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HPAI 특성 및 유형

◦ AI 바이러스 표면에는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과 뉴라미니다제 (Neuraminidase, NA)라는 두 가지 단백질이 있으며, HA에는 16종, NA에는 9종이 있음.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두 단백질 조합에 따라 144종류(16×9)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존재함.

◦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감염은 H5형과 H7형과 관련이 있으며, 폐사율 과 전염성의 정도에 따라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분류됨.

- 고병원성 판정기준은 H5N1, H7N1, H7N3, H7N7타입인 경우 고병원성 으로 의심하고 유전자 분석결과를 토대로 확정하며, 종란 접종 결과 폐 사율이 75% 이상인 경우, 그리고 임상증세 부검결과 청색증 증세가 있 는 경우 고병원성으로 판정함.

◦ LPAI 바이러스는 감염력이 낮지만 HPAI 바이러스는 가금의 약 90~100%

까지 폐사시킬 수 있음. 가금류에서 HPAI 발생은 대부분 H5와 H7과 관련 이 있음.

◦ HPAI는 잠복기가 짧고 가금에서 이환율과 폐사율이 100%에 이르는 급성 전염성 질병으로 세계동물보건기구에 보고해야 하며 우리나라는 제1종 법 정 전염병으로 관리하고 있음.

◦ AI 바이러스는 포유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음. HPAI 바이러스는 야생조류가 전파시킬 수 있으나 매우 드물게 사람에 감염되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H5와 H7은 인수공통 전염병으로 주목 받고 있음.

◦ HPAI 바이러스에 감염된 닭의 근육조직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며 감염된 조직은 감수성 닭에 감염을 전파할 수 있음. 또한 HPAI는 감염된 냉동 닭고 기나 오리고기, 생계란, 생닭의 교역을 통해 국가 간 전파가 가능하기 때문 에 국제무역에서 매우 중요한 전염병으로 간주됨.

2.2. 국내 HPAI 발생 현황

◦ HPAI는 충북 음성에서 2003년 12월에 최초로 발생하였으며, 10개 시·군에 서 19건(닭 10건, 오리 9건)이 발생함. 전염병 확산 방지와 청정화를 위해 392농가의 528만 5,000마리를 살처분하여 매몰 처리함. 마지막 발생 지역의 조치가 완료되고 6개월이 경과한 2004년 9월 21일 청정국의 지위를 회복함.

- 질병 발생경로는 철새에 의해 유입되어, 오염된 지역에서 머물던 텃새에 의해 발병농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오염된 차량·사람, 감염 동물 등에 의해 인근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됨.

◦ 2차 HPAI는 2006년 11월 전북 익산을 시작으로 전국 5개 시·군에서 7건(닭 4건, 오리 2건, 메추리 1건)이 발생하였으며 살처분·매몰(460농가 280만 마 리)의 방역을 실시함. 마지막 발생지 방역조치가 완료되고 3개월이 경과한 2007년 6월 18일 청정국의 지위를 회복함.

- 2차 발생도 철새에 의해 유입되어 철새 분변에 오염된 사람·차량에 의해 발생농장에 유입된 것으로 보이나 발생지역 간 역학적 관련성이 미확인 되어 독립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함.

◦ 2008년 4월 1일 전북 김제에서 HPAI가 발생한 이후 전남 영암, 경기 평택, 충남 논산, 울산, 부산, 서울, 강원 춘천, 경남 양산 지역 등으로 확산됨.

HPAI 의심 신고 건수는 68건으로 이 중 고병원성으로 확인된 것은 총 33건 이며, 8월 15일에 조류인플루엔자 청정국 지위를 회복함.

매몰 농장 수 매몰 마리 수

2.3. 해외 HPAI 발생 현황

◦ HPAI는 1997년 홍콩에서 최초로 발생함. 이후 바이러스는 장기간 잠복해 있다가 2003년 10월에 베트남에서 다시 발생하여 인근 아시아 국가로 번져 나감. 그 후 2005년과 2006년에는 유럽과 아프리카 등 서쪽 국가로 전파되 었고, 2007년에는 일본과 유럽에서 다시 발생함.

