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쾌적성 제고의 실천과제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58-62)

산업사회에서의 도심기능은 토지이용 효율이나 경제적 이윤의 극대화에 의하 여 촉진될 수 있었으나 후기산업사회에서는 새로운 도시여건이 형성됨에 따라 도심여건에 부합되는 물리적 환경의 정비와 아울러 문화․예술․관광적 환경의 조성에 의하여 쾌적성이 증대될 경우에 가능하다. 특히 도심공간의 쾌적성 증대 는 궁극적으로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역사적으로 볼 때 쾌적성은 시대에 따라 주로 추구되는 관점이 상이했다. 산업 혁명 이전에는 도시생활에서 편리성을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중요했으나 점차 이 에 대한 중요성이 저하되었고 산업혁명 이후에는 환경오염방지와 환경성의 회복 이 대두되었다. 20세기 초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도시미화운동이 일어나면서 심

미성이 쾌적성 확보의 과제가 되었고, 최근에 들어와서 선진국에서 산업사회가 종료되면서 도시의 문화적 요소를 추구하게 됨에 따라 이의 상대적 비중이 높아 지고 있다.21)(<그림2-4> 참조)

<그림 2-4> 시대별 다양한 쾌적성 욕구

자료 : 전영옥. 2003. “어메니티(amenity)가 도시경쟁력이다”. 「CEO Information」

No.384.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p.5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쾌적성의 다양한 관점이 모두 도심의 발전을 위하여 필 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전술한 사항을 각각 편리성, 환경성, 심미성, 문화성 등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쾌적성의 제고를 위한 실천과제로 도심접근 및 체류의 편리성 확보,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의 조성, 선진적 심미성이 추구, 고유 문화적 자원의 육성 등을 설정하기로 한다.

(1) 도심접근 및 체류의 편리성의 확보(편리성)

도심으로 쉽게 접근하거나 도심에서 활동하기에 편리한 각종 조건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하고 빠른 대중교통수단의 확충으로 접근성을 향상하고 도 심내 보행시 차량으로부터의 위협을 차단하여 안전한 보행조건을 확보하는 것이

21) 삼성경제연구소, 2003, 「도시 어메니티의 개선과 기업의 대응」, Issue Paper, p.8.

다. 각종 편의시설이 적정한 위치에 적정한 규모로 설치되고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종합적인 도심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2)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의 조성(환경성)

도심은 건축물이나 인공적인 구조물이 많고 차량의 통행이 빈번하므로 쾌적한 환경의 질을 유지하기 어렵다. 토지이용상 고차의 기능 위주로 입지하므로 공원, 녹지 등의 공간시설을 확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도심 내에서 자연 친화적 공간을 조성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여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여야 한다.

(3) 선진적 심미성의 추구(심미성)

도심은 다양한 요소가 공존하므로 시각적으로 혼란스럽고 부조화되기 쉽다.

도심의 쾌적성 제고를 위해서는 건축물, 가로, 자연적 요소가 상호 조화되는 아 름다운 경관을 형성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고유한 디자인, 가로시설물의 정연함, 옥외광고물의 정비를 통하여 도시의 정체성 있는 이미지가 구축되어야 한다.

(4) 고유 문화자원의 육성(문화성)

도심의 문화적 요소는 도심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도심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도 볼거리와 관심거리를 제공함으로써 도심에 대한 친근감 과 자부심을 느끼게 한다. 그러므로 도심이 갖고 있는 유․무형의 역사적, 문화 적 자원을 유지, 관리하여 전통성을 계승하고 새로운 자원을 개발하여 이들간의 연계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도심의 경제활동을 보완하여 다양한 도심공간으 로의 조성이 요구된다.

3

C H A P T E R 도심지역 변화의 양상과 원인

본 장에서는 1980년대 후반 이후 우리나라 지방대도시의 도심이 겪고있는 변 화의 일반적 양상과 원인을 분석한다. 인구, 산업 등 통계자료에 읳ㅎ한 객관적 인 도심변화양상과 주민설문조사를 통한 주관적인 도심변화상황과 수준을 파악 하고 변화의 원인을 종합하기로 한다. 이는 제5장에서 기술될 도시유형 분석 등 의 기초자료가 되는 한편, 향후 지방대도시 도심의 유형별 발전방안 및 전략을 제시하는데 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도심의 변화양상 분석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58-62)