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멘토링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1-127)

8. 멘토링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멘토링의 심리사회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최종모형에서 심리사회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 간 상 호작용항 또한, 유의하지 않아 멘토링의 심리사회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과의 관 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은 조절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표 4-19>는 멘토링의 심리사회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개인-직 무적합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검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구분 변 수

모형 1 모형 2 모형 3

β t β t β t

통제 변수

업무(영업/마케팅) .111 2.357* .101 2.280* .101 2.273* 일학습병행제 수료 -.025 -0.522 -.050 -1.091 -.050 -1.090

독립 변수

경력개발기능(A) .223 2.819** .166 2.219* .165 2.212* 심리사회기능(B) .195 2.334* .144 1.837 .144 1.834 역할모형기능(C) .236 3.271** .161 2.348* .161 2.343* 조절

변수 개인-직무적합성

(D) .323 6.450*** .323 6.326***

작용항상호 B×D .002 0.053

통계량

F 37.334*** 42.508*** 36.307***

R2 .397 .475 .475

⊿R2 .077 .000

<표 4-19> 심리사회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주) * p<.05, ** p<.01, *** p<.001

또한, 역할모형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 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최종모형에서 역할모형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 간 상호 작용항은 유의하지 않아 멘토링의 역할모형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은 조절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가 설 8은 기각되었다.

<표 4-20>은 멘토링의 역할모형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검증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구분 변 수

모형 1 모형 2 모형 3

β t β t β t

통제 변수

업무(영업/마케팅) .111 2.357* .101 2.280* .100 2.267* 일학습병행제 수료 -.025 -0.522 -.050 -1.091 -.050 -1.103

독립 변수

경력개발기능(A) .223 2.819** .166 2.219* .164 2.206* 심리사회기능(B) .195 2.334* .144 1.837 .140 1.789 역할모형기능(C) .236 3.271** .161 2.348* .167 2.429* 조절변수 개인-직무적합성

(D) .323 6.450*** .310 6.095***

상호

작용항 C×D .062 1.412

통계량

F 37.334*** 42.508*** 36.849***

R2 .397 .475 .479

⊿R2 .077 .004

<표 4-20> 역할모형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주) * p<.05, ** p<.01, *** p<.001

제4절 가설검증 결과 요약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지원하는 재직자훈련 중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현장맞춤형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일학습 병행 사업의 훈련성과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 훈련에서 기 업현장교사의 멘토링기능(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이 학습근 로자의 학습성향(학습목표지향성, 학습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멘토링기능과 학습근로자의 학습성향 간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구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설정한 연구가설에 대한 변수 간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는 다음 [그림 4-5]와 같다.

주) 모든 수치는 표준화 수치임

[그림 4-4] 변수 간 영향관계 검증 결과

아울러,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멘토링기능의 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은 학습목표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가설 1은 모두 채택되었다.

멘토링기능의 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은 학습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가설 2는 채택되었다.

학습목표지향성은 현업적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반면에, 학습자기효능감은 현업적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가설 4는 기각되었다.

멘토링기능의 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은 학습목표지향성을 매개하여 현업적용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가 설 5는 채택되었다.

멘토링기능의 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은 학습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현업적용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검증되 었고, 가설 6은 기각되었다.

멘토링기능의 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개인-직무적합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그러므로, 가설 7은 채택되었다.

멘토링기능의 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이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개인-직무적합성이 조절역할을 하지 못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가설 8 은 기각되었다.

다음 <표 4-21>은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였다.

구분 가 설 결과 H1-1 경력개발기능은 학습목표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1-2 심리사회기능은 학습목표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1-3 역할모형기능은 학습목표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2-1 경력개발기능은 학습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2-2 심리사회기능은 학습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2-3 역할모형기능은 학습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3 학습목표지향성은 현업적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4 학습자기효능감은 현업적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H5-1 학습목표지향성은 경력개발기능과 현업적용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채택 H5-2 학습목표지향성은 심리사회기능과 현업적용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채택 H5-3 학습목표지향성은 역할모형기능과 현업적용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채택 H6-1 학습자기효능감은 경력개발기능과 현업적용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기각 H6-2 학습자기효능감은 심리사회기능과 현업적용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기각 H6-3 학습자기효능감은 역할모형기능과 현업적용도와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기각 H7-1 개인-직무적합성은 경력개발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채택 H7-2 개인-직무적합성은 심리사회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채택 H7-3 개인-직무적합성은 역할모형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채택 H8-1 개인-직무적합성은 경력개발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기각 H8-2 개인-직무적합성은 심리사회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기각 H8-3 개인-직무적합성은 역할모형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기각

<표 4-21> 가설 검증 결과 요약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