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TEAM 수업의 효과

문서에서 교육눈에 보이는 (페이지 75-80)

FOCUS 3 STEAM 넓게 펼쳐보기

구분 일반(남 / 여) 스팀(남 / 여) 총 학생 수(남 / 여) 초등학생 237(123 / 114) 265(114 / 151) 502(237 / 265)

중학생 225(137 / 88) 185(66 / 119) 410(203 / 207) 고등학생 211(103 / 108) 250(108 / 142) 461(211 / 250) 전체 673(363 / 310) 700(288 / 412) 1,373(651 / 722)

4) 관련 정책연구 : 한국과학창의재단, 『창의융합형 과학인재육성 정책연구 : 융합인재교육(STEAM) 효과성 분석 연구』, 2013.

02

과학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게 높아져

분석 결과, STEAM 교육을 받은 학생들에게서 유의미한 기대성과가 확인 되었습니다. 우선 ‘과학 선호도’의 차원에서는 STEAM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에게서 뚜렷한 향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아울러 ‘과학에 대한 호기심’,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과학에 대한 가치 포용’,

‘과학 학습에 대한 신념’, ‘과학 관련과제 실행 의지’, ‘과학 관련진로 선택 의지’ 등

5.00

4.00

3.00

2.00

1.00

0.00 과학에

대한 호기심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과학에 대한 가치

포용

과학 학습에 대한 신념

과학 관련 과제 실행 의지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의지

3.08 2.8 3.36 3.06 3.533.73

3.853.98 3.223.46

3.43.58

일반 스팀

차원 문항수 평균(표준편차)

일반 스팀 t(p)

과학에 대한 호기심 3문항 3.40

(1.14)

3.58 (1.07)

3.39**

(.001)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3문항 3.22

(1.19)

3.46 (1.14)

4.68**

(.000) 과학에 대한

가치 포용 3문항 3.85

(1.00)

3.98 (0.95)

3.04**

(.002)

과학 학습에 대한 신념 3문항 3.53

(1.06)

3.73 (1.00)

4.16**

(.000) 과학 관련

과제실행 의지 3문항 3.06

(1.13)

3.36 (1.08)

6.00**

(.000) 과학 관련

진로선택 의지 3문항 2.80

(1.24)

3.08 (1.20)

4.61**

(.000) (**p<.01 *p<.05)

6개 조사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발생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과학에 대한 가치 포용’ 항목에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자기주도 학습능력’ 차원에서는 STEAM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능력이 분명히 향상되었습니다. ‘주도적 학습 능력’, ‘인지적 전략’, ‘학습 동기’, ‘문제해결 의지’, ‘도구 활용’, ‘협업 능력’ 등 6개 조사항목 중에서는 ‘협업능력’ 항목에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이 발견되었습니다.

5.00

4.00

3.00

2.00

1.00

0.00 주도적 학습능력

인지적 전략

학습동기 문제해결 의지

도구 활용 협업능력 3.43.56 3.333.53

3.33.43 3.14 2.9 3.183.39

3.243.36

일반 스팀

차원 문항수 평균(표준편차)

일반 스팀 t(p)

주도적 학습능력 2문항 3.24

(1.05)

3.36 (1.00)

2.36*

(.018)

인지적 전략 3문항 3.18

(1.04)

3.39 (1.01)

4.50**

(.000)

학습동기 4문항 2.90

(1.06)

3.14 (1.04)

5.16**

(.000)

문제해결의지 3문항 3.30

(1.01)

3.43 (0.98)

2.88**

(.004)

도구 활용 2문항 3.33

(1.05)

3.53 (1.00)

4.26**

(.000)

협업 능력 3문항 3.40

(1.04)

3.56 (1.02)

3.52**

(.000) (**p<.01 *p<.05)

‘창의·융합적 사고력’ 차원에서도 STEAM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문제 해결 능력이 높아졌습니다.(2.92, p<0.01)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해결 능력뿐만 아니라 인식 능력에서도 분명한 향상이 나타났습니다. 대학입시와 진로선택이라는 중대한 순간을 눈앞에 둔 고등학생에게 STEAM 수업이 큰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자발적이고 직접적인 체험 과정을 통해 행복교육을 실천함으로써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증진시켰다고 판단됩니다.

