 계고등학교 교장(교감), 전문대학의 산학협력 담당 교수, 직업교육훈련 정책을 관장 하는 교육부, 노동부, 행정자치부 관련 공무원들과 많은 토론을 통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한계점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시・도 교육청 실업교육 담당자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수 프로그램의 대상이 다양함으로 실제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을 운 영할 때는 이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의 중요성 측 면에서 국가별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직업교육훈련 수요조 사지 분석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국가마다 연수의 목적과 대상이 다양하다. 따라서 국내연수 프로그램과 국제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할 때에는 각 기관 및 각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주제와 내용을 가지고 본원이 개발한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을 융통성 있게 활용하여야 한다. 왜냐 하면 우리 나라의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 의 직업교육훈련 체제하에서는 직업교육훈련 교육과정 개발, 훈련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 자격제도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매우 중요한 연수 프로그램이지만 한국직 업능력개발원이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참가 우선 순위를 묻는 프로그램 수요조사에 따르면(< 표- 12 참조> )직업교육훈련제도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나타냈고 그 다음이 교육과 경제개발에 관한 프로그램으로 응답했다.

(25)

II . 직업교육훈련 교원 연수 현황 및 문제점

1 . 국내 직업교육훈련 연수

가 . 실업계고등학교 교원 연수

1 ) 연수체계 (법적근거 ) 우리 나라에서 교원의 현직교육은 법적으로 명문화되어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하 여 각종 교원연수기관을 통하여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교원의 연수는 교원연수 에 관한 규정(개정 1997. 7. 29. 대통령 제 15,445호)과 교원연수에 관한 규정시행규 칙(1996. 2. 28. 교육부령 제 714호)에 의거하여 설치된 각종 교원연수기관에서 실 시되고 있다. 또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1조에 의거하여 시・도별로 설치 된 지방교원 연수원에서도 교원연수가 실시되고 있다. 시행규칙(1996. 2. 28. 교육 부령 제 714호)에 의거하여 설치된 각종 교원연수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다(국가전문 행정연수원 교육행정 연수부, 교원대학교 종합교원연수원, 국제교육진흥원, 서울대 학교사범대학부설 교육행정 연수원 등). 또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1조에 의거하여 시・도별로 설치된 지방교원연수원에서도 교원연수와 교육부 지정에 의 한 특수분야(연수기관지정)연수(한국교육개발원; 교원의 전문소양과정연수, 한국방 송통신대학; 원격 교육을 통한 열린교육 일반연수, 한국기술교육대학; 중등교원 진 로지도 및 상담연수,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수산(해양)계 고등학교 기술교육담당 교 사연수 등)를 실시하고 있다. 2 ) 교원연수 종류 현행 직업교육교원의 현직교육은 자격연수, 일반연수, 직무연수, 특별연수 및 국 외연수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자격연수는 상위자격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연수과정으로서 교장과정, 교감과정, 1.2급 정교사과정 전문상담교사 등으로 나뉜다. 자격연수의 시기 및 기간은 하계 및 동계 방학기간에 실시되며 180(30일)시간 이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자격연수의 실시기관은 각 시ㆍ도 지방교원연수원, 대학부설 초ㆍ중등교원연수원, 한국교원대

(26)

