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 실업계고등학교 교원 연수

1 ) 연수체계 (법적근거 )

우리 나라에서 교원의 현직교육은 법적으로 명문화되어 있으며, 이를 기초로 하 여 각종 교원연수기관을 통하여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다. 교원의 연수는 교원연수 에 관한 규정(개정 1997. 7. 29. 대통령 제 15,445호)과 교원연수에 관한 규정시행규 칙(1996. 2. 28. 교육부령 제 714호)에 의거하여 설치된 각종 교원연수기관에서 실 시되고 있다. 또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1조에 의거하여 시・도별로 설치 된 지방교원 연수원에서도 교원연수가 실시되고 있다. 시행규칙(1996. 2. 28. 교육 부령 제 714호)에 의거하여 설치된 각종 교원연수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다(국가전문 행정연수원 교육행정 연수부, 교원대학교 종합교원연수원, 국제교육진흥원, 서울대 학교사범대학부설 교육행정 연수원 등). 또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1조에 의거하여 시・도별로 설치된 지방교원연수원에서도 교원연수와 교육부 지정에 의 한 특수분야(연수기관지정)연수(한국교육개발원; 교원의 전문소양과정연수, 한국방 송통신대학; 원격 교육을 통한 열린교육 일반연수, 한국기술교육대학; 중등교원 진 로지도 및 상담연수,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수산(해양)계 고등학교 기술교육담당 교 사연수 등)를 실시하고 있다.

2 ) 교원연수 종류

현행 직업교육교원의 현직교육은 자격연수, 일반연수, 직무연수, 특별연수 및 국 외연수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자격연수는 상위자격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연수과정으로서 교장과정, 교감과정, 1.2급 정교사과정 전문상담교사 등으로 나뉜다. 자격연수의 시기 및 기간은 하계 및 동계 방학기간에 실시되며 180(30일)시간 이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자격연수의 실시기관은 각 시ㆍ도 지방교원연수원, 대학부설 초ㆍ중등교원연수원, 한국교원대

종합교원연수원 등에서 실시하고 있다. 자격연수의 경우, 지역에 따라서는 학기 중 오후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기도 한다. 연수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지만 수 업의 결손을 막고 집중연수에 따른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일반연수는 교육이론과 교육방법 및 일반교양의 제고,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습 득하기 위한 연수로서 전공교과 연수과정과 초등학교 교과전담과정, 초등영어교사 과정 등이 있으며, 일반연수의 기간은 10일 이상으로 하되, 그 이수시간은 60시간 이상으로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자격연수와 동일하게 하계 및 4동계 방학기간 중에 실시되고 있다. 직무연수 과정은 직무수행과 직장 적응에 필요한 능력과 자질 배양을 위한 연수이다. 이 연수 과정은 교육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또 는 휴직했다가 복직하고자 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다. 직무 연수기간은 당해 교육 감 또는 소속기관의 장이 결정한다.

직무연수는 시・도 교육청 또는 서울대학교사범대부설 교육행정연수원에 설치되 어 있는 교육행정지도자 과정과 각 시ㆍ도 지방교원연수원의 신규임용예정교원과 정 등이 있다.

특별연수는 교원의 전문성 제고 및 자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 원에서 정규 석사과정과 계절제 석사과정 등 6개월 이상 국내・ 외에서 실시되는 연수과정을 말한다.

국외연수는 국제화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력 제고를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 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이 자신의 전공과목의 이론과 실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식적인 연수의 기회는 자격연수 뿐으로, 대부분 이러한 자격연수는 특수분야 연 수기관을 지정ㆍ실시한다.

< 표Ⅱ- 1> 계열별 실업계 고등학교 연수기관

구 분 연 수 기 관

자격연수

농업계 서울대학교농업생명과학대학부설 중등연수원 수산・ 해양계 부산수산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원

공업계 - 전자・통신 - 화공・기계 - 기타

경북대학교공과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 전남대학교공과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 충남대학교공과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 특별연수

(정규 석사과정, 계절제 석사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행정지도자과정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 교육행정연수원

교원전문과정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원연수원

자료 : 교육부(1997). 1997년 교원 연수 방향.

<표Ⅱ- 1>에서 보듯, 농업계, 수산ㆍ해양계, 공업계 등의 분야별로 특정화된 국 립대학의 중등교원연수원에서 이루어진다. 농업계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설 중등연수원, 수산ㆍ해양계는 부산수산대학교부설 중등교원연수원, 화공ㆍ기계 는 전남대학교 공과대학부설 중등교원연수원, 기타 충남대학교 공과대학부설 중등 연수원에서 실시하고 있다.

< 표Ⅱ- 2> 중등교원의 연수 참여 현황 ( 98. 3 - 99. 2)

(단위 : 명) 기관별 종 류 자격연수 일반연수 직무연수 국외연수 기타연수 총연수자

교육행정연수원 0 204 424 0 0 628

지방교원연수원 8,918 15,962 13,462 0 0 38,342 중등교원연수원 4,672 9,289 0 0 0 13,961 교육행정연수원

(서울대 부설) 188 1,133 0 0 0 1,321

종합교원연수원 827 52 0 0 0 879

교육부 및 교육청

지정 연수기관 2,094 12,761 0 0 0 14,855 국외연수(시찰,

전문교과) 0 0 0 315 0 315

계 ( % )

16,699 (23.8)

39,401 (56.0)

13,886 (19.8)

315 (0.4)

0 (0)

70,301 (100) 주 : ( )는 총연수자 대비 연수 종류 대비 연수율.

