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타당도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03)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타당성은 내용 타당성, 예측 타당성, 개념 타당성으로 구분되며, 연구에 사용한 측정변수를 토대로 그 개념이 속성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였 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측정구조의 형태가 이론적 논의를 바 탕으로 가설화되고 이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모델의 신뢰성과 타당성의 확보는 차후 연구모형 분석을 위한 논리적인 근거가 된다.

가. 멘토링기능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멘토링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 는데, CFI=.792, TLI=.774, RMSEA=.090으로 나타나 CFI와 TLI가 .90에 크 게 미치지 못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모형 적합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요인 적재 치가 .4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난 항목을 순차적으로 제외하였고, .40 이상이더라 도 측정오차가 높게 나타나 적합도를 저해하는 항목은 제외되었다.

그 결과 CFI=.924, TLI=.906, RMSEA=.083으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는 양 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멘토링의 경력개발기능은 14개 항목 중 타당도를 저해 하는 8개 항목이 제외되어 6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심리사회기능은 11개 항목 중 타당도를 저해하는 6개 항목이 제외되어 5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역할모 형기능은 4개 항목 중 타당도를 저해하는 1개 항목이 제외되어 3개 항목으로 구 성되었다. 멘토링기능(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에 대한 요인적 재수치는 다음 <표 4-1>과 같다.

변수 측 정 문 항 요인 적재치

경력 개발 기능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내게 승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 지

식, 경력을 쌓는 업무를 부여해 준다. .613

멘토(기업현장교사)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특별한 방

법을 가르쳐준다. .669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나의 경력발전에 위협이 되는 요인들로부

터 보호해 준다. .641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내게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도전

적인 과업을 부여해 준다. .658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나의 업무성과 정도에 대해 알려주고 격려

해 준다. .744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나의 경력발전을 위해 내가 맡아야할 직

책·보직·경력진로에 대해 조언해 준다. .738

심리 사회 기능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내가 처리하기 곤란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을 준다. .616

내가 업무수행 방식을 새롭게 변경하여도 멘토(기업현장교사)는

기꺼이 수용하고 격려해 준다 .694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나의 이야기를 관심을 가지고 들어준다. .722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나의 걱정이나 불만을 털어놓고 이야기 할

수 있게 해준다. .712

멘토(기업현장교사)는 내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애기해준다. .678

역할 모형 기능

나는 멘토(기업현장교사)가 나를 지도해 주는 방법에 동의 한다. .676

나는 멘토(기업현장교사)를 존경한다. .777

내가 멘토(기업현장교사)와 비슷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현재 그

의 행동을 닮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770

χ2=220.311(df=74, p<.001), CFI=.924, TLI=.906, RMSEA=.083

<표 4-1> 멘토링기능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나. 학습목표지향성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학습목표지향성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CFI=.963, TLI=.948, RMSEA=.078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요인 적재치도 모두 .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도를 저해하는 항목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습목표지향성에 대한 요인적재수치 는 다음 <표 4-2>와 같다.

변수 측 정 문 항 요인 적재치

학습 목표 지향성

나는 도전적인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중요하다. .637 나는 어려운 일을 못했을 때 다음에는 더 노력하려고 마음을 먹는다. .685 나는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468 나는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중요하다. .684 나는 상당히 어려운 일을 할 때 최선을 다한다. .713 나는 과거 성과를 뛰어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756 나는 능력을 더 키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796 나는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다면 여러가지 다른 방법들을 시도한다. .734

χ2=55.082(df=20, p<.001), CFI=.963, TLI=.948, RMSEA=.078

<표 4-2> 학습목표지향성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다. 학습자기효능감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학습자기효능감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CFI=.924, TLI=.847, RMSEA=.153으로 나타나 TLI가 .90에 미치지 못하였고, 낮을수록 좋은 적합도 지수인 RMSEA는 .10 이상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이러한 모형 적합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요인 적재치가 .4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난 항목을 순차적으로 제외하였고, .40 이상이더라도 측정오차가 높게 나타나 적합도를 저해하는 항목은 제외되었다.