종합교원연수원 등에서 실시하고 있다. 자격연수의 경우, 지역에 따라서는 학기 중 오후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기도 한다. 연수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수 업의 결손을 막고 집중연수에 따른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일반연수는 교육이론과 교육방법 및 일반교양의 제고,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습 득하기 위한 연수로서 전공교과 연수과정과 초등학교 교과전담과정, 초등영어교사 과정 등이 있으며, 일반연수의 기간은 10일 이상으로 하되, 그 이수시간은 60시간 이상으로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자격연수와 동일하게 하계 및 4동계 방학기간 중에 실시되고 있다. 직무연수 과정은 직무수행과 직장 적응에 필요한 능력과 자질 배양을 위한 연수이다. 이 연수 과정은 교육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또 는 휴직했다가 복직하고자 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다. 직무 연수기간은 당해 교육 감 또는 소속기관의 장이 결정한다. 직무연수는 시・도 교육청 또는 서울대학교사범대부설 교육행정연수원에 설치되 어 있는 교육행정지도자 과정과 각 시ㆍ도 지방교원연수원의 신규임용예정교원과 정 등이 있다. 특별연수는 교원의 전문성 제고 및 자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 원에서 정규 석사과정과 계절제 석사과정 등 6개월 이상 국내・ 외에서 실시되는 연수과정을 말한다. 국외연수는 국제화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력 제고를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 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이 자신의 전공과목의 이론과 실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식적인 연수의 기회는 자격연수 뿐으로, 대부분 이러한 자격연수는 특수분야 연 수기관을 지정ㆍ실시한다. < 표Ⅱ- 1>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연수기관 구 분 연 수 기 관 자격연수 농업계 서울대학교농업생명과학대학부설 중등연수원 수산・ 해양계 부산수산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원 공업계 - 전자・통신 - 화공・기계 - 기타 경북대학교공과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 전남대학교공과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 충남대학교공과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 특별연수 (정규 석사과정, 계절제 석사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행정지도자과정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 교육행정연수원 교원전문과정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원연수원 자료 : 교육부(1997). 1997년 교원 연수 방향.

(27)

<표Ⅱ- 1>에서 보듯, 농업계, 수산ㆍ해양계, 공업계 등의 분야별로 특정화된 국 립대학의 중등교원연수원에서 이루어진다. 농업계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설 중등연수원, 수산ㆍ해양계는 부산수산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원, 화공ㆍ기계 는 전남대학교 공과대학부설 중등교원연수원, 기타 충남대학교 공과대학부설 중등 연수원에서 실시하고 있다. < 표Ⅱ- 2> 중등교원의 연수 참여 현황 ( 98. 3 - 99. 2) (단위 : 명) 종 류 기관별 자격연수 일반연수 직무연수 국외연수 기타연수 총연수자 교육행정연수원 0 204 424 0 0 628 지방교원연수원 8,918 15,962 13,462 0 0 38,342 중등교원연수원 4,672 9,289 0 0 0 13,961 교육행정연수원 (서울대 부설) 188 1,133 0 0 0 1,321 종합교원연수원 827 52 0 0 0 879 교육부 및 교육청 지정 연수기관 2,094 12,761 0 0 0 14,855 국외연수(시찰, 전문교과) 0 0 0 315 0 315 계 ( % ) 16,699 (23.8) 39,401 (56.0) 13,886 (19.8) 315 (0.4) 0 (0) 70,301 (100) 주 : ( )는 총연수자 대비 연수 종류 대비 연수율. 자료 :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1999). 교육통계연보. 중등교원의 경우 < 표Ⅱ- 2> 에서 보면 1999년 전체 교원수가 198,548명이나 자격 연수에 참여한 사람이 16,699명(8.4% )이고, 일반연수에 참여한 사람은 39,401명 (19.8% )이다. 두 연수에 참여한 교원의 비율은 전체 교원의 28.2%정도이다. 또한 총연수자의 대비 종류별 연수율을 보면, 자격연수가 23.8% , 일반연수가 56% , 직무 연수가 19.8%으로 되어 있다. 또한 1999년도의 경우 실업계고등학교 교원의 연수이수 교원의 수를 보면, 전체교원 42,360명 가운데 31,080명이 참여하였다. 하지만 최근 5년 이내에 연수를 한 번도 참여하지 않은 교원의 수는 11,026명이고, 5년 이상 10년 이내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은 교원의 수는 9,396명으로 20,422명이 전혀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1999).

