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교회의 원심적 선교의 적용

계에서 선교사를 세 번째154)로 많이 보내는 국가가 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06 년 장로교 통합측의 선교사 파송현황은 80개국 475가정 874명155)을 해외 선교사 로 파송하고 있다.

한국교회의 선교적 특징을 살펴 보면 가장 큰 변화는 불과 120여년의 역 사 동안 피선교지에서 선교국으로 변모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일 뿐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 명령에 믿음으로 응답한 한국교회의 순종의 결과 이기도 하다. 세가지로 한국교회의 특징을 얘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 는 세계선교 역사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 세계선교가 이뤄졌는데도 선교에 참여하 는 기회를 부여받았다. 둘째, 한국교회는 신속하게 피선교지의 처지에서 선교국으 로 전환하였다. 셋째, 한국교회는 이제 단순한 선교 동참국이 아니라, 선교 대국이 되었다. 따라서 이제 한국 교회는 진일보한 선교를 감당해야만 한다. 선교주도국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나라에 그러한 시대적 사명을 주신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선교의 선교적 현황과 추세를 살펴 보면서 좀더 원심 적 선교를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적 방안을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 현재 세계선교의 선교적 현황과 추세를 살펴보면156) 첫째, 선교의 주도 선교에서 협력 선교로 전환 하고 있다. 둘째, 목회자 위주의 선교에서 평신도 선교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제 1세계 위주의 선교에서 2/3세계 선교로 전환하고 있다. 넷째, 단독 사역에서 협력 사역으로 전환하고 있다. 다섯째, 선교사 상(image)의 변화이다. 능력 있고 유능한 선교사의 상으로부터 상대방의 능력을 끌어내고 배양해 주는 상으로 전환하고 있 다. 여섯째, 선교의 초점의 변화이다. 선교부의 확장이 아니라, 현지교회의 능력과 현지 지도자의 지도력 배양이 주관심이 되었다.

한편 세계선교의 추세와 함께 한국교회 선교의 일반적 추세를 비교하여

154) 한국세계선교협의회, 각 국가별 선교사 파송현황 통계 www.kwma.org 155)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2006년 5월 2일 통계보고. www.pck.or.kr 156) 안교성, ‘한국 장로교 선교의 전략’,『선교와 신학』8집, (서울: 장로회신학 대학 출판부, 2001), 168쪽.

살펴보면서 우리 한국교회가 앞으로 원심적 선교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 보겠다. 첫째, 한국교회는 세계적인 선교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선교지역 현지 교회와 협력하여 선교하는 일에 매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아직도 선교부 위주의 일방적인 선교가 이뤄지고 있다. 둘째, 한국교회는 여전히 목회자 위주의 선교를 하고 있다. 아직 평신도 선교가 본격화되지 못하였다. 셋째, 한국교 회는 2/3세계의 신진 세력으로 급부상하였지만, 세계선교의 지도력에는 본격적으 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지도 역량이 부족하고, 다른 2/3세계 지도자들과의 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넷째, 여전히 단독 사역 위주의 선교를 하고 있 다. 이것은 두 가지 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선교사가 개별적으로 선교하고 있다. 또한 선교 후원회(후원교회 및 후원단체)도 개별적으로 선교하고 있다. 다섯 째, 여전히 19세기적인 선교사 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에 중점이 맞 춰지다보니, 현지 지도자 양육이 소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선교 사역이 중단되 는 사례도 많다. 여섯째, 위의 경우와 연결이 되는데, 적극적인 현지 지도력 육성에 관심이 적다보니, 사역 이양 계획이나 지도력 배양이 안되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 록 현지 지도자와 마찰이 심해진다. 네비우스 정책을 통하여 자립의 전통을 지닌 한국 교회가 최근에 선교지에서 기생(parasite) 구조적인 현지 교회와 현지 교단을 형성하고 있다는 비난을 거듭 듣고 있는데, 크게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한편 한국일 은 그의 책 『세계를 품는 선교』에서 ‘현재 한국 교회가 해외에 파송한 선교사는 많지만 선교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구조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 다’157)고 말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최근 들어 이런 문제들을 인식하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선교 연합 가능성 타진, 선교사 재배치, 지역 및 사역별 전문성 등을 추구하는 것들이 필요하다.

아시아가 선교의 주도 세력으로 부상하는 21세기의 현 시점에서 한국 교 회가 원심적인 선교를 이루기 위해서 해야 할 중심적 선교 방향을 새로이 설정할

157) 한국일, ‘한국 교회 선교의 과제와 전망’,『세계를 품는 선교』, 296쪽.

필요가 있다. 이광순이 ‘한국 장로교 선교의 방향’158)이라는 글 중에서 한국교회의 선교 방향에 대한 부분을 간단히 정리하여 생각해 보면 이렇다. 첫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중심하는 선교 신학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는 말씀과 성령 중심의 선교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셋째는 미전도 지역과 도시 선교를 지향해야 할 것이 다. 넷째는 북한을 복음화 하는 것이다. 다섯째는 한국 디아스포라 선교 채널을 통 한 세계 선교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선교를 한층 활성화해서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내외 적으로 그리고 여러 가지 선교의 과 정과 현황에 비추어서 한국교회가 담당해야할 원심적 선교를 정리하였다고 본다.

한국교회는 이제 피 선교국가를 뛰어넘어서 세계를 향하여 원심적 선교 의 중추적 역할을 감당할 나라가 되었다. 구심적 선교를 통한 선교 뿐만 아니라 원 심적 선교를 위한 해외선교의 정확한 분석과 정책으로 원심적 선교가 이루어 지도 록 ‘선교역사의 제 2세기에 들어선 한국교회는 선교적 잠재력과 가능성을 현실화 하기 위해 선교의 거품을 제거하고 올바르고 든든한 기반위에서 겸손한 자세로 세 계선교에 동참’159)해야 하겠다.

158) 이광순, ‘한국 장로교 선교의 방향’,『선교와 신학』8집, (서울: 장로회신학 대학 출판부, 2001), 153-54쪽.

159) 한국일, ‘선교 120년과 한국선교의 미래’,『선교와 신학』14집, (서울: 장 로회신학대학 출판부, 2004), 140쪽.

IV. 결 론

이제까지 원심적 선교와 구심적 선교의 개념적 이해와 구약에 나타난 선 교와 신약에 나타난 선교, 그리고 구심적 선교와 원심적 선교의 신학적 평가와 한 국교회의 적용을 살펴 보았다. 이제 결론을 통하여 본 논문을 맺도록 하겠다.

성경안에 나타난 선교의 두가지 원리인 구심적 선교와 원심적 선교 원리 를 생각하고 연구하면서 오히려 성경안에 좋은 선교의 모델이 숨어있었는데 그 사 실을 몰랐던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것은 선교학자들이 성경을 대하는 태도와도 연 결된다고 볼 수 있다. 선교학자들은 성경 본문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다양성을 간 과함으로써 선교에 대한 성경적 동기를 단지 하나의 개념 혹은 하나님의 본문으로 제한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160) 성경을 가르치는 목회자들은 이런것들을 분 별하여 교인들에게 전해야 한다. 잘못 하면 일반 교인들에게 잘못된 성경적 선교를 가르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성경은 선교에 대하여 중요한 많은 원천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성경을 통하여 우리의 선교가 더욱 발전되어야 하겠다. 다 른 어떠한 선교 원리들보다 성경을 바탕으로 구심적 선교 원리와 원심적 선교 원 리를 잘 이해하고 정리하여 선교가 더욱 활발하게 되는데에 사용하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