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3. 팀 학습 행동

가. 팀 학습 행동의 개념

팀 학습은 학계에서 합의된 정의가 없는 개념 중 하나다. 집단 학습(group learning), 협업적 학습(cooperative learning 또는 collaborative learning)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한다. 심지어 동일한 용어라도 정의나 하위 구인이 상이하기도 하다.

이와 같이 파편화되어 있는 팀 학습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서 팀 학습에 대한 관점, 유사 용어, 학습 유형, 학습이 일어나는 수준을 살펴봐야 한다.

첫째, Jehn과 Rupert(2008), 이은표(2017), 전영욱(2009)에 따르면 팀 수준에 서의 학습은 크게 (1)결과적 관점, (2)과정적 관점, (3)통합적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팀 학습에 대한 관점 별로 선행 연구자들이 언급한 팀 학습의 개념을 종 합하여 [부록1]에 제시하였다.

(1)결과적 관점은 팀 구성원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팀의 집 단적인 수준의 지식과 스킬을 팀 학습으로 개념화한다(Ellis, Hollenbeck, Ilgen, Porter, Moon & West, 2003). 즉 팀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 변화의 결과물에 관 심을 갖는 것이다.

(2)과정적 관점에서의 팀 학습은 구성원들 개개인이 지식, 정보를 공유하고, 질문하고, 피드백을 받고, 새로운 시도를 하는 상호작용 행동들로 정의된다 (Brandon & Hollingshead, 1999; Crossan, Lane, White & Djurfeld, 1995;

Edmondson, 1999; Edmondson, 2002; Edmondson, 2003; Gibson & Vermeulen, 2003; Hinsz, Tindale, & Vollrath, 1997; Jehn & Ruppert, 2008; Kasl, Marsick &

Dechant, 1997; Kayes, Kayes & Kolb, 2005; Kozlowski & Bell; 2008; Laughlin &

Hollingshead, 1995; London, Polzer, & Omoregie, 2005; Marks, Zaccaro &

Mathieu, 2000; Rupert & Jehn, 2006; Senge, 1990; Senge, Kleiner, Roberts, Ross,

& Smith, 1994; Sessa & London, 2008; Sole & Edmondson, 2002; Tannenbaum, Smith-Jentsch, & Behson, 1998; Tjosvold, Yu & Hui, 2004; Van den Bossche et al., 2006; Van der Vegt & Bunderson, 2005; Van Offenbeek, 2001; Wilson, Goodman & Cronin. 2007).

(3)통합적 관점은 구성원들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 생성된 새로운 지식과 능력 모두를 팀 학습으로 간주한다(Argote, Gruenfeld &

Naquin, 2001; Arrow & Cook, 2008; Burke, Stagle, Salas, Pierce & Kendall, 2006).

팀 학습을 연구한 많은 학자가 팀 학습을 과정이자 팀에 유용한 결과를 만 들어내기 위한 행동으로 개념화하였다. 팀 학습 연구에서 팀 학습을 팀 학습의 결과보다 과정으로 보는 관점이 주를 이루는 이유는 팀 학습을 포괄하는 팀 효 과성 프레임워크와도 관련이 깊다. 팀 효과성의 프레임워크인 IPO(Ancona &

Chong, 1999; McGrath, 1991)와 IMO(Ilgen et al., 2005; Mathieu et. al., 2008)에서 도 집단적인 학습 행동은 팀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과정 변인으로 간주된다. 또한, 팀 학습의 결과는 결과 그 자체라기보다는 다시 팀 효과성의 선 행 변인과 과정 그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순환적 성격을 갖는다(Brandon &

Hollingshead, 1999; Kozlowski & Bell, 2008; Edmondson, 1999; Edmondson, 2002;

Edmondson, 2003; Van Offenbeek, 2001; Wilson et al., 2007). 다시 말해 팀 학습 행동의 결과는 고정적이지 않고 가변적이기 때문에(Kozlowski & Bell, 2008), 결 과의 관점에서 팀 학습을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반면 과정의 관점에서 팀 학습 행동을 관찰하는 것은 보다 직접적이고 명확하다(전동원, 2013). 따라서 이 연구에서도 팀 학습을 과정적 관점에서의 팀 학습 행동으로 개념화하였다.