(28)

구체적으로 실업계고등학교 관련 과목별 교원 재교육 실태를 보면, < 표Ⅱ- 3> 과 같다. 1996년도와 1997년도의 재교육 참여자는 각각 8,339명과 7,148명이다. 이중에 컴퓨터 과정이 각각 51.4% (4,290명)와 46.6% (3,333명)로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상업, 공업, 전자관련과정에 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조선, 보 건 및 축산 관련 과정은 침체되어 있다. < 표Ⅱ- 3>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목별 교원 재교육 현황 9 7 96 9 7 9 6 컴퓨터 3,333 4,290 어 업 3 9 기 계 381 295 기 술 242 312 상 업 772 1,003 항 해 2 -가 정 183 309 기 관 6 -공 업 984 852 자동차 15 2 농 업 334 649 환 경 52 -전 자 575 437 수 산 38 11 전 기 77 51 섬 유 9 1 화 공 27 27 조 선 - 1 건 축 27 21 요 업 1 -토 목 20 41 식 품 2 1 금 속 24 8 보 건 - -통 신 14 4 축 산 - -계 7,148 8,339 자료 : 교육부(1998). 교육부 내부자료. 우리 나라 중등교육연수의 자격연수와 일반연수의 경우 참여 기회가 제한적이다. 특히 자격연수는 연수 참여 기회 관련 제도상 제한적일 수밖에 없게 되어있다. 상 위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법적 연수는 준교사가 2급 정교사 자격연수를 받는데 걸 리는 시간은 2년, 2급 정교사가 1급 정교사 연수를 받는데 3년, 1급 정교사가 교감 연수자격을 받는 데 3년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이보다 훨씬 오래 걸린다. 대부분의 교원은 1급 정교사로 퇴직하므로 자격연수의 기회는 한 번에 불과하다 특히 사립 고등학교의 경우 국ㆍ공립고등학교보다 연수 참여 기회가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국ㆍ공립고등학교의 경우 타 학교로의 교원 전출과 승진이 사립고등학교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연수에 대한 참여 동기가 높다. 또한 직무연수나 특 별연수도 폐쇄적이며, 선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29)

3 ) 연수 프로그램 현행 교원 연수프로그램은 자격연수의 경우 교육부에서 시달한 표준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현장의 연수대상자에 대한 연수 수요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시ㆍ도의 실정에 맞추어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연수의 교육과정은 시ㆍ도교 육감과 연수기관의 장이 협의하여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 표Ⅱ- 4> 중등 자격연수 교육과정 교과 편성 지침 영 역 과 ( 중 등 ) 교 양 미래사회의 예견과 대응 전통문화의 이해 정보사회와 컴퓨터 환경과 교육 선택과목(연수기관 자유선택) 4 4 4 4 4 소 계 20 교 직 교사론 청소년의 문제와 지도 교육개혁의 동향 교과교육의 동향과 수업설계 교육과정편성과 운영의 실제 학급경영의 개선 교육공학의 실제 교육법규 선택교과(연수기관 자유선택) 4 4 4 4 4 4 4 4 4 소 계 36 전 공 각 교과의 교육과정, 교수방법 및 평가 특별활동 교과연구방법 선택교과(연수기관 자유선택) 104 8 4 8 소 계 124 총 계 180 < 표Ⅱ- 4> 에서 보면, 교원 자격연수의 교과편성 시간은 총 180시간으로, 이 중 에 교양 20시간과 교직 36시간 그리고 전공 124시간을 배당하고 있다. 전공시간은 각 전공 교과의 교육과정, 교수방법 및 평가에 104시간을 이수해야 하며, 교과연구 방법 4시간, 특별활동과 선책교과는 각 8시간이 주어진다. 전공교과 104시간에는 전공이론과 전공실습이 각 52시간을 배당하고 있다. 교양과목의 내용은 미래사회의 예견과 대응, 전통문화의 이해, 환경과 교육, 선택교과 등으로 편성되어 있다. 교직 교과목은 교사론, 청소년의 문제와 지도, 교육개혁의 동향, 교과교육의 동향과 수업

(30)

