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1. 초기 스타트업의 개념 및 특성

가. 초기 스타트업의 개념

스타트업이라는 용어는 200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소규모, 신생 기업의 창업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벤처 기업을 대체하거나 혼용하 여 사용되어 왔다(이현호, 황보윤, 공창훈, 2017; 전해영, 2016). 그러나 스타트업 은 벤처 기업보다 규모는 작고 사업과 조직의 가변성은 크다는 점에서 벤처 기 업과 구분된다(김은진, 2012; 이현호 외 2017). 실제로 일부 문헌에서는 스타트업 과 벤처 기업을 변별하기 위하여 신생 벤처 기업(new venture), 기술 기반의 신 생 벤처 기업(technology-based new venture)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Andries & Debackere, 2006; Brockman, 2013; El-Awad et al., 2017; Fisher &

Kotha, 2013; Kazanjian, 1988; Lin, Li, & Chen, 2006).

스타트업은 <표 Ⅱ-1>과 같이 여러 문헌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여러 학 자들이 스타트업의 중요한 특성으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신생’, ‘새 로운 제품, 서비스, 사업’, ‘혁신’이다. 신생 소기업인 스타트업은 빠르게 변 화하는 불확실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있지 못 하기 때 문에(Cardon & Stevens, 2004), 창업 직후부터 생존의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 다(Bruderl & Schussler, 1990; El-Award et al., 2017; Fisher et al., 2016). 스타트 업이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시간과 자원의 제한 속에서 경쟁자들보다 혁신적이 고 시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해야 한 다(Giardino, Paternoster, Gorscheck, & Abrahamsson, 2016). 이처럼 신생이라는 취약성은 스타트업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하지만, 신생(newness) 또는 초기(early stage)라는 용어에 대한 학계와 현장의 일관된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계와 현장에서 진행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초기 스타트업의 기준을 정의하였다.

정의 출처 반복과 확장이 가능한 사업 모델을 탐색하는 임시 조직 Blank & Dorf (2012) 기업가가 혁신과 창조적 파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사업 기회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기술적 변화와 경제적 성장을 창출하기 위해 창업한 기업

Schumpeter (1937)

시장에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보여 혁신을 창출하고 경제적 성장을 주도하는 기업

Poposka, Nanevski, &

Mihajlovska (2013)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신규 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 개발, 제공하려는 기업 Rries (2012)

기술을 기반으로 새롭게 창업한 벤처 기업의 초기 단계 Tzabbar & Margolis (2017) 사업 초기로 분류되는 창업 기업 또는

프로젝트 형태의 소규모 기업 이서한 & 노승훈 (2014)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신생 벤처 기업 전해영 (2016)

창업 후 벤처 캐피탈의 투자를 받고 있는 기업 정길호 (2017)

<표 Ⅱ-1> 스타트업의 정의

학계와 현장에서 초기 스타트업을 정의하는 기준은 크게 규모, 연령, 사업과 조직의 발전 단계다. 먼저 인원은 규모에 있어 작은 정도(smallness)를 규정할 수 있는 기준이다. Vozza(2014)는 초기 스타트업은 각기 다른 전문성을 가진 6명으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경험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Schwaber &

Sutherland(2017)는 작지만 자기 완결형 조직인 스타트업이 의미 있는 결과를 만 들어내기 위해서 3∼9명의 인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아마존의 창업가 제 프 베조스는 피자 두 판을 함께 나눠먹을 수 있는 8∼10명이 팀의 소통과 신속 한 의사결정에 가장 적절한 규모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아마존 내부에서는 이 를 피자 두 판의 법칙이라고 부르며 8∼10명을 조직의 수평적, 수직적 분화의 암묵적 기준으로 삼고 있다. 미국의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피자 두 판의 법칙이 널리 전파되며 하나의 팀으로 구성되는 초기 스타트업의 크기는 8∼10명으로 인 식되고 있다(Deutschman, 2004; 김진영, 정우진, 2019).

피자 두 판의 법칙은 학계에서 진행된 연구(Beckman et al. 2007; Beckman, 2006; Lechler, 2001)에서도 증명되었다. 미국 실리콘 밸리의 스타트업을 대상으 로 진행한 연구(Beckman et al. 2007; Beckman, 2006)에서는 10명 이하의 스타트

업을 초기 단계(young startups)로 정의하였으며, 독일의 초기 스타트업 183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Lechler, 2001)에서도 80%가 10명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 다. 한국의 중소기업기본법은 중기업, 소기업, 소상공인을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 는데, 이 중 가장 작은 단위인 소상공인은 상시근로자가 10명 미만인 기업이다.

Storey(1994)는 소기업(small enterprise)보다 더 작은 1∼10명의 기업을 초소기업 (micro enterprise)이라는 용어로 언급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계와 현장 의 기준을 종합하여 초기 스타트업의 적정 인원을 10명 이하로 정의하였다.

연령 연구

6명 Vozza(2014)

3∼9명 Scrum Guide (Schwaber & Sutherland(2017)

8∼10명 아마존 제프 베조스의 피자 두 판의 법칙 (Deutschman, 2004); 김진영, 정우진(2019) 10명 Beckman et al. (2007), Beckman(2006), Lechler (2001), Storey(1994),

한국의 소상공인 기준

<표 Ⅱ-2> 인원을 기준으로 한 초기 스타트업의 정의

인원을 통해 스타트업의 규모를 기준으로 초기 스타트업을 정의할 수 있다 면, 연령은 초기 스타트업의 신생 정도(newness)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다.

