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5. 성과

가. 성과의 개념 및 측정

Mathieu 외(2008)는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팀 성과를 팀의 과정을 통해 산 출되었으며 팀을 위해 유용한 결과물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팀 성과를 조직 수준 산출물, 팀 수준 산출물, 팀 행동, 팀 수준 산출물과 팀 행동의 조합, 역할 기반 성과, 다섯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범주 측정 방법 예시

조직 수준 산출물 객관적 지표 재무성과

팀 수준 산출물 객관적 지표, 리더 평정 고객 만족도, 팀 혁신

팀 행동 리더 평정, 구성원들 평정 팀 민첩성

팀 수준 산출물과 팀 행동의 조합

객관적 지표, 리더 평정,

구성원들 평정 업무품질+대인관계스킬

역할 기반 성과 리더 평정, 구성원들 평정 요구된 역할 수행 정도

자료 : Mathieu et al. (2008)

<표 Ⅱ-16> 팀 성과의 분류

조직 수준의 산출물은 매출, 이익, 시장점유율, 기업가치 등 주로 객관적인 재무성과를 의미한다. Mathieu 외(2008)는 팀 성과의 하위 범주 중 조직 수준 산 출물은 팀 수준이 아니지만, 궁극적으로는 팀 수준의 산출물이 어떻게 조직 수 준의 산출물과 연계될 수 있는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팀 수준의 산출물은 팀 단위로 산출될 수 있는 재무적, 비재무적 객관적 지 표 또는 상위 리더가 평정한 성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고객 서비스 팀의 고객 만족도는 객관적 지표이며, 연구개발 담당 임원이 평정한 연구개발팀의 혁신은 리더가 평정한 팀 수준 산출물에 해당한다. 팀 행동은 팀 수준 산출물보다는 주 관적인 지표다. 상품기획팀이 시장과 고객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도를 리 더 또는 구성원들이 평정한다면 이를 팀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역할 기반 성과는 팀에 주어진 역할을 얼마나 충실하게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다.

Mathieu 외(2008)는 팀 수준의 산출물과 팀 행동은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영 역이 다르므로 둘을 조합한 지표를 생성한다면 보다 포괄적으로 팀 성과를 측정 할 수 있다고 제언하였다. 업무 지식, 업무 결과의 지식과 양 등의 팀 수준의 산 출물과 구성원들의 진취적 태도, 계획과 자원할당과 행동을 조합하는 것이 그 예이다.

나. 초기 스타트업의 성과

이 연구에서는 초기 스타트업을 팀 수준으로 정의하였으므로, 팀 성과의 개 념을 적용하여 스타트업의 성과를 정의하였다. 따라서 스타트업 성과는 초기 스 타트업의 과정을 통해 산출된, 즉 창업 이후 변화에 의해 발생된 초기 스타트업 을 위해 유용한 결과물이라 정의할 수 있다.

팀 성과는 어떤 팀에서나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측정 도구를 활용하기보 다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팀의 기능과 과업을 신중하게 반영하여 그에 맞춤화된 지표들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Mathieu et al., 2008). 같은 맥락에서 스타트업 성과 역시 대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사용한 팀 성과 측정 도구를 사 용하는 것보다 스타트업의 특성을 반영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매출과 이익이 아직 발생하지 않거나 소규모로 발생하 며 경쟁자가 분명하지 않은 초기 스타트업의 특성이 잘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 다. 이를 위하여 Mathieu 외(2008)가 팀 성과를 분류하는 사용한 틀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장면에서 사용된 성과 변인들을 분석해보면 [부록3]과 같다.

스타트업 성과 변인 중 산출물은 창업가 또는 창업팀이 측정한 것들(Gundry et al., 2016; Huang et al., 2014; West, 2007)과 객관적 지표들(Backman et al., 2007; Begley & Boyd, 1987; Brinckmann & Hoegl 2011; Chandler & Lyon, 2009;

Chen & Wang, 2008; Chen, 2007; Ensley & Pearce (2001); Ensley, et al., 2002;

Lechler, 2001; Higashide & Birley, 2002; Vissa & Chacar, 2009; 포효다 외 2009) 로 구분된다. 측정 방법은 상이하지만 산출물은 구성원들의 행동보다는 결과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매출 성장률, 시장점유율 등 산출물은 초기 스타트업에 서는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성과 지표들이다.

Beckman(2006), Chowdhury(2005), Dess와 Robinson(1984), Khan 외(2015), Lumpkin와 Dess(1995), West(2007), 이세윤 외(2016) 등 선행 연구자들은 재무적 성과 등 객관적 지표를 통해 성과를 측정하기 어려운 초기 스타트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창업가의 지각을 통해 초기 스타트업의 성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이세 윤 외(2016)는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이를 바탕으로 내부 자 원을 신속하게 조율해내는 구성원들의 행동을 성과 변인으로 활용하였다. 구성 원들의 행동으로 구성된 구인이기 때문에 6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하였으 며, 신뢰도는 .90으로 보고되었다. Beckman(2006)은 스타트업의 전략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네 가지 전략적 유형과 탐색·실행 전략을 연결한 선행 연구 (Hanna, Burton, & Baron, 1996)를 활용하였다. 창업가에게 자사를 가장 잘 표현 하는 전략적 유형을 선택하도록 요청한 뒤 연구자가 각 유형과 전략적 행동을 연결하여 코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Khan 외(2015)와 Chowdhury(2005)는 산출물과 행동을 조합한 성과 변인을 사용하였다. Khan 외(2015)는 팀 효과성과 팀 효율성, 2개의 요인으로 구인된 변 인으로 창업팀의 혁신 성과를 측정하였다. 두 개의 요인은 각각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요인별로 2개의 산출물과 2개의 행동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팀 효과성의 신뢰도(α)는 .88로, 팀 효율성의 신뢰도(α)는 .89로 나타났다.

Chowdhury(2005)는 3개의 산출물, 3개의 행동, 산출물과 행동을 조합한 종합적 성과, 총7개로 구성된 문항으로 창업팀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신뢰도(α)는 .86 으로 나타났다.

Chowdhury(2005)는 스타트업의 성과를 객관적 지표가 아닌 주관적 인식을 통해 측정하였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표본 중 매출이 발생한 일부 스타트 업(최종 연구 대상인 79개 중 29개)을 대상으로 성과와 초기 스타트업의 2개년 매출 성장률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변인 간 상관 계수는 .87(p<.001)로 나타났다. 29개를 제외한 50개는 2년 연속 매출이 발생하지 않아

매출 성장률을 산출하지 못 하였지만, 주관적으로 측정한 창업팀 효과성과 매출 성장률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기 때문에 Chowdhury(2004)의 도구는 타당성이 높다. 이는 Dess와 Robinson(1984), Lumpkin와 Dess(1995) 등이 재무 성과를 측정 할 수 없을 경우 대안적으로 주관적 인식으로 성과를 측정하되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제언을 충실히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