설계, 교육과정편성과 운영의 실제, 학급경영의 개선, 교육공학의 실제, 교육법규, 선택교과 등이며, 전공은 각 교과의 교육과정, 교수방법 및 평가, 특별활동, 교과연구 방법, 선택교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반연수교육과정의 교과편성은 <표Ⅱ- 5> 에서 보듯, 전공, 교직, 교양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자격연수와 달리 내용영역의 구분이 없다. 또한 전공교과를 다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60시간으로 편성된 일반연수 과정은 각 과목별로 신임교사과정, 중견교사과정, 주임교사과정 등으로 연수대상자의 근무 경력 또는 신분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 < 표Ⅱ- 5> 일반연수 교육과정 교과편성 (60시간 이상 기준) 지침 신임교사과정 중견교사과정 주임교사과정 - 미래사회와 교육 - 국제질서와 통일전망 - 교직사회의 윤리 - 선배교사와의 대화 - 교육관련 법규 - 학습지도안의 작성과 활용 - 과 수업참관 - 생활지도의 실제 - 학급경영안의 작성과 활용 - 사무관리 - 학부모와의 관계 - 학교내 인간관계 - 특별활동의 실제 - 국민정신의 함양 - 전통문화의 이해 - 교직자의 사명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과 교육과정 - 과 교재연구 - 과 교수- 학습이론 - 과 연구의 동향 - 과 학습평가 - 과 수업발표 - 교육자료의 개발 - 학급경영 사례발표 - 아동, 청소년기의 특성과 문제행동 - 클럽활동의 지도 - 취미생활과 여가선용 - 건강관리 - 교직과 평생교육 - 교육개혁의 도향 - 한국교육의 당면과제 - 초(중)등학교의 교육과정 - 과 연구의 동향 - 과 수업의 주요문제 - 과 수업모형과 교수. 학습이론 - 주임교사의 직무와 역할 - 학교, 학년 경영계획의 수립과 활용 - 사무관리 실무 - 특별활동 지도의 설계 - 현장교육연구 주 : 연수과정은 교원연수원에서 참고하도록 제시한 것임. 4 ) 연수결과 평가 교육부의 1999년 교원연수 방향에 의하면, 연수 결과는 연수기관, 연수시기, 연수 과정 등에 따라 연수성적의 격차가 심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연수성적평가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별도의 준수사항을 내부지침으로 정하고 있다. 실제의 교원 연수의 평가에 있어서 주로 필기시험에 한정된 평가방법을 적용 하여 교원의 승진에 필요한 점수 얻기를 위한 평가로 전락하였으며, 연수기관간의 평가간의 차에서 오는 연수성적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약화되고 있다. 따라서 연수 프로그램과 교원의 능력개발과의 상관관계 평가의 시행으로 연수 종료 후 확

(31)

인 평가로 다음 연수과정에 환류(feedback )를 위하여 설문지 조사에 의한 자기평가 및 타인평가, 학교현장방문, 수업참관 등을 통한 교수・학습 개선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평가 방법의 다양화로 종래 필기시험위주의 평가를 지양하고, 수행평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연수점수가 승진에 반영되고 있는 자 격연수나 일반연수의 성적평가에 있어 통일된 기준에 따라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 와 관련하여 올해부터 시행하게 되는 교원연수학점제는 교육부 예규 제259호(1998. 3. 27)에 의거 교원이 이수한 각종의 연수결과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학점화하여 관리하 고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경우 보수와 승진에 반영하는 인센티브제도를 담고 있다. 5 ) 문제점 및 과제 가 ) 문제점 교육부의 연수지침에 의하면, 교원연수는 간담회, 토론회, 세미나, 연구발표회, 일 체감훈련(M em ber ship T r aining ), 브레인스토어밍(Br ain St orm in g ), 페널토의, 특강, 현장방문, 기업체 및 산업체 방문, 친목행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연수대상자들이 많기 때문에 학습집단을 대단위로 구성할 수 밖에 없 는 현재의 여건으로서는 새로운 교수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지 않다. 직업교육교원의 경우 학교 현장에서 가르치는 많은 교과들이 실험과 실습을 요 하며, 많은 전문적인 경험과 자질을 가진 교원들을 위하여 다양한 실기 중심과 현 장경험 중심의 협동적 참여나 토론 등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수프로그 램이 다양하지 못하고 자율적인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연수방법도 강의 중심 의 수업에 의존하고 있다. 아무리 연수과정에 대한 목표가 잘 설정되어 있고 연수 내용이 연수대상자에게 적합하게 편성되어 있더라도 그에 대한 운영방법이 적절 하지 못하다면 소기의 연수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연수대상자가 경험이 많은 현 직교원이라는 점의 특성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강의식 위주의 교육은 금방 식상하는 연수가 되어버린다(정우현. 1994). 나 ) 과제 실업계고등학교 교원 연수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교과 내용의 편성과 다양한 연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수 프로그

