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멘토링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6-121)

H7 : 개인-직무적합성은 멘토링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7-1 : 개인-직무적합성은 경력개발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7-2 : 개인-직무적합성은 심리사회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7-3 : 개인-직무적합성은 역할모형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멘토링기능(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과 학습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서 학습목표지향성 및 학습자기효능감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변수 간 다 중공선성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평균중심화하여 분석 하였다. 먼저 경력개발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과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형에서 멘토링의 경력개발기능, 심리사회기능, 역할모형기능이 학습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46.5%로 나 타났고, 경력개발기능(β=.287 p<.001), 심리사회기능(β=.185, p<.05), 역할 모형기능(β=.240, p<.01)이 학습목표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두 번째 모형에서는 조절변수인 개인-직무적합성을 모형에

추가로 투입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3.1% 증가하여 약 49.6%로 나타 났고, 개인-직무적합성이 학습목표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검증되었다(β=.205, p<.001). 세 번째 모형에서는 경력개발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의 상호작용항을 모형에 추가로 투입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0.9% 증가하여 약 50.6%로 나타났고, 경력개발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의 상호 작용항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101, p<.05).

즉, <표 4-15>와 [그림 4-1]과 같이 경력개발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에 미치 는 정(+)의 영향을 개인-직무적합성이 조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경력개발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을 높이는 정도를 개인-직무적합성이 더 높여주 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분 변 수

모형 1 모형 2 모형 3

β t β t β t

통제 변수

업무(영업/마케팅) .096 2.150* .089 2.056* .090 2.094* 일학습병행제 수료 -.039 -0.860 -.055 -1.228 -.062 -1.389

독립 변수

경력개발기능(A) .287 3.848*** .251 3.428** .254 3.504**

심리사회기능(B) .185 2.352* .153 1.988* .149 1.944 역할모형기능(C) .240 3.518** .192 2.854** .194 2.904**

조절

변수 개인-직무적합성

(D) .205 4.181*** .177 3.533***

작용항상호 A×D .101 2.308*

통계량

F 49.173*** 46.278*** 41.037***

R2 .465 .496 .506

⊿R2 .031 .009

<표 4-15> 경력개발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주) * p<.05, ** p<.01, *** p<.001

심리사회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4-16>과 [그림 4-2]와 같다. 심리사회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의 상호작용항을 모형에 추가로 투입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1.3% 증가하여 약 50.9%로 나타났고, 심리사회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의 상호

작용항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117, p<.01).

즉, 심리사회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개인-직무적합 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심리사회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 을 높이는 정도를 개인-직무적합성이 더 높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분 변 수

모형 1 모형 2 모형 3

β t β t β t

통제 변수

업무(영업/마케팅) .096 2.150* .089 2.056* .085 1.976* 일학습병행제 수료 -.039 -0.860 -.055 -1.228 -.058 -.1.304

독립 변수

경력개발기능(A) .287 3.848*** .251 3.428** .244 3.377**

심리사회기능(B) .185 2.352* .153 1.988* .159 2.093* 역할모형기능(C) .240 3.518** .192 2.854** .190 2.862**

조절변수 개인-직무적합성

(D) .205 4.181*** .181 3.675***

상호

작용항 B×D .117 2.740**

통계량

F 49.173*** 46.278*** 41.654***

R2 .465 .496 .509

⊿R2 .031 .013

<표 4-16> 심리사회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주) * p<.05, ** p<.01, *** p<.001

역할모형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4-17>과 [그림 4-3]과 같다. 역할모형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의 상호작용항을 모형에 추가로 투입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2.2% 증가하여 약 51.8%로 나타났고, 역할모형기능과 개인-직무적합성의 상호 작용항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150, p<.001).

즉, 역할모형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개인-직무적합 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역할모형기능이 학습목표지향성 을 높이는 정도를 개인-직무적합성이 더 높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과 적으로 가설 7은 채택되었다.

구분 변 수

모형 1 모형 2 모형 3

β t β t β t

통제 변수

업무(영업/마케팅) .096 2.150* .089 2.056* .087 2.053* 일학습병행제 수료 -.039 -0.860 -.055 -1.228 -.056 -1.280

독립 변수

경력개발기능(A) .287 3.848*** .251 3.428** .248 3.457**

심리사회기능(B) .185 2.352* .153 1.988* .144 1.904 역할모형기능(C) .240 3.518** .192 2.854** .205 3.109**

조절

변수 개인-직무적합성

(D) .205 4.181*** .174 3.548***

작용항상호 C×D .150 3.543***

통계량

F 49.173*** 46.278*** 43.086***

R2 .465 .496 .518

⊿R2 .031 .022

<표 4-17> 역할모형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주) * p<.05, ** p<.01, *** p<.001

[그림 4-1] 경력개발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그림 4-2] 심리사회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그림 4-3] 역할모형기능과 학습목표지향성 간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8. 멘토링기능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개인-직무적합성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6-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