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속 연구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6-155)

V. 결론 및 제언

5.4 후속 연구 제언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모 바일 문법 앱을 활용한 블렌디드 학습 환경의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였지만, 다양한 학습용 앱을 이용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학습 영역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흥미롭고 구체적인 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모 바일 앱을 활용한 블렌디드 학습은 학습자의 요인과 학습 콘텐츠의 구성, 매체의 풍부성에 따라 다양한 기대효과나 학습효과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의 적용으로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총 15차시에 걸쳐 실시되 었지만, 문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장 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모바일 앱을 활용한 문법 학습에서 비교 집단 과 통제 집단이 없이 실험이 이루어져 아쉬움이 있으므로 향후 후속 연구 과제로 제안한다. 모바일 앱을 활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는 비교적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는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으 므로 모바일 앱을 활용한 학습이 보다 더 효과적인 결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들이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에 대해 현장 중심의 연구를 진행 함으로써 문법 교수 학습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고 여겨지며 오프라인 영어 학습 활동과 모바일 앱이 가진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 으로 연결한다면 학습자가 진정성 있는 영어 학습 활동을 경험하도록 이끌 수 있 다는 가능성을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이로써 향후 학습자들의 기대와 필요에 부응하는 영어 학습 자료 및 모바일 앱의 교육용 콘텐츠가 다양하고 폭넓어질 수 있도록 활발한 후속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민석, 김진일, 박인우. (2009).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0(5), 135-143.

강현숙. (2016). 대학생들의 영문법 학습 및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6(7), 1-26.

고영아. (2015). 모바일 어플리캐이션이 EFL 학생들의 영어청해 불안요소에 미치는 효과. 영어영문학, 20(3), 403-427.

길인숙. (2018). 토익집중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 효과와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581-599.

김경자. (2018). 한국 중등 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모형과 변화: 종단연구. 영어교과 교육, 17(4), 73-93.

김규미. (2014). 연역적ㆍ귀납적 문법교수에서 개별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이 문법 성 취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연구, 26(4), 131-148.

김동희. (2012).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 발.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김봉호. (2015). 고등학생 영어 문법 학습을 위한 앱 활용사례 연구. 미출간 석사학 위 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김영우. (2014).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스마트폰 활용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4), 21-32.

김정태, 김희진. (2012). 오프라인 대학교 영어교육에 최적화된 블렌디드 러닝 교수 모형 연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5(1), 135-155.

김주혜. (2013). 영어교육에서 스마트러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활용 실태 조사.

영어교육연구, 25(3), 253-278.

김지은, 최용훈. (2018).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영어 문법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 중심 문법 교육.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2), 567-575.

김태영, 김은주, 김혜영. (2011). 온-오프라인 결합 교양영어 수강 대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형과 변화. 현대영어교육, 12(1), 126-156.

김훈희, 정대범. (2015). 스마트 교육에 기반 한 전문대 학생들의 간호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과. 게임&엔터테인먼트, 15(9), 621-630.

김혜숙. (2017). 어휘 목록과 모바일 앱을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의 비교 연구. 영 상영어교육, 18(1), 183-206.

김희진, 곽정아. (2013). 이러닝 영어학습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보충학습 교수-학 습 설계 및 효과성 연구. 영어어문교육, 19(4), 237-260.

김희진, 허광. (2016). 사이버대학 영어 수업에서 스마트 앱을 활용한 혼합 교수 학 습 방안 설계와 효과성 비교.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9(1), 86-113.

남정미. (2016).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영작문 수업 사례 연구. 언어과학연구, 78, 125-143.

노재준. (2013). 영어 말하기 학습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분석과 학습자들의 인식조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노지예, 이정민. (2013). 고등학교 모바일 러닝 성과 예측요인 규명.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17(2), 115-123.

문도식. (2016). 스마트폰과 음성합성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과제의 개발과 평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16(5), 13-20.

박동국. (2016).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개인특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서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찬규. (2012). 대학생의 영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도. 언어학연구, 24, 105-123.

박태숙, 오치성. (2015). 영어 능숙도에 따른 화용적 인식과 문법적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57(3), 169-192.

박현주. (2018). 모바일 기반의 자기 주도적 영어 말하기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학 습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 교.