(32)

램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연수방법과 운영의 다양성 차원에서 새로운 연수방 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새로운 교육매체, 즉 제한적으로 화상교육, 방송통신매체나 인터넷을 통한 연수방법과 단기적으로 가상연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사이버 연 수원 설치와 중・장기적으로 가상연수 활성화를 뒷받침 할 정보화 기반구축을 위 한 연수전용 S erv er도입, 웹 코스웨어 개발・확대와 연수기관 및 지역기관간 데이 터 베이스화와 정보화 N et w ork구축을 고려해 볼 만하다. 연수과정의 편성이나 운 영방법도 기관이나 강사 중심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체제로서 교원들의 다양한 요구와 관심을 충족시키는 선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나 . 전문대학 교원 연수

1 ) 연수 개요 모든 임용된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연수는 필수적이다. 교육현장에서 무엇을 어떻게 교수하고 있느냐는 누가 어떻게 가르치느냐로 함축할 수 있다. 직업교육이 전문성과 현장성을 가지지 못하였다면 그 책임은 가르치는 교원에게 있는 것이다. 대학교원의 연수는 실업계고등학교 교원의 연수제도에 비하여 포괄적인 측면만을 기술하고 있다. 1995년 제정된 「고등교육연수원령에 의하면 모든 고등교육기관은, 즉 4년제 대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원과 직원은 고등연수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에 참가할 수 있다. 전문대 교원인사관리지침에 의하면, 대학 교원은 자질향상과 산학연계를 위하여 승진 및 기간 재임용시 현직명에서 최소한 1주일 이상 전공과 관련이 있는 산업체 에서 현장연수를 위한 대상기관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산학협동 유관업체 학생 현장실습업체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 교육부, 관련학회 및 협회 주관(후원)의 연수 전국 전문대학 학과별, 계열별 공동연수(학교내 자체연수 제외) 전공과 관련된 해외연수 또는 시찰 기타 연수목표 달성을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학장이 인정하는 업체 또는 기관

(33)

2 ) 연수 프로그램 전문대학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연수의 종류는 대학에 처음 부임한 교수 에게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전문 대학의 특성, 대 학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교과운영, 학생지도 등을 위한 신임교수연수, 교육이론 및 교수기능의 함양을 위한 교직연수,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고 중견직업요원 을 육성하기 위하여 전공분야의 사업체에서 현장 경험을 통한 산학협동연수, 그리 고 학문발전에 발맞추어 나가기 위하여 전공 학회에 참여하고 학술발표에 동참하 는 전공연수 및 학과별 교수연수, 계열별 교수연수, 일반교수연수, 보직교수연수와 해외연수 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교원의 실무지도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산업현장에 일정기간 연수 하게 하여 급격하게 발전하는 산업정보와 첨단기술을 습득케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학기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방법으로 대학과 산업체가 협약에 의해 산업현장 또는 연구부서에 근무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 참여한 교원에게는 승진 임용 및 시간제 임용시에 연구실적을 인정하고 있다 1999년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공하는 연수프로그램을 보면, 연수기간은 6주간으로 연수시간은 230시간이다. 연수 프로그램은 전공공통프로그램, 전공선택 프로그램, 직업교육분야로 구분한다. 교육시간이 140시간인 전공공통프로그램과 전 공선택프로그램은 60시간이다 (< 표Ⅱ- 6 참조> ). 이 연수를 통하여 21세기 지식기 반 사회가 요구하는 전기・전자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운영・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 전문대학의 교육이념을 구현 하고 국가・사회의 발전을 통하여 전공분야의 새로운 지식, 실험실습의 교육능력을 배양하는데 있다. 현장연수는 산업체 시찰이나 선진 외국의 산업현장을 견학하는 것을 마련하고 있다.

