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RAF 유전자, 돌연변이 [염기서열검사]

신청 기술 개요

수반 의료기기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염기서열검사법을 이용하여 BRAF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하여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종양의 감별진단, 예후판정 및 치료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

구분 수반장비

허가번호 수허 12-2276호

품목명 (등급) 종양관련유전자검사시약(3)

제품명 (모델명) therascreen BRAF Pyro Kit

03

사용 대상

사용 목적

사용 방법

뇌종양(특히 털모양 별아교세포종, pilomyxoid 성상세포종, 신경절 신경아교종, 다형성 황색성상세포종, 랑게르한스 세포조직구증 등) 환자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종양의 감별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방침 결정

염기서열검사법

① 파라핀 포매된 조직에서 DNA를 분리한다

② BRAF 유전자 프로모터 부위의 중합효소연쇄반응물을 얻는다

③ Pyromark Q24 MDx로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참고염기서열과 비교하여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한다

신청횟수 1회 (새신청)

접수번호(접수일) 2016-122(2016.10.27.) 보고서 번호 HTA-2017-45

사례6.관련 임상문헌 수는 많으나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아 탈락한 경우(문헌의 질 상관없이 10편 이상)

기존기술 여부

·유사기술(2017.7.7. 기준)

- 노-595 유전자 돌연변이검사 [유전자 염기서열검사] (90) BRAF 유전자’, ‘갑상선 종양 조직 검체로 갑상선 유두암종 수술 환자 예후 예측을 위한 BRAF 유전자, 돌연변이 [염기 서열검사]’

- 신의료기술의 안전성ㆍ유효성 평가결과 고시 ‘352. BRAF 유전자, 돌연변이 [염기서열검 사](보건복지부 고시 재2015-20호)’ 및 ‘515. BRAF 유전자, 돌연변이 [염기서열검사](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5-123호)’

☞ 목적, 방법은 유사하나 대상이 상이

국외 보험

등재 여부

확인되지 않음 일본

건강보험 확인되지 않음

미국 CPT 코드

평가지표

(PICO) P I O C

· 뇌종양(뇌실질 영역) 환자

· 뇌실질 종양에서의 BRAF유전자, 돌연변이 [염기서열검사]

· 병리학적 소견에 따른 WHO 분류 · 유효성

- 유전자와 질환과의 연관성 - 진단의 정확성

- 예후와의 관련성 - 치료반응

심의 결과

구분 1차(새신청)

소위원회 구성 총 7인 신경외과 3인, 병리과 3인, 근거기반의학 1인

소위원회 심의결과

신의료기술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으며 예후와 치료방침이 다른 질병그룹인 아교모세포종(GBM)을 다형성 황색별아교세포종(PXA), 신경절신경아교종(GG)과 감별진단하는데 보조적인 검사로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있는 검사라는 의견)

HTA 심의결과

연구단계기술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유효성을 평가하기에는 연구결과가 부족하여 아직은 연구가 더 필요한 단계의 기술)

보건복지부 고시 해당없음

구분 1차(새신청)

평가방법 체계적 문헌고찰 (안전성 및 유효성 검토)

※ 가이드라인은 참고자료로 활용

가이드라인 (1편)

교과서 해당없음

문헌적 근거

미만성 신경교종

새로운 분류체계에서 미만성 신경교종은 아동기의 미만성 신경교종 뿐 만 아니라 II, III 등급의 성상세포종(astrocytic tumors), II, III 등급의 핍지교종 (oligodendrogliomas), IV등급의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미만성 신경교종과는 완전히 다른 국지화된 성장패턴을 가지고 IDH 돌연변이가 없는 특징을 가진 성상세포종 중에 BRAF 돌연변이 를 가지는 성상세포종(털모양 별아교세포종(PA), 다형성 황색별아교세포종 (PXA))이나 TSC 1/TSC 2 돌연변이를 가지는 성상세포종(뇌실막밑거대세포 별아교세포종(SEGA))의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교모세포종

교모세포종의 하나의 임시의 새로운 변화는 상피모양 교모세포종(epithelioid glioblastoma)이다. 이 질환은 IDH-정상형 교모세포종의 하위의 거대 세포 교모세포종과 신경아교육종이 결합되어 있다. 상피 교모세포종은 호산성 세 포질, 소포 염색질, 눈에 띄는 핵소체(멜라노마 세포와 유사함)가 풍부하고, 일정하지 않게 육종양 세포가 발견되는 커다란 유상피세포가 특징이다. 아동 이나 청소년에서 잘 나타나며, 특징적으로 superficial cerebral이나 간뇌 조 직과 BRAF V600E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판정 한다).