서성일. (2002). e-Learning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e-Learning 학술연구, 1(1), 79-104.

성귀복. (2018). 모바일앱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영문 동료피드백 활동 연구.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539-570.

성상희, 이상기. (2013). 형태초점접근법의 명시성의 정도가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관계대명사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 영어학, 13(3), 549-570.

성태수. (2018). 모바일폰을 이용한 영어 문법 학습에 관하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23(9), 65-71.

소리, 이충현. (2018).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제2언어 쓰기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 의 인식 및 견해. 외국어교육연구, 32(1), 79-107.

손자영. (2017). 스마트교육 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송윤희. (2013). 문법수업 유형이 한국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부산: 부경대학교.

신희재. (2011). 교양영어 프로그램에서 영문법교육의 필요성. 현대영어교육, 12(1), 157-176.

오영주, 박혜숙, 장소영. (2017). 대학생의 학습유형, 학습전략이 영어 능숙도에 미 치는 영향. 영어영문학연구, 43(2), 299-324.

오인숙. (2009). 영어 문법 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영어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교 육연구논총, 30(2), 45-65.

우종정, 김보나, 이옥형. (2009).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 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7(2), 219-225.

유혜정. (2014). 블랜디드 러닝에서 모바일SNS를 통한 협력학습이 중학생들의 영어 문법 이해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연구, 28(2), 135-158.

윤경옥, 나양온. (2015). 대학 영어 수업에서 스마트폰 앱의 활용과 그에 대한 인식 조사. 인문학연구, 101(4), 513-533.

이명관. (2015).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들의 토익수업 효과. 영어어문교육, 21(4), 257-281.

이명규, 장선영. (2012). 웹기반 프로젝트중심학습 환경에서 과제해결능력을 촉진시 키는 스캐폴딩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2), 371-408.

이옥형. (2008). 블렌디드 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15(1), 1-27.

이정원. (2018). EFL 학습자와 교사의 문법 지도와 오류 수정에 대한 인식 비교 연 구. 영어교육, 73(2), 139-159.

이충현. (2017). 디지털 기술 활용 언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제 13회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13.

이현주. (2012).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 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1-24.

임정훈. (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

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6.

임정훈. (2009). 모바일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교육실천연 구, 8(1), 101-124.

임정훈, 성기원. (2017). 혼합형 학습을 적용한 MBTI 진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 리유형 관련 진로 이해 및 동기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유형학회지, 18(1), 1-23.

임호성. (2017). 블렌디드 러닝 기반 형태중심교수법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목표 영어문법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국외국 어대학교.

정덕화. (2015). 스마트러닝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진주: 진주교육 대학교.

정동빈, 강시경. (2008).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초등 영어쓰기교수-학습효과. 언어연구, 23(4), 577-599.

정숙경. (2012). 대학생들의 어학 도구로서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사용 현황에 대한 연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5(3), 165-185.

정현숙. (2008). 초, 중, 고등 및 대학생의 영문법 학습에 관한 인식. 외국어교육, 15(2), 319-344.

정희윤, 김해동. (2017). 중학교 영어 교과서 문법 활동 분석과 학생들의 인식 조사.

영어교과교육, 16(1), 129-146.

조라미, 이동주. (2017). 중학생 영어 어휘-문법 학습을 위한 언어자료기반학습 (DDL) 효과 연구. 외국어교육, 24(1), 185-205.

조세경. (2009). 스마트폰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멀티미디어언어교육, 12(3), 211-228.

조영교. (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영어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한 고찰. 현대영 미어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5), 99-101.

조영진. (2014). 한국의 중·고등학교 영어문법 교수 및 학습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조윤경. (2017). 한국 고등학생들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및 문법 학습전략이 영

조은순, (2002). 최상의 학습 성과를 위한 e-러닝의 활용. 서울: 한국능률협회.

최병수, 유상미. (2013).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 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49-60.

최수정, 최종갑. (2015). 영어독해 수업에서 문법의 역할 및 교수 방법: 한국 대학생 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41(4), 213-246.

최은주. (2016). 영어 어휘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연구. 미출간 박사 학위 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최은주, 정동빈. (2010). 모바일 장문메시지 활용이 영어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언어교육,13(3), 279-302.