(34)

< 표Ⅱ- 6> 1999년도 전문대학교원 연수 프로그램 구분 연 수내용 세부 연수 요목 시간 전 공 공 통 분 야 아날로그 전자 회로 설계 연산 증폭기, A/ D・D/ A 변환기, P LL, EDA 틀 활용 설계 및 시뮬레이션 28 디지털 회로 및 시스템 설계 동기 및 비동기 순차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및 활용, EDA 틀 활용 설계 및 시뮬레이션 28 전력 전자 회로 및 제어 시스템 설계 인버터・컨버터・쵸퍼 등 전력 변환 회로, 모터 제어, PLC 프로그래밍 28 컴퓨터 및 네트워크 시스템 설 계・운용 LAN , 인터넷, Web 서버 및 홈페이지 구축 28 통신회로 및 시스템 설계・운용단말장치 설계, 전송로 모델링 및 보상, 전자교환, 이동통신, 위성통신 28 소 계 140 전 공 선 택 분 야 반도체 반도체 설계 및 제조 공정 기술 60 제어 및 시스템 로봇, 자동화, 지능 시스템 전자파 및 광파 공학 초고주파 해석 및 기기 설계, 광통신, 광신호처리, 광센서 컴퓨터 네트워크 초고속통신망, AT M 등 정보통신기기, 인터넷 차 세대 기술, 고속 통신 프로토콜 신호 처리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데이터 압축 및 전송, 컴퓨 터 비전 및 인식 전력 및 에너지 대전력 소자 변환 회로, 모터 구동 및 제어, 전력 계통, 초전도 기술 직업교육분야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한 직업교육 개선방안 모색 30 합 계 230 자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1999).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내부자료. 3 ) 문제점 첫째, 전문대학이 기술 및 전문가 교육을 담당하는 곳인데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4년제 대학의 축소판으로 운영되고 있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 교육을 소홀히 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의 경험도 없고 체계적인 실험실습 개발과 교육능력 체험이 부족한 교수가 많아 실기교육의 질이 낮아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수 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산업현장에 적응하는 전문가적 기술교 육과 실험실습을 실시하고 실습과정 개발과 지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체득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초실험실습과 전공실험실습을 통하여 체계적 교육방법을 집중 적으로 연수하게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 밖에도 공업계열(기계계열, 전기ㆍ전자계열) 교원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기술협

(35)