둘째, 과정적 관점 안에서도 팀 학습은 집단 학습, 집단 학습 과정, 집단 수

준의 정보 처리 등의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여전히 팀 학습의 유사 용 만 Edmondson(1999)과 Gibson & Vermeulen(2003)은 다른 요인들로 팀 학습 행 동을 구인하였다. 또한 Edmonson은 동일한 요인으로 구인한 변인임에도 연구에

셋째, 팀 학습의 유사 용어와 팀 학습의 유형 간 구분도 필요하다. Sessa와 London(2008)은 개인 수준에서와 마찬가지로 팀 수준에서의 학습도 적응적 학습 (adaptive learning), 생성적 학습(generative learning), 전환 학습(transformative learning)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들은 외부로부터 오는 학습에

[그림 Ⅱ-2] 학습 자극과 준비도에 따른 학습 유형 자료 :  Sessa & London (2008)의 본문 재구성

마지막으로 팀 학습을 개념화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일어나는 수준, 즉 개인 학습, 팀 학습, 조직 학습 간의 차이를 구분해야 한다. Kozloski와 Bell(2008)은 팀 학습이 다수준적인 현상이며, 팀 구성원 개개인이 함께 관찰, 소통, 의견 교환, 협업, 코칭 활동을 하면서 발생한 개인적인 학습의 결과물들이 집단적인 형태로 통합되는 과정이라고 개념화하였다. 기본적으로 학습은 개인의 인지, 정서, 행동 등 심리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개인 수준에서 발생한다. 개개인이 정보를 획득하 고, 이 정보를 경험과 연결하여 활용 가능한 절차적 지식으로 변경하는 것이 학 습이다.

하지만 개개인은 사회적 진공 상태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공식적인 사 회적 소통 및 공식적인 업무 절차 등을 통해 정보, 아이디어, 지식, 통찰 등을 공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인 수준의 학습 산물들은 집단적 수준 으로 통합된다. 즉 팀 학습은 개인 수준의 지식, 스킬, 정서로부터 비롯된 개인 수준의 학습이 팀 수준의 지식, 스킬, 정서를 생성하는 팀 학습으로 상향되는 (bottom up) 활동이다. 또한 팀 학습 행동의 과정이자 결과는 개인 학습 행동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구성원들 간 상호작용에 의한 산물이다. 그리고 이 산물은 다시 구성원 개개인의 지식, 스킬, 정서,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하향적 과정 (top down)을 거친다. 개인 수준의 학습이 개인의 지식, 스킬, 정서, 행동 등 개 개인의 심리적 상태만을 변화시킨다면, 팀 수준의 학습은 집단적인 형태의 지식 과 스킬 등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조직 학습은 개인과 팀 수준의 연구와는 다소 다른 흐름 속에서 연구되어 왔다. 조직 학습 이론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미래를 조망한 이무원(2015)의 연구에 따르면 March와 Simon 등을 필두로 1950년대에 시작된 조직 학습 이론 은 현재는 조직 이론의 큰 틀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조직 학습 연구 분야 에서 학습이라는 용어는 조직이라는 주체가 환경에 적응하는 기제로 보고 있으 며, 세부 주제는 조직 간의 상호작용, 외부 환경에서 오는 충격에 대한 대응, 조 직 내부 의사결정 등을 다루고 있다. 즉 조직을 학습의 주체로 보는 조직 학습 연구는 구성원 개개인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는 팀 학습 연구와는 분석의 단위, 연구 주제 등이 상이하다. 하지만 이무원(2015)이 제언한 바와 같이 앞으로 는 개인, 집단 수준 등 미시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연구와 조직 간, 조직 수준 등 거시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연구 간 통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Crossan, Lane 및 White(1999), Dutta와 Crossan(2005)의 프레임워크는 개인, 팀, 조직 학습 간 연결 고리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들은 일터에서의 학습이 개인, 집단, 조직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각 수준의 학 습은 모두 연결되어있다는 4I 프레임워크(intuiting, interpreting, integrating, institutionalizing)를 제시하였다. 개개인은 직관을 통해 외부의 지식을 받아들이 고 처리하며, 개인 수준의 직관은 상호 간 해석의 과정을 거쳐 팀 수준의 학습 으로 연결된다. 집단 수준에서 이루어진 학습은 집단 간 통합의 과정을 통해 조 직으로 흡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통합 과정 반복을 통해 조직 수준에서의 제 도화가 이루어진다. Crossan 외(1999)과 Dutta와 Crossan(2005)에 의하면 팀 학습 은 개인 수준의 학습과 조직 수준의 학습을 연결해주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Kozloski와 Bell(2008), Crossan 외(1999), Dutta와 Crossan(2005)의 견해를 종합하