하명정. (2018). 스마트폰을 활용한 협동학습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년 동계전 국학술대회자료집, 459-466.

하영자, 임연욱. (2010).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내재적 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예측. 역량개발학습연구, 5(4), 49-67.

하현준. (2017). 스마트 교육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학 습 만족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인천: 인천대학교원.

한문섭, 황종배. (2015). 한국 영어 문법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영어교육, 70(5), 81-108.

한종임, 강한나. (2018). 블렌디드 러닝 기반 사전 학습 활동이 한국 대학교 영어학 습자의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1(3), 175-205.

허지민. (2018). 스마트폰 앱 활용 영어 듣기 학습에 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선호 도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홍경선. (2010). 영어교사를 위한 영문법. 언어학연구, 15(2), 193-206.

황종배. (2009). 영어 문법 구조 습득에 있어서의 인식의 역할. 외국어교육연구, 23(1), 201-226.

Akkoyunlu B., & Soylu, M. Y. (2008).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different learning styl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1(1), 183-193.

Bardre, A. N. (2002). Shaping web usability: Interaction design in context.

Boston: Pearson Education.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

methodologies and lessons learned. San francisco, CA: Pfeiffer.

Bonk, C. J., Graham, C. R., Cross, J., & Moore, M. G. (2006).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Retrieved January 05,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curtbonk.com/toc_section_intros2.

pdf

Borg, S. (1999). Studying teacher cognition in second language grammar teaching. System, 27(1), 19-31.

Borg, S., & Burns, A. (2008). Integrating grammar in adult TESOL classrooms.

Applied Linguistics, 29, 456-482.

Brown, H. D. (2007). Teaching by principle.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Byrne, J. & Diem, R. (2014). Profiling mobile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JALT CALL Journal I, 10(1), 3-19.

Cao, L. (2018).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learning based on mobile English teaching software.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8(6), 3010-3016.

Carman, J. M. (2002). Blended learning design: Five key ingredients, Retrieved January 05,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blended 2010. pbworks .com/f/Carman.pdf

Celce-Murcia, M. (1991). Grammar pedagogy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TESOL Quarterly, 25(3), 459-480.

Chang, C. M. (2011).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bile game-based learning platform with story grammar: A case of the plants in camp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aiwan Wenji University, Taoyuan.

Chinnery, G. M. (2006). Going to the MALL: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10(1), 9-16.

Cho, Y. K. (2008). A study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grammar instructio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5(2), 243-272.

Chu, H. (2011). The effect of the features of smartphone vocabulary applicatio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4(2), 91-112.

Churchill, D., & Churchill, N. (2008). Educational affordances of PDAs: A study of a teacher's exploration of this technology. Computer and Education, 50(4), 1439-1450.

Collins, T. G. (2005). English class on the air: Mobile language learning with cell phones. Proceedings of the Fif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Learning Technologies, Taiwan, 402-403.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DeKeyser, R. (1995). Learning second language grammar rules: An experiment with a miniature linguistic system.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7, 379-410.

Dörnyei, Z. (2007). Research methods in applied linguis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oughty, C., & Varela, E. (1998). Communicative focus on for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ughty, C., & Williams, J. (1998).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 3(3), 54-56.

Elaish, M. M., Ghani, N. A., Shuib, L., & Al-Haiqi, A. (2019). Development of a mobile game application to boost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vocabulary. IEEE Access, 7, 13326-13337.

Ellis, R. (1994).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Ellis, R. (2001). Introduction: Investigating for focused instruction, Language Learning, 51(1), 1-46.

Engin, M. (2014). Extending the flipped classroom model: Developing second language writing skills through student-created digital videos.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4(5), 12-26.

Eryilmaz, M. (2015).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Contemporary Issues In Education Research, 8(4), 251-256.

Evans, C., & Gibbons, N. J. (2007). The interactivity effect in multimedia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49(4), 1147-1160.

Fox, M. (2002). Keeping the blended promise. E-learning, 3(3), 26-29.

Ganapathy, M., Shuib, M., & Azizan, S. N. (2016). Malaysian ESL students' perceptions on the usability of a mobile application for grammar test: A case study of ESL undergraduates in USM. Southeast Asi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Studies, 22(1), 127-140.