력재단의 일본기술연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전공학회나 관련 부처에서 해외연수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으나 단지 대학교원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둘째, 대학교원의 연수프로그램의 다양화가 미흡하다. 연수기회가 적다는 것은 한편으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아 자율연수의 동기를 유발하지 못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의 자격연수와 달리 자율연수의 성격이 강한 대학교원 연수의 경우에 좀더 다양한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 셋째, 대학교원의 연수를 전담하는 기관이 부족하다. 실제로 대학교원을 위해 연 수를 제공하는 기관은 교육부의 주관 하에 고등교육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연수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의 주관 아래서 KAIST 에 위탁하여 행하는 연수 및 교육 부의 주관에 의해 산업체 연수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리고 대학의 자율적 연수 로 신규 임용자에게 단기간 소양교육을 하는 정도이다. 전자의 연수기간은 대개 2 박3일 정도로 짧으며, 순수한 교원의 연수는 신임 교원을 위한 프로그램 밖에 없 다. 이 프로그램 역시 자아개발, 직무개발, 조직개발로 구성되어 있어 전공연수는 아니다. 후자는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제공하는 연수가 좀더 체계적이다. 매년 1회씩 학교의 추천 파견된 공업계열 중 기계, 전기ㆍ전자계열의 교원을 대상으로 한다. 전반적으로 대학교원의 연수기회가 부족한 것도 사실이다. 한국전문대학교육 협의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연수 프로그램 역시 제한된 예산(80명 기준)으로 한정된 인원만이 참여할 수 밖에 없으며, 교직과목도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미흡한 실정이 다(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1999). 넷째, 전문대학 교수들이 사범대학 계열 출신 이외에는 교과목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학생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 다. 많은 전문대학 교수들이 산업현장의 경험도 없고 체계적인 실험 실습 교육능력 과 체험도 부족한 교원이 많아 실기 교육의 질이 낮아져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 는 수준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4 ) 과제 전문대학 교원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학, 교육과정의 개발, 교수학습 방법 등 교 직과목을 공통과정으로 집중 연수하고 실무적인 직업교육훈련과 실험 실습을 실시 하고 지도 평가 할 수 있는 능력을 체득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초적 실험 실습과 체계적인 교육방법을 집중적으로 연수케 하여야 한다.

(36)

2 . 국제연수프로그램

가 . 직업교육훈련 연수사업의 형태 및 특징

1 ) 일반연수 1개 과정에 다수국가 연수생이 공동 참여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의견교환이 가능 하다. 2 ) 국별연수 특정협력 대상국가와의 긴밀한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연수효과의 제고를 위 해 1개 과정에 1개 국가의 연수생들만을 초청하는 과정으로 해당국가의 특성을 살 린 연수를 실시할 수 있다. 3 ) 국제기구 및 제3국 공동연수

국제기구 공동연수는 UNDP , UNE S CO, W orld Bank 등 국제기구의 요청 또는 협약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며, 제3국 공동연수는 특정 원조국과의 협정에 의하여 양 국가 또는 제3국에서 상호 비교우위 분야의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들 공동 연수는 공동 추천 및 연수경비의 공동 부담 등으로 국제기구와의 유대강화 및 연 수경비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4 ) 장기 및 개별연수 직업교육 훈련자들의 연수생들(국)의 요청을 받아들여 장기 연수 과정을 설치할 수 있다.

나 . 직업교육훈련 국제연수 프로그램의 종류

1 ) 직업교육훈련 연수 프로그램의 종류 본원에서 개발・운영하고자 하는 국제연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정례화 여부 에 따라 정규 및 비정규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고, 프로그램 운영 주체에 따라

참조

관련 문서

◦ 교과시간, 자유학년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 가능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 STEAM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학생들의 융합적

STEAM 학습능력 연구 STEAM 교육과정 편성 운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TEAM 교육을

창의․융합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시범학교 교원 연수 자료집: 융합@수학. 창의․융합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시범학교

작업자 중심의 활동으로는 직무에 요구되는 행동에 대해 복합적으로 분석하는 중요 사건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이 있고, 직위분석 설문법(Position

청소년과를 제외한 나머지 3개과가 직업교육훈련 정책 시행 에 따른 업무를 직접 관장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직업교육훈련 개혁 을 적극적이고

SW교구와 STEAM수업이 만나는 콜라보레이션

※ 아래의 질문지는 STEAM 프로그램 시범적용에 참여하면서 선생님이 느끼신 만족도 와 개선점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한 것입니다.. 조사 결과는 공개되지 않고

학교 현장 밀착형 학교내 무한상상실 지원연구단 운영을 통해 현장의 애로사항과 요구를 반영한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 및 교원 역량강화 워크숍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