교사와 학부모의 생각도 바뀌었다

학교 현장에서 활동하는 교사들도 STEAM 실시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특히 학생들의 표현과 생각이 다양해지고 스스로 생각하고 연구하려는

5.00

4.00

3.00

2.00

1.00

0.00

문제인식 문제해결

1.76 1.31 1.41 1.75

일반 스팀

차원 평가범주 평균(표준편차)

일반 스팀 t(p)

문제인식 독창성, 실현성, 타당성

1.41 (1.12)

1.75 (.936)

2.99**

(.003)

문제해결 1.31

(1.19)

1.76 (1.01)

3.74**

(.000) (**p<.01 *p<.05)

태도가 나타나면서 일상생활 속에서도 융합적 요소를 발견하는 경향이 높아졌다는 것입니다. 덕분에 향후 진로를 이공계로 정하는 학생들도 많아졌습니다.

학 생 들 의 흥 미 와 관 심 을 높 였 다 는 측 면 에 서 는 성 공 적 이 라 는 평 가 가 대부분이었지만 학업 성취도의 확실한 향상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스미소니언 연구소 등 해외 우수 콘텐츠를 활용한 교사 연수가 특히 중요하다는 제안이 많았습니다.

STEAM 수업을 실행하려면 교사가 평소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쏟아 헌신적인 태도로 준비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TEAM 수업을 시작한 교사들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STEAM의 우수성을 맛본 학생들 때문입니다. STEAM은 교사들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키고 활동 반경을 넓혀주는 교육이지만, 학생들과의 소통 그리고 학생들 간의 소통을 위해서도 필수적입니다.

STEAM 수업 덕분에 학교 교과에 대한 학부모들의 신뢰도도 높아졌습니다.

과학 분야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과 흥미가 높아지면서 학교는 즐거운 곳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입니다. 과학은 무조건 싫다고 하던 아이가 어느 날부터 과학 분야의 책을 스스로 찾아서 읽기 시작하고, 생활 속에서도 과학기술을 연계해 사고하려는 태도를 보이면서 학부모들도 STEAM의 효과를 체감하게 되었습니다.

STEAM 수업은 정서적인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됩니다. 학생들은 모둠 활동을 통해 리더십을 키우고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는 동안 자신의 장점을 발견하게 되고 정서적으로도 한층 성숙해집니다. 자녀의 진로에 대한 고민도 그만큼 줄어들었습니다. 진로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이 구체적이고 다양해지면서 자신의 향후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STEAM 수업의 효과를 높이려면 어떠한 개선점을 도입해야 할까요. 학부모들은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STEAM 수업을 꾸준히 실시해서 과학과 수학 교과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이 지속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수업에 STEAM 요소를 도입해서 즐겁고 재밌는 학습 분위기가 유지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공통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080

국가의 핵심 성장동력을 발표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기존의 분야에 ‘기술’을 붙여 만든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ST(우주항공기술), ET(환경공학기술) 등이 있습니다. 이미 2001년에 ‘6대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된 이들 분야에는 CT(문화기술)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화와 기술이라는 이질적인 개념을 하나로 합쳐 낯선 모습을 보이는 이 단어는 1995년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을 설립하고 초대 원장을 지낸 원광연 교수가 주인공입니다. 인간컴퓨터상호작용(HCI)학회, 가 상 현 실 연 구 센 터 (VRRC), 과학예술포럼(SciArt Forum), 예술공학센터(ATEC), 청소년 문화기술체험센터(NaDa Center) 등이 모두 그의 손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새로운 생각이라면 정답이 아니더라도 인정해 주어야만 창의성이 커집니다”

정답보다 독창성에

문서에서 교육눈에 보이는 (페이지 7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