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스타트업은 지식과 기술을 조합하여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혁신의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Brockman, 2013; El-Award, Gabrielsson & Politis, 2017; 전해영, 2016). 스타트업의 혁신은 고용 창출로도 이어진다. 지난 30년간 미국에서 기존 기업의 일자리는 매년 100만개씩 감소하였으나, 스타트업은 매년 30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냈다(아산나눔재단, 구글캠퍼스서울, 2017). 국 내에서도 2000년 8,798개였던 벤처 기업은 2016년 말에는 32,289개로 증가하였으 며, 총매출도 2010년 117조원에서 2016년 말 228.2조원으로 상승하였다(벤처기업 협회, 2017; 전해영, 2016). 또한 2014년 기준 국내 벤처 기업의 최근 5년간 고용 증가율은 8%로, 30대 그룹의 고용증가율 1.3%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벤처 기업협회, 2016).

그러나 모든 스타트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다. 스 타트업의 본고장인 미국에서조차 약 70%의 스타트업이 창업 20개월 만에 실패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B Insights, 2018). 국내 스타트업의 3년 생존률 역시 38%로 미국에서 진행된 조사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OECD, 2015). 이와 같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부는 2013년에 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보육하기 위한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프로그램”을, 2016년에 “액셀러레 이터 인증 프로그램”을, 2019년 3월에는 “제2벤처 붐 확산 전략”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아산나눔재단, 구글스타트업캠퍼스, 스타트업얼 라이언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2019).

초기 스타트업이 실패하지 않도록 지원하는 정부와 산업계의 노력에 호응하 여 학계에서도 초기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 한 연구가 필요하다. CB Insights(2018)의 조사는 초기 스타트업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과정에서 인적자원개발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조사에서는 20개월 이내에 폐업한 초기 스타트업 약 100여개를 대상으로 실 패 사유를 사후 추적하였다. 그 결과, 시장과 고객 니즈 파악, 투자를 통한 자본 조달, 상품개발 외 팀 구성과 협업 등 인력개발 관련 이슈도 초기 스타트업의 성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스타트업이 효과적으 로 팀을 구성하고, 내·외부의 협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 초기 스타트업의 생존 가능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초기 스타트업이 생존하고 성장하는 과정은 혼자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진 사회적 산물이다. 따라서 스타트업 구성원 들이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창업과 사업 운영 과정의 경험을 지식 으로 전환하는 팀 수준의 기업가적 학습(Cope, 2003; Cope, 2005; Politis, 2005)이 필요하다. 모든 구성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팀 학습에 적극 참여한다면, 초기 스타트업은 다른 조직보다 더 민첩하게 시장에서 검증 가능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다(Ries, 2011). 즉 팀 학습 행동은 초 기 스타트업이 신생과 소규모에서 오는 경험과 자원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활동이다.

리더십은 팀 학습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을 뿐 아니라 (Koeslag-Kreunen, Van den Bossche, Hoven, Van der Klink, & Gijselaers,2018), 팀 심리적 안전감, 팀 효능감과 같은 일시적 상태나 팀 구조, 팀 구성과 같은 팀 수준 투입물보다 쉽게 처치가 가능한 선행 변인이다. 리더십 중에서도 기업가적 리더십은 초기 스타트업에 필요한 창업가의 리더십 특성을 개념적으로 잘 반영 하고 있다(Gupta, MacMillan, & Surie, 2004; Renko, Tarabishy, Carsrud &

Brannback. 2015). 기업가적 리더십은 불확실하고 위험이 높은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에게 새롭고 창의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혁신과 변화를 만들 어내는 리더십 행동으로 정의된다(Gupta et al., 2004).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은 초기 스타트업이 다음 사업단계로 발전하는 전 략적 변곡점을 만들어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Swiercz & Lydon, 2002).

창업가가 유망한 비전을 바탕으로 초기 스타트업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방향

과 방법을 제시한다면, 스타트업 구성원들이 함께 학습하고 위기를 극복하려는 동기는 더욱 강해질 것이다. 그리고 활성화된 창업가와 구성원들의 팀 학습 행 동은 아이디어가 단지 아이디어에 그치지 않고 시장과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로 연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초기 스타트업은 내부 자원이 충분하지 않고 외부 환경에 대한 취약성 이 높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생존하거나 성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초기 스타트업에 게 파트너십을 통해 외부 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는 팀 경계 확장 행동(Marrone, 2010)은 매우 중요하다. 초기 스타트업은 팀 경계 확장을 통해 자원의 내재화 없이도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 로부터 학습한 정보를 내부에서 공유·정교화·적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축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롭게 획득한 지식은 다시 외부에서 더 유용하고 가치 있는 지식을 획득하는데 영향을 미친다(Bresman, 2010; Brooks, 1994). 이처럼 초 기 스타트업이 신생과 소규모의 위기를 극복하고 경쟁사가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팀 학습 행동과 팀 경계 확장 행동의 선순환 과정이 필요하다(Boyd, Dess, & Rasheed, 1993; Brush, Greene, & Hart, 2001).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시사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이 론적으로는 초기 스타트업에서 팀 학습 행동의 선행, 결과, 조절 변인을 포괄하 는 개념적 틀을 제시할 수 있다. 이 연구 모형은 창업가 개인의 자본력, 외부 투 자와 같은 재무적 요인만이 아닌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구성원들의 팀 학 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과 같이 개발 가능한 인적 자원도 스타트업의 성공 또는 실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실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실천적 으로는 초기 스타트업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개 발, 팀 학습 행동 및 팀 경계 확장 행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제언은 스타트업을 시작하려는 창업가, 초기 스타트업을 운영 중인 창업가와 구 성원들,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육성하는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효과 적인 스타트업을 만들어가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