그 결과 1개 항목이 타당도를 저해하여 제외되었고, 4개 항목으로 구성한 결 과, CFI=1.000, TLI=.999, RMSEA=.016으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요인 적재값은 모두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변수 측 정 문 항 요인 적재치

학습 자기 효능감

나는 회사에서 정기적으로 새로운 업무를 배우고 있다. .889 나는 직무와 관련된 새로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874 나는 새로운 과제를 빨리 배울 수 있다. .499 나는 새로운 업무를 배우는 것이 잘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413

χ2=1.069(df=1, p=.301), CFI=1.000, TLI=.999, RMSEA=.016

<표 4-3> 학습자기효능감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라. 현업적용도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현업적용도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는데, CFI=.848, TLI=.776, RMSEA=.142로 나타나 CFI와 TLI가 .90에 크게 미치지 못 하였고, RMSEA도 .10보다 크게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모형 적 합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요인 적재치가 .4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난 항목을 순차 적으로 제외하였고, .40 이상이더라도 측정오차가 높게 나타나 적합도를 저해하 는 항목은 제외되었다. 그 결과 CFI=.981, TLI=.952, RMSEA=.080으로 나타 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변수 측 정 문 항 요인 적재치

현업적용 노력

멘티(학습근로자)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지식

(knowledge)을 업무에 적용하고자 노력하였다. .541 멘티(학습근로자)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업무에 적용하기 위하여 좀 더 자세히 알고자 노력하였다. .862

실제현업 적용

멘티(학습근로자)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

로 업무에서의 실수를 줄이는데 활용하였다. .620 멘티(학습근로자)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동료

등에게 전파하였다. .617

멘티(학습근로자)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을 동료

등과 함께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715

χ2=11.316(df=4, p=.023), CFI=.981, TLI=.952, RMSEA=.080

<표 4-4> 현업적용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현업적용노력은 타당도를 저해하는 1개 항목을 제외하여 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 고, 실제현업적용은 타당도를 저해하는 2개 항목을 제외하여 3개 항목으로 구성 되었다. <표 4-4>는 현업적용도에 대한 요인적재수치를 제시하였다.

마. 개인-직무적합성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개인-직무적합성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CFI=.850, TLI=.793, RMSEA=.140으로 나타나 CFI와 TLI가 .90에 미치지 못 하였고, RMSEA도 .10보다 크게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모형 적합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요인 적재치가 .4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난 항목을 순 차적으로 제외하였고, .40 이상이더라도 측정오차가 높게 나타나 적합도를 저해 하는 항목은 제외되었다.

그 결과 CFI=.982, TLI=.961, RMSEA=.075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는 양호 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욕구는 타당도를 저해하는 2개 항목을 제외하여 3개 항목 으로 구성되었고, 능력은 타당도를 저해하는 1개 항목을 제외하여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표 4-5>는 개인-직무적합성에 대한 요인적재수치를 제시하였다.

변수 측 정 문 항 요인 적재치

욕구

내 현재 직무를 잘 수행할 경우 제공되는 물질적 보상(임금, 복지후

생 등)은 내가 원하는 보상의 모습과 잘 일치한다. .591 나는 실제로 나의 직무로부터 내가 원하는 물질적 보상을 충분히

얻고 있다. .687

종합적으로 볼 때, 나는 나의 직무로부터 내가 원하는 것을 충분히

얻고 있다. .831

능력

나는 현재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적합한 지식(knowledge)을 보유

하고 있다. .753

나는 현재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적합한 능력(ability)을 보유하고

있다. .752

종합적으로 볼 때, 나는 현재 직무와 적합성이 높은 사람이다. .686 χ2=18.409(df=7, p=.010), CFI=.982, TLI=.961, RMSEA=.075

<표 4-5> 개인-직무적합성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