◦ 2010년 HPAI는 아시아 10개국, 유럽 3개국, 아프리카 1개국 등 총 14개국 에서 발생함. 2011년에도 아시아 지역에서 HPAI가 주로 발생하였음. 중국, 캄보디아, 홍콩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 주로 HPAI 발생이 잦은 편임.

발생 대륙 2007 2008 2009 2010 2011 발생국

아시아 17 13 10 10 13

2011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방글 라데시, 몽골, 일본, 이스라엘, 미얀마, 팔레스타인, 캄보디아, 홍콩2010년: 방글라데시, 부탄, 캄보 디아, 중국, 홍콩, 인도, 이스라 엘, 네팔, 몽골, 미얀마

유럽 7 4 2 3 0 2010년: 루마니아, 불가리아, 러 시아

중남미 1 0 0 0 0

아프리카 5 3 1 1 1 2011년: 이집트 2010년: 이집트

30 20 13 14 14

: 2011년 5월 기준.

자료: 세계동물보건기구.

표 2-5. 연도별/대륙별 HPAI 발생 현황

단위: 건

국 가 1997∼2005 2006∼2009 2010 2011.

1월∼4.21일 총 계 발생 사망 발생 사망 발생 사망 발생 사망 발생 사망

5 1 5 1

9 6 29 19 2 1 40 26

베 트 남 93 42 19 15 7 2 119 59

22 14 3 3 25 17

캄 보 디 아 4 4 4 3 1 1 5 5 14 13

인도네시아 17 11 143 122 9 7 5 4 174 144

미 얀 마 1 0 1 0

파 키 스 탄 1 1 1 1

라 오 스 2 2 2 2

방글라데시 1 0 2 0 3 0

아제르바이잔 8 5 8 5

이 라 크 3 2 3 2

12 4 12 4

지 부 티 1 0 1 0

이 집 트 90 27 29 13 24 7 143 47

나이지리아 1 1 1 1

2 0 2 0

캐 나 다 2 0 2 0

E U 89 1 5 0 94 1

총 계 243 79 323 204 48 24 36 16 650 323 : 1) 2011. 4월 기준.

2) EU(European Union)국가는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영국에서 발생함.

자료: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표 2-6. HPAI 인체 감염 사례

◦ 1997년부터 2011년 4월까지 세계적으로 HPAI의 인체 감염 사례는 22개국 총 650명으로 이 중 14개국에서 323명이 사망함. 인체 감염 총사례 중 아시 아 대륙에서 감염된 사람 비율이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프리카가 23%

를 차지하고 있음. 아시아에서 HPAI에 감염된 후 사망한 비율이 67.3%를 차지하여 치사율이 매우 높지만, 유럽의 경우 치사율은 1.1%에 불과함.

◦ 사망 사례가 발생한 국가는 대부분 동남아 및 아프리카의 저개발국이었으 며 사망자들도 유아 및 노령인구임. 특히 사망사례의 대부분은 질병에 감염 된 가금과 한 지붕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직접 접촉하거나 가금의 생피를 마 신 경우 등이었으며, 열처리 가공육의 섭취와 사람과의 접촉을 통한 감염 및 사망 사례는 없음.

3

가축전염병 발생에 따른 영향 분석

1. 가축전염병 발생의 경제적 피해 구조

◦ 가축전염병 발생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직접피해와 간접피해 효과로 구분 할 수 있음. 직접피해는 정부의 재정지출과 해당 가축의 수급 측면 변화에 서 발생한 손실액이며, 간접피해 효과는 연관 산업의 판매 및 수요 감소로 인해 야기된 손실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 등임.

- 직접피해 항목으로는 생산농가에서 발생한 피해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금 및 생계안정지원금 등의 국가 재정지출, 방역비용 및 매몰비용 지출, 수요와 공급 감소에 따른 가격변화, 수출 감소 등으로 구성됨.

- 간접피해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료, 시설(투입재), 도축 및 유통업체의 판 매 감소를 들 수 있음.

◦ 가축전염병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 효과는 축산물 생산농가와 그 전후 방 산업 모두에 유·무형으로 미치기 때문에 경제적 파급 효과를 정확히 파 악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에 걸친 파급 효과를 모두 계측해야 함.

그림 3-1. 가축전염병 발생의 경제적 피해 구조

문서에서 축산 방역체계 개선 방안 (페이지 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