신경세포와 혼합된 신경세포-아교세포종

미만성 연수막 신경교-신경종은 논문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동의 파종성 핍지교종성 연수막 신경교종으로 가장 잘 알려져이다. 이러 한 종양들은 비록 OLIG 2와 S-100과 시냅토피진(신경접합 단백질)으로 주 로 expression되지만, 미만성 연수막 질환을 동반하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실질성 요소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거나, 조직학적으로 단일구조의 뚜렷 한 신경교 세포의 형태를 보이며 대부분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발견되어 핍지 교종과 유사하다. 추가로 신경단위의 요소들이 이런 케이스의 부분으로 발견 된다. 병변들은 일반적으로 염색체 팔의 1p 자리에 단독으로 또는 19q 동반으 로 결실될 뿐만 아니라 BRAF fusions를 가지고 있지만, IDH 돌연변이는 없다.

병리학적, 유전학적 특징은 털모양 별아교세포종이나 신경교-신경종과의 관 계를 제시하지만, 이러한 종양들의 질병분류학적 위치는 다소 불분명하게 남 아있다. 예후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종양들은 상대적으로 더딘 성장을 보이지 만, 이차적인 수두증으로부터의 이환율은 상당하다.

ㆍThe 2016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 summary(WHO, 2016)

사례6.관련 임상문헌 수는 많으나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아 탈락한 경우(문헌의 질 상관없이 10편 이상)

구분 1차(새신청)

임상문헌 (28편)

근거의 수준 D

기술분류 II-b

문헌적 근거

연번 질평가 연구유형 편수

1 1++ RCT

-2 1+ RCT

-3 1- -

-4 2++ -

-5 2+ 코호트연구 4편

6 2- 비교연구

-7 3 증례연구 24편

8 4 전문가의견

-콘텍트렌즈형 센서를 이용한 24시간 연속 안압측정

신청 기술 개요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렌즈형 센서를 눈에 착용하여 중심각막곡률(안압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안구의 모양)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24시간동안 연속으로 안압을 측정하여 녹내장 의 진단 및 치료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

04

사용 대상

사용 목적

사용 방법

녹내장 (의심) 환자

녹내장의 진단 및 치료방법 결정

렌즈형 센서를 눈에 착용하여 안압의 변화에 따라 생기는 안구의 모양인 중심각막곡률의 변화로 24시간동안 연속으로 안압을 측정함

신청횟수 3차(새신청/재신청/혁신)

접수번호(접수일) 2016-112 (2016.9.27.)

2017-047 (2017.3.30.)

(혁신)2019-041 (2019.4.18.)

보고서번호 미발간 HTA-2018-8 미발간

수반

의료기기

구분 수반장비

허가번호 수허 14-1792호

품목명 (등급) 검안용기기(2)

제품명 (모델명) SENSIMED Triggerfish

사례6.관련 임상문헌 수는 많으나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아 탈락한 경우(문헌의 질 상관없이 10편 이상)

기존기술 여부

·유사기술(2016.9.1. 기준)

- ‘나-675나 안압측정-일일반복안압측정’

☞ 대상과 목적은 유사하나 방법이 상이

국외 보험

등재 여부

ㆍ 0329T - Monitoring of intraocular pressure for 24 hours or longer, unilateral or bilateral,

with interpretation and report

일본

건강보험 확인되지 않음

미국 CPT 코드

평가지표

(PICO) P I C O

ㆍ녹내장 (의심) 환자

ㆍ콘텍트렌즈형 센서를 이용한 24시간 연속 안압 측정

※ 기존의 안압검사가 측정시점, 측정자세, 측정지표가 신청기술과 상이하여 비교검사로 적절 하지 않다는 의견과 현시점에서 비교할만한 검사가 없다는 의견

ㆍ안전성

- 검사 관련 부작용 또는 합병증 - 환자 내인성(tolerance) ㆍ유효성

- 의료결과에의 영향(녹내장 진단 또는 치료방법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질병과의 관련성