Chowdhury(2005)와 이세윤 외(2016)는 창업 후 5년 이내, Huang, Ding, &

Chen(2014)은 10년 미만의 창업 기업들을 초기 단계라고 정의하고 있다. 미국 실 리콘 밸리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Beckman, Burton, & O’Reilly, 2007;

Beckman, 2006)에서는 10년 이하의 스타트업을 초기 단계(young startups)로 정 의하였다.

이처럼 학계에서는 창업 후 10년까지를 초기 스타트업으로 보고 있는 반면, 현장에서는 조금 더 젊은 기업들을 초기 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우선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 제2조의 2의3에서는 사업을 개시한지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를 초 기창업자로 정의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창업보육협회가 운영하 는 창업보육센터도 이 법에 기초하여 3년 이내의 스타트업을 입주 대상으로 하 고 있다. 아산나눔재단과 페이스북이 공동 운영하는 남산랩 역시 3년 이하의 스 타트업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기업생멸행정통계에서는 신생

기업 1년 생존율과 5년 생존율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스타트업의 초기 단 계를 벗어나는데 평균적으로 5년이 소요된다는 의미다. 또한 아산나눔재단이 운 영하는 스타트업 보육 프로그램인 마루(MARU) 180에서는 보육 대상을 창업 5년 이내 스타트업으로 제한하고 있다. Chowdhury(2005)는 창업 후 2년 이상 5년 이 내, 이세윤(2016)은 5년 이내의 스타트업을 초기 단계로 정의하고 있다.

연령 연구

3년 창업보육센터,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2조의 2의3 초기창업자 정의, 남산랩 5년 Chowdhury(2005), 이세윤 외(2016), 통계청 기업생멸행정통계, 마루 180 7년 TIPS, IBK 창공,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2조의 2 창업자 정의

10년 Yli-Renko et al. (2001), Beckman et al. (2007), Becknam(2006), Huang et al. (2014)

<표 Ⅱ-3> 연령을 기준으로 한 초기 스타트업의 정의

정부가 R&D 자금(최대 5억원)을 매칭해주고 보육과 멘토링을 지원해주는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와 기업은행에서 지원하는 창업 보육 프로그램인 IBK 창공은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2조의 2 창업자 정의에 기초하여 사업을 개시한지 7년이 지나지 않은 스타트업을 지원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7년이라는 기준은 초기 스타트업이라기보다는 창업자를 정의한 것으로 초기 단계는 7년 미만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연구에서는 학계와 현장의 기준을 종합하여 초기 스타트업의 적정 연령은 5년으로 정의하였다.

스타트업의 발전 단계(stages of growth) 역시 스타트업의 신생의 정도를 판 단하는 잣대로 활용할 수 있다. 스타트업의 발전 단계를 구분할 때 가장 널리 인용되는 Kazanjian(1988)의 연구에 따르면, 스타트업은 (1)아이디어 기획(concept

& development), (2)사업화(commercialization), (3)성장(growth), (4)안정화 (stability), 네 단계를 거쳐 발전한다. 스타트업이 성장하면서 스타트업이 직면하 는 주요한 문제도 달라지며(Kazanjian, 1988),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직의 구조, 구성원들의 숫자, 외부 투자자와의 관계 등도 달라질 수 있다(d’Amboise &

Muldowney, 1998). 최근 연구(Fisher et al., 2016)에서도 Kazanjian 연구와 유사하 게 스타트업의 발전 단계를 아이디어 기획(conception), 사업화, 성장,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Fisher 외(2016)에 따르면, Kazanjian이 언급한 마지막 단계인 안정화 에 이른 기업은 이미 사업과 인력의 규모가 커지고 조직의 구조도 관료화되어 스타트업이나 벤처라고 명명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Kazanjian(1988)과 Fisher 외(2016)의 연구를 바탕으로 스타트업의 발전 단계를 아이디어 기획, 사업화, 성장,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두 연구에서 제시한 설명을 바탕으로 단계별 특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디어 기획 단계는 공식적인 조직이 형성되기 이전을 의미한다. 이 단계 에서는 창업가가 함께 창업할 인력들을 모집하고 투자 유치를 준비한다. 또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거나,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초 기 모델(prototype)을 만들어낸다. 조직 구조적으로는 기능의 분화나 역할 분담이 명확하지 않은 시기다. 이 시기에는 뚜렷한 결과물은 없지만, 예비 창업가들의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사업 기회로 구체화하는 단계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업화 단계로의 이행하는 스타트업은 없으며, 아이디어 기 획 단계는 초기 기업가 정신이 발현되는 중요한 디딤돌이다.

사업화 단계에서는 벤처 투자자(venture capitalist)들로부터 유치한 자본금을 발판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한 준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시 기에 스타트업의 구성원들은 어떻게 고객과 시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 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관련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는데 집중한다 (Ries, 2011). 이를 통하여 아이디어 기획 단계에 만들어진 초기 모델보다 발전되 고, 사업화가 가능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이 사업화 단계의 가장 중 요한 목적이다. 사업화 단계에서는 기술적으로 중요한 기능, 즉 하드웨어 제조나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기능만 분화되며, 마케팅과 재무와 같은 다른 기능은

사업화 단계에서는 벤처 투자자(venture capitalist)들로부터 유치한 자본금을 발판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한 준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시 기에 스타트업의 구성원들은 어떻게 고객과 시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 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관련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는데 집중한다 (Ries, 2011). 이를 통하여 아이디어 기획 단계에 만들어진 초기 모델보다 발전되 고, 사업화가 가능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이 사업화 단계의 가장 중 요한 목적이다. 사업화 단계에서는 기술적으로 중요한 기능, 즉 하드웨어 제조나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기능만 분화되며, 마케팅과 재무와 같은 다른 기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