García, Y. S., & Santurio, J. I. M. (2018).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a mobile learning intervention in English as Foreign Language. Innoeduca, 4(1), 79-87.

Gardner, D., & Miller, L. (2013). The management skills of SALL managers.

Studies in Self-Access Learning Journal, 4(4), 236-252.

Graham, C. R. (2006).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Retrieved January 03,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s://www.academia.edu/563281/Blended_learning_systems_Definition_curr ent_trends_and_future_directions

Graham, C. R., Allen, S., & Ure, D. (2005). Benefits and challenges of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Encyclopedia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53-259.

Harmer, J. (1987). Teaching and learning grammar. London: Longman.

Herrington, A., Herrington, J., & Mantei, J. (2009). Design principles for mobile learning. University of Wollongong Research Oline, 2009, p.138. Retrieved January 06,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ro.uow.edu.au/ cgi/

view content. cgi? article=1089 &context=edupapers

Horton, W. (2006). E-learning by design. San francisco, CA: Pfeiffer.

Igbaria, M., & Iivari, J. (1995).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Computer Usage.

Omega-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 23(6), 587-605.

Izumi, S. (2002). Output, input enhancement, and the noticing hypothesis: An experimental study on ESL relativiza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Jacobs, G. M., & Small, J. (2003). Combining dictogloss and cooperative learning to promote language learning. The Reading Matrix, 3(1), 128–139.

Jang, E., & Kim, J. (2015). Uses of smartphone apps for English listening practice.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0(1), 27-53.

Jean, G., & Simard, D. (2011).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in L2: Necessary but boring. Foreign Language Annals, 44(3), 467-494.

Kern, R. G. (1995). Students' and teacher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Foreign Language Annals, 28, 71-92.

Kiernan, J., & Aizawa, K. (2004). Cell phones in task-based learning: Are cell phones useful language learning tools. ReCALL, 16(1), 71-84.

Krashen, S. D. (1981).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Krashen, S. D. (1999). Seeking a role for grammar: A review of some recent studies, Foreign Language Annals, 32, 245-257.

Kruk, M. (2017). A look at advanced learners' use of mobile devices for English language study: Insights from interview data. The EuroCALL Review, 25(2), 18-28.

Kukulska-Hulme, A. (2009). Will mobile learning change language learning, ReCALL, 21(2), 157-165.

Kuo, Y. C., Walker, A. E., Schroder, K. E., & Belland, B. R. (2014). Interaction, internet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student satisfaction in online education course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0, 35-50.

Larsen, F. (2003). Teaching language from grammar to grammaring, Canada:

Heinle, Thomson.

Levy, M., & Kennedy, C. (2005). Learning Italian via mobile SMS. In A.

Kukulska-Hulme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 handbook for educators and trainers (pp. 76-83). London: Taylor and Francis.

Levy, Y. (2007). Comparing dropouts and persistence in e-learning courses.

Computers & Education, 48(2), 185-204.

Li J., LI, S., & LI, Y. (2016). English learning on the move: A survey and

study of mobile app assisted english learning in Chinese tertiary education. 2016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

Education (ICCSE), Japan, 767-771.

Li, Z., & Hegelheimer, V. (2013). Mobile-assisted grammar exercises: Effects on self-editing in L2 writing.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17(3), 135-156.

Long, M. H. (1991).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msterdam, North-Holland: Jon Benjamins.

Long, M. H., & Robinson, P. (1998).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ckey, A. (2006). Feedback, noticing and instructed second language learning.

Applied Linguistics, 27(3), 405-430.

Makoe, M. (2010). A cell‐phone social network to facilitate learning in distance education. Open Learning, 25(3), 251-257.

Mangelsdorf, K., & Schlumberger, A. L. (1992). ESL student response stances in a peer-review task.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1(3), 235-254.

Mantyla, K. (2001). Blending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lexandria, VA: ASTD.

Merriam, S. B. (2001). Andragogy and self-directed learning.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89, 3-14.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London: Sage.

Mohammad, M. M. (2018). The use of mobile technology in learning English language. Theory and Practice in Language Studies, 8(11), 1456-1468.

Mospan, N. (2018). Mobile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A multinational perspective. Teaching English with Technology, 18(3), 105-125.