자료 :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1999). 교육통계연보.

중등교원의 경우 < 표Ⅱ- 2> 에서 보면 1999년 전체 교원수가 198,548명이나 자격 연수에 참여한 사람이 16,699명(8.4% )이고, 일반연수에 참여한 사람은 39,401명 (19.8% )이다. 두 연수에 참여한 교원의 비율은 전체 교원의 28.2%정도이다. 또한 총연수자의 대비 종류별 연수율을 보면, 자격연수가 23.8% , 일반연수가 56% , 직무 연수가 19.8%으로 되어 있다. 또한 1999년도의 경우 실업계고등학교 교원의 연수이수 교원의 수를 보면, 전체교원 42,360명 가운데 31,080명이 참여하였다. 하지만 최근 5년 이내에 연수를 한 번도 참여하지 않은 교원의 수는 11,026명이고, 5년 이상 10년 이내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은 교원의 수는 9,396명으로 20,422명이 전혀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1999).

구체적으로 실업계고등학교 관련 과목별 교원 재교육 실태를 보면, < 표Ⅱ- 3> 과 같다. 1996년도와 1997년도의 재교육 참여자는 각각 8,339명과 7,148명이다. 이중에 컴퓨터 과정이 각각 51.4% (4,290명)와 46.6% (3,333명)로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상업, 공업, 전자관련과정에 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조선, 보 건 및 축산 관련 과정은 침체되어 있다.

< 표Ⅱ- 3>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목별 교원 재교육 현황

9 7 96 9 7 9 6

컴퓨터 3,333 4,290 어 업 3 9

기 계 381 295 기 술 242 312

상 업 772 1,003 항 해 2

-가 정 183 309 기 관 6

-공 업 984 852 자동차 15 2

농 업 334 649 환 경 52

-전 자 575 437 수 산 38 11

전 기 77 51 섬 유 9 1

화 공 27 27 조 선 - 1

건 축 27 21 요 업 1

-토 목 20 41 식 품 2 1

금 속 24 8 보 건 -

-통 신 14 4 축 산 -

-계 7,148 8,339

자료 : 교육부(1998). 교육부 내부자료.

우리 나라 중등교육연수의 자격연수와 일반연수의 경우 참여 기회가 제한적이다.

특히 자격연수는 연수 참여 기회 관련 제도상 제한적일 수밖에 없게 되어있다. 상 위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법적 연수는 준교사가 2급 정교사 자격연수를 받는데 걸 리는 시간은 2년, 2급 정교사가 1급 정교사 연수를 받는데 3년, 1급 정교사가 교감 연수자격을 받는 데 3년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이보다 훨씬 오래 걸린다. 대부분의 교원은 1급 정교사로 퇴직하므로 자격연수의 기회는 한 번에 불과하다 특히 사립 고등학교의 경우 국ㆍ공립고등학교보다 연수 참여 기회가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국ㆍ공립고등학교의 경우 타 학교로의 교원 전출과 승진이 사립고등학교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연수에 대한 참여 동기가 높다. 또한 직무연수나 특 별연수도 폐쇄적이며, 선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3 ) 연수 프로그램

설계, 교육과정편성과 운영의 실제, 학급경영의 개선, 교육공학의 실제, 교육법규,

인 평가로 다음 연수과정에 환류(feedback )를 위하여 설문지 조사에 의한 자기평가 및 타인평가, 학교현장방문, 수업참관 등을 통한 교수・학습 개선여부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평가 방법의 다양화로 종래 필기시험위주의 평가를 지양하고, 수행평가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연수점수가 승진에 반영되고 있는 자 격연수나 일반연수의 성적평가에 있어 통일된 기준에 따라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 와 관련하여 올해부터 시행하게 되는 교원연수학점제는 교육부 예규 제259호(1998. 3.

27)에 의거 교원이 이수한 각종의 연수결과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학점화하여 관리하 고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경우 보수와 승진에 반영하는 인센티브제도를 담고 있다.

5 ) 문제점 및 과제 가 ) 문제점

교육부의 연수지침에 의하면, 교원연수는 간담회, 토론회, 세미나, 연구발표회, 일 체감훈련(M em ber ship T r aining ), 브레인스토어밍(Br ain St orm in g ), 페널토의, 특강, 현장방문, 기업체 및 산업체 방문, 친목행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연수대상자들이 많기 때문에 학습집단을 대단위로 구성할 수 밖에 없 는 현재의 여건으로서는 새로운 교수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지 않다.

직업교육교원의 경우 학교 현장에서 가르치는 많은 교과들이 실험과 실습을 요 하며, 많은 전문적인 경험과 자질을 가진 교원들을 위하여 다양한 실기 중심과 현 장경험 중심의 협동적 참여나 토론 등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수프로그 램이 다양하지 못하고 자율적인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연수방법도 강의 중심 의 수업에 의존하고 있다. 아무리 연수과정에 대한 목표가 잘 설정되어 있고 연수

직업교육교원의 경우 학교 현장에서 가르치는 많은 교과들이 실험과 실습을 요 하며, 많은 전문적인 경험과 자질을 가진 교원들을 위하여 다양한 실기 중심과 현 장경험 중심의 협동적 참여나 토론 등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수프로그 램이 다양하지 못하고 자율적인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연수방법도 강의 중심 의 수업에 의존하고 있다. 아무리 연수과정에 대한 목표가 잘 설정되어 있고 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