- 재현성

심의 결과

구분 2차(재신청)

소위원회 구성 총 7인

안과 5인, 근거기반의학 2인

소위원회 심의결과

연구단계기술

(안압의 특성상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아 재현성을 입증하기 어려운 점은 있으나, 현 시점에서 보고된 문헌에서의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아 정확성을 확인하기에는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의견)

HTA 심의결과

조기기술

(안전성은 수용가능한 수준이나 녹내장의 진단 및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기술로 사용하기에는 유효성을 입증할

문헌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음)

*소위원회 심의결과 동의

보건복지부 고시 해당없음

· 1차(새신청) 건은 소위원회 미구성으로 인한 평가지표 없음

※2차 신청건 기준

구분 2차(재신청)

평가방법 체계적문헌고찰

(안전성 및 유효성 검토)

가이드라인 해당없음

교과서 해당없음

임상문헌 (5편/22편)

근거의 수준 D

기술분류 II-a

문헌적 근거

연번 질평가 연구유형 편수

1 1++ RCT

-2 1+ RCT

-3 1- -

-4 2++ 코호트연구

-5 2+ -

-6 2- 비교연구

-7 3 증례연구 22편

8 4 전문가의견

-ㆍ1차(새신청) : 조기기술(현재 문헌적 수준으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에 연구결과가 부족함)

사례6.관련 임상문헌 수는 많으나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아 탈락한 경우(문헌의 질 상관없이 10편 이상)

/C

참조검사

EGFR 유전자, 돌연변이

[드롭렛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

신청 기술 개요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암조직, 혈장검체에서 EGFR 유전자 돌연변이를 드롭 렛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확인하는 검사

※사례 5의 4번째로 다룬 기술(EGFR 유전자, 돌연변이[드롭렛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사용목적과 사용방법(검체)이 상이한 기술임

05

사용 대상

사용 목적

사용 방법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EGFR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 확인

드롭렛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 ㆍ검체 : 종양조직, 혈장

신청횟수 2차(새신청/혁신)

접수번호(접수일) 2017-086 (2017.6.26.) 2018-123 (2018.10.2.)

보고서번호 HTA-2018-31 미발간

수반

의료기기

구분 수반장비1 수반장비2

허가번호 수신 15-556호 수신 15-555 호

품목명 (등급) 핵산추출기구(1) 의료용형광분광기(1) 제품명 (모델명) QX200 Droplet Generator, IVD QX200 Droplet Reader, IVD

기존기술 여부

·유사기술(2017.6.2. 기준)

- 나-583 비유전성질환 유전자검사

- 나. 중합효소연쇄반응-확장 (1) 이중중합효소연쇄반응, 중합효소연쇄반응-교잡반응 (19) EGFR Gene

☞ 대상과 목적은 유사하나 방법(ddPCR)이 상이

국외 보험 등재 여부

ㆍ 81235

-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Non-small cell lung cancer) gene analysis, common variants(eg. Exon 19 LREA deletion, L858R, T790M, G719A, G719S, L861Q)

ㆍ D004-2 악성 종양조직검사

- 1. 악성종양 유전자 검사 EGFR 유전자검사(실시간 PCR법) 일본

건강보험 미국 CPT 코드

평가지표

(PICO) P I

O

ㆍ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ㆍEGFR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드롭렛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

※ 검체: 종양조직, 혈장

ㆍ중합효소연쇄반응 ㆍ염기서열검사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ㆍ유효성

- 진단정확성 · 민감도(sensitivity) · 특이도(specificity)

· 양성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 음성예측도(negative predictive value) · 검사정확도(accuracy of index test) - 비교검사와의 상관성 및 일치도

사례6.관련 임상문헌 수는 많으나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아 탈락한 경우(문헌의 질 상관없이 10편 이상)

구분 1차(새신청)

평가방법 체계적 문헌고찰(안전성 및 유효성 검토)

가이드라인 해당없음

교과서 해당없음

임상문헌 (15편)

근거의 수준 C

기술분류 II-a

문헌적 근거

연번 질평가 연구유형 편수

1 1++ RCT

-2 1+ RCT

-3 1- -

-4 2++

진단법 평가연구

1편

5 2+ 12편

6 2- 2편

7 3 증례연구

-8 4 전문가의견

-적혈구 내 6-TGN, 6-MMP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