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자기효능감의 선행연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6)

자기효능감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자기효능감이 학습목표의 달성을 예측하 는 주요 변인이라고 제안하고 있으며, 자기조절학습, 자기개념, 성취목표, 학습전 략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Pajares, 1996; Usher & Pajares,

2008; Bong & Skaalvik, 2003; Zimmerman, 1989; Pintrich & De Groot, 1990; Zimmerman, Bandura et al., 1992).

이들 연구에 의하면 학습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인지전략을 더 많이 사 용하고, 과제의 난이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꾸준한 지속성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 하므로 학습수준이 높다고 주장했다. Pintrich, De Groot(1990)은 중학생 173 명을 대상으로 학업수행, 내재동기, 인지전략 간의 영향관계를 연구 한 결과, 자 기효능감은 학습의 전략 및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전략의 모든 하위변인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Pintrich & Garcia (1991)는 Pintrich, De Groot라는 학습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내적동기와 자기효능 감이 자기조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자신이 학업적인 과제수행을 잘 해 나갈 수 있다는 학생들은 더 많은 인지적 전략을 사용하였으 며,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시간이 길었다.

Bandura & Schunk(1981)는 각 단계별로 학습과제의 세부 하위목표를 설정 한 학생들이 전체 과제를 목표로 설정한 학생들 보다 학습에 대한 수행 수준이 높았고, 이와 함께 자기효능감도 높게 나타남을 밝혀냈다. 즉, 또래에 대한 모델 이 자기효능감을 높이며, 과제의 수행수준을 높인다는 사실을 알아냈으며, 특정 과제와 관련하여 학습자기효능감은 그 변화가 가능하며, 자기효능감의 증진은 과 제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였다.

Mone, Baker et al.(1995)는 자기효능감이 개인적 목표와 그에 따른 수행수 준을 예측하며, 목표 달성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다.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 수행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른 동기적, 인 지적 변인과 상호 간에 영향을 준다고 제안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노력 의 투여, 과제 집중력, 행동의 선택 등에 영향을 미치고, 이와 관련하여 학습수행 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Hackett & Betz(1981)는 Bandura 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진로분야에 적용하여 사회인지 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으로 발전시켰으며, 이 이론은 환경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진 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수행하였다.

Chemers et al.(2001)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수행 및 적응에 큰 영향을 주고, 학습활동에는 직접적 영향, 기대심리와 대처지각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연구는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

업성취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성취목표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 Zimmerman, Bandura et al.(1992)의 연구와도 일치했다.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권대훈(1995)은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전략 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낮은 학습자들과 비교하여 학습자료를 더욱 잘 처리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김아 영·박인영(2001)은 개인의 수행수준을 잘 예측할 수 있는 복수적인 자기효능 감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학업상황에 대한 자기효능감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 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아영·차정은(2003)은 교사 69명과 학생 2,523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 여 교사의 효능감 수준이 낮을수록 학생의 학업적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김연선(2008)은 서울시내 특급 호텔 지배인과 직원 356명을 대상으로 셀프리더 십이 팀웍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지만 조직몰입에 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곽재덕과 김진모(2010)는 기업교육훈련 참여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유 인가, 직무몰입 및 상사지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교육훈련 참여자의 자기 효능감과 직무 몰입, 상사지원은 학습동기와 유인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증명했 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학습경험을 지 속적으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신에 대한 믿음과 확신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채희원(2017)은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역기능적 진로사고, 사회적지 지에 따른 진로관심 유형 분석 연구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자가 학업적 상황에서 과제의 수행을 위해 행위를 조직하고 실행에 나아가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진로문제에 있어서 적극적 행동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정리하면 학습자기효능감은 개인의 업무능력 향상에 도움 을 미치는 주요 변인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 전반에 걸쳐서 많은 영향을 미치 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학습자기효능감이 높은 개인들은 직무에서 높은 수행효과가 기대된다고 예상할 수 있다.

제6절 현업적용도(Transfer of Training)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