면 팀 학습은 개인들 간의 학습 활동이 팀 수준으로 상향되고 연결되는 것이며, 조직 학습은 팀 학습 결과의 팀 간 통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림 Ⅱ-3] 스타트업 발전 단계에 따른 4I 프레임워크 자료 : Dutta & Crossan(2005)을 재구성

학습의 수준을 이 연구의 대상인 초기 스타트업에 적용해보면 [그림 Ⅱ-3]

과 같다. 초기 스타트업에서는 복수의 팀이 존재하지 않고 구성원들 간의 학습 결과가 초기 스타트업 전체로 연결되는 과정만 존재하므로 초기 단계의 스타트 업에서 이루어지는 집단적인 학습은 조직 학습이라기보다는 팀 학습으로 개념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트업의 조직 학습을 연구하려면 스타트업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조직의 전략과 조직 형태의 적합성이 결정되는지를 구명해야 한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초기 스타트업 구성원들 간의 지식 공유, 성찰 등의 행동은 조직이 아닌 팀을 주체로 하고 있으며, 다루는 변인들 역시 조직 학습이 아닌 팀 학습 에서 다루는 것들이다.

종합하면, 이 연구에서는 팀 학습을 과정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과정

적 관점은 여러 상이한 팀 학습의 정의들을 포괄한다. 또한 팀 학습은 팀의 학 습 준비도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따라 적응적, 생성, 전환 학습의 다양한 유형 을 학습을 할 수 있으며 이 유형들은 팀 학습에 포함된다. 팀 학습은 여러 개인 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개인의 학습이 팀 수준으로 상향되는 과정이다. 다만 같은 과정적 관점을 취하고 있는 연구들도 파편화되어 진행되어온 탓에 각각의 연구들이 구인하고 있는 팀 학습의 세부 요인들이 상이하다는 것은 선행 연구들 의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Decuyper 외 (2010)의 팀 학습 행동 통합 모델을 바탕으로 팀 학습 행동이라는 주제로 연구된 세부 요인들을 통합하여 팀 학습 행동을 개념화하였다.

나. 팀 학습 행동 통합 모델

Decuyper 외(2010)는 시스템 이론, 다수준적 관점, 과정적 관점에 바탕을 두 고 기존 팀 학습 연구들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팀 학 습을 ‘개인, 집단, 조직 수준에서의 투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동적인 소통과 활 성화의 과정이며, 이를 통해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결과물을 제고할 수 있는 행동’이라고 정의하여, 팀 학습 행동을 결과보다는 결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으 로 바라본다는 것을 분명하게 했다.

Decuyper 외(2010)는 시스템 이론, 다수준적 관점, 과정적 관점에 바탕을 두 고 기존 팀 학습 연구들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팀 학 습을 ‘개인, 집단, 조직 수준에서의 투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동적인 소통과 활 성화의 과정이며, 이를 통해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결과물을 제고할 수 있는 행동’이라고 정의하여, 팀 학습 행동을 결과보다는 결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으 로 바라본다는 것을 분명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