Moura, A., & Carvalho, A. A. (2013). Frame work for mobile learning integration into educational contexts. In L. B. Zane & M. Lin (Eds.), Handbook of mobile learning (pp. 58-69). New York: Routledge.

listening assessment. STEM Journal, 19(3), 109-126.

Nah, K. C., White, P., & Sussex, R. (2008). The potential of using a mobile phone to access the internet for learning EFL listening skills within a Korean context. ReCALL, 20(3), 331-347.

Nosratinia, M., & Somayeh, R. (2014). The effect of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tasks on EFL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ability. IOSR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9(3), 203-216.

Oh, S. R., & Somera, B. (2018). A study on English education using mobile phone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4), 1353-1362.

Ok, M. W., & Ratliffe, K. T. (2018). Use of mobile device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 research synthesi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56(4), 538-562.

Ozdamli, F., & Cavus, N. (2011). Basic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learning.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8, 937-942.

Patrick, S., Kennedy, K., & Powell, A. (2013). Defining and integrating personalized, blended and competency education. iNACOL. Retrieved January 05,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s://www.capss.org/

up l o ad e d/ 2 01 4_ R ed e s i gn/ L e a de r s hi p _ De v e l op me n t /P e rs on a li z e d_

Learning_Newsletters/issue_6/iNACO-Mean-What-You-Say-October-2013.

pdf

Quinn, C. (2012). Tapping into the mobile revolution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3(1), 248-250.

Reay, J. (2001). Blended learning: A fusion for the furture. Knowledge Management Review, 4(3), 1-6.

Reiss, M. (1985). The good language learner: Another look.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41, 511-523.

Richards, J. C. (2015). The changing face of language learning: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RELC Journal, 46(1), 5-22.

Rivers, W. M. (1981). Teaching foreign-language skill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Robinson, P. (1996). Learning simple and complex second language rules under implicit, incidental, rule-search and instructed condition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8(1), 27-68.

Roner, S. (2009). Blended learning boosts achievement. EDBuzz. Retrieved January 05,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edbuzz.org/sroner/

2009/07/blended-learning-boosts-achievement/

Samuels, J. (2003). Wireless and handheld devices for languag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19th annual conference on distance teaching and learning. Madison, WI. Retrieved January 07,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uwex.edu/disted/conference/Resource_library/proceedings/

03_50.pdf

Savignon, S. J. (1983). Communicative competence: Theory and classroom practice. Boston: Addison-Wesley.

Schmidt, R. W. (1990). The role of consciousnes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pplied Linguistics, 11, 129-158.

Schmidt, R. W. (1994). Implicit learning and the cognitive unconscious: Of artificial grammars and SLA. In N. Ellis (Ed.), Implicit and explicit learning of languages (pp. 165–209). London: Academic Press.

Schulz, R. A. (2001). Cultural differences in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concerning the role of grammar instruction and corrective feedback. The Modern Language Journal, 85(2), 244-258.

Scott, V. (1998). An empirical study of explicit and implicit teaching strategies in French.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3, 14-22.

Seo, W. H., & Choi, I. C. (2014). The effect of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expression learning and satisfaction.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7(1), 34-57.

Shin, N. (2003).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4(1), 69-86.

learning. Retrieved January 05, 2019, from the World Wide Web: http://

www.centra. com/download/whitepapers/blendedlearning.pdf

Skehan, P. (1998). A cognitive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mith, J. M. (2001). Blended learning: An old friend gets a new name. Greater Washington Society of Association Executives, 1-11.

Swain, M. (2005). The output hypothesis: Theory and research. In E. Hinkel (Ed.), Handbook on research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p. 471-484). Mahwah, NJ: Erlbaum.

Thornbury, S. (2000). How to teach grammar. London: Longman.

Wagner, E. (2006). On designing interaction experiences for the next generation of blended learning. In C. J. Bonk & C. R. Graham (Eds.),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pp. 41-54). San Francisco, CA: Pfeiffer.

Wilson, B. G., & Christopher, L. (2008). The e-learning handbook: Past promises, present challenges. San Francisco, CA: Pfeiffer.

Wiseman, J. P., & Aron, M. A. (1970). Field projects for socioloy students. San Francisco, CA: Canfield Press.

Zhang, J. (2009). Necessity of grammar teaching.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2(2), 184-187.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6-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